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847A - 배관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847A
KR20150045847A KR20130125636A KR20130125636A KR20150045847A KR 20150045847 A KR20150045847 A KR 20150045847A KR 20130125636 A KR20130125636 A KR 20130125636A KR 20130125636 A KR20130125636 A KR 20130125636A KR 20150045847 A KR20150045847 A KR 2015004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dially
plate
maintenanc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122B1 (ko
Inventor
이상훈
신은전
김혁
Original Assignee
이상훈
신은전
산양공영 주식회사
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신은전, 산양공영 주식회사, 김혁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13012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의 파열부에 부분 보수가 가능함은 물론, 간편한 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외부확장부재 및 내부확장부재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지름 폭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 내부 지름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원활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동부재를 통해 배관 내부의 이물질이 몸체부 내부로의 유입방지는 물론, 배관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배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는 배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각각의 끝단 사이가 서로 이웃하게 방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몸체부 외부에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외부확장부재와, 상기 외부확장부재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외부확장부재와 함께 상기 배관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둘레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내부확장부재 및 상기 몸체부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외부확장부재 및 상기 내부확장부재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보수장치{PIPE REPAIR DEVICE}
본 발명은 배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의 파열부에 부분 보수가 가능함은 물론, 간편한 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외부확장부재 및 내부확장부재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지름 폭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 내부 지름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원활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동부재를 통해 배관 내부의 이물질이 몸체부 내부로의 유입방지는 물론, 배관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배관 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배관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하수도관, 도시가스관, 석유화학공장의 플랜트관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물, 유류, 액화가스 또는 그와 유사한 종류의 유체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배관은 설치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화나 부식으로 인하여 틈이 생기거나 공사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배관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대형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근래에는 관 라이닝재를 이용한 관로 복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외표면을 기밀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한 관상 수지 흡착재에, 액상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킨 관 라이닝재를 관로 내에 반전 삽입하여 관 라이닝재 내부 전체 길이에 걸쳐 온수 분출관을 배치시키고, 관 라이닝재 내부에 압력공기를 보내어 관 라이닝재를 관로 벽면에 밀착 가압시킨다. 이 상태를 유지하여 분출관 내에 온수를 보내고, 분출관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된 분출구로부터 온수를 분사시켜 관 라이닝재 내면에 온수를 분출하고, 그 다음, 분출하여 냉각된 온수를 회수하여 보일러로 재가열하고, 다시 분출관에 보내어 관 라이닝재 내면에 분출하였다. 즉, 관 라이닝재를 공기압으로 관로 벽면에 밀착시키고, 온수 분출에 의한 순환 가열을 함으로써 관 라이닝재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 및 경화시켜 관로 내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형성하여 노후관을 복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로 보수 방법은 관로 전체길이에 대한 보수 방법으로서, 부분적으로 훼손된 관로를 보수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수가 필요한 관로 내에 보수를 위한 플라스틱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 복잡한 보수장치를 이용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효율적이지 못함과 동시에 보수에 따른 비용도 적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수장치가 관로 내를 이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이나 상기 관로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관로 내의 부분적으로 파손된 부위에 보수작업이 가능한 배관 보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의 단순화는 물론, 작업시간이 효율적이고, 보수비용의 부담이 적은 배관 보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로 내를 이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애물에 상관없이 이동 가능한 배관 보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는 배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확장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는 접철식 구조로 설치되며, 확장 위치시에 접착된 보수재를 상기 배관 내면에 부착하는 보수재 부착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부착부를 확장 위치와 수축위치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수재 부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각각의 끝단 사이가 서로 이웃하게 방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 외부에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외부확장부재 