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89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894A
KR20150044894A KR1020157003805A KR20157003805A KR20150044894A KR 20150044894 A KR20150044894 A KR 20150044894A KR 1020157003805 A KR1020157003805 A KR 1020157003805A KR 20157003805 A KR20157003805 A KR 20157003805A KR 20150044894 A KR20150044894 A KR 2015004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link
status information
buffer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권
서한별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4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0Routing based on monitoring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과의 링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측정 결과가 소정 조건 만족시 링크 실패(link failure) 선언을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에 있어서, 측정(measurement) 및 이에 연관된 통신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란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거치지 않고 단말 간에 음성, 데이터 등을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D2D 통신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D2D 통신에 의하면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D2D 통신을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D2D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D2D 링크 모니터링 및 링크 실패 선언시 구체적인 통신 수행 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과의 링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측정 결과가 소정 조건 만족시 링크 실패(link failure) 선언을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조건은 제어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한 패킷의 인덱스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전송 블록 인덱스 또는 IP 패킷 시퀀스 번호(IP packet sequence number)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링크 측정은 상기 제2 단말 또는 상기 제3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지시된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3 단말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링크 실패 선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버퍼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1 단말의 링크 측정 결과 제어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한 패킷의 인덱스일 수 있다.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전송 블록 인덱스 또는 IP 패킷 시퀀스 번호(IP packet sequence number)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의 링크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2D 링크 품질의 변동에 따라 링크 실패가 선언되더라도 연속성 있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참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2D 링크 실패 선언시 신호 송수신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 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셀의 명칭은 기지국(base station, eNB), 섹트(sector), 리모트라디오헤드(remote radio head, RRH), 릴레이(relay)등의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며, 또한 특정 송수신 포인트에서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분하기 위한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LTE-A 자원 구조/채널
도 1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블록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개수(NDL)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 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되는 패킷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왜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올바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왜곡을 보정하여야 한다. 채널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가 채널을 통해 수신될 때의 왜곡 정도를 가지고 채널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고 한다.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황을 알아야 올바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좀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포트(port)별로 별도의 참조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참조신호는 상향링크 참조신호와 하향링크 참조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LTE 시스템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로써,
i) PUSCH 및 PUCCH를 통해 전송된 정보의 코히런트(coherent)한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i) 기지국이, 네트워크가 다른 주파수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있다.
한편, 하향링크 참조신호에는,
i) 셀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셀-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ii) 특정 단말만을 위한 단말-특정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iii) PDSCH가 전송되는 경우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v) 하향링크 DMRS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v)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모드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MBSFN 참조신호(MBSFN Reference Signal)
vi) 단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참조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있다.
참조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목적의 참조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참조신호가 있다. 전자는 UE가 하향 링크로의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 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참조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오버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리소스에 함께 보내는 참조신호로서, 단말은 해당 참조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참조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CRS는 채널 정보 획득 및 데이터 복조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며, 단말 특정 참조신호는 데이터 복조용으로만 사용된다. CRS는 광대역에 대해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며, 기지국의 전송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참조신호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일 경우, 0번과 1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고, 4개인 경우 0∼3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각각 전송된다.
도 5는 기존의 3GPP LTE 시스템 (예를 들어, 릴리즈-8)에서 정의하는 CRS 및 DRS가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 (RB pair) 상에 매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신호가 매핑되는 단위로서의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주파수 상으로 12 부반송파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일반 CP의 경우(도 5(a))에는 14 개의 OFDM 심볼 길이, 확장된 CP의 경우(도 5(b))에는 12 개의 OFDM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5는 기지국이 4 개의 전송 안테나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자원블록 쌍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0', '1', '2' 및 '3'으로 표시된 자원 요소(RE)는, 각각 안테나 포트 인덱스 0, 1, 2 및 3에 대한 CRS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 5에서 'D'로 표시된 자원 요소는 DMRS의 위치를 나타낸다.
