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907A -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 Google Patents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907A
KR20150048907A KR1020157010043A KR20157010043A KR20150048907A KR 20150048907 A KR20150048907 A KR 20150048907A KR 1020157010043 A KR1020157010043 A KR 1020157010043A KR 20157010043 A KR20157010043 A KR 20157010043A KR 20150048907 A KR20150048907 A KR 20150048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graphical element
representation
snapsho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더블유. 데커
데미안 칼레타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48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줌 체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콘텐츠의 스냅샷은 줌 제어 입력의 개시의 검출에 응답해서 생성된다. 줌 동작은 포스트-줌 스냅샷을 제공하기 위해 줌 제어 입력을 기반으로 스냅샷에 실행된다. 스냅샷은 줌잉을 실행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된다. 콘텐츠는 포스트-줌 렌더링을 제공하도록 줌 제어 입력에 의해서 표시된 줌의 양을 제공하도록 렌더링된다. 포스트-줌 스냅샷과 포스트-줌 렌더링이 혼합되어 최종 이미지가 제공된다. 최종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TECHNIQUES FOR ZOOMING IN AND OUT WITH DYNAMIC CONTENT}
본 U.S. 특허 출원은 2011년 6월 5일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Techniques For Zooming In And Out With Dynamic Content(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인 U.S. 가특허 출원 제61/493,486호(대리인 정리 번호 4860P11597Z/P11597USP1)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이용한 이미지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 디바이스에 표현되는(presented) 이미지를 줌인(zoom in) 및 줌아웃(zoom out)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브라우저 기술과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의 발전에 따라서, 점점 더 많은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액세스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의 이용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어떤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은 콘텐츠의 선택된 섹션들을 확대하기 위해 줌인(zoom in)과 줌아웃(zoom out)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다양한 제어 메커니즘이 줌잉(zooming)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정이 아니라 예로서 도시되어 있고, 첨부 도면의 그림에서 동일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도 1은 전자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블록 도이다.
도 2는 데이터의 페이지들을 표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 도이다.
도 3은 스냅샷(snapshot)을 이용하여 줌인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스냅샷(snapshot)을 이용하여 줌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패닝(panning) 및/또는 스크롤링(scrolling)을 필요로 하는 줌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줌 제어 에이전트의 일 실시 예의 블록 도이다.
다음의 설명에는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이 없어도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널리-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법은 본 설명의 이해가 불명료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세세하게 보여주지 않았다.
전자 디바이스(예로, 컴퓨터 시스템, 태블릿 디바이스, 스마트폰, 키오스크)의 사용자가 페이지로서 표현된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해 브라우저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페이지의 일부를 더 상세하게 또는 덜 상세하게 보기를 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줌인 또는 줌아웃을 원할 수 있다. 위에 논의한 바와 같이, 어떤 조건에서는, 사용자에게는 최적이 아닌 체험이 제공될 수 있다. 페이지 뷰를 줌 인(zooming in)하거나 줌 아웃(zooming out)할 때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하기 위한 기법이 여기에 기술된다.
속도와 양 모두에서의 줌잉을 제어하는 데 다양한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패드상의 핀칭 모션(pinching motion)이 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들을 서로를 향해 움직이는 것은 줌인을 제어하고(the user moving fingers toward each other controls a zoom in) 사용자가 손가락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움직이는 것은 줌아웃을 제어한다(the user moving fingers away from each other controls a zoom out). 줌잉을 제어하는 다른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제어 패드 태핑(tapping), 휠(예로, 마우스나 다른 입력 디바이스에 있는) 회전 , 키보드상의 화살표나 다른 키의 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슬라이더의 조종(manipu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험은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고 직관적일 때 가장 즐거울 수 있다. 그래서, 줌잉할 때는, 부드럽고 자연스런 이미지의 줌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줌잉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이미지들의 조종은 충분한데 연산 능력(computational power) 및/또는 대역폭은 즉각적인 부드러운 줌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될 콘텐츠가 처리되는 동안 스냅샷 이미지들이 줌잉 프로세스 중에 이용될 수 있다. 처리가 완료될 때, 스냅샷은 줌이 이루어진 페이지로 대체된다.
