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576A -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576A
KR20150046576A KR20130125988A KR20130125988A KR20150046576A KR 20150046576 A KR20150046576 A KR 20150046576A KR 20130125988 A KR20130125988 A KR 20130125988A KR 20130125988 A KR20130125988 A KR 20130125988A KR 20150046576 A KR20150046576 A KR 2015004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llumination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012B1 (ko
Inventor
이상훈이상훈
이상훈
정상배정상배
정상배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0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D 에 사용자의 이미지를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주변의 밝기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하면 상기 단말로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NFC 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Image making and transmission device using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미지를 타 장치로 전송하고 전송한 장치의 주소를 사용자의 단말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이미지가 전송된 장치에 접속하여 자신이 생성한 이미지를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광고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라 함)는 최근 광고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는 디지털 간판을 의미한다. DID는 대형 LCD 패널을 광고판에 적용시켜, 기존의 정지 영상 기반의 광고시장을 동영상 기반으로 바꾸어 주었다. DID 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나 버스 정류장 같은 곳에 설치되어 광고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DID 는 기존의 단순한 광고의 단점을 극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고객 중심의 광고를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전시회나 영화관, 회사로비 및 각종 기념행사장 등에 DID를 설치하여, 기존 판넬형 또는 액자형 사진 게시의 단점을 극복하는데도 훌륭히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DID는 정보를 영상이나 동영상으로 제공하여 보다 상세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최근에는 보다 전문적이고 상세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관광지나, 다양하고 즉각적인 정보가 필요한 도심에 많이 설치가 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DID는 단지 정보을 사용자에게 전달만 해주는 것으로 관광지나 도심에서 사용자가 DID를 직접 이용하여 특정의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관광지나 도심에서 DID에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많은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0949705(2010.03.19)에는 음성과 동영상 촬영 및 수정이 가능한 양방향 DID에 대한 기술이 되어 있으나, 단순 카메라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DID 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의 배경이나 특수한 이미지 효과를 주는 기술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미지 생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조명인데 이러한 조명효과에 대한 기술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ID 에 사용자의 이미지를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주변의 밝기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다양한 연속 동작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하면 상기 단말로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NFC 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버의 주소를 NDEF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부; 및 주변의 밝기 및 상기 조명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명상태를 파악하는 광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명 상태를 최적의 조명 상태가 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최적의 상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파악하는 모션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연속동작 이미지로 생성하거나, 상기 모션센서부를 통해 파악한 배경을 파노라마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의 복수의 조명장치는 서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조명장치는 조명의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조명의 각도 및 조명의 밝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부; 및 여러 배경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시간적인 인터벌을 두고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여 다양한 배경 및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저장되어 있는 배경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이미지가 선택되는 단계;와 생성된 사용자의 이미지에 선택된 배경 이미지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을 가지는 인물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물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인물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서버의 주소를 상기 단말로 NFC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명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된 조명 정보에 따라 조명부의 조명을 조절하는 단계; 및 조절된 조명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연속동작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되도록 하는 조명의 위치 및 조명의 밝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상황을 고려하여 조명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미지가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여 다양한 배영 효과를 가지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속된 동작을 파악하여 연속동작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를 이용한 이미지 저장 및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단말(100), DID(200) 및 서버(300)로 구성된다.
단말(100)은 DID(200)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말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이 될 수 있다.
DID(2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한다(①). 그리고 생성한 사용자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한다(②). 또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10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③).
여기서, DID(20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할 때 사용자의 이미지가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도록 DID(200)에서 사용자로 비춰지는 조명을 주변의 밝기와 사용자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제어할 수 있다.
DID(200)가 생성한 이미지를 단말(100)로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DID(200)는 단말(100)과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NFC를 통해 단말(100)로 전송하여 단말(100)과의 통신 채널을 연결한다.
이후 DID(200)는 생성한 이미지를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는 와이파이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DID(200)가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300)로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DID(200)는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NDEF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NFC를 통해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③).