및 상기 외부확장부재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외부확장부재와 함께 상기 배관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둘레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내부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확장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보수재가 접착되는 외부확장판 및 상부가 상기 외부확장판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동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확장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보수재가 접착되는 내부확장판 및 상부가 상기 내부확장판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동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확장판 또는 상기 내부확장판은 각각의 상면에 상기 보수재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수재는 무기질 교착재로서의 모르타르(MORTAR)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동력부가 고정설치되는 설치판과,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설치판에 방사형태로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수재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링 및 상기 가이드링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링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감판 및 각각의 상기 마감판 일측에 방사형태로 결합하며, 상기 배관의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로드가 삽입된 실린더;
상기 로드에 결합하며, 외부에 방사형태로 상기 보수재 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승강링 및 상기 제1승강링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하며, 외부에 방사형태로 상기 보수재 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승강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1승강링 및 상기 제2승강링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수재 부착부가 확장 또는 수축위치로 이동시에 시간차에 의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분 보수가 가능함은 물론, 간편한 실린더의 동작을 통해 외부확장부재 및 내부확장부재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지름 폭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 내부 지름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원활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동부재를 통해 배관 내부의 이물질이 몸체부 내부로의 유입방지는 물론, 배관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보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의 정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의 작용관계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의 완충부재 작용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이하, 간략히 '보수장치'라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수장치(1)는 크게 몸체부(100), 동력부(200), 외부확장부재(310)와 내부확장부재(320)를 포함하는 보수재 부착부(30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후술하는 동력부(200),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가 설치되고, 배관(P) 내벽을 따라 상기 배관(P)에 형성된 파열부(Pa)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배관(P)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동력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판(110), 가이드봉(120), 가이드링(130) 및 이동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판(11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며, 방사형태로 가이드봉(120)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설치판(110)의 설치위치는 제1승강링(220)과 제2승강링(230)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하여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가 순차적으로 펼쳐져 배관(P) 내부 지름 폭과 동일 형상의 원주를 이룰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봉(120)은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기둥형상을 가지며, 설치판(110)에 방사형태로 관통 삽입되며, 양끝단이 가이드링(130) 외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봉(120)의 적정 길이는 적어도 설치판(110)에 설치된 실린더(210)에 의해 제1승강링(220)과 제2승강링(230)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가 순차적으로 펼쳐질 때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원주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링(130)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봉(120)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이 방사형태로 삽입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가이드링(130)에는 기둥형상의 제1 및 제2돌출부(311a,321a)가 순차적으로 교번되게 삽입되는 승강홈(131)이 방사형태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재(140)는 배관(P)에 형성된 파열부(Pa) 하부에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가 위치하도록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감판(141) 및 바퀴(143)를 포함한다.
