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62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62A
KR20150045762A KR20130125426A KR20130125426A KR20150045762A KR 20150045762 A KR20150045762 A KR 20150045762A KR 20130125426 A KR20130125426 A KR 20130125426A KR 20130125426 A KR20130125426 A KR 20130125426A KR 20150045762 A KR20150045762 A KR 2015004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electrode
layer
light emitt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762A/ko
Publication of KR2015004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판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3 전극 상에 위치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 정의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소 회로, 화소 회로와 연결된 제1 전극, 제1 전극을 노출하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층,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개구부에 대응하여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제2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였다.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스페이서가 이웃하는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였는데, 제2 기판이 외력에 의해 휘어질 경우 제2 기판이 스페이서에 접촉함으로써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물질이 제2 기판에 의도치 않게 전사되었다. 이때, 외력이 제거되어 제2 기판이 플랫(flat)한 형태로 돌아가면 제2 기판에 전사된 물질이 개구부 상에 위치하게 되어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발광되는 빛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력에 의해 제2 기판이 휘어져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물질이 제2 기판에 전사되더라도, 제2 기판에 전사된 물질이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판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3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3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며, 이웃하는 상기 제3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 및 이웃하는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상기 제3 개구부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가상선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1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가상선의 교차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2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3 유기 발광층,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2 공통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유기 발광층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기 발광층은 청색의 빛을 발광하며,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발광하며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층 및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제2 기판이 휘어져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물질이 제2 기판에 전사되더라도, 제2 기판에 전사된 물질이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전극, 화소 정의층, 유기 발광층, 스페이서를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제1 기판(SU1), 회로부(PC),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화소 정의층(PDL), 스페이서(SPC), 제1 공통층(CL1),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제2 공통층(CL2), 공통 전극(CE), 제2 기판(SU2)을 포함한다.
제1 기판(SU1)은 유리, 석영, 세라믹, 금속,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기판(SU1)이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 스트렛처블(stretchable) 또는 롤러블(rollable)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회로부(PC)는 제1 기판(SU1) 상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 데이터 라인, 구동 전원 라인, 공통 전원 라인 등을 포함하는 배선,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여 배선에 연결된 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apacitor) 등의 화소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PC)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제1 전극(E1)은 제1 기판(SU1)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이다. 복수의 제1 전극(E1) 각각은 제1 기판(SU1)의 판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L1)을 따라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전극(E2)은 제1 기판(SU1)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이다. 복수의 제2 전극(E2) 각각은 제1 방향(L1)을 따라 이웃하는 제1 전극(E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전극(E3)은 제1 기판(SU1) 상에 위치하며, 복수개이다. 복수의 제3 전극(E3) 각각은 제1 방향(L1)과 나란한 제2 방향(L2)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3 전극(E3)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과 대응하고 있다. 제3 전극(E3)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대비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각각은 정공 주입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애노드(anode) 전극이거나,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은 광 투과성 전극, 광 반투과성 전극 또는 광 반사성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정의층(PDL)은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상에 위치하며,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각각의 테두리를 덮고 있다. 화소 정의층(PDL)은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각각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및 제3 개구부(OM3)를 포함한다.
제1 개구부(OM1)는 제1 전극(E1)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1 개구부(OM1)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1 개구부(OM1) 각각은 제3 개구부(OM3) 및 제2 개구부(OM2) 각각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3 개구부(OM3) 대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1 개구부(OM1)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부(OM1)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1 개구부(OM1) 각각은 복수의 제1 전극(E1) 각각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다. 제1 개구부(OM1)에 의해 개구된 제1 전극(E1) 상에는 적색의 빛을 발광하는 제1 유기 발광층(OL1)이 위치한다. 한편, 제1 개구부(OM1)에 의해 개구된 제1 전극(E1) 상에는 청색, 녹색 또는 백색 등의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M2)는 제2 전극(E2)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2 개구부(OM2)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2 개구부(OM2) 각각은 제3 개구부(OM3) 및 제1 개구부(OM1) 각각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3 개구부(OM3) 대비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2 개구부(OM2)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OM2)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2 개구부(OM2) 각각은 복수의 제2 전극(E2) 각각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다. 제2 개구부(OM2)에 의해 개구된 제2 전극(E2) 상에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는 제2 유기 발광층(OL2)이 위치한다. 한편, 제2 개구부(OM2)에 의해 개구된 제2 전극(E2) 상에는 청색, 적색 또는 백색 등의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개구부(OM3)는 제3 전극(E3)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3 개구부(OM3)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3 개구부(OM3) 각각은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각각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대비 큰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3 개구부(OM3)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개구부(OM3)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제3 개구부(OM3) 각각은 복수의 제3 전극(E3) 각각의 일부를 개구하고 있다. 제3 개구부(OM3)에 의해 개구된 제3 전극(E3) 상에는 청색의 빛을 발광하는 제3 유기 발광층(OL3)이 위치한다. 한편, 제3 개구부(OM3)에 의해 개구된 제3 전극(E3) 상에는 녹색, 적색 또는 백색 등의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각각의 단변은 제3 개구부(OM3)의 장변과 대향하고 있다.
