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500A -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500A
KR20150046500A KR20130125800A KR20130125800A KR20150046500A KR 20150046500 A KR20150046500 A KR 20150046500A KR 20130125800 A KR20130125800 A KR 20130125800A KR 20130125800 A KR20130125800 A KR 20130125800A KR 20150046500 A KR20150046500 A KR 20150046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water supply
water
hydraulic cylind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151B1 (ko
Inventor
강영선
소진환
남요상
박동석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1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3/00Harvest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물분사에 의하여 진흙속의 연근을 채취하는 연근수확기를 제공한다.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하여 회전하는 러버트랙을 구비하는 궤도형 주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수확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물을 연근재배지의 원하는 지점에 분사하기 위한 급수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부;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를, 전후방향,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는 전후방향(A), 상하방향(B), 그리고 수평방향(C)으로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An apparatus for harvesting lotus roots}
본 발명은 연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근 수확을 위하여 공급하는 고압의 물의 분사 범위 및 분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연근의 수확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연근은 수중 진흙 또는 물이 고인 장소에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진흙의 지중에서 성장한 연근을 채취하는 것은 수중 작업을 포함하고 있어서 작업자는 매우 어려운 작업환경 하에서 수확을 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안된 여러 종류의 연근 수확기는 수동으로 물 제트만을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수중 진흙 속에 있는 연근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일정한 높이의 수위를 가지고 있는 연근 재배지에서 이러한 종래의 수확기를 사용하여 연근을 수확하기에는 기대만큼 편리한 장점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이들을 단순히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면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단순히 사용자가 조작하는 물 제트를 수동으로 이용하는 것은 조작 상의 어려움 등이 뒤따를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한 어려운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근이 재배되고 있는 재배지에서 여러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것은 종래의 구조에 의해서는 상당히 불편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연근 재배지에서 주행이 가능하면서 연근을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연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근의 채취를 위하여 분사하는 물의 분사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근 재배지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자유로운 방향의 작업성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분사 범위 또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하는 환경에 대하여 더욱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연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하여 회전하는 러버트랙을 구비하는 궤도형 주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수확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물을 연근재배지의 원하는 지점에 분사하기 위한 급수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부;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를, 전후(길이)방향,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연근 수확기에 의하면,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와 급수파이프를 연결하는 연질의 연결호스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동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수파이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그 피스톤로드가 상기 급수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의하여 급수파이프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회동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저면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포스트와, 후단부가 상기 메인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의 피스톤로드가 가이드부재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부재 및 급수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회동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프레임에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메인포스트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는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3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메인포스트 및 가이드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동수단은, 제1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그 길이방향(A)으로 일정 구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길이방향 지지수단과; 제2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상하 방향(B)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방향 지지수단; 그리고 제3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수평 방향(C)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방향 지지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연근 수확기에 의하면, 연근 재배지에서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연근의 수확 또는 채취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급수파이프의 단부의 노즐부에서 분사하는 고압의 물줄기는, 물속의 진흙을 수압으로 제거함으로써, 그 속에 있는 연근이 수상으로 떠오를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작업이 엔진에 의한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수행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고효율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파이프는 상하, 전후,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연근 재배지에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주행하면서도 그 주변의 모든 부분의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이는 실질적으로 수작업과 비교될 수 없는 효율성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분사되는 지점과 연근 수확기 본체 사이의 작업 공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더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근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근 수확기의 측면도.