마감판(14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가이드링(130)에 각각 설치되어 배관(P) 내부를 이동시에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몸체부(100) 내부 즉, 동력부(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마감판(141)은 일 예로 판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배관(P) 내부를 이동시에 이물질을 헤집고 이동가능하도록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꼭지점이 돌출형성된 고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143)는 배관(P) 내벽과 접하도록 각각의 마감판(141)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된다. 이때 바퀴(143)는 360°회전이 가능하고, 배관(P)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완충수단이 구비된 캐스터(CAS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200)는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외면에 보수재(400)가 구비된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를 순차적으로 펼쳐져 상기 보수재(400)가 배관(P) 내부에 형성된 파열부(Pa)에 도포되어 보수될 수 있도록 외부확장부재(310) 및 내부확장부재(32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린더(210), 제1승강링(220), 제2승강링(230) 및 완충부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210)는 수평방향으로 로드(211)가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판(110)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실린더(210)에 구비된 로드(211)는 설치판(110)에 관통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승강링(220) 및 제2승강링(230)은 각각 로드(211) 외부와 결합하여 상기 로드(211)의 왕복 운동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승강링(220)은 로드(211) 선단에 고정결합하여 제2링크(323) 하부와 방사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승강링(230)은 제1승강링(220)과 설치판(110) 사이에 구비되어 제1링크(313) 하부와 방사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부재(240)는 제1승강링(220)과 제2승강링(230) 사이에 탄성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외부확장부재(310)와 내부확장부재(320)가 순차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완충부재(240)는 코일형상의 인장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확장부재(310) 및 상기 내부확장부재(320)는 각각 외면에 보수재(400)가 접착되며, 동력부(200)에 의해 배관(P) 내부 지름 폭과 대응하는 지름 폭을 갖도록 교번되게 펼쳐져 상기 배관(P) 내부의 파열부(Pa)에 상기 보수재(400)를 도포하여 보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보수재(400)는 외부확장부재(310)와 내부확장부재(320)의 외면에 접착되어 동력부(200)를 통해 방사상으로 펼쳐질 때, 배관(P)에 형성된 파열부(Pa)의 보수를 위해 도포되며, 강도, 내수성, 내화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벽이나 천장 등의 마감재료로 사용하는 무기질 교착재로서의 모르타르(MORTA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확장부재(310)는 외면에 보수재(400)가 접착되어 내부확장부재(320)와 함께 배관(P) 내부의 파열부(Pa)에 상기 보수재(400)를 도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확장판(311) 및 제1링크(3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외부확장판(311)은 외면에 보수재(400)가 접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311a)를 통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링(130)의 승강홈(131)에 하부가 삽입되어 각각의 끝단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진다. 이때 외부확장판(311)은 방사상으로 펼쳐진 후, 후술하는 내부확장판(321)이 공간부(S)를 폐쇄하여 상기 내부확장판(321)과 함께 배관(P)의 파열부(Pa)에 보수재(400)가 도포가능하게 원주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링(130)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크(313)는 상부가 외부확장판(31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제2승강링(23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2승강링(230)의 이동에 따라 외부확장판(311)이 몸체부(100) 외부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내부확장부재(320)는 외면에 보수재(400)가 접착되어 외부확장부재(310)와 함께 배관(P) 내부의 파열부(Pa)에 상기 보수재(400)를 도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확장판(321) 및 제2링크(32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내부확장판(321)은 외면에 보수재(400)가 접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면 양측에는 외부확장판(311)이 최대치까지 펼쳐진 후에, 상기 외부확장판(311)의 지름 폭과 동일한 지름 폭을 갖게 내부확장판(321)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외부확장판(311) 하면과 면 접촉하는 안착홈(321b)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확장판(311) 하부에 방사형태로 구비되고, 하부 양측에 기둥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321a)를 통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링(130)의 승강홈(131)에 삽입된다. 이때 내부확장판(321)은 최대치까지 펼쳐진 외부확장판(311) 각각의 끝단에 형성된 공간부(S)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확장판(311)과 교번되게 방사상으로 다수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링크(323)는 상부가 내부확장판(3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제1승강링(2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승강링(220)의 이동에 따라 내부확장판(321)을 수직으로 승강시킨다.
아울러,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 각각의 상면은 상승시에 서로 교번되게 포개져 배관(P) 내부 지름 폭과 대응하는 원주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 호(弧)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면에 보수재(400)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33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때 접착부(330)는 내부확장판(321) 상면이 외부확장판(311) 하면과 포개질 때, 상기 내부확장판(321)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33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비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배관(P) 내벽에 보수재(400)를 도포시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확장부재(310)와 내부확장부재(320)는 외면에 구비된 접착부(330)에 보수재(400)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이동부재(140)를 통해 보수하고자 하는 배관(P)의 파열부(Pa) 하부에 외부확장부재(310)와 내부확장부재(320)가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실린더(210)의 로드(211)를 수평이동시켜 제1 및 제2승강링(220,230)에 의해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이 순차적으로 서로 교번되게 포개져 배관(P) 내부 지름 폭과 대응하는 원주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 상면에 접착된 보수재(400)를 파열부(Pa)에 도포하여 보수를 실시하고, 다시 역순으로 실린더(210)의 로드(211)를 이동시켜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이 방사상으로 접히도록 하강시켜 이동부재(140)를 통해 배관(P) 외부로 빠져나오게 한다.
