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964A -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964A
KR20150045964A KR20150049070A KR20150049070A KR20150045964A KR 20150045964 A KR20150045964 A KR 20150045964A KR 20150049070 A KR20150049070 A KR 20150049070A KR 20150049070 A KR20150049070 A KR 20150049070A KR 20150045964 A KR20150045964 A KR 2015004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diction
encoding
units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4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271B1 (ko
Inventor
천민수
김일구
이태미
정해경
천지엔러
한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함으로써 영상을 부호화하는 방법, 장치 및 이러한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방법,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using large transform unit}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픽셀 도메인의 영상을 주파수 도메인의 계수들로 변환하여 영상을 부호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는 영상 압축을 위해 픽셀 도메인의 영상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부호화한다. 주파수 변환 중 하나의 기법인 이산 코사인 변환은 영상 또는 음성 압축에 사용되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방법에서는 픽셀 도메인의 영상을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수들을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효율적인 이산 코사인 변환을 이용한 영상을 부호화,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변환 단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예측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양자화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서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로 단계적으로 축소된 정도를 나타내는 심도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종류의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 중 인트라 예측을 이용해 예측되는 예측 단위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예측 단위의 예측 값들에 기초해 예측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모든 예측 단위를 인터 예측을 이용해 예측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예측부;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고, 상기 변환 단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예측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생성하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상기 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엔트로피부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소정의 변환 단위에 따라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엔트로피 복호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역양자화하는 단계;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픽셀 도메인으로 역변환하여 상기 변환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을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여 생성된 예측 값들 및 상기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위는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소정의 변환 단위에 따라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엔트로피복호화부; 상기 엔트로피 복호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역양자화하는 역양자화부;
상기 역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픽셀 도메인으로 역변환하여 상기 변환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을 복원하는 역주파수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여 생성된 예측 값들 및 상기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에 기초해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위는 상기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측 단위보다 큰 크기로 변환 단위를 설정하고,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할 수 있어 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압축 부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 서브 부호화 단위 및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를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분할 형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변환부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의 유형을 도시한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의 유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변환 단위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 및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를 포함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분할부(110)는 최대 크기의 부호화 단위인 최대 부호화 단위에 기반하여 현재 픽처 또는 현재 슬라이스를 분할할 수 있다. 현재 픽처 또는 현재 슬라이스를 적어도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심도를 이용해 부호화 단위가 표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는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 중 크기가 가장 큰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며, 심도는 부호화 단위가 계층적으로 축소된 서브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나타낸다. 심도가 커지면서,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최소 부호화 단위까지 축소될 수 있으며,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최소 심도로 정의되고, 최소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최대 심도로 정의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심도가 커짐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k 심도의 서브 부호화 단위는 복수 개의 k보다 큰 심도의 서브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되는 픽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더 큰 단위로 영상을 부호화하면 더 높은 영상 압축률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그러나, 부호화 단위를 크게 하고, 그 크기를 고정시켜버리면, 계속해서 변하는 영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영상을 부호화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바다 또는 하늘에 대한 평탄한 영역을 부호화할 때에는 부호화 단위를 크게 할수록 압축률이 향상될 수 있으나, 사람들 또는 빌딩에 대한 복잡한 영역을 부호화할 때에는 부호화 단위를 작게 할수록 압축률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픽처 또는 슬라이스마다 상이한 최대 영상 부호화 단위를 설정하고, 최대 심도를 설정한다. 최대 심도는 부호화 단위가 축소될 수 있는 최대 횟수를 의미하므로, 최대 심도에 따라 최대 영상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최소 부호화 단위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최대 심도를 결정한다. 최대 심도는 R-D 코스트(Rate-Distortion Cost) 계산에 기초해 결정될 수 있다. 최대 심도는 픽처 또는 슬라이스마다 상이하게 결정되거나,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결정된 최대 심도는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로 출력되고, 최대 부호화 단위별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로 출력된다.
