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81A -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81A
KR20150047781A KR1020130127659A KR20130127659A KR20150047781A KR 20150047781 A KR20150047781 A KR 20150047781A KR 1020130127659 A KR1020130127659 A KR 1020130127659A KR 20130127659 A KR20130127659 A KR 20130127659A KR 20150047781 A KR20150047781 A KR 2015004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ing device
portable computing
hinge
angular rang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781A/ko
Priority to US14/325,461 priority patent/US9459657B2/en
Publication of KR2015004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Abstract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부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컴퓨팅 휴대용 디바이스 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장착 및 탈착되며 사용자 명령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면, 터치 기능을 탑재한 태블릿(Tablet) PC는 별도의 악세사리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문자 입력 등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문서 작성 등 많은 양의 문자를 태블릿 PC에 입력하는 경우, 화면에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별도의 키보드가 구비된 도킹장치에 태블릿 PC를 도킹시킨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는 태블릿 PC와 도킹장치 간의 인터페이스 및 장/탈착에 관련된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구조가 동반적으로 요구된다.
현재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탈착 구조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가 개발 및 출시되었으나, 통상의 록킹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록킹구조는 도킹장치의 태블릿 PC의 장착부 근처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거나 일방향으로 미는 경우 별도의 연결부재에 연동하여 한 쌍의 후크가 태블릿 PC의 하단에 형성된 록킹홈에서 록킹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록킹구조를 통해 도킹장치로부터 태블릿 PC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지속적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일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하고 동시에, 나머지 한 손으로 태블릿 PC를 위로 당겨서 도킹장치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태블릿 PC의 분리동작은 한 손으로 지속적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일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를 태블릿 PC를 분리하기 전까지 유지해야 하므로 조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중시킬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단순히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컴퓨팅 디바이스가 장착부로부터 쉽게 록킹 해제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일측에 배치되며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부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힌지부는,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장착부가 회전 설정 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록킹하고, 상기 제1 각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장착부가 회전 설정 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를 록킹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입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일단에 캠면이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입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힌지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2 힌지축; 및 상기 캠면에 캠접촉하는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힌지축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후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킹부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캠면은 상기 제1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2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킹부는 상기 캠돌기가 상기 캠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힌지축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후방 및 전방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전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방지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일측에 상기 장착부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도록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힌지축에 설치된 다수의 탄성와셔; 상기 다수의 탄성와셔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상기 제1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호 요철 결합 및 요철 결합 해제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장착부에 좌우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력부에 장착부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착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힌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후킹부 및 연결부재의 일부분을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요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장착부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입력부로부터 제1 각도 범위로 선회하는 예와, 제1 각도 범위의 상한으로부터 제2 각도 범위로 회전하는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입력부에 절첩된 상태에서의 캠돌기와 캠면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입력부에 절첩된 상태에서 후크가 걸림홈 내에 록킹 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각도 범위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캠돌기와 캠면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1 각도 범위로 설정된 상태에서 후크가 걸림홈 내에 록킹 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각도 범위로 설정된 상태에서의 캠돌기와 캠면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제2 각도 범위로 설정된 상태에서 후크가 걸림홈 내에 록킹 해제 위치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10)는 입력부(100), 장착부(200) 및 제1 및 제2 힌지부(300a,300b)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예를 들면,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 등)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110)나 키패드(110)와 터치패드(130)를 함께 구비한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소정의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선 키보드이거나, 무선 신호를 통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와 통신하는 무선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가 무선 키보드인 경우,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장착부(200)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일단부(3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부(201)를 형성한다. 이러한 장착부(200)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10)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전면 일부를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장착부(200)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단자부(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단자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0)의 단자부(250)는 플렉시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입력부(100)에 포함된 전자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200)에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장착하는 경우, 입력부(10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입력부(100)로 전가되는 전원을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로 공급하여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에 내장된 충전지(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00)는 제1 및 제2 힌지부(300a,300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9와 같이 제1 각도 범위(θ1) 및 제2 각도 범위(θ2)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범위(θ1)는 장착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입력부(100)에 접하는 위치(즉,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입력부(100)에 절첩된 상태)에서부터 입력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선회한 각도까지이며, 예를 들어 약 0도 내지 125도 일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 범위(θ2)는 하한이 제1 각도 범위(θ1)를 초과하되 제1 각도 범위(θ1)의 상한에 연속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 126도 내지 135도 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각도 범위(θ1,θ2)를 구체적으로 수치화한 범위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할 뿐, 상기 제1 및 제2 각도 범위(θ1,θ2)는 상기 수치 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각도 범위(θ1)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장착부(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되며, 상기 제2 각도 범위(θ2)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장착부(2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제1 및 제2 힌지부(300a,300b)는 입력부(100)와 장착부(200)을 상호 연결하며, 장착부(200)의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힌지부(300a,300b)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힌지부(300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 힌지부(300b)의 각 구성은 제1 힌지부(300a)의 각 구성에 대응하는 부재번호를 동일하게 기재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힌지부(300a)는 고정부재(310), 제1 및 제2 힌지축(320,330), 연결부재(340), 후킹부(360) 및 가압부(38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10)는 일측부(311)가 입력부(10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부(313)에 제1 힌지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힌지축(320)은 연결부재(3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장착부(200)의 후방지지부(210)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211)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구멍(3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힌지축(320)은 장착부(200)의 회전 중심이 되며, 동시에 장착부(200)에 고정되어 장착부(20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제1 힌지축(320)은 일단부(323)가 고정부재(310)의 타측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연결부재(340)는 장착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부(20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연결부재(340)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41)의 삽입홈(342)이 고정부재(310)의 일측단부(315)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장착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고 입력부(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결부재(340)는 내측에 제1 힌지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343)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 힌지축(320)의 일단부(323)에 연장된 제1 연장부(324)가 관통하는 제1 관통구멍(344)과, 타측에는 제2 힌지축(330)이 관통하는 제2 관통구멍(345)이 형성된다.