즉, 로드(211)가 실린더(210)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승강링(220,230)이 함께 이동하게 되고, 제1 및 제2승강링(220,230)의 이동에 의해 제1 및 제2링크(313,323)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이 제1 및 제2돌출부(311a,321a)를 통해 가이드링(130)에 안내되어 원주를 형성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파열부(Pa)에 보수재(400)가 도포되는 것이다.
아울러,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승강링(220,23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40)에 의해 순차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게 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로드(211)의 이동을 통해 제2승강링(230)이 설치판(110)에 지지되도록 이동하면 제1링크(313)가 수직으로 세워져 외부확장판(311)이 상방으로 최대치까지 펼쳐지게 된다. 이때 내부확장판(321)은 완충부재(240)에 의해 제1승강링(220)이 지지되어 제2링크(323)가 완전히 펼쳐지지 못한 상태이므로 외부확장판(311) 하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11)가 최대치까지 이동하면 완충부재(240)가 가압되어 제1승강링(220)이 이동함과 동시에 제2링크(323)가 완전히 펼쳐져 내부확장판(321)의 상면이 외부확장판(311)의 하면과 면 접촉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작동을 역순으로 행하면 완충부재(240)의 탄성에 의해 제2승강링(230)은 고정된 상태로 제1승강링(220)이 먼저 완충부재(240)의 탄성에 의해 이동하여 내부확장판(321)이 외부확장판(311)과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접히게 된다.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완충부재(240)를 통해 외부확장판(311) 및 내부확장판(321)이 서로 교번되게 순차적으로 펼쳐져 파열부(Pa)에 전체적으로 보수재(400)를 도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이동부재(140)를 통해 배관(P) 내부의 이물질이 몸체부(100) 내부로의 유입방지는 물론, 상기 배관(P) 내벽에 고착된 장애물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배관 보수장치
100: 몸체부 110: 설치판
120: 가이드봉 130: 가이드링
131: 승강홈 140: 이동부재
141: 마감판 143: 바퀴
200: 동력부 210: 실린더
211: 로드 220: 제1승강링
230: 제2승강링 240: 완충부재
310: 외부확장부재 311: 외부확장판
313: 제1링크 320: 내부확장부재
321: 내부확장판 323: 제2링크
330: 접착부 400: 보수재

Claims (10)

  1. 배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확장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는 접철식 구조로 설치되며, 확장 위치시에 접착된 보수재를 상기 배관 내면에 부착하는 보수재 부착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수재 부착부를 확장 위치와 수축위치로 반복하여 구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재 부착부는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각각의 끝단 사이가 서로 이웃하게 방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동력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 외부에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외부확장부재; 및
    상기 외부확장부재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방사형태로 다수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상기 외부확장부재와 함께 상기 배관의 내면과 면 접촉하는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둘레면을 형성하도록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되는 내부확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확장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보수재가 접착되는 외부확장판; 및
    상부가 상기 외부확장판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동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확장부재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면에 보수재가 접착되는 내부확장판; 및
    상부가 상기 내부확장판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하부가 상기 동력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확장판 또는 상기 내부확장판은
    각각의 상면에 상기 보수재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재는
    무기질 교착재로서의 모르타르(MORT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동력부가 고정설치되는 설치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상기 설치판에 방사형태로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수재 부착부가 방사상으로 펼쳐지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링; 및
    상기 가이드링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몸체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링 일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마감판; 및
    각각의 상기 마감판 일측에 방사형태로 결합하며, 상기 배관의 내벽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로드가 삽입된 실린더;
    상기 로드에 결합하며, 외부에 방사형태로 상기 보수재 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승강링; 및
    상기 제1승강링과 상기 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로드에 결합하며, 외부에 방사형태로 상기 보수재 부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승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제1승강링 및 상기 제2승강링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수재 부착부가 확장 또는 수축위치로 이동시에 시간차에 의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수장치.
