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066A -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066A
KR20150049066A KR1020130129096A KR20130129096A KR20150049066A KR 20150049066 A KR20150049066 A KR 20150049066A KR 1020130129096 A KR1020130129096 A KR 1020130129096A KR 20130129096 A KR20130129096 A KR 20130129096A KR 20150049066 A KR20150049066 A KR 2015004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video
image
user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451B1 (ko
Inventor
서장원
이성원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라
Priority to KR102013012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451B1/ko
Priority to PCT/KR2014/010044 priority patent/WO2015064962A1/ko
Publication of KR2015004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모듈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b)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c)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와, (d)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와 디바이스 영상이 결합된 파일로 인코딩을 하여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METHOD FOR CREATING VIDEO FILE TAKEN BY CAMERA MODULE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디오를 찍었을 때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는 MPEG 4와 같은 기술 규격에 따라 이미지 처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는 디바이스에서 재생되거나, 무선 통신에 의해서 다른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의 재생 또는 전송을 위해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서 이미지 데이터를 얻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한다.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에 의해 검출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카메라 모듈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미리 정해진 공지의 프로세스에 의해서 에러 및 왜곡 보정, 비디오와 음향의 동기화와 다중화, 압축 등의 이미지 처리를 실행하고 이를 메모리에 동영상 파일로 저장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은 전적으로 사용자가 제작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어떤 대상에 대하여 ΔT 시간 동안 촬영하였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는 ΔT 시간의 재생시간을 갖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다. 이 동영상 콘텐트는 사용자에 의해서 결정되며, 디바이스는 단지 이를 기술 규격에 따라 이미지 처리하여 동영상 파일로 저장해 둘 뿐이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유자는 곧 동영상 콘텐트의 저작자이기 때문에, 이런 일반적인 방식은 매우 자연스러운 사고의 결과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렇지만 동영상 파일의 확장성의 관점에서는 이제까지 고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은 두 가지의 국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첫 번째 국면은 동영상 파일을 서비스 제공자의 플랫폼으로 업로드 할 때이며, 두 번째 국면은 여러 개의 동영상 파일에 공통적인 콘텐트를 부가하려고 할 때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동영상 파일을 서비스 제공자의 플랫폼으로 업로드 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는 업로드 된 동영상 파일에 광고 콘텐트를 삽입하여 경제적 수익을 거둔다. 유투브TM와 같은 플랫폼은 인기도에 비례하여 광고 수익을 업로더에게 배분하곤 한다. 그러나 어떤 광고 콘텐트가 동영상 파일에 결합될지는 전적으로 플랫폼 사업자의 권한이었을 뿐이었다. 사용자에게는 그런 권한이 허용되지 않았다. 한편, Twitter, Facebook, Flickr 등의 SNS 서비스 플랫폼의 경우에는 해당 플랫폼에 콘텐트 자원을 자발적으로 공급하지만 사용자가 그에 대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두 번째 국면에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개의 동영상 파일에 공통적으로 특정 정지 영상을 부가한다거나 어떤 동영상 콘텐트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의 종래의 방식은 그와 같은 1개의 동영상 파일을 제작할 때마다 별도의 동영상 편집기를 이용하여 직접 결합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그와 같은 방법을 이용함에 있어서, 데스크톱 컴퓨터와 달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계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촬영한 원본 동영상 소스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주하는 영상 콘텐트가 자동으로 결합하여 1개의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을 “사용자 제작 동영상”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상주하여 사용자 제작 동영상에 결합되는 영상 콘텐트를 “디바이스 영상”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사용자 제작 동영상과 디바이스 영상이 결합된 동영상 파일을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여 사용자 제작 동영상과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함에 있어서, 사용자 제작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저작권과 감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사용자 제작 동영상과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함에 있어 기술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회피하고 가장 간단한 해결수단을 제시함에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복잡한 기술구성은 이미지 처리 시간을 지연시키고 동영상 파일에 오류를 포함할 가능성이 커지는 기술적 불이익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와 같은 목적들이 모두 동시에 달성되어야만 함을 선언한다. 만일 이 세 가지 목적이 각각 달성된다면 그것은 본 발명의 기술특징과 무관해지는 것임을 첨언해 둔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으로서:
(a)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영상이 결합된 파일로 인코딩을 하여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상기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 마지막 프레임에서 전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가시화되는 정지영상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설치된 소프트웨어(제 1 카메라 앱)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설치된 상기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제 2 카메라 앱)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갤러리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발자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발휘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제작한 동영상 데이터에 일일이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디바이스에 저장된 특정 영상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동영상에 자동으로 결합되는 공통된 영상을 자신의 식별 표지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영상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광고 