KR20150049714A -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714A
KR20150049714A KR1020130130605A KR20130130605A KR20150049714A KR 20150049714 A KR20150049714 A KR 20150049714A KR 1020130130605 A KR1020130130605 A KR 1020130130605A KR 20130130605 A KR20130130605 A KR 20130130605A KR 20150049714 A KR20150049714 A KR 2015004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er
oil
extract
mix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섭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디펜스
하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디펜스, 하성섭 filed Critical (주)바이오디펜스
Priority to KR102013013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714A/ko
Publication of KR2015004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714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마자오일, 마늘오일, 타임오일, 페퍼민트오일 등 오일류와 도라지추출물, 녹차추출물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유기용매 알코올, 계면활성제 Tween20와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원심분리하는 것이 특징인 기피제 조성물은 사슴 퇴치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Repellent composition for subdueing deer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과 그 바람직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이 잔류 독성이 없는 사슴 퇴치용 기피제로서 야생동물 특히 사슴 퇴치에 가장 바람직한 조성물과 제형을 제공한다.
과수원, 농경지 등에는 사슴, 멧돼지, 너구리, 노루, 토끼, 들쥐와 같은 야생동물이 과실이나 곡물을 취식하고 손상시켜 농작물의 수확량을 저하시키며 상품의 품질을 크게 훼손 시킴으로써 농가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는 비단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카나다, 스웨덴 등 선진국에서도 동일한 재산상의 피해가 호소되고 있다.
야생동물 특히 사슴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는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특히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렵 활동이 금지를 위한 입법과 시민운동 등으로 농작물의 훼손과 농가의 재산상 피해는 매년 증가되고 있다.
야생동물 특히 멧돼지, 사슴, 노루, 들쥐, 조류 등에 대한 퇴치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84217호에 개시되었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서도 특허 10-1192980호에 공지시킨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품의 경우 사슴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였고 본 발명자들이 개발하여 공지한 등록특허에 의해서도 사슴 퇴치 효과는 멧돼지 외에는 거의 기대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특히 사슴의 행동특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허브식물의 추출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피제 조성물과 그 사용에 적합한 제형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와 동물에 무해하며 생분해가 가능한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바람직한 사용을 위한 제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기피제 조성물의 사슴퇴치 효과를 실험평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사슴으로부터 과수원, 농경지, 농장, 정원의 초목, 과실, 채소, 종실, 새싹을 보호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은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2.00%(w/w)의 피마자오일, 1.00%(w/w)의 마늘오일(garlic oil), 0.05%(w/w)의 타임오일(time oil), 0.05%(w/w)의 페퍼민트오일(pepermint oil), 0.5%(w/w)의 액상 도라지추출물, 0.1%(w/w)의 액상 불가사리추출물, 0.05%(w/w) 액상 녹차추출물(green tea extract), 방부제 0.5%(w/w), 알코올 9.0%(w/w), 계면활성제 6.00%(w/w) 나머지 정제수(distilled water)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허브식물의 오일류로는 피마자오일은 0.1 ~ 2.0%(w/w)가 바람직하고 마늘오일은 0.1 ~ 1.0%(w/w), 타임오일은 0.01 ~ 0.1%(w/w), 페퍼민트오일은 0.01 ~ 0.1%(w/w)가 바람직하였다. 그리고 액상 도라지추출물은 0.1 ~ 1.0(w/w)가 바람직하였으며 액상 녹차추출물은 0.01% ~ 0.1%(w/w), 액상 불가사리추출물은 0.1 ~ 1.0(w/w)가 바람직하였다.
방부제는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페녹시에탄올 0.50%(w/w), 유기용매는 알코올 9.00%(w/w)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계면활성제는 Tween20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부 공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하여도 기피제 효능에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는 사슴동물의 기피에 바람직한 허브식물로부터 통상적 방법으로 추출한 오일류를 먼저 알코올과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및 계면활성제 Tween20에 차례로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오일성분들에 액상 도라지, 녹차 및 불가사리 추출물을 혼합한 다음 분리 여과단계를 위하여 정제수를 가하여 다시 재혼합한다. 여기서 얻은 혼합물은 원심분리기에서 분리시켜 추출물 유래의 고형물을 제거한다.
