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27A -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27A
KR20150047727A KR1020130127537A KR20130127537A KR20150047727A KR 20150047727 A KR20150047727 A KR 20150047727A KR 1020130127537 A KR1020130127537 A KR 1020130127537A KR 20130127537 A KR20130127537 A KR 20130127537A KR 20150047727 A KR20150047727 A KR 20150047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management server
site
automatic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장
지기환
공천석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Priority to KR102013012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727A/ko
Publication of KR2015004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은, 현장 검사자가 현장의 검사대상의 검사를 위해 소지하며 철근배근 자동 검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 연동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철근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 전에 이루어지는 철근배근 검사의 편리성과 객관성,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철근배근 검사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AUTOMATIC REBAR PLACING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근공사는 배근조립이 완전히 끝난 후에는 수정이 어렵고, 또 거푸집에 은폐되어 배근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나중에 시공ㅇ확인한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공사 진척 상황에 따라 적정한 시기에 설계도서에 따라 배근되었는지 철저한 배근검사가 요구된다.
현재 배근검사는 검사자가 직접 수백~수천 페이지에 이르는 도면 중에서 해당단면의 도면을 찾고 현장에 들고 나가서 현물과 도면을 육안으로 확인, 대조하고 사진촬영으로 기록을 남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도면중에서 해당 도면을 찾는 일은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전문성이 요구되어 종종 오류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발생한 인천청라지구 아파트의 철근누락도 이러한 도면해석의 오류로 발생하였다고 보도되고 있다.
또한 철근의 종류, 직경, 본수, 간격 등을 직접 확인하고, 설계도면과 비교하여 검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수고로워 세심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배근검사 업무를 효과적이고 객관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동적 방법의 배근검사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첨단 IT기술을 융합하여 편리하면서도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새로운 배근검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은, 현장 검사자가 현장의 검사대상의 검사를 위해 소지하며 철근배근 자동 검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 연동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철근조립 완료후 콘크리트 타설 전에 이루어지는 철근배근 검사의 편리성과 객관성,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철근배근 검사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스마트기기만을 이용하여 도면조회, 자동배근검사, 보고서 생성, 보고서 조회 등의 업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근검사 순서도.
도 3은 배근사진 및 BIM모델 합성의 예.
도 4는 균일 추출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균일 추출 및 분석 처리과정에 관한 전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은, 현장 검사자가 현장의 검사대상(예를 들어, 철근배근)의 검사를 위해 소지하며 철근배근 자동 검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 연동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현장 검사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자동 검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검사 위치 3D 모델, 배근도 조회, 현장 이미지 촬영, 자동 검사 결과 확인, 감리자 조치사항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 검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현장의 위치정보 및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에 관한 설계도면, 해당 현장에서 검사를 수행할 검사수행리스트, 검사이력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설계도면 DB를 포함하고, 위치별/검사단계별 검사이력관리를 수행하며, 현장 검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사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검사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이를 검사결과 DB에 저장한다. 이러한 검사결과 데이터는 발주처, 감리단, 시공사와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리서버에 의한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프로세스가 도 2에 정리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근검사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의 구현을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과 3D가상현실 기술, GPS기술, DB기술, 건설기술, 재료기술, 통신기술, 모바일오피스기술, S/W기술 등의 다양한 기술들을 융합시켰다. 도 3은 위 융합기술들 중, 배근사진에 관한 BIM모델 합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이용한 철근배균의 균일 추출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영상이미지를 보정, 필터링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철근배근 등을 촬영한 영상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균열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그 균열의 폭, 길이, 진행방향 등의 균열 정보를 자동으로 판독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대상물로부터 얻어진 광량의 차가 상대적으로 전하에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각각의 영상화소에는 적정한 휘도 분포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휘도분포의 분석을 이용하면 균열폭 등의 변상상태를 수치로 검출할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균일 추출 및 분석 처리과정에 관한 구체적 전개 블록도이다.
균열 분석은 추출된 균열에 대해 폭, 길이, 방향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균열의 폭, 길이, 방향을 구하기 위해 전처리 작업으로 세선(thinning)화상과, 물체의 경계만을 남기는 경계화상을 만들고 이를 분석한다.