콘텐트인 경우에 광고 콘텐트의 사용에 따른 경제적 보상이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랫폼 사업자 이외의 제삼자가 본 발명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비즈니스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렉트 통신 프로필 공유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 2(b)는 프로필 공유 네트워크 플랫폼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필 마크를 지도상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한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필마크를 계정별로 나열되는 테이블 형태로 표시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 프로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전자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장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장치의 기능에 기여하는 다양한 내부 및/외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요소들(회로 포함), 소프트웨어 요소들(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 포함) 또는 이 두 요소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서(100), 메모리(120), 네트워크 디바이스(130), GPS 모듈(140), 입력장치(150), 디스플레이(160) 및 오디오 장치(170)를 포함하며, 그밖의 다양한 I/O 포트, 확장 카드, 전원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110)와 같은 이미징 장치와 이미지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150)는 입력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는 입력장치(150)는 터치스크린이며, 터치이벤트를 프로세서(100)에 전달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서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다양한 버튼은 대표적인 입력장치로 기능할 것이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감지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 입력장치(15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는 이동통신 모뎀이나 WIFI 모듈과 같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하는 수단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장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30)를 이용하여 외부의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통신을 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GPS 모듈(140)이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120)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120)는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 운영 체제, 다양한 프로그램들,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 프로세서 기능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루틴들과 같은 디바이스용 펌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 내부 메모리(120)는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제 1 저장소(121)와 사용자 제작 동영상과 결합되는 디바이스 영상을 저장하는 제 2 저장소(122)를 포함한다. 제 1 저장소는 통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영상 저장소이며, 통상 이미지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 2 저장소(122)는 디바이스 영상을 저장하는 디바이스 영상 저장 영역(1221)과 디바이스 영상에 관한 메타데이터, 디바이스 영상을 관리하기 위한 필요한 리소스를 저장하는 리소스 영역(122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의 생성과 데이터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영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00)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메인 프로세서와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 프로세서들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는 주로 전용 프로세서의 로직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설치, 표시 및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의 GUI 요소의 변화를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보장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러한 프로세서(11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역할을 담당한다.
카메라 장치(110)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 모두를 취득하는 디지털 카메라로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10)는 렌즈(111)와 광을 캡쳐하여 전기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카메라 장치(110)의 렌즈(111)와 이미지 센서(112)를 통해 입수되도록 하는 제어 로직(101)과 입수된 이미지 데이터를 정해진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세싱 로직(102)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세싱 로직(102)은 내부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추출하여 이를 카메라 장치(110)를 통해 입수되는 동영상과 결합하여 하나의 동영상 파일(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내부 메모리(120)의 제 1 저장소(121)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 영상의 규격이 카메라 장치(110)를 통해 입수되는 동영상의 규격에 맞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30)가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인 것이 좋지만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그 자체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디지털 영상을 설정하는 기능과 이것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그 기능들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선택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미리 설정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을 촬영한 후에 이를 저장할 때 미리 설정한 디지털 영상과 자동으로 결합하여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상기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 디바이스 영상이 결합되는 사용자 제작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
도 2는 본 발명이 어떻게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사용자 제작 동영상을 나타내며, 도 2(b)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나타내고, 도 2(c)는 이들이 결합된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카메라를 통해 입수되는 사용자 제작 동영상(11)은 n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은 동영상이 재생구간별로 구별가능함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은 어떤 경우에 있어 동영상을 구성하는 최소단위인 정지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연속하는 재생시간 별의 구간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픽쳐의 그룹으로 프레임이 정의될 수 있다. 프레임이라는 용어가 어떤 개념으로 사용되든 간에, 사용자 제작 동영상(11)은 마지막 프레임(11n)을 갖는다.