최대 심도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 즉, 최소 부호화 단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최대 부호화 단위는 상이한 심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들은 상이한 크기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예측 또는 주파수 변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부호화를 위한 복수의 처리 단계들을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태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의 부호화를 위해서는 예측, 주파수 변환, 엔트로피 부호화 등의 처리 단계를 거치는데, 모든 단계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의 처리 단위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단계별로 상이한 크기의 처리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와 다른 처리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단, N은 양의 정수)인 경우, 예측을 위한 처리 단위는 2Nx2N, 2NxN, Nx2N, NxN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 중 적어도 하나를 반분하는 형태의 처리 단위를 기반으로 움직임 예측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예측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 단위는 '예측 단위'라 한다.
예측 모드는 인트라 모드, 인터 모드 및 스킵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특정 예측 모드는 특정 크기 또는 형태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모드는 정방형인 2Nx2N, Nx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킵 모드는 2Nx2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내부에 복수의 예측 단위가 있다면, 각각의 예측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부호화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의 처리 단위에 기초해 영상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주파수 변환을 위해서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를 기반으로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주파수 변환의 기초가 되는 처리 단위를 '변환 단위'라 한다.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는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해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서브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대 부호화 단위가 어떠한 형태의 복수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결정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의 서브 부호화 단위는 심도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다. 그런 다음, 영상 데이터 부호화부(130)는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분할 형태에 기초해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부호화 정보 부호화부(140)는 부호화 심도 결정부(120)에서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모드에 대한 정보를 부호화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 최대 심도에 대한 정보 및 심도별 서브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서브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서브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에 대한 정보, 예측 단위별 예측 모드 정보, 서브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고, 각각의 서브 부호화 단위마다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심도가 커짐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를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하여 서브 부호화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k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2Nx2N이라면, k+1 심도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NxN 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영상의 특성을 고려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최대 심도를 기반으로,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최적의 분할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이한 심도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영상을 부호화함으로써,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데이터 획득부(210),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 및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를 포함한다.
영상 관련 데이터 획득부(210)는 영상 복호화 장치(200)가 수신한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 획득부(210)는 현재 픽처 또는 슬라이스에 대한 헤더로부터 현재 픽처 또는 슬라이스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트스트림을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가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게 한다.
부호화 정보 추출부(220)는 영상 복호화 장치(200)가 수신한 비트열을 파싱하여,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 최대 심도,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 서브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분할 형태 및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로 출력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심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호화 모드에 관한 정보는 서브 부호화 단위별 예측 단위에 대한 정보,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변환 단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부호화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대 부호화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현재 픽처를 복원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서브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 과정은 인트라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포함하는 움직임 예측 과정, 및 주파수 역변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서브 부호화 단위의 예측을 위해, 서브 부호화 단위별 예측 단위에 대한 정보 및 예측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복호화부(230)는, 서브 부호화 단위의 변환 단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서브 부호화 단위마다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부호화 단위는 너비x높이가 64x64인 부호화 단위부터, 32x32, 16x16, 8x8, 및 4x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 이외에도, 너비x높이가 64x32, 32x64, 32x16, 16x32, 16x8, 8x16, 8x4, 4x8인 부호화 단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상도가 1920x1080인 영상 데이터(310)에 대해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64x64,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해상도가 1920x1080인 영상 데이터(320)에 대해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64x64, 최대 심도가 4로 설정되어 있다. 해상도가 352x288인 비디오 데이터(330)에 대해서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16x16, 최대 심도가 2로 설정되어 있다.
해상도가 높거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압축률 향상뿐만 아니라 영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부호화 사이즈의 최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330)에 비해, 해상도가 높은 영상 데이터(310 및 32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64x64로 선택될 수 있다.
최대 심도는 계층적 부호화 단위에서 총 계층수를 나타낸다. 영상 데이터(31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영상 데이터(310)의 부호화 단위(31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축 크기가 32, 16인 서브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영상 데이터(330)의 최대 심도는 2이므로, 영상 데이터(330)의 부호화 단위(335)는 장축 크기가 16인 최대 부호화 단위들로부터,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축 크기가 8, 4인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320)의 최대 심도는 4이므로, 비디오 데이터(320)의 부호화 단위(325)는 장축 크기가 64인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장축 크기가 32, 16, 8, 4인 서브 부호화 단위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심도가 증가할수록 더 작은 서브 부호화 단위에 기초해 영상을 부호화하므로 보다 세밀한 장면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을 부호화하는데 적합해진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를 도시한다.