도 1은 전자 시스템의 일 실시 예의 블록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시스템은,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시스템, 랩톱 컴퓨터 시스템, 태블릿 디바이스, 셀룰러 전화, 셀룰러-인에이블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는 PDA,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일정 범위의 전자 시스템(유선 또는 무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대안적인 전자 시스템은 다소 많거나 적거나 및/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105)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 및 버스(105)에 연결되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한다. 전자 시스템(100)이 단일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자 시스템(100)은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코-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은 버스(105)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및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다른 동적 저장 디바이스(120)(메인 메모리라 불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20)는 또한 프로세서(110)에 의한 명령어의 실행 동안에 임시 변수(temporary variables)나 다른 중간 정보(intermediate information)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은 또한 버스(105)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위한 명령어 및 정적 정보(static information)를 저장할 수 있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또는 다른 정적 저장 디바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40)는 버스(105)에 연결되어 정보와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140)와 대응 드라이브는 전자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명령어는 1 이상의 전자적-액세스가능 미디어 등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유선이나 무선인 원격 연결을 통해서(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네트워크를 거쳐서) 자기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ROM) 집적 회로, CD-ROM, DVD와 같은 저장 디바이스로부터 메모리에 제공된다. 대안 실시 예에서, 하드-와이어드 회로는 소프트웨어 명령어 대신에 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와 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래서, 명령어 시퀀스의 실행은 어떤 특정한 하드웨어 회로와 소프트웨어 명령어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콘텐츠(예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전자 디바이스(예로,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전화)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임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시스템(100)은 또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기 위해서 버스(105)를 통해서 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50)에 연결될 수 있다. 알파뉴메릭(alphanumeric)과 다른 키를 포함하는 알파뉴메릭 입력 디바이스(160)는 버스(105)에 연결되어 정보와 명령(command) 선택을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방향 정보와 명령 선택을 프로세서(110)에 전달하고 디스플레이(150) 상의 커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우스, 트랙볼, 또는 커서 방향 키와 같은 커서 제어(170)이다.
전자 시스템(100)은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와 같은 네트워크에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80)는, 예를 들어, 안테나(185)를 갖추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안테나는 1 이상의 안테나(들)를 나타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8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케이블(187)을 통해서 원격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네트워크 케이블은, 예를 들어, 이더넷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직렬 케이블(serial cable) 또는 병렬 케이블(parallel cable)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80)는, 예를 들어, IEEE 802.11b 및/또는 IEEE 802.11g 표준에 따라서 근거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서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프로토콜이 또한 지원될 수 있다.
IEEE 802.11b는 관련 도큐먼트와 함께 1999년 9월 16일자 승인된 것으로 명칭이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Higher-Speed Physical Layer Extension in the 2.4 GHz Band"인 IEEE Std. 802.11b-1999에 대응한다. IEEE 802.11g는 관련 도큐먼트와 함께 2003년 6월 27일자 승인된 것으로 명칭이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 Amendment 4: Further Higher Rate Extension in the 2.4 GHz Band"인 IEEE Std. 802.11g-2003에 대응한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Bluetooth Special Interest Group, Inc.가 2001년 2월 22일에 공표한 "Specification of Bluetooth System: Core, Version 1.1"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블루투스 표준의 이전 또는 이후 버전은 물론이고 관련된 것이 지원될 수 있다.