측정/측정 보고(Measurement/Measurement Report)
측정 보고는 단말의 이동성(mobility) 보장을 위한 여러 방법들(핸드오버, 랜덤 액세스, 셀 탐색 등) 중 하나 또는 그 여러 방법들을 위한 것이다. 측정 보고는 어느 정도 코히런트한 복조가 필요하므로 수신신호강도 측정을 제외하고는 단말이 동기 및 물리계층 파라미터들을 획득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측정 보고는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신호 세기 혹은 총 수신 전력 대비 신호 세기 등을 측정하는 참조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 RSRP),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참조신호수신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등의 RRM 측정과 서빙 셀과의 링크 품질을 측정하여 라디오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RLM 측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RRM과 관련하여, RSRP는 하향링크에서 CRS가 전송되는 RE의 전력 분배의 선형 평균이다. RSSI는 해당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총 수신 전력의 선형 평균으로써 안테나 포트 0을 위한 RS를 포함하는 OFDM 심볼이 그 측정 대상으로써, 인접한 셀들로부터의 간섭 및 노이즈 전력 등을 포함하는 측정값이다. 만약,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RSRQ의 측정을 위해 특정 서브프레임을 지시하는 경우, RSSI는 그 지시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OFDM 심볼에 대해 측정된다. RSRQ는 N*RSRP/RSSI 형태로 측정되는 값이며, 이때 N은 RSSI 측정 시 해당 대역폭의 RB 개수이다.
RLM을 수행하는 목적은 단말이 자신의 서빙 셀의 하향 링크 품질을 모니터하도록 하여, 단말이 해당 셀에 대해서 'in-sync' 또는 'out-of-synch'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이 때 RLM은 CRS 기반으로 한다. 단말이 추정한 하향 링크 품질은 'in-synch threshold(Qin)'와 'out-of-synch threshold(Qout)'와 비교된다. 이들 임계값(threshold)은 서빙 셀의 PDCCH BLER(Block Error Rate)로서 표현될 수 있는데, 특히 Qout 과Qin 은 각각 10%, 2% BLER에 해당하는 값이다. 실제로 Qin 과 Qout 은 수신된 CRS의 SINR에 대응하는 값으로, CRS 수신 SINR이 일정 수준 이상(Qin)이면 단말은 해당 셀에 어태치 하고 있을 것을 결정하고, 수신 SINR이 일정 수준 이하(Qout)이면 RLF (Radio Link Failure)를 선언한다.
위에서 설명된 RSRP 등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 측정 보고는 CRS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 다만, 셀들이 동일한 PCID를 공유하는 경우는 CRS로부터 동일 PCID를 갖는 셀들을 구분할 수 없으므로, CRS에 기반하여 RSRP/RSRQ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만으로는 각 셀에 대한 RRM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셀들이 동일한 PCID를 갖는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CSI-RS에 기반하여 추가적인 RSRP/RSRQ 측정 보고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셀의 CSI-RS를 수신할 때에 수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이웃 셀들이 해당 CSI-RS가 전송되는 RE에 신호 전송을 하지 않음으로써, CSI-RS의 전송 빈도가 CRS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더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셀들이 다른 PCID를 갖는 경우에도 CRS 기반 RSRP/RSRQ 측정 보고와 CSI-RS RSRP/RSRQ 측정 보고를 함께 수행하여 네트워크의 RRM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각 셀에서 CSI-RS의 전송의 또 다른 주 목적은 해당 셀과 단말 사이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시에 사용될 랭크(rank),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또는 CQI)등을 결정하는 기지국의 스케듈링을 돕기 위하여 단말이 수행하는 CSI 피드백을 위해서이다. CoMP 전송 방식에서 단말은 서빙 셀 이외의 협력 셀과의 하향링크에 대해서도 CSI를 피드백하여야 한다. 단말의 서빙 셀이 속하는 CoMP 클러스터 내의 모든 셀들에 대한 CSI를 피드백 하기에는 오버헤드가 너무 큼으로 협력 스케듈링 및 협력 데이터 전송의 가치가 있는 CoMP 클러스터 내의 일부 셀들, 즉 CoMP 측정 세트에 대한 CSI를 피드백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단말에 대한 CoMP 측정 세트의 결정은 RSRP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는 셀들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단말은 자신이 속하는 CoMP 클러스터 내의 셀들에 대한 RSRP 측정 보고를 수행한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이 RSRP 또는 RSRQ 측정을 수행할 CSI-RS들의 설정들을 CoMP 관리 세트(CoMP management set)로 지정하여 알려주고, 단말은 지정 받은 CoMP 관리 세트에 속하는 셀들로부터 전송되는 CSI-RS들에 대해 RSRP 또는 RSRQ 측정을 수행하여, 그 결과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CoMP 클러스터 사이의 ICIC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와 단말은 인접 CoMP 클러스터의 셀들 중에서 어떤 셀이 해당 단말에게 강한 간섭을 주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단말이 어떤 셀에게 강한 상향링크 간섭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말은 인접 CoMP 클러스터 내의 셀들에 대한 RSRP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한다.