인트라 예측부(410)는 현재 프레임(405) 중 인트라 모드의 예측 단위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는 인터 모드의 예측 단위에 대해 현재 프레임(405) 및 참조 프레임(495)을 이용해 인터 예측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및 움직임 보상부(425)로부터 출력된 예측 단위에 기초해 레지듀얼 값들이 생성되고, 생성된 레지듀얼 값들은 주파수 변환부(430) 및 양자화부(440)를 거쳐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를 통해 다시 레지듀얼 값으로 복원되고,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은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를 거쳐 후처리되어 참조 프레임(495)으로 출력된다. 양자화된 변환 계수는 엔트로피 부호화부(450)를 거쳐 비트스트림(455)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따라 부호화하기 위해, 영상 부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인트라 예측부(410), 움직임 추정부(420), 움직임 보상부(425), 주파수 변환부(430), 양자화부(440), 엔트로피 부호화부(450), 역양자화부(460), 주파수 역변환부(470), 디블로킹부(480) 및 루프 필터링부(490)는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 심도에 따른 서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해 영상 부호화 과정들을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를 도시한다.
비트스트림(505)이 파싱부(510)를 거쳐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 정보가 파싱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및 역양자화부(530)를 거쳐 역양자화된 데이터로 출력되고, 주파수 역변환부(540)를 거쳐 레지듀얼 값들로 복원된다. 레지듀얼 값들은 인트라 예측부(550)의 인트라 예측의 결과 또는 움직임 보상부(560)의 움직임 보상 결과와 가산되어 부호화 단위 별로 복원된다. 복원된 부호화 단위는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를 거쳐 다음 부호화 단위 또는 다음 픽처의 예측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따라 복호화하기 위해 영상 복호화부(400)의 구성 요소들인 파싱부(510), 엔트로피 복호화부(520), 역양자화부(530), 주파수 역변환부(540),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 디블로킹부(570) 및 루프 필터링부(580)가 모두 최대 부호화 단위, 심도에 따른 서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기초해 영상 복호화 과정들을 처리한다.
특히, 인트라 예측부(550), 움직임 보상부(56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심도를 고려하여 서브 부호화 단위 내의 예측 단위 및 예측 모드를 결정하며, 주파수 역변환부(540)는 변환 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여 주파수 역변환을 수행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 서브 부호화 단위 및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특성을 고려하여 부호화,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계층적인 부호화 단위를 이용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 및 최대 심도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는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높이 및 너비가 64이며, 최대 심도가 4인 경우를 도시한다.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세로축을 따라서 심도가 증가하고, 심도의 증가에 따라 서브 부호화 단위(620 내지 650)의 높이 및 너비가 축소된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600)의 가로축을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610) 및 서브 부호화 단위(620 내지 650)의 예측 단위가 도시되어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610)는 심도가 0이며, 부호화 단위의 크기, 즉 높이 및 너비가 64x64이다. 세로축을 따라 심도가 증가하며, 크기 32x32인 심도 1의 서브 부호화 단위(620), 크기 16x16인 심도 2의 서브 부호화 단위(630), 크기 8x8인 심도 3의 서브 부호화 단위(640), 크기 4x4인 심도 4의 서브 부호화 단위(650)가 존재한다. 크기 4x4인 심도 4의 서브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심도별로 가로축을 따라 예측 단위의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심도 0의 최대 부호화 단위(610)의 예측 단위는, 크기 64x64의 부호화 단위(61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인 크기 64x64의 예측 단위(610), 크기 64x32의 예측 단위(612), 크기 32x64의 예측 단위(614), 크기 32x32의 예측 단위(616)일 수 있다.