피마자(Ricinus communis L.)는 우리나라에서 아주까리라고 하며 어린잎을 주로 사용한다. 씨에는 알레르기성 단백질인 독성 알부민(리신)이 들어 있으며 오일은 점성이 있는 비휘발성 기름으로 리시놀레산이며 불 건성 기름으로 설사약, 윤활제, 착향료, 피막제, 제조 용제로 쓰였다. 그리고 독성이 강하나 열에 약한 ricin, ehrtjddms ricin보다 약한 alkaloid 독소인 ricinin, 일부 사람에게 심한 allergy성 증세를 일으키는 allergen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피마자오일(oil)은 사슴의 기피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마늘의 유기 활성분인 알린(allin)은 오일 추출과정에서 알리나아제에 의해 매운맛 성분인 알리신(allicin)으로 변화되면서 동물의 후각과 미각을 자극하여 동물의 기피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타임과 페퍼민트오일도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동물의 후각과 미각을 자극하여 동물 기피에 시너지(synergy)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이를 더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또는 그 뿌리 상록 활엽 관목을 말하며 어린눈과 잎은 차 원료로, 열매는 기름으로 이용한다. 도라지의 향기성분은 지방족탄화수소류(aliphatichydrocarbons), 알코올류(alcho1s), 테르펜 알코올류(terpene alchols), 티아졸류(thiazoles), 테르펜탄화수소류(terpenehydrocarbons), 방향족탄화수소류(aromatichydrocabons), 락톤류(lactones), 황화물류(sulfides), 페놀류(phenols) 등으로 특히 알칼로이드류(alkaloids)와 배당체류(glycosides)의 쓴맛 성분이 사슴의 섭식을 방해할 것으로 사료되어 그 추출물을 첨가하게 되었다.
녹차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으로 녹차의 주성분은 수분 85.0%(말린 것은 24.2%), 단백질 1.8%(2.4%), 지질 0,2%(0,1%), 당질 10.4%(61.2%), 섬유 2.4%(8.9%), 회분 0,5%(1.5%), Ca 45mg%(232 mg%), P 34 mg%(189mg%), 비타민, 아피게닌, 아스트라갈린, 벤조알데하이드, 베타-카로텐, 베타-요논, 베타-시토스테롤, 커피산, 카페인, 카르바크롤, 카테킨, 클로로겐산, 시나믹산, 크립토잔틴 등이 있으며 녹차추출물 중 카테킨 성분의 쓴맛이 사슴의 섭식을 방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불가사리는 차극목 불가사리과의 극피동물로서 껍질이 제한적으로 식용한다. 불가사리의 10%가 단백질이며 그 중에서 60%가 콜라겐으로 구성어 있는데 불가사리는 자신을 보호하는 테르펜이라는 물질을 발산하며, 조사포닌이라는 특수한 물질을 분비한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의 냄새에 의해 사슴의 기피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사료되어 그 추출물을 공시재료로 첨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허브식물류의 오일은 통상의 오일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라지, 녹차, 불가사리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등 친수성 유기용매로 추출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용법은 기후와 지역에 따라 생분해도가 다르고 환경에 따라 사용방법을 달리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액상으로 사용하며 이때는 과목이나 농작물이 자라는 주의, 잔디, 정원에 2 ~ 3 m의 거리를 두고 분무기로 살포할 수 있고 15 ~ 30일 간격으로 살포하면 좋다. 수분증발이 많은 지역과 환경에서는 젤상으로 제조하여 용기나 팩에 넣어 시판하고 상부를 개방하여 사용하거나 트랩용지에 도포하여 과수 밑둥이나 옥수수 특용작물 또는 채소원에 작물의 줄기 기저부에 감아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효능시험을 위해 사슴의 출현이 예상되는 지역 5개 장소에 대하여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 농작물을 임의로 혼합하여 방치하여 두고 반경 10 m의 원형 둘레에 본 발명의 액상 기피제 조성물을 분무기로 살포하고 10일간 실험한 결과 사슴이 출몰하던 지역에 출현을 확인할 수 있는 발자국이 발견되지 않았다.