서버(300)는 DID(20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서버(300)는 단말(100)이 서버(200)에 접속하여 DID(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요구할 때(④)에는 DID(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단말(100)로 전송한다(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DID(200)는 카메라부(210), 조명부(220), 모션센서부(230), 광 센서부(240), 타이머부(250), 제어부(260), 이미지 저장부(270), NFC 부(280) 및 통신부(29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210)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카메라부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장치와 그외의 다양한 이미지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조명부(220)는 복수의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조명이 비춰준다. 여기서, 조명부(22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장치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조명장치에는 조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 각도 조절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 각도 조절장치는 기존의 기어 장치를 이용한 각도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션센서부(23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특히 사용자의 연속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광 센서부(240)는 주변의 밝기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광 센서부(240)는 조명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비춰지는 조명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타이머부(250)는 타이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60)는 카메라부(210)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단말(100)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단말과 NFC 태깅이 이루어지면 NFC 부(280)를 통해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단말(100)과 DID(200) 간에 통신 채널이 연결되면 생성한 이미지를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100)은 DID(200)와 NFC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NFC 부와 DID(200)로부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DID(200)와 통신 채널은 설정하여 연결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DID(200)로부터 서버의 주소를 포함하는 NDEF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NDEF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버의 접속 주소를 알아내고 서버(300)에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또한, DID(200)가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60)는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300)의 주소를 NDEF 데이터로 생성하여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DID(200)의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비춰지는 조명이 최적의 조명 상태가 되도록 조명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 이미지가 최적의 상태로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60)는 DID(200)의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조명부(220)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조명장치의 밝기와 조명 각도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비춰지는 조명이 최적의 조명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DID(200)의 주변이 어두운 밤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미지가 선명하고 생성될 수 있도록 보다 밝은 조명이 비춰지도록 하고, DID(200)의 주변이 밝은 낮인 경우에는 역광으로 인해 사용자의 얼굴이 선명하지 못하게 이미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역광 보정용 조명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비춰준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260)는 광 센서부(240)를 통해서 DID(200)의 주변의 밝기 및 사용자의 조명상태를 파악하고 최적의 조명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모션센서부(230)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연속동작 이미지로 생성하거나, 모션센서부(230)를 통해 파악한 배경을 파노라마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타이머부(250)는 통해 시간적인 인터벌을 두고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270)는 다양한 배경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여러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특히, DID(200)의 주변의 유명한 풍경이나 건축물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60)는 이미지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이미지를 합성하여 다양한 배경 및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도록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부(280)는 제어부(26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가 서버(300)로 전송된 경우에 서버(300)의 접속 주소를 NFC 를 이용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 물론, 단말(100)은 NFC 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통신부(290)는 이동통신 장치(291), 유선통신 장치(292),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장치(293)와 같은 다양한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260)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해당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단말(100) 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DID(200)가 단말(100)로 생성한 사용자 이미지를 직접 전송하는 겨우에 NFC 부(280)는 NFC 를 통해서 단말(100)로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전송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를 이용한 이미지 저장 및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DID(200)는 생성한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과 태깅하여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서버(300)의 접속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즉, DID(200)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DID(200)의 접속 주소를 단말(100)로 전송하고, 서버(300)가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버(300)의 접속 주소를 생성하여 단말(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DID(200)는 단말(100)과 NFC 를 통해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의 접속 주소를 전송한다.
이후 단말(100)은 수신한 접속주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DID(200)는 조명부(220)와 모션 센서부(230)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조명부(220)와 모션 센서부(230)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단말(100)이 서버(300)에 접속하여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0 단계는 카메라부(210)를 통해 사용자(인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100 단계에서는 최적의 조명을 설정하여 적용하기 이전의 현재 주변의 밝기만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S110 단계는 S100 단계에서 생성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명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제어부(260)에서 카메라부(210)를 통해 조명의 보정 없이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최적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조명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260)는 생성된 이미지의 명도와 채도 등의 밝기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인물)의 얼굴 윤곽이나 배경의 윤곽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조명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최적의 조명 정보란 DID(200)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의 이미지가 가장 선명하고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 조명부(220)를 제어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부(22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조명장치 각각의 조명 각도 및 조명 밝기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이미지가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되도록 하는 조명 정보를 의미한다.
S120 단계는 S110 단계에서 설정된 조명 정보에 따라서 조명부(220)의 각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조명의 위치 및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S130 단계는 조절된 조명을 적용하여 최적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140 단계는 사용자가 다양한 배경 이미지 또는 특수한 효과(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효과)원하는 경우에 이미지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배경 이미지 중에서 원하는 배경 이미지 또는 특수 효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S150 단계는 S130 단계에서 생성한 사용자 이미지에 S140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적용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최적의 사용자 이미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이미지 또는 특수 효과 이미지를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생성한 합성 이미지는 이미지 저장부(270)에 저장될 수 있다.