다음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근 수확기는, 연근이 재배되고 있는 장소에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지중의 연근이 흙에서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근 수확기는, 엔진 및 물펌프 등을 탑재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본체프레임(100)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탑재된 엔진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한 쌍의 궤도형 주행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면서, 주행하는 궤도형 주행부(200)에 지지되는 기본적인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연근수확기에서의 엔진, 물펌프, 필터어셈블리, 그리고 엔진에서 출력되는 동력을 이용하는 각종 부품을 지지하는 것에 대한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00)은 좌우 한 쌍의 궤도형 주행부(200)에 의하여 주행된다. 이러한 궤도형 주행부(200)는, 루프상의 러버트랙(210)과, 엔진에서 상기 러버트랙(21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스프라켓(212), 그리고 상기 러버트랙(210)의 궤도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아이들러(2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켓(2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은 러버트랙(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러그(lug)와 맞물려서, 엔진에서의 동력을 러버트랙(210)에 전달하여 회전함으로써 연근 수확기 전체를 주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아이들러(220)는 러버트랙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탄성력도 조절 가능한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러버트랙(210)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프레임(100)과 궤도형 주행부(200)는 실질적으로 소형굴삭기 또는 다지형로더 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분야에서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프레임(100) 및 궤도형 주행부(200)에 대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도면 부호 생략)과, 상기 엔진의 출력의 일부를 이용하여 동작되는 물펌프(230)가 탑재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펌프(230)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있고, 엔진에서의 회전력을 벨트(240,242)를 통하여 전달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엔진에서의 출력은, 벨트(242) 및 벨트(240)를 통하여 상기 물펌프(230)에 전달되고, 상기 벨트(242)와 벨트(240) 사이에는 양단부에 풀리가 각각 형성된 풀리축이 회전 가능하게 본체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펌프(230)는 연근 재배지에 고여 있는 물을 끌어올린 후, 이를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는 장치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물펌프(230)는, 필터어셈블리(250)를 통하여 연근 재배지의 물을 끌어올리고, 이러한 물을 급수파이프(280)를 통하여 고압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근 재배지에 고여 있는 물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공급되는 별도의 급수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물펌프(230)를 이용하여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는 후술하는 급수파이프를 외부의 급수원 및 물펌프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연근 재배지에 연근 채취를 위한 물을 분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는, 상기 물펌프(230)에서 공급하는 고압의 물을 재배지에서 원하는 장소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물펌프(230)는 한 쌍의 연질호스(282)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질호스(282)는 한 쌍의 급수파이프(28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펌프(230)에서의 물은 연질호스(282)를 거쳐 급수파이프(28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노즐부(284)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84)는, 하나의 급수파이프(280)에 대하여 한 쌍이 분기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284)는 실질적으로 오리피스 효과를 이용하여 분사되는 물을 더욱 고압 및 고속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급수파이프(280)에서 분기되는 노즐부(284)에 대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 개의 노즐부(284) 중의 어느 하나를 연질의 호스를 이용하여 급수파이프(28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질의 호스를 이용하여 급수파이프(280)와 연결되는 노즐부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근 수확기에 의한 작업시 남아 있는 부족한 부분에 작업자가 직접 물을 분사할 수 있게 되어 마무리 작업에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근수확기의 물 분사장치는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수직 방향), 좌우 방향(수평 방향),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의 물 분사장치가 이와 같이 3개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연근 재배지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과 같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범위가 충분히 넓게 확보되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물 분사장치를 3개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은, 3개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3개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술한 3개의 방향으로 물 분사장치를 조절하는 것에 대한 구성예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급수파이프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급수파이프(280)는 가이드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급수파이프(280)가 가이드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급수파이프(280)를 전후방향(연근수확기의 주행방향 또는 급수파이프의 길이 방향이라고도 할 수 있다)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통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급수파이프(280)가 그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사각형의 통체로 성형되고, 그 내부에 원통상의 급수파이프(28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급수파이프(280)(상부의 급수파이프)는,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연결된 가이드부(3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312)는 원통상의 급수파이프(280)를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원통상의 지지부(314)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급수파이프(280)는 가이드부재(310)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급수파이프(280)는 연결부재(320)에 의하여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하나의 급수파이프(28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에 급수파이프(28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10)에는 유압실린더(29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90) 내부의 유압의 흐름에 따라서 전방으로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후퇴하는 피스톤로드(292)가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290) 내부의 유압의 흐름에 따라서, 피스톤로드(292)가 신장 또는 압축되면, 상기 급수파이프(280)도 전후방향 또는 급수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길이 방향 이동은 상기 가이드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후단부는 연질의 호스(282)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파이프(28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물펌프(230)에서의 물이 차질없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급수파이프(280)는 화살표(A)로 표시한 전후 방향 또는 급수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파이프(28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노즐부(284)와 본체프레임(100)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거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연근수확기를 이용하여 연근 수확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는 본체프레임(100)과 노즐(284) 사이에서 연근을 수확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전후 이동(A)에 의하여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급수파이프(280)가 화살표(B)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노즐부(28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노즐부(28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은, 목표지점으로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의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고, 이는 정확한 목표지점으로의 물분사 그리고 거리 변화에 따른 수압의 강약 조절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10)는 두 개의 부분에서 지지된다. 즉, 핀(352) 결합에 의하여 메인포스트(35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354)의 피스톤로드(35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다. 