제1 관통구멍(344)은 제1 힌지축(320)의 제1 연장부(324)가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2 관통구멍(345)은 제2 힌지축(330)의 외주(33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재(34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연결부재(340)는 절개부분(346)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분(346)을 통해 장착부(200)의 후방지지부(210)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211)가 제1 힌지축(320)의 복수의 고정구멍(321)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재(340)는 삽입공간(343)에 제1 힌지축(320)과 함께 지지구(350)가 삽입된다. 지지구(350)는 제1 및 제2 힌지축(320,330)을 매개하면서, 동시에 제1 및 제2 힌지축(320,330)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구(350)는 일측에 제1 힌지축(320)의 지지돌기(326)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홈(351)과, 타측에 제2 힌지축(330)의 지지돌기(3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홈(352)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재(340)는 제2 힌지축(330)이 결합되는 측에 캠면(347)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캠면(347)은 평면구간 부분(347a)과 곡면구간의 제1 및 제2 부분(347b,347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범위(θ1)는 캠면(347)의 제1 구간(S1) 즉, 평면구간 부분(347a)과 평면구간 부분(347a)에 연속되는 곡면구간의 제1 부분(347b))에 대응한다. 상기 제2 각도 범위(θ2)는 캠면(347)의 제2 구간(S2) 즉, 곡면구간의 제2 부분(347c))에 대응한다.
캠면(347)에는 후술하는 후킹부(360)에 포함된 캠돌기(365)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캠접촉한다. 이 경우 캠돌기(365)가 캠면(347)에 안내됨에 따라(도 10a, 도 11a 및 도 12a 참조), 후킹부(360)는 제2 힌지축(33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 10b, 도 11b 및 도 12b 참조).
후킹부(360)는 플레이트부(361), 결합부(364), 캠돌기(365) 및 후크(366)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361)는 장착부(200)의 후방지지부(210)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213, 도 4 참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부(361)는 상기 요홈(213) 내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돌기(214,215)에 의해 가이드된다.
결합부(364)는 플레이트부(361)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2 힌지축(3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2 힌지축(330)에 결합된다.
캠돌기(365)는 캠면(347)에 마주하도록 결합부(364)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부(364)는 제2 힌지축(330)에 설치된 탄성부재(371)에 의해 연결부재(340) 측으로 탄력 지지되며, 이에 따라 캠돌기(365)는 캠면(347)에 가압된 상태로 밀착되므로 후크부(360)가 장착부(200)와 함께 회전 시 캠면(347)과 이격되지 않고 캠면(347)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캠면(34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371)는 제2 힌지축(330)의 나사부(333)에 체결되는 너트(372)에 의해 제2 힌지축(3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73은 와셔를 나타낸다.
후크(366)는 플레이트부(36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하단(31)에 형성된 걸림홈(35, 도 2 참조)에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 된다.
가압부(380)는 제1 힌지축(320)의 제1 연장부(324)로부터 연장되는 제2 연장부(325)에 결합된 다수의 스프링와셔(381)와, 다수의 스프링와셔(38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제1 힌지축(320)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요철부(383)와, 고정부재(310)의 일측단부(315)에 결합되는 결합홈(389)이 일측에 형성된 제2 요철부(386)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스프링와셔(381)는 제2 연장부(325)의 나사부(325a)에 체결되는 너트(382)에 의해 제2 연장부(3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철부(383,386)는 서로 접하는 면에 상호 요철 결합 및 요철 결합 해제될 수 있는 요홈(385) 및 돌기(388)를 갖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착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입력부(100)에 절첩하는 경우, 상기 돌기(388)는 요홈(385)에 삽입됨에 따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가 입력부(100)와의 절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입력부(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각도 범위(θ1,θ2) 내에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돌기(388)가 요홈(385)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다수의 스프링와셔(381)에 의해 제1 요철부(383)가 제2 요철부(386)에 가압됨에 따라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장착부(200)에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장착하면, 제1 및 제2 힌지부(300a,300b)에 각각 구비된 후킹부(360)의 후크(366)는 각각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의 한 쌍의 걸림홈(35)에 록킹된다.