스페이서(SPC)는 화소 정의층(PDL)의 최상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SPC)는 복수의 제3 개구부(OM3) 중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SPC)는 제1 개구부(OM1)와 제2 개구부(OM2) 사이가 아닌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이 이웃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SPC)는 복수개이며, 복수의 스페이서(SPC) 각각은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에서 제1 개구부(OM1)와 제2 개구부(OM2) 사이와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가상선(VL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SPC)는 본체부(MB)를 포함한다.
본체부(MB)는 제1 가상선(VL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사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MB)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 및 제2 단부(ED2) 각각은 제1 개구부(OM1)와 제3 개구부(OM3) 사이와 제2 개구부(OM2)와 제3 개구부(OM3)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가상선(VL2)과 제1 가상선(VL1)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부(MB)는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과 이격되어 있다. 본체부(MB)는 설정된 이격 거리를 가지고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과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SPC)는 화소 정의층(PDL)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통층(CL1)은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화소 정의층(PDL) 및 스페이서(SPC)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층(OL1)은 제1 개구부(OM1)에 대응하여 제1 전극(E1)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C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유기 발광층(OL1)은 적색(red)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적색의 빛을 발광한다.
한편, 제1 유기 발광층(OL1)은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한다.
제2 유기 발광층(OL2)은 제2 개구부(OM2)에 대응하여 제2 전극(E2)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C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유기 발광층(OL2)은 녹색(green)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녹색의 빛을 발광한다.
한편, 제2 유기 발광층(OL2)은 적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한다.
제3 유기 발광층(OL3)은 제3 개구부(OM1)에 대응하여 제3 전극(E3)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CL1)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유기 발광층(OL3)은 청색(blue)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청색의 빛을 발광한다.
한편, 제3 유기 발광층(OL3)은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색, 녹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한다.
즉, 상술한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한다. 또한, 제3 유기 발광층(OL3)은 청색의 빛을 발광하며, 제1 유기 발광층(OL1) 및 제2 유기 발광층(OL2) 중 어느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발광하며,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발광한다.
제2 공통층(CL2)은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화소 정의층(PDL) 및 스페이서(SPC)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CL1) 상에 위치하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제1 기판(SU1) 전면에 걸쳐서 제2 공통층(CL2)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자 주입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이거나, 정공 주입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광 투과성 전극 또는 광 반사성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SU2)은 유리, 석영, 세라믹, 금속,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기판(SU2)이 제1 기판(SU1)과 함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경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 스트렛처블(stretchable) 또는 롤러블(rollable)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스페이서(SPC)가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휘어진 제2 기판(SU2)이 스페이서(SPC)와 접촉하여 스페이서(SPC) 상에 위치하는 제2 공통층(CL2)을 구성하는 물질이 제2 기판(SU2)에 의도치 않게 전사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어 제2 기판이 플랫(flat)한 형태로 돌아가도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한편,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3 개구부(OM3) 상에 위치하더라도,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대비 큰 면적을 가지는 제3 개구부(OM3)의 양 단부측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제3 개구부(OM3)로부터 발광되는 청색의 빛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스페이서(SPC)의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 및 제2 단부(ED2) 각각이 제1 가상선(VL1)과 제2 가상선(VL2)의 교차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제2 기판(SU2)이 휘어지더라도 제2 기판(SU2)이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에 의해 노출된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는 스페이서(SPC)의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 및 제2 단부(ED2) 각각이 제1 가상선(VL1)과 제2 가상선(VL2)의 교차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제2 기판(SU2)이 휘어져 제2 기판(SU2)이 스페이서(SPC)를 압력하여 스페이서(SPC)의 제1 단부(ED1) 및 제2 단부(ED2)의 일부가 파손되어 이물질이 스페이서(SPC)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스페이서(SPC)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각각으로 이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스페이서(SPC)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제3 개구부(OM3) 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이동된 이물질이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대비 면적이 큰 제3 개구부(OM3)의 양 단부측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제3 개구부(OM3)로부터 발광되는 청색의 빛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의 스페이서(SPC)는 본체부(MB) 및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 및 제2 단부(ED2) 각각으로부터 제2 가상선(VL2)을 따라 연장된 제1 확장부(EX1)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는 스페이서(SPC)가 본체부(MB) 및 제1 확장부(EX1)를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제2 기판(SU2)이 휘어지더라도 제1 확장부(EX1)가 외력에 의해 휘어진 제2 기판(SU2)의 일 부분을 블록(block)하기 때문에, 휘어진 제2 기판(SU2)이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에 의해 노출된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는 스페이서(SPC)의 본체부(MB) 및 제1 확장부(EX1)가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에서 제1 가상선(VL1)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휘어진 제2 기판(SU2)이 스페이서(SPC)와 접촉하여 스페이서(SPC) 상에 위치하는 제2 공통층(CL2)을 구성하는 물질이 제2 기판(SU2)에 의도치 않게 전사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어 제2 기판이 플랫(flat)한 