무선 LAN 표준을 통한 통신에 더해서 또는 이 통신 대신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180)는, 예를 들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토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프로토콜, 및/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브라우저에서 웹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컴퓨터에 있는 것과 같은 시스템(200)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시스템(201)은 운영 시스템 및/또는 웹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콘텐츠 뷰잉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207)을 포함하는 컴퓨터 운영 환경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7)은 페이지들로 및 페이지들로부터 네비게이팅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한 줌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브라우저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처리 모듈(209)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를 통한 네트워크로부터(예로, 원격 웹 서버로부터) 또는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근거리나 원거리에 연결되는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문서나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된 콘텐츠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다른 마크업 언어 등과 같은 언어로 인코딩된 하이퍼텍스트 기반 문서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처리 모듈(209)은 문서 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서 문서를 처리(예로, 구문 분석)하고 이 문서 요소들로부터 DOM 트리 또는 DOM 구조(213)를 생성 또는 구축할 수 있다. 문서 요소는 HTML 문서 내의 HTML 태그(tag)와 같은 하이퍼텍스트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DOM 트리(213)는 문서 요소들 간의 토폴로지 또는 구조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문서의 DOM 트리(213) 내의 각 노드는 문서의 하나의 문서 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문서 요소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225)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프리젠테이션 모듈(presentation module)(219)을 통해서 문서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HTML 문서 내의 HTML 태그에 연관된 크기 속성과 같은 문서 콘텐츠 및/또는 레이아웃 명세(layout specifica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콘텐츠 검색/처리 모듈(209)은 대응 문서를 표현하기 위한 DOM 트리(213) 내의 각 노드에 대한 레이아웃 파라미터(예로, 직사각형 영역의 사이징(sizing) 데이터)와 같은 렌더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렌더링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 엔진은 문서 내의 레이아웃 명세를 포함하는 구성, 애플리케이션(207)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및/또는 다른 시스템 설정 등에 따라서 렌더링 판정을 할 수 있다. 렌더링된 DOM 트리는 브라우저가 표현한 웹 페이지와 같은 웹 콘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애플리케이션(207)은 여기에 기술된 줌 기능을 제공하는 줌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모듈은 DOM 인터페이스 모듈(211)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줌 모듈(223)은 줌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한 줌 검출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모듈(217)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는 스냅샷을 생성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모드 구성 모듈(221)은 사용자가 트랜지션(transitions)에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이용될 캐시 크기, 트랜지션 감도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도 3은 스냅샷을 이용하여 줌인 체험을 제공하는 기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페이지들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제공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인된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 또는 다른 그래픽 컴포넌트의 이용에 의해서, 또는 입력 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제공된 사용자 제스처(예로, 핀칭 모션)에 의해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입력 메커니즘도 또한 지원될 수 있다.
줌인 이벤트가 검출된다(310). 일 실시 예에서, 줌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은 줌 이벤트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들을 모니터링하고 줌을 유발하게 하는 입력의 시작에 반응하는 것에 대응한다. 핀치 제어 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제어 패드에 올려놓았을 때, 사용자는 줌 이벤트를 시작하는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들을 멀리 움직이면(the user moves the fingers apart), 이는 줌인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래서, 손가락 움직임의 시작에 응답해서, 줌 이벤트가 검출될 수 있다.
줌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해서, 브라우저(또는 다른 시스템 엔티티)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의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320). 스냅샷은 브라우저 내의 이 페이지를 대체한다. 스냅샷은 이후 줌이 되는 이미지로서 이용된다(330). 즉, 페이지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이 될 때, 줌이 되는 것은 스냅샷이지 브라우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아니다.
줌잉이 완료될 때, 브라우저는 줌의 시작과 줌의 종료 간의 스케일 팩터(scale factor)를 결정할 수 있다(340). 스케일 팩터는 스냅샷에 적용된 줌의 양을 나타낸다. 스케일 팩터는 페이지에 적용된다(350). 일단 스케일 팩터가 제공될 페이지에 적용되고 나면, 스냅샷에 적용된 줌에 대응하는 줌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360).
도 4는 스냅샷을 이용하여 줌아웃 체험을 제공하는 기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페이지들은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인된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 또는 다른 그래픽 컴포넌트의 이용에 의해서, 또는 입력 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제공된 사용자 제스처(예로, 핀칭 모션)에 의해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입력 메커니즘도 또한 지원될 수 있다.