심도 1의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의 예측 단위는, 크기 32x32의 부호화 단위(62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인 크기 32x32의 예측 단위(620), 크기 32x16의 예측 단위(622), 크기 16x32의 예측 단위(624), 크기 16x16의 예측 단위(626)일 수 있다.
심도 2의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의 예측 단위는, 크기 16x16의 부호화 단위(63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인 크기 16x16의 예측 단위(630), 크기 16x8의 예측 단위(632), 크기 8x16의 예측 단위(634), 크기 8x8의 예측 단위(636)일 수 있다.
심도 3의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의 예측 단위는, 크기 8x8의 부호화 단위(640)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인 크기 8x8의 예측 단위(640), 크기 8x4의 예측 단위(642), 크기 4x8의 예측 단위(644), 크기 4x4의 예측 단위(646)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도 4의 크기 4x4의 부호화 단위(65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이며 최대 심도의 부호화 단위이고, 예측 단위는 크기 4x4의 예측 단위(650)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그대로 부호화하거나, 최대 부호화 단위 보다 작거나 같은 서브 부호화 단위로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부호화한다. 부호화 과정 중 주파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의 크기는 최적의 압축률이 달성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710)가 64x64 크기일 때, 32x32 크기의 변환 단위(720)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d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보다 큰 변환 단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주파수 변환 단위의 분할 형태를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예측 단위를 도시한다.
도 8a의 좌측은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부호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00)가 선택한 분할 형태를 도시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분할하고, 부호화한 다음 다양한 분할 형태의 부호화 결과를 R-D 코스트에 기초해 비교하여 최적의 분할 형태를 선택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그대로 부호화하는 것이 최적일 경우에는 도 8a 및 8b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분할하지 않고 최대 부호화 단위(800)를 부호화할 수도 있다.
도 8a의 좌측을 참조하면, 심도 0인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심도 1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부호화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810)를 네 개의 심도 1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다음, 전부 또는 일부의 심도 1의 서브 부호화 단위를 다시 심도 2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다.
심도 1의 서브 부호화 단위 중 우측 상부에 외치한 서브 부호화 단위 및 좌측 하부에 위치한 서브 부호화 단위가 심도 2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었다. 심도 2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 중 일부는 다시 심도 3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도 8a의 우측은 최대 부호화 단위(810)에 대한 예측 단위의 분할 형태를 도시한다.
도 8a의 우측을 참조하면,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단위(860)는 최대 부호화 단위(810)와 상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브 부호화 단위들 각각에 대한 예측 단위는 서브 부호화 단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서브 부호화 단위 중 우측 하부에 외치한 서브 부호화 단위(854)에 대한 예측 단위는 서브 부호화 단위(854)보다 작을 수 있다. 심도 2의 서브 부호화 단위들(814, 816, 818, 828, 850, 852) 중 일부 서브 부호화 단위(815, 816, 850, 852)에 대한 예측 단위는 서브 부호화 단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심도 3의 서브 부호화 단위(822, 832, 848)에 대한 예측 단위는 서브 부호화 단위보다 작을 수 있다. 예측 단위는 각각의 서브 부호화 단위를 높이 또는 너비 방향으로 반분한 형태일 수도 있고, 높이 및 너비 방향으로 4분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를 도시한다.
도 8b의 좌측은 도 8a의 우측에 도시된 최대 부호화 단위(810)에 대한 예측 단위의 분할 형태를 도시하고, 도 8b의 우측은 최대 부호화 단위(810)의 변환 단위의 분할 형태를 도시한다.
도 8b의 우측을 참조하면, 변환 단위(870)의 분할 형태는 예측 단위(860)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도 1의 부호화 단위(854)에 대한 예측 단위가 높이를 반분한 형태로 선택되더라도, 변환 단위는 심도 1의 부호화 단위(854)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선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도 2의 부호화 단위(814, 850)에 대한 예측 단위가 심도 2의 부호화 단위(814, 850)의 높이를 반분한 형태로 선택되더라도 변환 단위는 심도 2의 부호화 단위(814, 850)의 원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선택될 수 있다.