단말의 핸드오버 등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CRS 기반의 RSRP/RSRQ 측정 보고와 더불어, CoMP 측정 세트(CoMP measurement set) 구성 및 ICIC를 위하여 CSI-RS 기반의 RSRP/RSRQ 측정 보고를 함께 수행하여 네트워크의 RRM의 정확도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D2D 통신의 경우,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빙 단말(이하, dTUE 또는 제2 단말)과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이하, dRUE 또는 제1 단말)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말은 제2 단말과의 링크를 통해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기존의 기지국에 대한 RRM/RLM과 유사하게 제2 단말에 대한 RRM/RLM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2D RRM/RLM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LM(D2D Link monito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는 DLM(D2D Link monitoring)을 제안한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에서는 예시적으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D2D 링크를 형성하고,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전제하였다. 제3 단말은 기지국(eNB)로 예시되어 있으나, D2D 통신을 제어하는 또 다른 단말(master UE of D2D cluster)일 수도 있다. 또한, 도 6은 동일 셀(eNB)내 D2D 통신에 대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으나, 서로 다른 셀에 속한 단말들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제1 단말은 제2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제2 단말과의 D2D 링크를 모니터링한다. 즉, 제1 단말은 D2D 링크에 대한 품질(quality)를 측정한다. 여기서, D2D 링크의 모니터링은 소정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수행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소정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602에서, 링크 측정 결과가 제어 신호/데이터 신호 등의 BLER(이는 해당 BLER에 상응하는 SINR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제1 단말은 (제2 단말과의) D2D 링크 실패(D2D link failure, DLF)를 선언하고, 이를 제3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DLF는 제 2 단말과의 D2D 링크가 실패했음을 알리는 정보 및/또는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 버퍼 상태 정보는 제1 단말이 D2D 통신을 통해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던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링크 실패 선언 이후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용도로써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D2D 통신시 링크 품질의 급격한 변동 및 DLF로 인해 통신 링크 전환이 발생해도 데이터를 연속성 있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 S603에서, 제3 단말은 제1 단말로부터 버퍼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DLF를 수신하고, 제2 단말에게 D2D 전송이 종료되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1 단말의 DLF가 제2 단말에게 별도의 절차/자원을 통해 보고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지만, 만약, 제2 단말에서도 D2D 링크에 대한 모니터링 과정이 정의되고, 해당 과정에 의한 RLF 선언이 제 1단말이 RLF를 선언하는 시점과 유사한 시점에 이루어진다면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제3 단말은 종료된 D2D 전송을 D2eNB(즉, D2D 단말의 기지국과의 통신) 전송으로 전환하기 위해, D2eNB initiation 메시지를 시그널링 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된 버퍼 상태 정보가 함께 제2 단말로 전송된다.
단계 S605에서, 제2 단말은 제1 단말과의 D2D 링크가 종료되었음을 인지하고, 제1 단말에게 전송하던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제3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한다. 이 때, 제1 단말에게 전송하던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판단은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한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한다.