줌아웃 이벤트가 검출된다(410). 일 실시 예에서, 줌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은 줌 이벤트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들을 모니터링하고 줌을 유발하게 하는 입력의 시작에 반응하는 것에 대응한다. 핀치 제어 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제어 패드에 올려놓았을 때, 사용자는 줌 이벤트를 시작하는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들을 모아서 움직이면(the user moves the fingers together), 이는 줌아웃을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래서, 손가락 움직임의 시작에 응답해서, 줌 이벤트가 검출될 수 있다.
줌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해서, 브라우저(또는 다른 시스템 엔티티)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의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420). 스냅샷은 브라우저 내의 이 페이지를 대체한다. 스냅샷은, 예를 들어, 페이지 콘텐츠의 비트맵 또는 다른 그래픽 표현(graphical representatio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지 페이지 콘텐츠만이 스냅샷에 나타나고 주변 요소들(예로, 브라우저 제어, 윈도우 제어 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최대 줌 영역이 결정된다(430). 최대 줌 영역은 보이는 페이지의 크기, 제어 패드 상의 사용자 손가락들의 위치, 및/또는 다른 정보의 이용을 기반으로 판정될 수 있다. 최대 줌 영역은 반드시 실제(또는 예측) 줌이라고는 할 수 없는 잠재적인 최대 줌아웃을 나타낸다. 최대 줌 영역은 브라우저가 최대 줌을 포함해서 최대 줌까지의 임의의 줌 양을 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컨테이너는 최대 줌을 기반으로 생성된다(440). 스냅샷은 컨테이너 안의 중앙에 자리를 잡으므로, 사용자가 줌아웃할 때, 스냅샷은 브라우저 윈도우의 중앙에 유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컨테이너의 영역은 페이지의 배경에 부합하는 색을 갖는다. 그래서, 사용자가 줌아웃을 할 때, 스냅샷 주변의 영역은 페이지의 배경으로 나타난다.
페이지의 주변 콘텐츠가 모아 진다(450). 주변 콘텐츠는 보이는 더 큰 페이지의 일부인 콘텐츠이지만, 줌 이벤트가 개시되는 때에는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콘텐츠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이 콘텐츠는 윈도우 서버로부터 검색되며; 그러나, 이는 임의 관련 소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냅샷은 윈도우 서버 콘텐츠가 보다 신속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로부터 생성된다. 이 스냅샷은 고해상도 웹 페이지 스냅샷이 이용가능할 때는 고해상도 웹 페이지 스냅샷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윈도우 서버 콘텐츠를 이용하면 스냅샷의 이용으로 더 빠르게 트랜지션될 수 있으므로, 보다 즉각적인 줌 응답이 제공된다.
스냅샷과 페이지의 배경에 부합하는 배경이 있는 컨테이너가 줌잉을 위해 이용된다(460). 즉, 페이지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이 될 때, 이것은 줌이 된 스냅샷이지 브라우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아니다.
줌잉이 완료될 때, 브라우저는 줌의 시작과 줌의 종료 간의 스케일 팩터를 결정할 수 있다(470). 스케일 팩터는 스냅샷과 컨테이너에 적용된 줌의 양을 나타낸다. 스케일 팩터는 페이지에 적용된다(480). 일단 스케일 팩터가 제공될 페이지에 적용되고 나면, 스냅샷에 적용된 줌에 대응하는 줌이 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490).
도 5는 패닝 및/또는 스크롤링이 필요한 줌의 일 실시 예의 흐름도이다. 줌잉을 위한 어떤 제어 메커니즘을 이용할 때, 원하는 줌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페이지의 팬(pan) 또는 스크롤(scroll)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선택된 양의 줌잉(zooming)이 탭(tap) 또는 다른 명령에 응답하면, 줌은 페이지 콘텐츠 외부의 영역을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뷰가 페이지 안에 완전하게 유지되도록 자동 스크롤링 또는 패닝이 적용된다.
