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143A -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143A
KR20150049143A KR1020130129310A KR20130129310A KR20150049143A KR 20150049143 A KR20150049143 A KR 20150049143A KR 1020130129310 A KR1020130129310 A KR 1020130129310A KR 20130129310 A KR20130129310 A KR 20130129310A KR 20150049143 A KR20150049143 A KR 20150049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level switch
sewage
transfer pump
pu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9143A/ko
Publication of KR20150049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6Refuse discharge, e.g. for 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하나의 레벨스위치에 연결되어 작동되어짐으로써 구조의 간단화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더블접촉형의 레베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오수수집탱크(100)에 수집된 오수를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켜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연결관(210)으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수집된 오수의 량에 따라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레벨스위치(30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레벨스위치(300)가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하나의 레벨스위치(300)에 연결되어지는 더블 접촉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Sewage transfer system use of double contact type level switch}
본 발명은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하나의 레벨스위치에 연결되어 작동되어짐으로써 구조의 간단화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더블접촉형의 레베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발생되는 분뇨 또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크게 여러 개의 분뇨 저장조를 만들어 저장하여 산화시키는 저장식 처리방법과, 선박의 분뇨, 오수가 유입된 탱크(반응조)내에 부유 성장상태의 미생물에 의해 기질분해와 세포합성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로 공기를 유입하여 처리하는 생물학적 활성 슬러지에 의한 오수처리방법과,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이 있다.
상기의 저장식 처리방법은 다량의 선박오수를 저장하여 산화 처리하므로 대용량의 탱크를 필요로 하며, 슬러지 생성량이 많아져서 슬러지 처리가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생물학적 활성오니에 의한 처리방법은, 처리과정 중에 섬유성 미생물이 생성되어 슬러지 팽화현상(sludge bulking)이 생기며, 과다한 슬러지 생성으로 슬러지를 처리하는 데에 문제를 일으키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완전한 처리를 위하여 처리장치가 커지므로 선박 등과 같이 작은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하는 곳에 설치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전기분해식 처리방법은, 분뇨 등을 파쇄 시켜 이들을 서로 간격이 좁게 형성된 전극판 사이로 분뇨(오수)와 해수를 동시에 통과시키면서 해수의 전기분해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에 의해 유기물질의 분해산화가 일어나도록 하여야 하나, 파쇄가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많은 양의 해수를 전기분해할 때 생성된 차아염소산(HClO3)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며, 처리수가 과다한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게 되어 2차 오염원이 될 수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등록일자:2001년01월30일)에서 제안된 선박 오수 처리장치는 선박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맞도록 콤팩트하고 소형의 구조를 갖추며, 오수의 처리능력이 양호하고, 좁은 공간에서 설치가 용이하며, 분뇨, 오수의 부하변동이나 온도변화에 잘 적응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적은 양의 잉여 슬러지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19789호의 선박 오수 처리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가 마련된 중공형의 오수탱크(12) 내부에 요철형상의 접촉여재(13)를 고정시켜 상기 접촉여재(13)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하고, 오수탱크의 내부 중앙에는 폭기조(14)와 처리수조(15)를 설치하며, 상기 폭기조(14)의 하측에 산기관(16)과 안내판을 설치하여 나선형으로 폭기시키며 미생물에 의한 오수분해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조(15) 내에 설치된 자외선램프(17)에 의하여 저수된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며,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조(15)내에 설치된 수위감지기(18)에 의하여 작동되는 배출펌프(19)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선박 오수 처리장치는 자외선램프(17)에 의하여 처리수의 대장균을 살균하도록 되어 있으나, 선박의 분뇨, 오수는 그 혼탁도가 매우 높아 자외선의 침투가 어려워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선박의 분뇨, 오수를 접촉여재(13)에 부착된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선박오수를 분해 처리한 후, 배출펌프(19)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바다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접촉여재(13)에서 과잉 증식으로 탈리된 미생물에 의해 부유고형물(SS)의 배출허용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부 미 분해된 유기물질의 미생물이 바다에 그대로 배출되며, 별도의 소독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써 해양오염방지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선박 오수 처리장치는 선박 분뇨, 오수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생물막 여재를 사용하였으나, 처리수 중의 슬러지는 침전조에서 중력침강에 의해 농축됨에 따라 침전조의 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를 수집하게 되는 오수수집탱크(20)에 다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1)가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수수집탱크(20)에 각각의 오수 트랜스터 펌프(21)에 각자 연결되어 각 오수 트랜스퍼 펌프(2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레벨스위치(2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오수수집탱크(20)에 수집된 오수를 오수 트랜스퍼 펌프(21)를 통해 배출시킬 때 각각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1)를 각자 레벨스위치(22)를 별도로 작동시켜 가동시키게 됨으로써 각각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1)마다 레벨스위치(22)를 형성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된 오수를 이동시키게 되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레벨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작동시키되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하나의 레벨스위치를 사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하나의 레벨스위치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오수수집탱크에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벨스위치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제작비의 절감은 물론 레벨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된 오수를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켜 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에 오수 트랜스퍼 펌프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된 오수의 량에 따라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레벨스위치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레벨스위치가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가 하나의 레벨스위치에 연결되어지는 더블 접촉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된 오수를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작동으로 이동시켜 처리하되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하나의 레벨스위치로 더블접촉시켜 하나의 레벨스위치를 작동시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화시켜 제작비의 절감은 물론 작업시간 및 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분뇨 및 오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수수집탱크(100)로 수집되는 오수를 이동시키게 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수집된 오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벨스위치(30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는 오수수집탱크(100)에 수집된 오수를 배출시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관(210)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는 오수수집탱크(100)에 오수를 각각의 처리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레벨스위치(300)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되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에 더블 접촉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레벨스위치(300) 하나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에 접촉되어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벨스위치(300)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타트부(310)와 스톱부(32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에는 레벨스위치(300)의 작동에 따라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작동감지센서(400)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감지센서(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감지센서(400)의 감지에 따라 컨트롤하게 되는 제어기(50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어기(500)에는 작동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하여 외부에서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작동확인부(51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작동확인부(510)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51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신호음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신호알림부(51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확인부(510)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513)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표시부(511)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LED)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오수수집탱크(100)로 오수가 수집되어지게 되면 상기 오수수집탱크(100) 내의 오수를 이동시켜 처리하기 위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연결관(210)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오수가 차게 되면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켜 오수수집탱크(100) 내의 오수를 처리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레벨스위치(300)를 작동시켜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레벨스위치(300)의 신호에 따라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수집된 오수가 연결관(210)을 통해 배출되어 다음 처리공정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때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하나의 레벨스위치(300)에 접촉되어지게 됨으로써 하나의 레벨스위치(300)의 작동에 따라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가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스위치(300)에 스타트부(310)와 스톱부(320)가 형성되어짐에 따라 하나의 레벨스위치(300)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수수집탱크(100)에 하나의 레벨스위치(300)를 형성하여 오수수집탱크(100)에 연결관(210)으로 연결되어지는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한 번에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에서처럼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각각의 레벨스위치로 작동시켜 구조를 복잡화할 필요없이 레벨스위치(300)를 하나로 설치하게 되어 본 발명의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레벨스위치(300)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를 작동시킬 때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에 작동감지센서(400)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감지센서(400)에 의해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감지센서(400)가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500)에서 작동감지센서(4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컨트롤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500)에서 작동감지센서(400)의 신호를 컨트롤한 다음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황을 모니터링부(513)에 모니터하여 작업자가 작업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표시부(511)에서 표시되며 상기 신호알림부(512)에 의해 작동신호를 알려주게 됨으로써 오수 트랜스퍼 펌프(200)의 작동상태를 상기 표시부(511) 및 신호알림부(512)의 신호에 따라 작업자가 먼거리에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음과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오수수집탱크
200 : 오수 트랜스퍼 펌프
210 : 연결관
300 : 레벨스위치
310 : 스타트부
320 : 스톱부
400 : 작동감지센서
500 : 제어기
510 : 작동확인부
511 : 표시부
512 : 신호알림부
513 : 모니터링부