단계 S606에서, 제3 단말은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를 제1 단말로 하향링크 전송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실제 데이터의 전송은 기지국과 게이트 웨이 간의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셀에 속한 단말간의 D2D 링크의 경우에도 상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DLM/DRM(D2D resource Monitoring)을 위한 시그널링
DLM/DRM(D2D resource Monitoring)을 위해, 제2 단말 또는 제3 단말은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제1 단말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정보들은 단독 또는 조합된 형태로써 시그널링될 수 있으며, 시그널링 방법으로써 RRC 시그널링 또는 제어 정보 시그널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측정이라 함은, 신호 강도 검출(signal strength detection), 시그널링으로 지시된 자원에 대한 에너지 검출(energy detection on signaled resources), 시퀀스 검출을 위한 상관(correlation for sequence detection)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D2D 단말이 수신하는, DLM/DRM을 위한 정보는, 측정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 단말이 측정해야 하는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을 제2 또는 제3 단말이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자원의 위치에는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 종료 위치(ending position), 측정 구간(measurement period & interval)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서브프레임/슬롯/OFDM 심볼 등의 단위로써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시그널링은 서브프레임/슬롯/OFDM 심볼 세트 단위로써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주파수 자원 위치 역시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 종료 위치(ending position), 측정 구간(measurement period & interva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위치의 시그널링 단위는 RB(Resource Block), RBG(Resource Block Group) 등 일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이 되는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 및 대역폭 정보가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DLM/DRM을 위한 정보는 참조신호/디스커버리 신호 구성(configur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2D 통신에서 기존 LTE/LTE-A 시스템에서 정의된 신호(UL SRS, UL DMRS, DL DMRS, DL CSI-RS 등)이 사용되는 경우, DLM/DRM을 위해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신호와 해당 신호의 구성(예를 들어, RS port, scrambling(or sequence) parameter, period, interval 등)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만약 D2D를 위한 별도의 참조 신호/디스커버리 신호가 있는 경우, 이러한 신호들에 관련된 구성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여기서, D2D 통신이 전체 주파수 대역의 일부 주파수 대역만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위 예시된 신호들이 D2D 통신에 관련되어 일부 주파수 대역에서만 전송되는 경우, 해당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 정보가 함께 시그널링 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 정보는 앞서 설명된 주파수 자원 위치의 시그널링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DLM/DRM을 위한 정보는 측정 스킴(sche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이 수행하여야 할 측정의 형태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RSRP, SINR 등과 같이 특정 신호의 위치 정보와 구성을 이용한 (신호 강도 등의) 측정을 지시해 줄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주파수 영역의 에너지를 측정하라는 방식으로 측정 방법을 시그널링해 줄 수도 있다. 또는 특정 시퀀스에 대해 특정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상관을 수행할 것을 시그널링해 줄 수도 있다.