줌아웃 이벤트가 검출된다(510). 일 실시 예에서, 줌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은 줌 이벤트를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모니터링하고 줌을 유발하게 하는 입력의 시작에 반응하는 것에 대응한다. 탭이나 멀티-탭, 제어 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수의 손가락으로 제어 패드를 탭할 때 사용자는 줌 이벤트를 유발한다.
브라우저는 줌이 페이지를 벗어나거나 현재 뷰의 외부의 영역(region off of the page or out of the current view)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520). 이는 도 4에 대하여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줌 아웃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또한, 예를 들어, 페이지 경계 근처나 윈도우의 상부 근처에서 줌 아웃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브라우저 윈도우를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역 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자동 패닝 및/또는 스크롤링이 이용될 수 있다.
줌이 페이지를 벗어나지 않으면(520), 브라우저(또는 다른 시스템 엔티티)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의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525). 스냅샷은 브라우저 내의 페이지를 대체한다. 스냅샷은 이후 줌이 되는 이미지로서 이용된다(535). 즉, 페이지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이 될 때, 이는 줌이 된 스냅샷이지 브라우저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아니다.
줌잉이 완료될 때, 브라우저는 줌의 시작과 줌의 종료 간의 스케일 팩터를 결정할 수 있다(545). 스케일 팩터는 스냅샷에 적용된 줌의 양을 나타낸다. 스케일 팩터는 페이지에 적용된다(555). 일단 스케일 팩터가 제공될 페이지에 적용되고 나면, 스냅샷에 적용된 줌에 대응하는 줌이 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565).
줌이 페이지를 벗어나면(520), 브라우저(또는 다른 시스템 엔티티)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페이지의 스냅샷을 생성할 수 있다(530). 스냅샷은 브라우저 내의 페이지를 대체한다. 스냅샷은, 예를 들어, 페이지 콘텐츠의 비트맵 또는 다른 그래픽 표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에는 단지 페이지 콘텐츠만이 나타나고 주변 요소들(예로, 브라우저 제어, 윈도우 제어 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줌 영역이 결정된다(540). 줌 영역은 보이는 페이지의 크기, 페이지 내의 뷰의 위치, 및/또는 다른 정보의 이용을 기반으로 판정될 수 있다. 줌 영역은 반드시 실제(또는 예측) 줌이라고는 할 수 없는 잠재적인 줌아웃을 나타낸다. 줌 영역은 브라우저가 최대 줌을 포함해서 최대 줌까지의 임의의 줌 양을 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컨테이너는 줌 영역을 기반으로 생성된다(550). 스냅샷은, 사용자가 줌을 할 때 스냅샷이 브라우저 윈도우 내의 올바른 위치에 머무르도록 뷰를 페이지 콘텐츠 안에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패닝 및/또는 스크롤링을 기반으로 컨테이너 안에 위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컨테이너의 영역은 페이지의 배경에 부합하는 색을 갖는다. 그래서, 사용자가 줌아웃을 할 때, 스냅샷 주변의 영역은 페이지의 배경으로 나타난다.
페이지의 주변 콘텐츠가 모아 진다(560). 주변 콘텐츠는 보이는 더 큰 페이지의 일부이지만 줌 이벤트가 개시될 때는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콘텐츠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이 콘텐츠는 윈도우 서버로부터 검색되며; 그러나, 이는 임의 관련 소스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냅샷은 윈도우 서버 콘텐츠가 보다 빠르게 제공되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로부터 생성된다. 이 스냅샷은 고해상도 웹 페이지 스냅샷이 이용가능할 때는 고해상도 웹 페이지 스냅샷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윈도우 서버 콘텐츠를 이용하면 스냅샷의 이용으로 더 빠르게 트랜지션될 수 있으므로, 보다 즉각적인 줌 응답이 제공된다.