도 2(b)의 디바이스 영상(12)은 전술한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2 저장소(122)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영상(12)은 정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영상(12)은 동영상일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12)에 입력수단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링크 페이지로 이행하도록 하는 URL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12)은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한 청구가 아니다. 이미지 처리에 있어서는 표준화되어 있거나 다양한 대체 기술이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입수된 사용자 제작 동영상(11)의 프레임을 해체하거나 재구성하는 편집기술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와 같은 기술은 특수한 편집기를 요구하고, 시간이 소요되며, 비경제적이다. 게다가 프레임이 소실되거나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2(c)에 나타난 것처럼, 사용자 제작 동영상(11)과 디바이스 영상(12)을 결합하고, 결합된 동영상을 압축하고 인코딩하여 하나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 제작 동영상(11)과 디바이스 영상(12)의 결합은, 사용자 제작 동영상(11)의 프레임들의 구간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 프레임(11n) 바로 뒤에 디바이스 영상(12)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촬영한 동영상을 다시 재구성하거나 편집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초래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제작 동영상(11)의 최초 프레임(U1) 앞에 디바이스 영상(12)을 위치하여 결합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벗어난 것임을 첨언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이미지 갤러리는 동영상의 최초 화면을 표시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영상(12)을 최초 화면 앞에 위치시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갖는 이미지 식별 기능을 잃게 만든다. 또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마다 디바이스 영상이 사용자 제작 동영상보다 먼저 재생되면, 본래 콘텐트를 먼저 보려는 사용자의 시청 권한을 박탈하는 불이익을 초래한다. 그러나 본원발명처럼 마지막 프레임(11n) 뒤에 디바이스 영상(12)이 위치하면, 사용자 시청 권한이 만족된 다음에 디바이스 영상이 나오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전혀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c)와 같이 두 개의 영상 파일을 결합함에 있어서, 프로세스(100)의 프로세스 로직(102)는 영상 파일의 포맷, 비트레이트, 해상도 등의 미리 설정된 규격에 따라 결합하며 압축 및 인코딩 등을 하여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의 대략적인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부 메모리에 디바이스 영상을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미리 정해지는 규격에 따라 저장한다(S100).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디바이스 영상이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은 생성되지 않는다. 그 경우, 사용자 제작 동영상 파일이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 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UI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활성화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한다면, 이는 마치 메모리에 디바이스 영상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효과를 불러온다. 즉, 종래의 경우처럼, 사용자가 촬영한 동영상으로 비디오가 생성되고 저장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영상은 정지영상일 수 있으며, 동영상일 수 있다. 오디오가 포함될 수 있으며, URL 링크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디바이스에 내장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한다(S110). 렌즈를 통해서 대상물이 포착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120). 입력수단에 의해서 종료버튼을 누를 때까지 S120 단계는 지속된다.
다음으로 종료버튼이 눌려지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S120 단계의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추출하여 결합한다(S130).
그리고 S130 단계에서 결합된 영상 파일을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압축하고 인코딩하여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한다(S140). 이렇게 만들어진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마지막 화면>
도 4는 전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때의 마지막 장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4(a)는 종래의 동영상 파일인 경우를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그것은 단순한 사용자 제작 동영상 파일일 것이다. 도 4(a)의 화면(S1)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로 촬영한 동영상 파일의 재생 종료 시점의 장면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4(b)와 도 4(c)는 본 발명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라고 가정하자.
도 4(b)의 화면(S2)은 본 발명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미디어 플레이어로 모두 재생했을 때의 마지막 화면을 나타내며, 그때의 마지막 화면은 정지영상인 디바이스 영상의 화면이 된다. 즉 도 4(b)의 동영상은 사용자 제작 동영상과 미리 설정된 정지 영상(디바이스 영상)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 제작 동영상을 모두 재생한 다음에 디바이스 영상을 가시화한다.
도 4(c)의 화면(S3)은 본 발명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미디어 플레이어로 모두 재생했을 때의 마지막 화면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며, 그때의 마지막 화면은 동영상인 디바이스 영상의 마지막 화면이 된다. 즉 도 4(c)의 동영상은 사용자 제작 동영상이 모두 재생되고, 그리고 디바이스 영상인 동영상도 모두 재생된 다음의 마지막 화면으로서, 결국 화면(S3)은 동영상인 디바이스 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에서 최종 가시화되는 영상이 된다.