Claims (8)

  1.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되는 오수를 이동시키게 되는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수수집탱크에 수집된 오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관으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가 연결되어지며,
    상기 오수수집탱크에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와 접촉되어지게 되는 레벨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스위치는 하나로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스위치는 복수의 오수 트랜스퍼 펌프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타트부와 스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트랜스퍼 펌프에는 레벨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작동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작동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컨트롤하게 되는 제어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작동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하여 외부에서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작동확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확인부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작동상태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확인부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작동상태를 신호음으로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신호알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확인부는 오수 트랜스퍼 펌프의 작동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KR1020130129310A 2013-10-29 2013-10-29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KR20150049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310A KR20150049143A (ko) 2013-10-29 2013-10-29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310A KR20150049143A (ko) 2013-10-29 2013-10-29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143A true KR20150049143A (ko) 2015-05-08

Family

ID=5338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310A KR20150049143A (ko) 2013-10-29 2013-10-29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9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9269A (zh) * 2021-12-21 2022-04-15 安徽省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移动式船舶污水收集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9269A (zh) * 2021-12-21 2022-04-15 安徽省交通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移动式船舶污水收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829B2 (en) Sewage treatment device
JP5746750B2 (ja) 船舶バラスト水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515398B (zh) 复合型船舶生活污水处理方法
KR100938463B1 (ko) 선박용 생물화학식 오수처리장치
CN101041536A (zh) 综合废水处理机
CN103466878B (zh) 一种高浓度有机废水处理回用设备
CN111646608A (zh) 一种电化学处理多种污水的撬装式系统
KR101224624B1 (ko) 선박용 폐기물 처리 시스템
CN106277637A (zh) 一种处理黑臭地表水的方法和系统
CN102838243A (zh) 紫外光照与次氯酸钠协同消除水中有机物的方法和装置
US7455775B2 (en)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N108358394A (zh) 一种新型除磷污水处理工艺
CN108640442A (zh) 智控的循环用水粪便处理厕所
CN109485205B (zh) 一种移动式有机废水处理设备
KR101210536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036622B1 (ko) 선박의 오폐수 처리 장치
CN210505949U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
CN112979011A (zh) 一种含油废水处理工艺
KR20150049143A (ko) 더블접촉형의 레벨스위치를 이용한 오수 트랜스퍼 시스템
KR101671199B1 (ko) 선박의 분뇨처리 장치
CN202936224U (zh) 紫外光照与次氯酸钠协同消除水中有机物的装置
CN201746407U (zh) 一种高效灭活和节能的船舶压载水处理系统
CN104045206A (zh) Uv/o3+baf组合式高级氧化污水处理设备
CN211871668U (zh) 一种电化学处理多种污水的撬装式系统
CN201077803Y (zh) 脉冲布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