스냅샷과 페이지의 배경에 부합하는 배경이 있는 컨테이너가 줌잉을 위해 이용된다(570). 즉, 페이지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해서 줌이 될 때, 이것은 줌이 된 스냅샷이지 브라우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가 아니다.
줌잉이 완료될 때, 브라우저는 줌의 시작과 줌의 종료 간의 스케일 팩터를 결정할 수 있다(545). 스케일 팩터는 스냅샷과 컨테이너에 적용된 줌의 양을 나타낸다. 스케일 팩터는 페이지에 적용된다(555). 일단 스케일 팩터가 제공할 페이지에 적용되고 나면, 스냅샷에 적용된 줌에 대응하는 줌이 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565).
도 6은, 예를 들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전자 시스템, 또는 이들의 결합 안에 상주할 수 있는 줌 제어 에이전트의 일 실시 예의 블록 도이다. 줌 제어 에이전트(600)는 줌 제어 에이전트(600)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 논리 기능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 로직(610) 및/또는 줌 제어 에이전트(600)의 동작을 지시하는데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로직은 하드웨어 로직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루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줌 제어 에이전트(600)는 제어 로직(610)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코드 시퀀스 및/또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1 이상의 애플리케이션(612)을 포함한다.
줌 제어 에이전트(600)는 메모리(614)를 포함하고, 이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또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자원에의 액세스를 나타낸다. 메모리(614)는 줌 제어 에이전트(600)에 로컬인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더불어, 또는 대안으로 줌 제어 에이전트(600)가 상주하는 호스트 시스템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줌 제어 에이전트(600)는 또한 1 이상의 인터페이스(616)를 포함하고, 이는 줌 제어 에이전트(600) 외부에 있는 엔티티(전자 또는 인간)에 대해서 줌 제어 에이전트(600)로/로부터의 액세스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줌 제어 에이전트(600)는 또한 줌 제어 엔진(620)을 포함하고, 이는 여기 기술된 바와 같이 줌 제어 에이전트(600)가 페이지들에 줌 인 및/또는 줌 아웃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1 이상의 기능을 나타낸다. 모듈의 예로는 줌 검출 모듈(630), 스냅샷 모듈(640), 줌 모듈(650), 스케일 모듈(660) 및 디스플레이 모듈(670) 등이 있다. 이들 모듈 각각은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이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결합으로 구현되든 간에 루틴, 서브시스템, 등을 지칭한다.
줌 검출 모듈(630)은 줌 이벤트가 개시될 때를 판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위에 논의한 바와 같이, 줌 이벤트들은 제스처나 다른 제어 패드 상호작용, 제어 패드나 휠이 있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의 이용,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줌 검출 모듈(630)은 1 이상의 다른 모듈에 줌 이벤트의 시작을 전달할 수 있다.
스냅샷 모듈(640)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줌잉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스냅샷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스냅샷 모듈(640)은 줌 검출 모듈(630)로부터의 줌 이벤트의 표시에 응답해서 페이지의 콘텐츠의 스냅샷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스냅샷은 다른 이용을 위해 저장됨은 물론이고 줌 목적을 위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줌 모듈(650)은 스냅샷 모듈(640)에 의해서 생성된 스냅샷에 대한 줌 동작을 제공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줌 모듈(650)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냅샷 이미지를 이용하여 줌인 및/또는 줌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스케일 모듈(660)은 줌 동작에 대응하는 스케일 팩터를 판정하기 위해서 줌 모듈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스케일 모듈(660)은 또한 스케일 팩터를 디스플레이 모듈(670) 또는 다른 컴포넌트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670)은 스냅샷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모듈(670)은 페이지 내의 위치에 관련된 패닝 및/또는 스크롤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일 실시 예' 또는 "한 실시 예"에 대한 참조는 이 실시 예에 관련해서 기술된 특정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 예에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장소에 나타나는 구문 "일 실시 예에서"는 반드시 모두가 동일 실시 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앞의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그의 특정 실시 예들을 참조해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넓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그래픽 요소의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 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 하기 위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표현을 사용하여 줌 아웃 동작의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함 -,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로 대체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을 사용하여,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제2 부분을 수행하고;
    상기 줌 아웃 동작을 완료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 하기 위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요소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스케일링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디스플레이로 대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웹 페이지인,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현은 제1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현은 제2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배경 색을 갖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스냅샷 및 상기 배경 색을 갖는 상기 제1 스냅샷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이 수행될 때에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디바이스.