예측 단위보다 더 작은 크기로 변환 단위가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심도 2의 부호화 단위(852)에 대한 예측 단위가 너비를 반분한 형태로 선택된 경우에 변환 단위는 예측 단위보다 더 작은 크기인 높이 및 너비를 반분한 형태로 선택될 수 있다. 가장 작은 변환 단위로서 2x2 크기로 변환 단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a 내지 13d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환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무관하게 부호화 단위의 크기보다 크게 변환 단위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예측부(910), 주파수변환부(920), 양자화부(930) 및 엔트로피부호화부(940)를 포함한다.
예측부(9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예측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바, 복수의 예측 단위에 기초해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주파수 도메인으로의 변환은 이산 코사인 변환일 수 있다.
도 8a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수의 예측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예측부(910)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각각 예측하여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또한, 예측부(910)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한꺼번에 예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각각 예측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모든 서브 부호화 단위들을 모두 예측함으로써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예측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정의 예측 단위를 독립적으로 부호화하고, 다시 복원하여 다음 예측 단위의 예측에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후술하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따르면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소정의 예측 단위를 독립적으로 부호화하고 복원할 수 없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부호화 단위(1000)는 복수의 예측 단위(1010 내지 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같이 예측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면, 우측하부의 예측 단위(1040)를 부호화하기 이전에 다른 예측 단위들(1010 내지 1030)을 부호화하고 다시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만약 예측 단위(1040)를 인트라 예측을 이용해 예측하려면, 예측 단위들(1010 내지 1030)을 부호화한 후 다시 복원하여 생성된 픽셀들 중 예측 단위(1040)에 인접한 픽셀들을 이용해 예측 단위(1040)를 인트라 예측하여야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본원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하고,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한다. 이 때, 도 10의 예측 단위들(1010 내지 1040)이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면, 우측하부의 예측 단위(1040)도 다른 예측 단위들(1010 내지 1030)과 함께 부호화되므로, 우측하부의 예측 단위(1040)가 부호화하기 이전에 다른 예측 단위(1010 내지 1030)를 부호화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예측 단위(1010 내지 1030)을 부호화한 후 다시 복원한 픽셀들을 이용해 예측 단위(1040)를 인트라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에 따른 예측부(910)는 다른 예측 단위(1010 내지 1030)의 예측 값들을 이용해 예측 단위(1040)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측 단위(1010 내지 1030)를 부호화한 후 복원한 픽셀 값들이 아닌 다른 예측 단위(1010 내지 1030)의 예측 값들을 이용해 우측하부(1040)의 예측 단위를 예측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 중에서 인트라 예측에 따라 예측되는 제1 예측 단위가 있으면, 제1 예측 단위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의 예측 값들을 이용해 인트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는 모두 인터 예측만 이용해 예측할 수도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하는데 문제가 되는 예측 단위는 인트라 예측에 따라 예측되는 예측 단위이므로,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모든 예측 단위는 인터 예측만 이용해 예측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주파수변환부(920)는 픽셀 도메인의 영상 처리 단위를 입력받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예측부(910)에서 생성된 레지듀얼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변환부(920)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변환 단위에 따라 이산 코사인 변환한다. 레지듀얼 값들은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일 수도 있고,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일 수도 있다.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 결과 주파수 성분들의 계수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도메인으로의 변환은 이산 코사인 변환일 수 있고, 이산 코사인 변환 결과 이산 코사인 계수들이 생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산 코사인 변환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모든 픽셀 도메인의 영상을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는 모든 변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변환부(920)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변환부(910)는 선택부(1110) 및 변환수행부(1120)를 포함한다.