계속해서, DLM/DRM을 위한 정보는 보고 구간(reporting perio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측정 결과를 제2 단말 또는 제3 단말에게 보고하는 주기를 지시해 줄 수 있다. 만약 측정 보고가 이벤트 트리거링(event triggering) 방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이 정보는 제외될 수 있다. 대신, 이벤트 트리거링을 위한 조건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벤트 트리거링을 위한 조건의 예시로써, 측정 결과가 특정 SINR, BLER 등을 만족하는 경우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측정 세트의 시그널링
D2D 통신은 단말 대 단말의 1:1 통신, 'many-to-one' 또는 'one-to-many'의 1:m 통신 등 용도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D2D 통신의 형태가 다른 경우 그 각각을 위한 측정이 필요할 수 있다. 즉, 1:1 통신의 경우 해당 송수신이 수행되는 영역에 대한 측정으로 충분할 것이며, 1:m 통신의 경우 좀 더 넓은 범위(주파수 영역에서)의 측정이 필요할 수 있다. 탐색(searching) 용도의 측정에서는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특정영역(D2D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후보 영역)에 대한 수신신호강도의 측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용도/형태의 D2D 통신에 대해 각 용도별 측정 세트가 구성되고, D2D 단말에게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로, 1:1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말에게 측정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D2D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 세트 또는 제2 단말이 참조신호/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 세트)를 시그널링 해 줄 수 있다. 이와 함께, 시그널링된 서브프레임 세트에서 제1 단말이 측정해야 하는 참조신호/디스커버리 신호의 구성(예를 들어, 전송 자원 영역(OFDM 심볼, RB, RS offset 등))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n+1, n+4, n+6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세트가 측정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로써 시그널링 될 수 있다.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와 측정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는 서로 독립적으로 시그널링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D2D 통신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 세트는 서브프레임 n+1, n+2, n+3, n+4, n+6, n+7을 포함하는데, 이 중 참조신호/디스커버리 신호는 서브프레임 n+1, n+4, n+6에서 전송되는 것을 전제하면, 위 두 가지 서브프레임 세트는 독립적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를 수신한 제1 단말은 이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이를 수신한 제2 또는 제3 단말은 D2D 링크 품질을 평가하고, 해당 D2D 페어가 D2D 전송을 수행할지 아니면 D2eNB 링크를 통해 1:1 전송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예시로, 위 첫 번째 예시에서 설명된 서브프레임 세트와는 또 다른 서브프레임 세트를 시그널링하여 다수의 D2D 신호에 대한 측정/복조를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단말은 다수의 D2D 신호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 및 주파수 자원(주파수 자원은 전체 대역폭이 여러 개의 서브셋으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각 서브셋은 실제 전송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과 보호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을 시그널링해 줄 수 있다. 'many-to-one' 또는 'one-to-many'의 경우, 1:1 D2D와 다르게 자원 특정 구성(resource specific configuration)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서브셋에 대한 구성을 매번 시그널링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의 서브프레임 세트로써, D2D 전송을 위한 가용 자원을 탐색하기 위한 측정 용도의 서브프레임 세트가 있을 수 있다. 제3 단말은 제1 및/또는 제2 단말에게 이러한 서브프레임 세트와 서브프레임 세트 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해야 하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서브셋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단말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보고하며, 이를 수신한 제3 단말은 자원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에너지가 검출된 시간-주파수 영역은 주변에 해당 영역을 사용하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이 에너지 검출에만 한정되는 경우에는 참조신호 구성 등의 추가적인 시그널링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810)는, 수신모듈(811), 전송모듈(812), 프로세서(813), 메모리(814) 및 복수개의 안테나(8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8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8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8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13)는 기지국 장치(8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810)의 프로세서(813)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현에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810)의 프로세서(813)는 그 외에도 기지국 장치(8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8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820)는, 수신모듈(821), 전송모듈(822), 프로세서(823), 메모리(824) 및 복수개의 안테나(8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8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8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8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23)는 단말 장치(8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820)의 프로세서(823)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현에 필요한 사항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820)의 프로세서(8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8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8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8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8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1 단말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과의 링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링크 측정 결과가 소정 조건 만족시 링크 실패(link failure) 선언을 제3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3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달된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한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제어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가 되는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한 패킷의 인덱스인, D2D 통신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전송 블록 인덱스 또는 IP 패킷 시퀀스 번호(IP packet sequence number) 중 하나인, D2D 통신 수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측정은 상기 제2 단말 또는 상기 제3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지시된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 수행된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8.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3 단말이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로부터 링크 실패 선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1 단말이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있던 데이터에 관련된 버퍼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단말은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1 단말에게 전송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버퍼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3 단말로 전송한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실패 선언은, 상기 제1 단말의 링크 측정 결과 제어 신호의 BLER(BLock Error Rate)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전송된 것인, D2D 통신 수행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한 패킷의 인덱스인, D2D 통신 수행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상태 정보는, 전송 블록 인덱스 또는 IP 패킷 시퀀스 번호(IP packet sequence number) 중 하나인, D2D 통신 수행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과의 링크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D2D 통신 수행 방법.