한편, 장착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입력부(100)에 절첩하는 경우, 캠돌기(347a)는 도 10a와 같이 캠면(347)의 평면구간 부분(347a)에 접하며, 후크(366)는 도 10b와 같이 걸림홈(35) 내에 록킹 위치에 설정된다. 이 경우, 후크(366)는 걸림턱(35a)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사용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제1 각도 범위(θ1)에서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캠돌기(347a)는 도 11a와 같이 캠면(347)의 곡면구간의 제1 부분(347b)에 접하며, 후크(366)는 도 11b와 같이 여전히 걸림홈(35) 내에 록킹 위치에 설정된다. 이 경우 역시, 후크(366)는 걸림턱(35a)을 여전히 벗어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장착부(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제1 각도 범위(θ1)를 초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θ2)에 속하면, 캠돌기(347a)는 도 12a와 같이 캠면(347)의 곡면구간의 제2 부분(347c)에 접하며, 후크(366)는 도 12b와 같이 걸림턱(35a)을 벗어나 걸림홈(35)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록킹 해제 위치로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장착부(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30)를 입력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각도 범위(θ2)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장착부로부터 록킹 해제하기 위해 후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작동시켜야 하는 별도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입력부 200: 장착부
210: 후방지지부 230: 전방지지부
300a: 제1 힌지부 300b: 제2 힌지부
310: 고정부재 320: 제1 힌지축
330: 제2 힌지축 340: 연결부재
347: 캠면 360: 후킹부
365: 캠돌기 380: 가압부

Claims (12)

  1.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일측에 배치되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장착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상기 입력부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장착부가 회전 설정 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록킹하고,
    상기 제1 각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장착부가 회전 설정 시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록킹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입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일단에 캠면이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입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힌지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제2 힌지축; 및
    상기 캠면에 캠접촉하는 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힌지축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후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부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제1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각도 범위에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상기 제1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2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킹부는 상기 캠돌기가 상기 캠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힌지축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후방 및 전방을 각각 지지하는 후방지지부 및 전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방지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후방지지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일측에 상기 장착부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도록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힌지축에 설치된 다수의 탄성와셔;
    상기 다수의 탄성와셔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상기 제1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호 요철 결합 및 요철 결합 해제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장착부에 좌우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KR1020130127659A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KR20150047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59A KR20150047781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US14/325,461 US9459657B2 (en) 2013-10-25 2014-07-08 Portable computing device doc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659A KR20150047781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81A true KR20150047781A (ko) 2015-05-06

Family

ID=5299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659A KR20150047781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9657B2 (ko)
KR (1) KR201500477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8147B (zh) * 2014-08-27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可旋轉夾持座的機構裝置及顯示裝置
TWI536143B (zh) * 2014-08-27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調性基座裝置及顯示裝置
KR102449901B1 (ko) * 2015-06-23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회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82910A1 (en) 2015-11-12 2017-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US10168746B2 (en) 2015-11-20 2019-0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TWI679516B (zh) * 2017-05-18 2019-1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及底座
JP6480990B2 (ja) * 2017-08-07 2019-03-1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TWI676099B (zh) * 2017-11-01 2019-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連動機構及電子裝置
JP6629819B2 (ja) * 2017-11-10 2020-01-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操作端末とのペアリング機能を有する外付けデバイス
TWI712355B (zh) * 2019-12-03 2020-12-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多機體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9384B (zh) * 2011-12-20 2015-11-21 Compal Electronics Inc 擴充基座、電子系統及解除兩裝置間連結的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9657B2 (en) 2016-10-04
US20150120980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7781A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도킹장치
CN102405139B (zh) 可调节的人体工程学键盘以及便携式计算设备
US20120224316A1 (en) Foldable carrying case for a tablet computer
US7308733B2 (en) Swivel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141136B2 (en) Tablet computer carrying case with retractable latch
CA2845813C (en) Docking station
KR100840828B1 (ko) 정보 처리 장치
US69804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ocking unit
CN105190467B (zh) 具有可拆卸平板的电子设备
TWI550386B (zh) 具支撐構件之可拆卸式顯示器構件
US10019035B2 (en) Tablet attachment system
US20100069117A1 (en) USB enabled mobile phone handset
TWI502322B (zh) 可攜式電子裝置
WO1996023251A1 (en) Combination keyboard and cover for a handheld computer
TWM454569U (zh) 平板電腦
US20150289841A1 (en) Portable Ultrasound Machine
JP4555870B2 (ja) ユニット装着機構
TW201427561A (zh) 電子裝置
CN113454565A (zh) 具有电触点的壳体
US201402685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frame unit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WO2004099959A1 (ja) 電子機器およびユニット装着機構
WO2018029700A1 (en) An improv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80006600U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가 슬라이드 로딩 형태로 본체내부에 탑재(搭載) 되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