선택부(1110)는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 부호화 장치들에 따르면, 소정의 예측 단위에 따라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 단위 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종래의 영상 부호화 장치들은 예측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변환 단위에 기초해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변환 단위마다 부가되는 헤더 정보들 때문에 변환 단위가 작을수록 부가되는 오버헤드가 커져 영상 부호화의 압축률을 저하시켰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하고, 그룹화 결과 생성된 변환 단위에 따라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한다. 특히,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들은 유사한 레지듀얼 값들을 포함하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묶어 하나의 변환 단위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면, 부호화의 압축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1110)는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할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한다. 복수의 예측 단위는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도 12a-12c 및 13a-1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의 유형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면, 소정의 부호화 단위(1210)에 대해 예측 단위(1220)는 부호화 단위(1210)의 너비를 반분한 형태일 수 있다. 부호화 단위(1210)는 전술한 최대 부호화 단위일 수도 있고,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은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부호화 단위(1210) 및 예측 단위(1220)가 동일한 경우에도 변환 단위(1230 내지 1250)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 단위(1230)의 크기가 예측 단위(1220)보다 작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 단위(1240)의 크기가 예측 단위(122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125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측 단위(12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는 도 12a-12c와 같이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도 있지만, 상이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 단위의 유형을 도시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1300)는 복수의 상이한 크기의 서브 부호화 단위(1302 내지 1308)로 나뉘어 부호화될 수 있고,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부호화 단위들(1302 내지 1308)은 적어도 하나의 예측 단위(1310 내지 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111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변환 단위(1350)로 설정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110)는 도 13d와 같이 좌측 반쪽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단위들(1302 및 1306)에 대한 복수의 예측 단위(1310 및 1330 내지 1139)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1360)로 설정하고, 우측 반쪽에 포함되어 있는 부호화 단위들(1304 및 1308)에 대한 복수의 예측 단위(1320 내지 1328 및 1340)를 하나로 그룹화하여 또 하나의 변환 단위(1362)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부(1110)가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는 기준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부(1110)는 심도에 기초해 변환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심도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슬라이스 또는 현재 픽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서 서브 부호화 단위의 크기로 단계적으로 축소된 정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심도가 클수록 서브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포함된 예측 단위도 작아진다. 이 경우 예측 단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변환 단위에 따라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 단위마다 헤더 정보가 부가되어 영상 부호화의 압축률이 떨어진다.
따라서, 소정 심도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는 서브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들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하고,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선택부(1110)는 서브 부호화 단위의 심도에 기초해 변환 단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선택부(1110)는 도 12c에 도시된 부호화 단위(1210)의 심도가 k 보다 큰 경우에는 예측 단위들(1220)을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1250)로 설정한다.
또한, 선택부(1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소정 심도 이상의 서브 부호화 단위가 복수 개이면, 심도가 소정 값 이상인 복수의 서브 부호화 단위의 예측 단위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3c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큰 심도 서브 부호화 단위들 즉, 심도가 '1'보다 큰 모든 서브 부호화 단위들의 예측 단위들을 하나로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한 예이다.
또한,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부(1010)는 동일한 종류의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이용해 예측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한다. 동일한 종류의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는 유사한 레지듀얼 값들을 포함할 확률이 높으므로,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할 수 있다.
선택부(1010)가 변환 단위를 설정하면, 변환 수행부(1020)는 설정된 변환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예측 단위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선택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하나의 변환 단위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생성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양자화부(920)는 주파수변환부(910)에서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양자화한다. 소정의 양자화 스텝에 따라 입력된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양자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부호화부(930)는 양자화부(920)에서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또는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을 이용해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생성된 변환 단위가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포함하는지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양자화한 결과, 엔트로피 부호화할 양자화된 계수들이 없는 경우 즉,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계수들이 모두 '0'인 경우에는 변환 단위가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포함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만 부호화하고, 양자화된 계수들을 별도로 엔트로피 부호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상이한 변환 단위들에 대해 전술한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반복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심도 또는 예측 모드의 동일성과 같은 소정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기계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최적의 변환 단위는 R-D 코스트(Rate-Distortion Cost)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는데,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변환 단위들을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상이한 변환 단위들에 대해 부호화를 반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부호화 단위(1410)는 부호화 단위보다 작은 크기의 예측 단위(1420)에 기초해 예측 부호화될 수 있다. 예측 결과 생성된 레지듀얼 값들은 이산 코사인 변환되는데, 이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변환 단위에 기초해 이산 코사인 변환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도시된 변환 단위(1430)는 부호화 단위(1410)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며, 부호화 단위(1410)에 포함된 모든 예측 단위를 그룹화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다.