< 실험예 1>
사슴의 피해가 있는 농가에 실제 효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액상 조성물을 살포한 후 피해 상황과 그 평가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본 발명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피해 농가 평가 결과
살포지역 경기도 용인군 금사면 일대
농경지 면적 1 hr
작물명 배추
피해상황 없음
살포지역 충남 부여군 내산면 율암리 일원
농경지 면적 1 ha
작물명 옥수수
피해상황 없음
살포지역 충남 공주시 유구면 일대
농경지 면적 1 hr
작물명 산딸기
피해상황 없음
< 실험예 2>
본 발명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 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젤타입으로 제형화 된 기피제 조성물이 내장된 비닐 용기(a)와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트랩용지(trap tape)를 사용하였다. 비닐용기는 뚜껑부를 개방하여 사슴의 사료통에 옥수수와 함께 넣어두었고, 트랩용지는 사슴 사육장의 먹이통 옆 기둥 하부에 감아 두었다. 실험실 조건하에 24시간 비디오 카메라(vidio camera)를 사용하여 사슴의 행동 특성을 관찰하면서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 기피제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용 사육사(control)와 7일간 사료 섭취량(단위 : g)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본 발명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사료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구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처리군(a) 23 20 18 15 13 10 0
대조군(a) 45 70 92 135 185 210 256
처리군(b) 28 25 20 19 17 15 2
대조군(b) 51 62 88 97 141 192 242
실험결과 본 발명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이 노출된 처리군(a) 및 (b)의 사슴은 제한된 실험 공간에서 대조군에 비해 사료섭취량이 현저히 저하되고 행동특성이 둔화되었다.
본 발명은 사슴퇴치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과수 및 농작물 재배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기피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피마자오일 0.1 ~ 2.0%(w/w), 마늘오일(Garlic oil) 0.1 ~ 1.0%(w/w), 타임오일(Time oil) 0.01 ~ 0.1%(w/w), 페퍼민트오일(pepermint oil) 0.01 ~ 0.1%(w/w), 액상 도라지추출물 0.1 ~ 1.0(w/w), 액상 녹차추출물(Green tea extract) 0.01% ~ 0.1%(w/w), 액상 불가사리추출물 0.1 ~ 1.0(w/w) 나머지가 페녹시에탄올, 알코올, Tween20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2. 허브식물오일을 알코올과 페녹시에탄올 및 계면활성제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혼합물에 액상 도라지추출물, 액상 녹차추출물 및 불가사리추출물을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혼합물에 정제수를 가하여 다시 혼합한 다음 원심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제형이 용기 분무형 용액상 또는 트랩(trap)용지용 도포형 젤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KR1020130130605A 2013-10-30 2013-10-30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9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05A KR20150049714A (ko) 2013-10-30 2013-10-30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605A KR20150049714A (ko) 2013-10-30 2013-10-30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714A true KR20150049714A (ko) 2015-05-08

Family

ID=5338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605A KR20150049714A (ko) 2013-10-30 2013-10-30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7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026B1 (ko) * 2021-05-14 2021-11-04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 및 야생동물 기피제의 제조방법
KR102445900B1 (ko) 2022-04-15 2022-09-21 김영술 농작물 피해방지를 위한 유해동물 차단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026B1 (ko) * 2021-05-14 2021-11-04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야생동물 기피제 조성물 및 야생동물 기피제의 제조방법
KR102445900B1 (ko) 2022-04-15 2022-09-21 김영술 농작물 피해방지를 위한 유해동물 차단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1934B (zh) 一种桔小实蝇食物诱剂
KR101270628B1 (ko) 황벽나무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및 살충용 조성물
US20160198706A1 (en) Extract of euodia suaveolens scheff, repellent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KR101762762B1 (ko) 녹나무 또는 회화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해충방제가 동시에 가능한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1008523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유해동물 방제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식물유해동물 방제방법
Kamatenesi-Mugisha et al. Oral acute toxicity study of selected botanical pesticide plants used by subsistence farmers around the Lake Victoria Basin
KR101270630B1 (ko) 참나무 목초액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문화재 보존용 방충 또는 살충용 조성물
KR2020007277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가지는 닭진드기 살비제 조성물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50049714A (ko) 사슴 퇴치용 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433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Mahomoodally et al. A review of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and phytochemical profile of weeping fig-Ficus benjamina L
KR100270561B1 (ko) 방충제 조성물
Ifebueme et al. Efficacy of bio-pesticidal plant products for the protection of Cola nitida (Schott & Endl.) against kola weevil, Balanogastris kolae Desbrochers (Coleoptera: Curculionidae) in storage
KR20160109113A (ko) 조류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6742A (ko) 모기 등 해충의 퇴치를 위해 은행나무에서 추출하는 천연살충성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60585A (ko) 꽃매미 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KR102601133B1 (ko)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닭진드기 방제용 연막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닭진드기의 방제방법
KR101740270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살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21037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깍지벌레류 방제용 농약 조성물
KR100583634B1 (ko) 해충 퇴치용 조성물
KR102231598B1 (ko)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KR100250159B1 (ko) 방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e Controlling Biological Infestations in Museums by Medicinal Plants
KR102540101B1 (ko) 수면처리와 토양처리가 가능한 작물해충에 대한 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