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16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162A
KR20140143162A KR1020147027429A KR20147027429A KR20140143162A KR 20140143162 A KR20140143162 A KR 20140143162A KR 1020147027429 A KR1020147027429 A KR 1020147027429A KR 20147027429 A KR20147027429 A KR 20147027429A KR 20140143162 A KR20140143162 A KR 2014014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downlink
transmission
transmit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권
이승민
서한별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4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위한 것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설정 및 이에 관련된 정보의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관련 설정의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정보의 시그널링에 관련된 기술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위한 것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전송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위한 것인, 기지국 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에 개시된 전/일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 셀 특정 참조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단말에게 지시되며, 상기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 전송되는 셀 특정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셀 특정 참조 신호의 안테나 포트 정보의 서브셋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PDSCH 대 RS 전력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DSCH 대 RS 전력 비율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대 RS 전력 비율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단말의 간섭 측정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들의 집합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 특정 참조신호 오버헤드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 앞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중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된 서브프레임의 랭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 앞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면서 신호 전송에 관련된 설정이 변경되더라도 단말이 신뢰성 있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참조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이종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셀간 간섭 조정 중 ABS(Almost Blank Subfram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TDD에서의 상향링크로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경우 인접 셀 및/또는 단말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 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 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 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 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 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 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 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 의 진화이다. WiMAX 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TE / LTE -A 자원 구조/채널
도 1 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 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 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 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 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 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 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 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 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 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 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 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 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 개 또는 3 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 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 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 개의 서브프레임은 2 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 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 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 개의 서브프레임은 2 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 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 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 HARQ 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 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 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 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 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 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 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 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 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 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 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 의 포맷과 이용가능한 비트 수는 CCE 의 개수와 CCE 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 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 는 PDCCH 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 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 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 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 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 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 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 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 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 와 PUSCH 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 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 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참조 신호 ( Reference Signal ; RS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전송되는 패킷은 무선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과정에서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왜곡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올바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신호에서 왜곡을 보정하여야 한다. 채널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신호가 채널을 통해 수신될 때의 왜곡 정도를 가지고 채널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신호를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또는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라고 한다.
다중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각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상황을 알아야 올바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송신 안테나 별로, 좀더 자세하게는 안테나 포트(port)별로 별도의 참조신호가 존재하여야 한다.
참조신호는 상향링크 참조신호와 하향링크 참조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LTE 시스템에는 상향링크 참조신호로써,
i) PUSCH 및 PUCCH를 통해 전송된 정보의 코히런트(coherent)한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i) 기지국이, 네트워크가 다른 주파수에서의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가 있다.
한편, 하향링크 참조신호에는,
i) 셀 내의 모든 단말이 공유하는 셀-특정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ii) 특정 단말만을 위한 단말-특정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
iii) PDSCH가 전송되는 경우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DeModulation-Reference Signal, DM-RS)
iv) 하향링크 DMRS가 전송되는 경우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상태정보 참조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v)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모드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코히런트한 복조를 위해 전송되는 MBSFN 참조신호(MBSFN Reference Signal)
vi) 단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참조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가 있다.
참조신호는 그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 정보 획득을 위한 목적의 참조신호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참조신호가 있다. 전자는 UE 가 하향 링크로의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광대역으로 전송되어야 하고,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단말이라도 그 참조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이는 핸드 오버 등의 상황에서도 사용된다. 후자는 기지국이 하향링크를 보낼 때 해당 리소스에 함께 보내는 참조신호로서, 단말은 해당 참조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측정을 하여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게 된다. 이 참조신호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에 전송되어야 한다.
CRS 는 채널 정보 획득 및 데이터 복조의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며, 단말 특정 참조신호는 데이터 복조용으로만 사용된다. CRS 는 광대역에 대해서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며, 기지국의 전송 안테나 개수에 따라서 최대 4 개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참조신호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2개일 경우, 0번과 1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고, 4개인 경우 0∼3번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각각 전송된다.
도 5 는 기존의 3GPP LTE 시스템 (예를 들어, 릴리즈-8)에서 정의하는 CRS 및 DRS 가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 (RB pair) 상에 매핑되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신호가 매핑되는 단위로서의 하향링크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주파수 상으로 12 부반송파의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자원블록 쌍은 시간 상으로 일반 CP 의 경우(도 5(a))에는 14 개의 OFDM 심볼 길이, 확장된 CP 의 경우(도 5(b))에는 12 개의 OFDM 심볼 길이를 가진다.