두 번째로 도시된 변환 단위(1440)는 부호화 단위(1410)의 너비를 반분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며,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예측 단위를 각각 그룹화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다.
세 번째로 도시된 변환 단위(1450)는 부호화 단위(1410)의 높이를 반분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며,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예측 단위를 각각 그룹화한 크기의 변환 단위이다.
네 번째로 도시된 변환 단위(1450)는 예측 단위(1420)와 동일한 크기로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 이용하는 변환 단위이다.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도 14에 도시된 변환 단위들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반복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900)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하였는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하였는지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내지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한 경우에는 플래그 정보를 '0'으로 설정하고, 도 13a 내지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한 경우에는 플래그 정보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하는 경우에 최적의 변환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도 14와 같이 서로 상이한 변환 단위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반복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500)는 엔트로피복호화부(1510), 역양자화부(1520), 역주파수변환부(1530) 및 복원부(1540)를 포함한다.
엔트로피복호화부(1510)는 소정의 변환 단위에 대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복호화한다. 도 12a 내지 12c 및 13a 내지 13d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 단위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생성된 변환 단위일 수 있다. 복수의 예측 단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으며,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거나 상이한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9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 단위는 심도에 기초해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한 변환 단위 또는 동일한 종류의 예측 모드 즉,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인터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한 변한 단위일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는 과정을 기계적으로 반복하여 상이한 변환 단위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복호화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선택된 최적의 변환 단위일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복호화부(1510)는 변환 단위가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양자화된 계수들을 별도로 엔트로피 복호화하지 않을 수 있다. 변환 단위가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포함하지 않으면,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양자화된 계수들을 별도로 엔트로피 복호화하지 않는다.
역양자화부(1520)는 엔트로피복호화부(15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변환 단위의 부호화 시에 이용된 양자화 스텝에 따라 엔트로피 복호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역주파수변환부(1530)는 역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픽셀 도메인으로 역변환한다. 역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역이산 코사인 변환하여 픽셀 도메인의 변환 단위를 복원한다. 역변환 결과, 변환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이 복원된다.
복원된 변환 단위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거나 상이한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복원부(1540)는 복원된 변환 단위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예측하여 예측 값들을 생성한다.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된 복수의 예측 단위가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값들이 생성되고,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된 복수의 예측 단위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값들이 생성된다. 생성된 예측 값들과 역주파수변환부(1530)에서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을 가산하여 하나의 부호화 단위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복원한다.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값들이 생성되는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값들이 생성되는지 여부는 부호화 시에 영상 부호화 장치(900)에서 부호화된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하였는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변환 단위를 설정하였는지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해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가 인트라 예측되는 예측 단위를 포함하면,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예측 단위의 예측 값에 기초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변환 단위로 그룹화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는 모두 인터 예측만을 이용해 예측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단계 16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하나의 변환 단위로 설정되는 복수의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도 있고,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예측 단위가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고, 복수의 예측 단위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한다.
복수의 예측 단위를 한꺼번에 예측하여 레지듀얼 값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하였다.
단계 1620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여 하나의 변환 단위를 설정한다. 복수의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도 있고,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도 있다. 심도에 기초해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하거나, 동일한 종류의 예측 모드로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1630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단계 1620에서 설정된 변환 단위에 따라 복수의 예측 단위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하나의 변환 단위를 이산 코사인 변환함으로써 이산 코사인 계수를 생성한다.
단계 1640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단계 1630에서 생성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 즉,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소정의 양자화 스텝에 따라 양자화한다.
단계 1650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단계 1640에서 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CABAC 또는 CAVLC을 이용해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변환 단위에 대해 단계 1610 내지 1640을 반복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이한 변환 단위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반복하여 최적의 변환 단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1710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소정의 변환 단위에 대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엔트로피 복호화한다. 주파수 성분 계수들은 이산 코사인 계수들일 수 있다. 변환 단위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일 수 있다. 복수의 예측 단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으며,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거나 상이한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일 수 있다.