  8.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요소의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표현을 사용하여 줌 아웃 동작의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함-;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로 대체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을 사용하여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제2 부분을 수행하고;
    상기 줌 아웃 동작을 완료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하기 위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요소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스케일링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웹 페이지인,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현은 제1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현은 제2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배경 색을 갖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스냅샷 및 상기 배경 색을 갖는 상기 제1 스냅샷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이 수행될 때에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그래픽 요소의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 하기 위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표현을 사용하여 줌 아웃 동작의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포함함 -;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을 디스플레이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로 대체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을 사용하여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제2 부분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줌 아웃 동작을 완료한 후에, 상기 그래픽 요소를 줌 아웃 하기 위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그래픽 요소를 스케일링하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의 디스플레이를, 스케일링된 상기 그래픽 요소의 디스플레이로 교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웹페이지인,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현은 제1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현은 제2 스냅샷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는 배경 색을 갖고,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제1 스냅샷 및 상기 배경 색을 갖는 상기 제1 스냅샷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1 표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요소의 상기 제2 표현은 상기 줌 아웃 동작의 상기 제1 부분이 수행될 때에는 이용가능하지 않은, 줌 아웃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57010043A 2011-06-05 2012-05-17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KR201500489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93486P 2011-06-05 2011-06-05
US61/493,486 2011-06-05
US13/222,804 2011-08-31
US13/222,804 US20120306930A1 (en) 2011-06-05 2011-08-31 Techniques for zooming in and out with dynamic content
PCT/US2012/038311 WO2012170174A1 (en) 2011-06-05 2012-05-17 Techniques for zooming in and out with dynamic cont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120A Division KR20140030299A (ko) 2011-06-05 2012-05-17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907A true KR20150048907A (ko) 2015-05-07

Family

ID=47261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120A KR20140030299A (ko) 2011-06-05 2012-05-17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KR1020157010043A KR20150048907A (ko) 2011-06-05 2012-05-17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120A KR20140030299A (ko) 2011-06-05 2012-05-17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306930A1 (ko)
EP (1) EP2718793A1 (ko)
JP (1) JP2014522534A (ko)
KR (2) KR20140030299A (ko)
CN (1) CN103597433A (ko)
WO (1) WO2012170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9435801B2 (en) * 2012-05-18 2016-09-06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zooming
US20130321467A1 (en) * 2012-06-01 2013-12-05 Microsoft Corporation Using snapshots to represent slow applications
KR20140082434A (ko) * 2012-12-24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97820A (ko) * 2013-01-30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내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67076B2 (en) * 2013-03-15 2017-09-19 Google Inc. Document scale and position optimization
US9235338B1 (en) 2013-03-15 2016-01-12 Amazon Technologies, Inc. Pan and zoom gesture detection in a multiple touch display
US9588675B2 (en) 2013-03-15 2017-03-07 Google Inc. Document scale and position optimization
US10775971B2 (en) 2013-06-28 2020-09-15 Successfactors, Inc. Pinch gestures in a tile-based user interface
CN110908440A (zh) 2013-09-03 2020-03-24 苹果公司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表冠输入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JP6225625B2 (ja) * 2013-10-09 2017-11-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AU2015279544B2 (en) 2014-06-27 2018-03-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414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US20160349956A1 (en) * 2015-05-28 2016-12-01 Fih (Hong Kong)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interface
CN104898937B (zh) * 2015-06-17 2018-09-14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窗口展示方法及装置