KR1020130125636A 2013-10-21 2013-10-21 배관 보수장치 KR101524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636A KR101524122B1 (ko) 2013-10-21 2013-10-21 배관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636A KR101524122B1 (ko) 2013-10-21 2013-10-21 배관 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847A true KR20150045847A (ko) 2015-04-29
KR101524122B1 KR101524122B1 (ko) 2015-06-01

Family

ID=5303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636A KR101524122B1 (ko) 2013-10-21 2013-10-21 배관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90B1 (ko) * 2017-10-18 2018-09-04 산양공영(주) 배관 보수 방법
CN109268617A (zh) * 2018-12-12 2019-01-25 上海景朋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管道扩张器
KR20200068327A (ko) * 2018-12-05 2020-06-15 전광열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CN115388267A (zh) * 2022-09-06 2022-11-2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管道密封及保持稳定的管道撑开装置
CN117948483A (zh) * 2024-03-25 2024-04-30 克拉玛依市独山子区晟通热力有限责任公司 一种免开挖修复埋管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16B1 (ko) * 2018-12-05 2021-05-03 테크노포스 주식회사 주입식 라이너 형성 방식 관로 부분 보수 장치 및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744B2 (ja) * 1993-06-15 1995-12-13 管清工業株式会社 管路補修用貼着嵌合装置
JP2003214590A (ja) * 2001-11-14 2003-07-30 Sekisui Chem Co Ltd 更生管の補修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される補修部材並びに補修機
KR200370172Y1 (ko) * 2004-09-14 2004-12-14 성림산업(주) 관로 보수기
KR100924364B1 (ko) * 2007-11-30 2009-10-30 김성진 변형 도관의 복원 기능을 겸비한 도관 보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90B1 (ko) * 2017-10-18 2018-09-04 산양공영(주) 배관 보수 방법
KR20200068327A (ko) * 2018-12-05 2020-06-15 전광열 관로 라이너 비굴착 고주파 처리 장치 및 공법
CN109268617A (zh) * 2018-12-12 2019-01-25 上海景朋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管道扩张器
CN115388267A (zh) * 2022-09-06 2022-11-25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管道密封及保持稳定的管道撑开装置
CN115388267B (zh) * 2022-09-06 2024-04-12 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管道密封及保持稳定的管道撑开装置
CN117948483A (zh) * 2024-03-25 2024-04-30 克拉玛依市独山子区晟通热力有限责任公司 一种免开挖修复埋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122B1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122B1 (ko) 배관 보수장치
US8783297B2 (en) Robotic system for pipeline rehabilitation
US9163468B2 (en) Expandable casing patch
CN106164558B (zh) 用于在管壁上作业的工具以及相关方法
US8118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pipe
US20160178108A1 (en) Repair and reinforcement of pressurized pipes
CN104153735A (zh) 膨胀管补贴装置
CA2615757A1 (en) Reinforced open-hole zonal isolation packer
US20160195202A1 (en) Expandable air hose and process
KR101355808B1 (ko) 단축식 관로 보수기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공법
JP2019513951A (ja) 管状ライナを硬化させるための長さ調節可能な装置
CN203836417U (zh) 一种新型的伸缩管
CN108087655A (zh) 管道修复气囊及采用该管道修复气囊的管道修复工艺
JP6952984B2 (ja) 止水プラグ
EA024200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ервоначальной формы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ой трубы
KR20130063067A (ko) 다양한 내경의 하수관로에 사용될 수 있는 보수장치
CN209839474U (zh) 一种扩张式拼接管道修复型材及扩张装置
KR101935403B1 (ko) 튜브형 관로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
CN205857144U (zh) 一种海上平台桩腿内壁可变步长自动爬行机器人
CN203784492U (zh) 伸缩管
US7779747B2 (en) Actu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mechanical motion
CN112797253A (zh) 一种软管支撑结构、管道内壁修复装置及管道内壁修复方法
CN107514239A (zh) 定位机构、定位装置和定位管柱
US7220080B1 (en) Sag correction system
CN104048117A (zh) 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