단계 1720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는 단계 17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부호화 시에 이용된 양자화 스텝을 이용해 이산 코사인 계수들을 역양자화한다.
단계 1730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는 단계 1730에서 역양자화된 주파수 성분 계수들을 픽셀 도메인으로 역변환하여 변환 단위를 복원한다. 복원된 변환 단위는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이다. 변환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이 복원된다. 복수의 예측 단위가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이 복원되고, 복수의 예측 단위가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이면,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레지듀얼 값들이 복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 단위는 심도에 기초해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 또는, 동일한 예측 모드에 따라 예측이 수행된 인접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일 수 있다.
단계 1740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는 단계 1730에서 복원된 변환 단위에 포함된 레지듀얼 값들에 기초해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복원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예측하여 예측 값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예측 값들을 단계 1730에서 복원된 레지듀얼 값들과 가산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복원한다. 하나 또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예측하는 방법은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하였다.
변환 단위가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이면,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원되고, 복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예측 단위를 그룹화하여 설정된 변환 단위이면, 복수의 부호화 단위가 복원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부 및 영상 복호화부는 도 1, 2, 4, 5, 9, 11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의 각각의 유닛들에 커플링된 버스, 상기 버스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령, 수신된 메시지 또는 생성된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버스에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4)

  1.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고,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부호화 단위의 분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계층적으로 분할된 상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예측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변환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단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상기 변환단위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 양자화 및 역 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단위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영상과 상기 레지듀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가 아닌 인터 예측 모드로 결정되었을 때,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단위의 크기는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정보에 따라 현재 심도와 하위 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분할됨을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이웃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정사각형인 상기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4분할되고,
    상기 분할정보가 상기 현재 심도에서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하나 이상의 예측 단위는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되고, 하나 이상의 변환 단위가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단위의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단위의 크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분할됨을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이웃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정사각형인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4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4. 영상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영상으로부터 분할된 복수 개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고,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부호화 단위의 분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계층적으로 분할된 상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변환단위의 양자화된 변환계수에 대해 역 양자화 및 역 변환을 수행하여 레지듀를 복원하며,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단위를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영상과 상기 레지듀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파티션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예측단위를 결정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된 변환단위의 분할 형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단위를 결정하고,
    예측 모드가 인트라 예측 모드가 아닌 인터 예측 모드로 결정되었을 때, 상기 부호화 단위의 변환단위의 크기는 상기 부호화 단위의 예측단위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결정되고,
    상기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분할정보에 따라 현재 심도와 하위 심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정보가 현재 심도에서 분할됨을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이웃 부호화 단위들과 독립적으로 정사각형인 상기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4분할되고,
    상기 분할정보가 상기 현재 심도에서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낼 때, 하나 이상의 예측 단위는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되고, 하나 이상의 변환 단위가 상기 현재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
KR1020150049070A 2015-04-07 2015-04-07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70A KR101603271B1 (ko) 2015-04-07 2015-04-07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70A KR101603271B1 (ko) 2015-04-07 2015-04-07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388A Division KR101598144B1 (ko) 2014-05-07 2014-05-07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964A true KR20150045964A (ko) 2015-04-29
KR101603271B1 KR101603271B1 (ko) 2016-03-14

Family

ID=5303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70A KR101603271B1 (ko) 2015-04-07 2015-04-07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4938A (zh) * 2016-05-10 2022-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图像进行编码/解码的方法及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759A (ja) * 2008-11-04 2009-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759A (ja) * 2008-11-04 2009-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通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4938A (zh) * 2016-05-10 2022-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图像进行编码/解码的方法及其装置
CN115174937A (zh) * 2016-05-10 2022-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图像进行编码/解码的方法及其装置
CN115174935A (zh) * 2016-05-10 2022-10-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对图像进行编码/解码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271B1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687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74756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64563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20195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3271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98144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71626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57798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13734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20194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823533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3272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25632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3269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34253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564944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64979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64980B1 (ko) 큰 크기의 변환 단위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