균열의 폭은 경계화상의 내접원 지름과 세선화상의 경계화상을 매칭하여 중심선을 산출한 후 경계의 길이를 폭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균열의 길이는 세선화상 기법을 이용하여 각 균열의 시작점에서 끝점까지의 모든 픽셀의 거리를 더하여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균열의 방향은 균열상의 점을 직선으로 피팅(fitting)하여 그 기울기를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현장 자동 검사를 위한 검사 시스템으로서,
    현장 검사자가 현장의 검사대상의 검사를 위해 소지하며, 철근배근 자동 검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 연동되어, 상기 현장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검사 위치 3D 모델, 배근도 조회, 현장 이미지 촬영, 자동 검사 결과 확인, 감리자 조치사항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현장의 위치정보 및 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현장에 관한 설계도면, 해당 현장에서 검사를 수행할 검사수행리스트, 검사이력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설계도면 DB를 포함하고, 위치별/검사단계별 검사이력관리를 수행하며, 현장 검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검사결과 데이터를 수신하여 검사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이를 검사결과 DB에 저장하는,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데이터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발주처, 감리단, 시공사와 공유되는,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KR1020130127537A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KR20150047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37A KR20150047727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537A KR20150047727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27A true KR20150047727A (ko) 2015-05-06

Family

ID=5338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537A KR20150047727A (ko) 2013-10-25 2013-10-25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7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396B1 (ko) 2020-06-16 2021-02-19 리바솔루션 주식회사 3d 철근 배근 시공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23058A (ko) 2020-04-02 2021-10-13 서한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자재의 수량 자동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210123192A (ko) 2020-04-02 2021-10-13 서한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자재의 수량 자동 산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058A (ko) 2020-04-02 2021-10-13 서한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자재의 수량 자동 산출 장치 및 방법
KR20210123192A (ko) 2020-04-02 2021-10-13 서한석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자재의 수량 자동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217396B1 (ko) 2020-06-16 2021-02-19 리바솔루션 주식회사 3d 철근 배근 시공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Construction quality management based on a collaborative system using BIM and indoor positioning
Dai et al. Comparison of image-based and time-of-flight-based technologies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Nguyen et al. Application of BIM and 3D laser scanning for quant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Lattanzi et al. 3D scene reconstruction for robotic bridge inspection
Bae et al. Image-based localization and content authoring in structure-from-motion point cloud models for real-time field reporting applications
KR102424894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Valença et al. Automatic concrete health monitoring: assessment and monitoring of concrete surfaces
Napolitano et al. Combination of image-based documentation and augmented reality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building pathology
Atherinis et al. Developing and laboratory testing a smart system for automated falsework inspection in construction
KR102370134B1 (ko) 스마트 건설 플랫폼을 이용한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Tang et al. Benefits of terrestrial laser scanning for construction QA/QC: a time and cost analysis
CN111432197A (zh) 施工监测方法及系统
KR102142768B1 (ko) 지하시설물 도면의 오류 검수 방법 및 장치
KR101606002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KR20150047727A (ko) 휴대용 철근배근 자동 검사 시스템
Bae et al. Vision-based inspection approach using a projector-camera system for off-site quality control in modular construc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operational conditions
Golparvar-Fard et al. Monitoring of construction performance using daily progress photograph logs and 4D as-planned models
Higgins et al. Imaging tools for evaluation of gusset plate connections in steel truss bridges
US11593538B2 (en) Verification, modification, and/or validation of an infrastructure design document via improved collaboration between on site devices and remote devices
KR102366840B1 (ko) 건설 감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 기반의 인공지능 건설 객체 검출 방법 및 시스템
Puri et al. Toward automated dimensional quality control of precast concrete elements using design BIM
CN109376989B (zh) 一种基于bim的投标管理方法
CN110864625A (zh) 施工现场设备安装定位与检测的方法及系统
Turkan et al. Automated progress tracking of er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Singh et al. Conceptual Model of Quality Management Based on Blockchain in Construction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