도 4(b)와 도 4(c)의 각각의 화면인 S2와 S3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촬영한 동영상의 마지막 화면이 아니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의 화면이다. 즉,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카메라로 촬영한 상이한 동영상마다 공통된 마지막 화면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새로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보장한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작자가 디폴트 소프트웨어로 설치한 것(제 1 카메라 앱)에 의해 도 3의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외부의 플랫폼(앱 스토어)을 경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제 2 카메라 앱)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 영상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 2 카메라 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카메라 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200)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디바이스 영상 설정 요소(220), 애플리케이션 관리 요소(230), 오브젝트 이미지 수신 요소(240),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기(250), 압축/해제 엔진(260)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20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를 이용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할 수 있으며,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본 발명의 상기한 기능들을 설정하거나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 영상 설정 요소(220)는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와 결합될 디바이스 영상을 설정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6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영상 설정 요소(22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 1 저장소(121)의 이미지 갤러리에 있는 특정 영상(121a)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특정 영상(121a)을 제 2 저장소(122)에 저장되는 디바이스 영상(1221)으로 등록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의 이미지 갤러리에 위치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카메라를 통해 현재 입수되는 동영상의 마지막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에 위치한 콘텐트 서버(1000)와의 통신을 통해서 디바이스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모바일 디바이스(1)의 메모리에는 디바이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220)를 구축하고, 외부의 콘텐트 서버(1000)와의 통신을 통해서 이 디바이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220)에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콘텐트 서버(1000)는 사용자 DB(1001)와 콘텐트 DB(1002)를 가질 수 있다. 콘텐트 서버(1000)는 콘텐트 DB(1002)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로 전송하고, 해당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의 디바이스 영상 데이터베이스(1220)에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와 콘텐트 서버(1000)가 통신하여, 디바이스 영상에 관한 로그 정보를 주고 받으며, 디바이스 영상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디바이스 영상 설정 요소(22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의 이미지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규격, 예컨대 파일 포맷, 비트레이트, 해상도 등에 맞게 선택된 디바이스의 영상의 규격을 설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요소(230)는 디바이스 영상과 사용자 제작 동영상의 결합에 대한 온오프 기능, 결합에 관련한 로그 정보의 기록,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능을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관리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오브젝트 이미지 수신 요소(240)는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동영상을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기(250)는 오브젝트 이미지 수신 요소(24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을 검출하여, 그 마지막 프레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함으로써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기(250)는 오디오 데이터를 함께 처리한다.
압축/해제 엔진(260)은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디코딩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저장될 수 있으며,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표시되기 전에 압축 해제될 수 있다. 압축 엔진인 인코더는 정지 영상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JPEG 압축 엔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을 인코딩하기 위한 H.264 압축 엔진 또는 이들의 소정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기(250)와 압축/해제 엔진(260)의 인코더는 도 1의 프로세싱 로직(102)의 실행에 관여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신규한 방법은 다양하게 산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조사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1.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자신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저작한 동영상에 효과적으로 이미지 서명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하, “식별영상”, 즉 본 발명의 디바이스 영상)을 저장해 둔 다음에, 그것을 자신이 저작한 동영상마다 그것의 마지막 프레임에 자동으로 식별영상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타인은 그 사용자의 본래 동영상을 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식별영상도 함께 볼 수 있다.
오늘날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은 유투브TM, 페이스북TM, 트위터TM, 텀블러TM 등의 플랫폼과 그와 유사한 유포 기능을 하는 일체의 웹 또는 앱 기반의 매체를 통해서 광범위하게 유포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동영상을 플랫폼과 매체를 이용하여 1차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신의 아이디를 통해서 업로드하는 것이므로 저작자의 출처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것이 2차, 3차, n차로 유포되고 확산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출처로서의 지위를 잃고, 매체와 플랫폼사업자가 출처의 지위를 획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활용함으로써, 저작자인 사용자는 출처로서의 지위를 줄곧 유지할 수 있다. 자신이 미리 등록한 식별 영상을 마치 이미지 서명처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마다 일일이 별도의 편집툴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편리하다.