즉, 상기 메인포스트(350)의 상단부가 핀(352)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31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포스트(350)는 본체프레임(100)에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메인포스트(350)는 본체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포스트(350)의 전방부분에는 유압실린더(354)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354)의 피스톤로드(356)의 선단도 상기 가이드부재(3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압실린더(356)가 동작하여 피스톤로드(356)가 상방으로 신장되면, 가이드부재(310)를 따라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선단부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피스톤로드(35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선단부도 이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도 2에서 도시한 화살표(B) 방향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급수파이프(280)가 수평 방향으로, 즉 도 1에서 화살표(C)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화살표(C)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의 회동은 상기 메인포스트(350)를 일정 구간 회동 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포스트(350)는, 본체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하나의 유압실린더(360)가 상기 메인포스트(350)의 회동을 위하여 본체프레임(100)(도 2 참조)에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60)의 후단부는 본체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압실린더(360)의 피스톤로드(362)는 메인포스트(350)의 전방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부(364)(즉 메인포스트의 전방부분)와 핀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360)의 동작에 의하여 피스톤로드(362)가 전방으로 신장되거나 후방으로 압축되면, 상기 연결부(364)를 통하여 메인포스트(350)가 도 1에서 화살표(C)로 표시한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파이프(280)는 전후방향(A)으로의 직선 운동, 그리고 상하방향(B)으로의 회동 및 수평방향(C)으로의 회동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방향(A)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노즐부(284)와 본체 사이의 작업공간을 조절할 수 있고, 상하방향(B) 및 수평방향(C)의 회동은 물이 분사되어야 하는 지점을 충분히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280)의 이와 같은 삼방향 이동은 실질적으로 유압실린더에 기초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3개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급수파이프(280)를 3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수파이프(280)를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3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급수파이프를 통하여 분사되기 위한 물을, 상기 급수파이프(280)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필터어셈블리(250)는 연근 재배지의 물이 물펌프에 의하여 끌어올려질 때,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도 2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어셈블리(25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필터프레임(252)과, 상기 필터프레임(252)에 지지되고 연근 재배지의 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통형상의 필터(254), 그리고 상기 필터(254)에 의하여 여과된 물을 상기 물펌프(230)로 각각 전달하기 위한 연질의 연결호스(25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필터(254)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미세한 여과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외부에서 그 내측으로 들어갈 때,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호스(256)는 상기 필터(254)의 일측에 연결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필터(254) 내부의 물을 상기 물펌프(2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호스(256) 및 물펌프(230)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252)은, 상기 필터(254)를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는 상기 필터(254)가 하방에 위치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재배지의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수중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어셈블리(250)는, 연근 수확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지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프레임(252)의 선단부는, 본체프레임(100)의 후단부에 핀(253) 연결됨으로서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0)에는 유압실린더(27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70)의 피스톤로드(272)의 단부는 필터어셈블리(2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272)의 단부는 필터어셈블리(250)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부(25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270)가 유압에 의하여 동작하여 신장된 상태(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2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근 재배지에 고여 있는 물과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54)는 물에 잠겨 있는 상태가 되어 물펌프(230)의 구동에 따라서 물을 펌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70)가 수축되면, 피스톤로드(272)가 당겨지면서, 필터어셈블리(250)는 핀(253)을 중심으로 상방으로(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필터(254)가 물에 접촉하는 상태가 아니라,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서 물(또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연근 수확기가 주행하게 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250)는 지면과 접촉하지 않고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근 수확기는, 물이 고여 있는 연근 재배지를 주행하면서, 그리고 이와 동시에 외부에서의 물의 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필터(254)를 이용하여 재배지에 있는 물로 연근을 채취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파이프가 세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연근 채취를 위한 작업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0 ..... 본체프레임
200 ..... 궤도형 주행부
210 ..... 러버트랙
212 ..... 구동스프라켓
220 ..... 아이들러
230 ..... 물펌프
250 ..... 필터어셈블리
252 ..... 필터프레임
253 ..... 핀
254 ..... 필터
256 ..... 연결호스
258 ..... 연결부
270, 290, 360 ..... 유압실린더
272, 292, 362 ..... 피스톤로드
280 ..... 급수파이프
282 .... 연질호스
284 ..... 노즐부
310 ..... 가이드부재
312 ..... 가이드부
314 ..... 지지부
320 ..... 연결부재
350 ..... 메인포스트

Claims (6)

  1.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하여 회전하는 러버트랙을 구비하는 궤도형 주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수확기에 있어서;
    공급되는 물을 연근재배지의 원하는 지점에 분사하기 위한 급수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단부에 설치되는 노즐부; 그리고
    상기 급수파이프를, 전후방향,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와 급수파이프를 연결하는 연질의 연결호스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수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급수파이프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일단부가 지지되고 그 피스톤로드가 상기 급수파이프에 연결되는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의하여 급수파이프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연근수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저면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포스트(350)와, 후단부가 상기 메인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의 피스톤로드가 가이드부재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2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가이드부재 및 급수파이프가 상하 방향(B)으로 회동 가능한 연근수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본체프레임에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의 피스톤로드가 상기 메인포스트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포스트는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3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메인포스트 및 가이드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연근 수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제1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그 길이방향(A)으로 일정 구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길이방향 지지수단과;
    제2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상하 방향(B)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하방향 지지수단; 그리고
    제3유압실린더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파이프를 수평 방향(C)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평방향 지지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 수확기.