KR1020157003805A 2012-07-12 2013-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50044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71064P 2012-07-12 2012-07-12
US61/671,064 2012-07-12
PCT/KR2013/006265 WO2014010988A1 (ko) 2012-07-12 2013-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894A true KR20150044894A (ko) 2015-04-27

Family

ID=4991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805A KR20150044894A (ko) 2012-07-12 2013-07-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2394B2 (ko)
EP (2) EP2874428B1 (ko)
KR (1) KR20150044894A (ko)
WO (1) WO201401098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32A (ko) * 2015-06-23 2017-01-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085831A1 (ko) *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61848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프레임 운용 방법 및 장치
US11917706B2 (en) 2018-10-26 2024-02-27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ehicle commun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1668B2 (en) * 2012-09-17 2018-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91490A1 (en) * 2013-05-28 2014-12-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ata collection in network management layer coverage and capacity optimization
ES2748819T3 (es) * 2013-09-30 2020-03-18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ón de un método de medición de gestión de movilidad
WO2015163715A1 (ko) * 2014-04-2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아이들 상태인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d2d(device-to-device)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0187769B2 (en) * 2014-12-24 2019-01-22 Lg Electronics Inc. Connectivity supporting method for D2D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WO2017209005A1 (ja) *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20200091274A (ko) 2019-01-22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rlm 및 rlf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322839A1 (en) * 2019-04-05 2020-10-08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relaying of messages for side-link communications
TWI715017B (zh) * 2019-04-23 2021-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連線設定傳遞方法
CN115280824A (zh) * 2019-12-30 2022-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装置及系统
US11671940B2 (en) * 2020-03-10 2023-06-06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communication during a downlink slot
CN118101554B (zh) * 2024-04-25 2024-08-0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板载双系统通信链路备份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379B1 (en) * 2000-03-30 2004-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preserving data packet sequencing
KR100547116B1 (ko) * 2003-05-2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7924731B2 (en) * 2004-11-15 2011-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ut-of-sequence packets in header decompression
EP3565313B1 (en) * 2005-10-31 2020-04-08 Evolved Wireless LL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access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8320942B2 (en) * 2006-06-13 2012-11-27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with directional antennas for use in millimeter-wave peer-to-peer networks and methods for adaptive beam steering
US8493887B2 (en) * 2008-12-30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peer discovery pilot transmission
WO2010102668A1 (en) * 2009-03-12 2010-09-16 Nokia Siemens Networks O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351340B2 (en) 2009-04-08 2016-05-2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WO2011069295A1 (en) * 2009-12-11 2011-06-1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307545B2 (en) 2010-07-23 2016-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ontrol information and/or data to/from a base station via an anchor terminal in a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US20140023008A1 (en) 2010-12-27 2014-01-23 Jae-Young Ahn Method for establishing a device-to-device link connection and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terminal relaying
KR101995293B1 (ko) *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US20120224472A1 (en) * 2011-03-04 2012-09-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laying of base station, method for relaying of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32A (ko) * 2015-06-23 2017-01-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WO2020085831A1 (ko) *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917706B2 (en) 2018-10-26 2024-02-27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ehicle communication
KR20220061848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 프레임 운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6558A1 (en) 2015-10-15
EP2874428B1 (en) 2019-09-04
US9532394B2 (en) 2016-12-27
WO2014010988A1 (ko) 2014-01-16
EP3537755A1 (en) 2019-09-11
EP3537755B1 (en) 2021-09-22
EP2874428A1 (en) 2015-05-20
EP2874428A4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3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14072B1 (ko)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06685B1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and terminal
US97632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66467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装置之间的通信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装置
US9532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1567B2 (en) Method for performing measurement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462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2D signal or selecting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07437B2 (en) Method for measuring cel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150358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97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measurements on neighboring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600095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20004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277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5003559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401098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32421B1 (ko) 다중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6521942A (ja) Fdr送信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14014316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