형태로 돌아가도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한편,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3 개구부(OM3) 상에 위치하더라도,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대비 큰 면적을 가지는 제3 개구부(OM3)의 양 단부 측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제3 개구부(OM3)로부터 발광되는 청색의 빛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2)가 제공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3)는 스페이서(SPC)의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만이 제1 가상선(VL1)과 제2 가상선(VL2)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SPC)는 본체부(MB) 및 본체부(MB)의 제1 단부(ED1)로부터 제2 가상선(VL2)을 따라 연장된 제2 확장부(EX2)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3)는 스페이서(SPC)가 본체부(MB) 및 제2 확장부(EX2)를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제2 기판(SU2)이 휘어지더라도 제2 확장부(EX2)가 외력에 의해 휘어진 제2 기판(SU2)의 일 부분을 블록(block)하기 때문에, 휘어진 제2 기판(SU2)이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에 의해 노출된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3)는 스페이서(SPC)의 본체부(MB)가 이웃하는 제3 개구부(OM3) 사이에서 제1 가상선(VL1)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2 확장부(EX2)가 제2 가상선(VL2)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휘어진 제2 기판(SU2)이 스페이서(SPC)와 접촉하여 스페이서(SPC) 상에 위치하는 제2 공통층(CL2)을 구성하는 물질이 제2 기판(SU2)에 의도치 않게 전사되더라도, 외력이 제거되어 제2 기판이 플랫(flat)한 형태로 돌아가도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한편, 제2 기판(SU2)에 전사된 물질이 제3 개구부(OM3) 상에 위치하더라도, 제1 개구부(OM1) 및 제2 개구부(OM2) 대비 큰 면적을 가지는 제3 개구부(OM3)의 양 단부 측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제3 개구부(OM3)로부터 발광되는 청색의 빛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제1 개구부(OM1), 제2 개구부(OM2), 제3 개구부(OM3) 각각을 통해 발광되는 빛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1 유기 발광층(OL1), 제2 유기 발광층(OL2), 제3 유기 발광층(OL3) 각각으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에 얼룩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3)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기판(SU1),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화소 정의층(PDL), 스페이서(SPC), 제2 기판(SU2)

Claims (12)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판면을 따라 연장된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제2 방향을 따라 각각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이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3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2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3 전극의 일부를 개구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층;
    상기 화소 정의층 상에 위치하며, 이웃하는 상기 제3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제2 기판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 사이 및 이웃하는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1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본체부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본체부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상기 제3 개구부 각각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는 상기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가상선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2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1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는 상기 제1 가상선과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2 가상선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본체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가상선을 따라 연장된 제2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제1 공통층;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3 유기 발광층;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스페이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공통층 상에 위치하는 제2 공통층
    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상기 제3 유기 발광층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3 유기 발광층은 청색의 빛을 발광하며,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중 어느 하나는 적색의 빛을 발광하며 다른 하나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화소 정의층 및 상기 스페이서는 일체로 형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125426A 2013-10-21 2013-10-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45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426A KR20150045762A (ko) 2013-10-21 2013-10-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426A KR20150045762A (ko) 2013-10-21 2013-10-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62A true KR20150045762A (ko) 2015-04-29

Family

ID=5303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426A KR20150045762A (ko) 2013-10-21 2013-10-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59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851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1021516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72809B2 (en) Array substra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61290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0480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83888B1 (ko) 투명 oled 부품 및 그 부품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631700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2101028B1 (ko) 표시장치
KR102659044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6837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47332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721999B2 (en) Pixel element structure, arra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21411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102172386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14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마스크 유닛
KR1024366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519618B2 (en) Display
KR2015004576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980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27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US9613987B2 (en) Display device
KR102396378B1 (ko) 유기발광 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8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