S160 단계는 S150 단계에서 생성 또는 저장한 이미지를 서버(300)에 업로드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DID(200)를 통해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300)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지 서버(300)에 접속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다.
S170 단계는 DID(200)가 서버의 접속 주소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란 사용자의 단말(100)을 의미한다.
DID(200)는 특히, 서버의 접속 주소를 NFC 를 통해서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DID에서 모션 센서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모션 센서부(2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속된 동작을 감지하여 연속 동작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S130 단계에서 조절된 조명을 적용하여 최적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할 때, 추가로 모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속된 동작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S131 단계는 모션 센서부(230)에 포함되어 있는 모션 센서를 활성하 시키는 단계이다.
S132 단계는 활성화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연속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이동하는 배경의 이미지를 각각 생성할 수도 있다.
S133 단계는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파노라마 이미지 또는 연속 동작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이다.
S132 단계에서 생성한 연속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각각의 사용자 이미지를 하나의 연속된 연속 동작 이미지로 생성 할 수도 있고 타이머를 활용하여 연속된 각각의 동작을 각각의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배경의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각각의 배경 이미지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효과를 가지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단말 200 : DID
210 : 카메라부 220 : 조명부
230 : 모션 센서부 240 : 광 센서부
250 : 타이머부 260 : 제어부
270 : 이미지 저장부 280 : NFC 부
290 : 통신부 291 : 이동통신장치
292 : 유선통신장치 293 : 블루투스 장치
300 : 서버

Claims (12)

  1.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깅을 하면 상기 단말로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NFC 부; 및
    상기 단말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이동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서버의 주소를 NDEF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조명부; 및
    주변의 밝기 및 상기 조명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명상태를 파악하는 광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조명 상태를 최적의 조명 상태가 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최적의 상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파악하는 모션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부를 통해 파악한 상기 사용자의 연속 동작을 연속동작 이미지로 생성하거나, 상기 모션센서부를 통해 파악한 배경을 파노라마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복수의 조명장치는 서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조명장치는 조명의 각도를 조정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조명의 각도 및 조명의 밝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타이머부; 및
    여러 배경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부를 통해 시간적인 인터벌을 두고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 이미지를 합성하여 다양한 배경 및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내도록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8.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저장되어 있는 배경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 이미지가 선택되는 단계;
    생성된 사용자의 이미지에 선택된 배경 이미지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을 가지는 인물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
    통신 채널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 채널 NDEF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여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인물 이미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물 이미지를 통신부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서버의 주소를 상기 단말로 NFC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생성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명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조명 정보에 따라 조명부의 조명을 조절하는 단계; 및
    조절된 조명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를 연속동작 이미지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가 최적의 이미지로 생성되도록 하는 조명의 위치 및 조명의 밝기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방법.
KR1020130125988A 2013-10-22 2013-10-22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154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988A KR101541012B1 (ko) 2013-10-22 2013-10-22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988A KR101541012B1 (ko) 2013-10-22 2013-10-22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576A true KR20150046576A (ko) 2015-04-30
KR101541012B1 KR101541012B1 (ko) 2015-08-06

Family

ID=5303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988A KR101541012B1 (ko) 2013-10-22 2013-10-22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0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293B1 (ko) * 2012-10-11 2013-05-06 (주)마이크로디지털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상보안장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012B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8006B1 (ja)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8276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通信装置
ES2668904T3 (es) Procedimiento de comunicación de información
KR1022201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5098108A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78511B2 (ja)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03156A1 (ja) 情報通信方法
CN111127998A (zh) 智能地球仪、及智能地球仪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TW202205176A (zh) 用於在現實場景中疊加直播人物影像的方法和電子設備
JP5608307B1 (ja) 情報通信方法
CN106575998B (zh) 发送方法、发送装置以及程序
WO2014103152A1 (ja) 情報通信方法
JP2018032885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541012B1 (ko) Did를 이용한 이미지 생성 및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JP6849773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6970146B2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通信装置
KR20130121274A (ko)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9150531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20140059966A (ko) 스마트폰용 led전자게시대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한 원샷형 led 전자게시대 제어장치
JP2020178353A (ja) 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7090826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