2. 본 발명은 새로운 광고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인 기반을 마련해준다. 동영상 광고는 사실상 플랫폼 사업자나 매체 사업자가 독점해 왔다. 사용자가 플랫폼이나 매체에 동영상 파일을 업로드 하면, 일반적으로 업로드된 동영상 파일에 광고 동영상을 플레이리스트로 결합한다. 그리고 먼저 광고 동영상을 재생한 다음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동영상 파일을 볼 수 있도록 광고 서비스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광고 동영상에 대한 선택권한이 없다. 그리고 플랫폼 운영자나 매체 운영자가 아니라면, 제3의 사업자가 사용자 동영상에 광고를 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광고 동영상과 업로드되는 사용자의 동영상이 각각 별개로 제작되고, 별도의 작업으로 1개의 플레이리스트로 결합되는데, 이때 이 결합작업은 순전히 플랫폼 운영자나 매체 운영자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광고 콘텐트를 필수적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동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거부감을 초래하곤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디바이스 영상을 광고 콘텐트로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제작한 동영상과 광고가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랫폼 사업자나 매체 사업자가 개입하기 전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제공자가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제공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조사가 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제공자는 앱 스토어에 등록한 소프트웨어 제공자일 수 있다. 광고 콘텐트와 자신의 동영상을 결합하여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도록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그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면, 디바이스의 소유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파일을 외부의 플랫폼에 업로드 하는 경우에는, 광범위한 플랫폼 사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다. 게다가 1개의 동영상 파일이기 때문에, 플랫폼 사업자나 매체 사업자가 개입하여 삭제하거나 재편집할 수 없다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 제작 동영상이 모두 재생된 다음에 광고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광고가 재생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8)

  1.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모듈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으로서:
    (a)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동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의 마지막 프레임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영상을 결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제작 동영상 데이터와 상기 디바이스 영상이 결합된 파일로 인코딩을 하여 1개의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상기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을 재생할 때 마지막 프레임에서 전자장치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가시화되는 정지영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동영상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디폴트로 설치된 소프트웨어(제 1 카메라 앱)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여 설치된 상기 오리지널 동영상 파일 생성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제 2 카메라 앱)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외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영상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며 설정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영상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미지 갤러리에서 선택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제작되는 동영상 파일의 생성 방법.
KR1020130129096A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KR10159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96A KR101595451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PCT/KR2014/010044 WO2015064962A1 (ko) 2013-10-29 2014-10-24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확장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096A KR101595451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066A true KR20150049066A (ko) 2015-05-08
KR101595451B1 KR101595451B1 (ko) 2016-02-18

Family

ID=5338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096A KR101595451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561A (ko) * 2000-04-11 2000-08-05 권진석 이미지가 포함된 화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10025404A (ko) * 2000-12-22 2001-04-06 유명현 카메라 동작 분석을 이용한 가상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040016498A (ko) * 2002-08-17 2004-02-25 이근구 개인 동영상 제작시스템
KR20060062888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영상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561A (ko) * 2000-04-11 2000-08-05 권진석 이미지가 포함된 화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10025404A (ko) * 2000-12-22 2001-04-06 유명현 카메라 동작 분석을 이용한 가상 광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040016498A (ko) * 2002-08-17 2004-02-25 이근구 개인 동영상 제작시스템
KR20060062888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영상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451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18B1 (ko) 동영상 녹화 방법 및 시스템
US96521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by using screen mirroring
US111658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device control and content curation
US9099151B2 (en) Multimedia content editing server, multimedia content edit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US20130286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ve capture image-live streaming camera utilizing personal portable device
CN103842936A (zh) 将多个实况视频剪辑和静态照片记录、编辑和合并为成品组合作品
JP201407273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方法
CN104012106A (zh) 使表示不同视点的视频对准
KR20170070164A (ko) 다중 관점 콘텐츠 캡처 및 합성
US20140245348A1 (en) Movie compilation system with integrated advertising
US20180359511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method
EP2727110A1 (en) Methods and systems of editing and decoding a video file
KR20160087573A (ko) 원본 컨텐츠와 연계된 편집 영상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
KR20190129752A (ko) 전자 서명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US9298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moving image into a plurality of moving images and further uploading the plurality of moving images
KR20160041398A (ko) 컨텐츠 처리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처리 방법
US930711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5451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 파일의 생성방법
JP6715907B2 (ja)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60103B2 (en) Custom video content
US1029653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ccess to a content
KR20150067820A (ko) 동영상 플랫폼으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파일 업로드 방법
WO2014033357A1 (en) Multitrack media creation
US119738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device control and content curation
JP2011081509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