    .





KR1020130125800A 2013-10-22 2013-10-22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KR10154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00A KR101546151B1 (ko) 2013-10-22 2013-10-22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800A KR101546151B1 (ko) 2013-10-22 2013-10-22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500A true KR20150046500A (ko) 2015-04-30
KR101546151B1 KR101546151B1 (ko) 2015-08-20

Family

ID=5303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800A KR101546151B1 (ko) 2013-10-22 2013-10-22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1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538A (zh) * 2016-08-15 2016-11-16 赵常常 前倾角喷枪采藕船
CN108012660A (zh) * 2017-12-01 2018-05-11 山东农业大学 一种三维立体摆动喷流式莲藕采收装置及采藕控制方法
CN108040576A (zh) * 2017-12-02 2018-05-18 马家全 一种垄式挖藕设备
CN111771525A (zh) * 2020-08-11 2020-10-16 浙江海洋大学 一种莲藕采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65B1 (ko) * 2016-05-09 2018-04-19 송준복 습식 연근 수확장치
CN106358563B (zh) * 2016-09-30 2018-09-14 道真仡佬族苗族自治县华毅中药材专业合作社 苦参的采摘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635A (ja) * 2002-11-21 2004-06-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農産物または水産物の収穫方法、収穫装置およびノズ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538A (zh) * 2016-08-15 2016-11-16 赵常常 前倾角喷枪采藕船
CN108012660A (zh) * 2017-12-01 2018-05-11 山东农业大学 一种三维立体摆动喷流式莲藕采收装置及采藕控制方法
CN108012660B (zh) * 2017-12-01 2024-04-09 山东农业大学 一种三维立体摆动喷流式莲藕采收装置及采藕控制方法
CN108040576A (zh) * 2017-12-02 2018-05-18 马家全 一种垄式挖藕设备
CN111771525A (zh) * 2020-08-11 2020-10-16 浙江海洋大学 一种莲藕采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151B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152B1 (ko) 연근 수확기
KR101546151B1 (ko) 물 분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근 수확기
CN2676614Y (zh) 多功能自走式喷灌机
CN106211904B (zh) 一种山药收获机
CN201238472Y (zh) 鸭嘴式挖藕机
ITMN20090015A1 (it) Attrezzo multifunzione per operazioni contemporanee motorizzate di pulizia, scerbatura, fertilizzazione, zappatura ed altre al piede di filari di piante, in particolare di vigneti e frutteti
CN206602836U (zh) 准操作型自走喷水式挖藕机
CN107710926A (zh) 一种秸秆集中沟埋还田一体机
CN204180488U (zh) 地下农作物播种、施肥、喷洒农药、收获用动力驱动车
CN111108971A (zh) 基于物联网的智能农业种植大棚
CN202722024U (zh) 牛蒡收获机
CN109168555B (zh) 一种采挖系统及具有采挖系统的挖藕机
KR102267958B1 (ko) 마늘 수확장치
CN210352107U (zh) 一种防泥土飞溅的农业用开沟装置
CN214961633U (zh) 一种新型农业水利灌溉装置
CN112868507B (zh) 一种园林景观灌溉喷洒装置
CN108739768A (zh) 一种农业用角度可调节的喷洒装置
KR20150046497A (ko) 연근 수확기
CN204796160U (zh) 前推双支撑式地下块茎作物履带收获机
CN104206053B (zh) 一种用于中小型温室大棚内的自动耕地装置
KR100206105B1 (ko) 이동식 방제기
CN105940789A (zh) 一种深松旋耕机
CN210537945U (zh) 一种育苗用灌溉装置
CN207235909U (zh) 喷药覆膜一体机
CN219893804U (zh) 一种宽度可调型茶叶种植用开沟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