US10437918B1 (en) 2015-10-07 2019-10-08 Google Llc Progressive image rendering using pan and zoom
US20180260389A1 (en) * 2017-03-08 2018-09-13 Fujitsu Limited Electronic document segmentation and relation discovery between element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20190056857A1 (en) * 2017-08-18 2019-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izing an active region of a user interface
US11301124B2 (en) 2017-08-18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modification using preview panel
US11237699B2 (en) 2017-08-18 2022-0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al menu generation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CN111522489A (zh) * 2019-02-01 2020-08-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屏幕控件缩放方法、装置与移动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230A (en) * 1995-05-19 1998-03-24 Richo Company Ltd. Computer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image fragments using drag, drop and merge operations
US6263507B1 (en) * 1996-12-05 2001-07-17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Browser for use in navigating a body of information, with particular application to browsing information represented by audiovisual data
US7366995B2 (en) * 2004-02-03 2008-04-29 Roland Wescott Montague Combination tool that zooms in, zooms out, pans, rotates, draws, or manipulates during a drag
US20060001647A1 (en) * 2004-04-21 2006-01-05 David Carroll Hand-hel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ed content
US7355610B2 (en) * 2004-08-26 2008-04-08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ding image data to create enlarged images for display
US7315259B2 (en) * 2005-08-11 2008-01-01 Google Inc. Techniques for displaying and caching tiled map data on constrained-resource services
US7760269B2 (en) * 2005-08-22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izing an image on a display
KR100886337B1 (ko) * 2006-11-23 2009-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내 선택 영역을 일괄 저장하는 장치 및 이미지정보의 문서화 장치
US7877707B2 (en) * 2007-01-06 2011-01-25 Apple Inc. Detecting and interpreting real-world and security gestures on touch and hover sensitive devices
US20080168402A1 (en) *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US7903115B2 (en) * 2007-01-07 2011-03-08 Apple Inc. Animations
US20100331041A1 (en) * 2009-06-26 2010-12-30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independent manipulations of digital copies of documents through a camera phone
JP2011150413A (ja) * 2010-01-19 2011-08-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方法及び操作入力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6930A1 (en) 2012-12-06
EP2718793A1 (en) 2014-04-16
KR20140030299A (ko) 2014-03-11
JP2014522534A (ja) 2014-09-04
US20150012816A1 (en) 2015-01-08
CN103597433A (zh) 2014-02-19
WO2012170174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907A (ko) 동적 콘텐츠를 이용하여 줌 인 및 줌 아웃하기 위한 기법
US10936795B2 (en) Techniques for use of snapshots with browsing transitions
CN106156066B (zh) 一种页面切换方法、装置及客户端
US8990732B2 (en) Value interval selection on multi-touch devices
US9529783B2 (en) Live previews for multitasking and state management
US20120096344A1 (en) Rendering or resizing of text and images for display on mobile / small screen devices
US20120304068A1 (en) Presentation format for an application tile
US10740540B2 (en) Techniques for programmatic magnification of visible content elements of markup language documents
US11675483B2 (en) Cli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moothly exchanging the display of images on a device
US8832591B2 (en) Grid display device and grid display method in mobile terminal
KR10236804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537284B2 (en) Method for scrolling visual page content and system for scrolling visual page content
JP2014149860A (ja) 携帯型多機能端末の情報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システム、並びに携帯型多機能端末
EP3043251A1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US2021038984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JP5752759B2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06397A (ja) ウェブコンテンツ表示装置、ウェブコンテンツ表示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23007B2 (ja) 文書表示装置及び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KR20120009738A (ko) 모바일 웹 브라우저 상에서 웹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모바일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2061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577731B2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774887A (zh) 用户界面展示方法和装置
CN114969398A (zh) 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20003665A (ko) 복수의 객체들에 대한 탭 입력의 처리 방법, 상기 처리 방법이 실행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저장 미디어
KR20150040482A (ko) 해쉬값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구현/실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