도 5는 기지국이 4 개의 전송 안테나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자원블록 쌍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0', '1', '2' 및 '3'으로 표시된 자원 요소(RE)는, 각각 안테나 포트 인덱스 0, 1, 2 및 3에 대한 CRS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도 5에서 'D'로 표시된 자원 요소는 DMRS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종 네트워크 환경( Heterogeneous deployments )
도 6 은 매크로(macro) 기지국(MeNB)과 마이크로(micro) 기지국(PeNB or FeNB)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문서에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라는 용어는, 동일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더라도 매크로 기지국(MeNB)과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이 공존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매크로 기지국(MeNB)은 넓은 커버리지 및 높은 전송 전력을 가지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지국을 의미한다. 매크로 기지국(MeNB)은 매크로 셀로 칭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셀(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홈(home) eNB(HeNB), 중계기(relay) 등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예시된 마이크로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은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로 통칭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매크로 기지국(MeNB)의 소형 버전으로 매크로 기지국의 기능을 대부분 수행하면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매크로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에 설치(overlay)되거나 매크로 기지국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 지역에 설치 될 수 있는(non-overlay) 유형의 기지국이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매크로 기지국(MeNB)에 비하여 좁은 커버리지 및 낮은 전송 전력을 가지고 보다 적은 개수의 단말을 수용할 수 있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MeNB)으로부터 직접 서빙받을 수도 있고(이하 매크로-단말이라 함), 단말은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로부터 서빙받을 수도 있다(이하, 마이크로-단말이라 함). 어떤 경우에는, 마이크로 기지국(MeNB)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PUE)이 매크로 기지국(MeNB)으로부터 서빙받을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은 단말의 액세스 제한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타입은 OSG(Open access Subscriber Group) 또는 non-CSG(Closed access subscriber Group) 기지국으로써, 기존 매크로-단말 또는 다른 마이크로 기지국의 마이크로-단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셀이다. 기존 매크로-단말 등은 OSG 타입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다.
두 번째 타입은 CSG 기지국으로써 기존 매크로-단말 또는 다른 마이크로 기지국의 마이크로-단말의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CSG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도 불가하다.
셀간 간섭 조정( Inter 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 ICIC )
이종 네트워크 환경 및/또는 CoMP 환경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 간의 간섭이 문제될 수 있다. 이러한 셀 간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간 간섭 조정(ICIC)이 적용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에 대한 ICIC 의 예시로서 3GPP LTE 릴리즈-8 시스템에서는, 주어진 전체 주파수 영역(예를 들어, 시스템 대역폭)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예를 들어, 물리자원블록(PRB) 단위)으로 나누고, 각각의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한 ICIC 메시지를 셀들 사이에서 교환하는 방식이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에 대한 ICIC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하향링크 전송 전력과 관련된 RNTP(Relative Narrowband Transmission Power)가 정의되어 있고, 상향링크 간섭과 관련된 UL IOI(Interference Overhead Indication), UL HII(High Interference Indication) 등이 정의되어 있다.
RNTP 는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사용하는 하향링크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한 RNTP 필드가 제 1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는 것은,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해당 셀의 하향링크 전송 전력이 소정의 임계치를 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한 RNTP 필드가 제 2 값(예를 들어, 1)로 설정되는 것은,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해당 셀이 하향링크 전송 전력에 대한 약속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RNTP 필드의 값이 0 인 경우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의 해당 셀의 하향링크 전송 전력이 낮을 것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RNTP 필드의 값이 1 인 경우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의 해당 셀의 하향링크 전송 전력이 낮은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
UL IOI 는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겪는 (또는 받는) 상향링크 간섭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한 IOI 필드가 높은 간섭량에 해당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은,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해당 셀이 강한 상향링크 간섭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CIC 메시지를 수신한 셀은, 강한 상향링크 간섭을 나타내는 IOI 에 해당하는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는, 자신이 서빙하는 단말들 중에서 낮은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단말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상향링크 간섭을 나타내는 IOI 에 해당하는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 단말들이 낮은 전송 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므로, 이웃 셀(즉, ICIC 메시지를 전송한 셀)이 겪는 상향링크 간섭이 완화될 수 있다.
UL HII 는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이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해서 유발할 수 있는 간섭의 정도(또는 상향링크 간섭 민감도(interference sensitivity))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해서 HII 필드가 제 1 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되는 것은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이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해서 강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단말을 스케줄링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특정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해서 HII 필드가 제 2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는 것은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이 해당 주파수 서브 영역에 대해서 약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의 단말을 스케줄링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ICIC 메시지를 수신한 셀은, HII 가 제 2 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된 주파수 서브 영역에 우선적으로 단말을 스케줄링하고 HII 가 제 1 값(예를 들어, 1)으로 설정된 주파수 서브 영역에서는 강한 간섭에서도 잘 동작할 수 있는 단말들을 스케줄링함으로써, ICIC 메시지를 전송한 셀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시간 자원에 대한 ICIC 의 예시로서 3GPP LTE-A (또는 3GPP LTE 릴리즈-10) 시스템에서는, 주어진 전체 시간 영역을 주파수 상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단위)으로 나누고, 각각의 시간 서브 영역에 대한 사일런싱(silencing) 여부를 셀들 사이에서 교환하는 방식이 정의되어 있다. ICIC 메시지를 전송하는 셀은,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사일런싱이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웃 셀들에게 전달할 수 있고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PDSCH 나 PUSCH 를 스케줄링하지 않는다. 한편, ICIC 메시지를 수신하는 셀에서는 ICIC 메시지를 전송한 셀에서 사일런싱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 상에서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사일런싱이란, 특정 셀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상에서 대부분의 신호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또는 0 또는 약한 전력의 전송이 수행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일런싱 동작의 일례로서, 특정 셀이 특정 서브프레임을 'ABS with MBSFN'(Almost Blank Subframe(ABS) with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configure)할 수 있다. 'ABS with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영역에서만 신호가 전송되고 데이터 영역에서는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사일런싱 동작의 다른 일례로서, 간섭을 주는 셀이 특정 서브프레임을 ABS(Almost Blank Subframe)로 설정할 수도 있다. ABS 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에서 CRS 만을 전송하고 그 외의 제어 정보 및 데이터는 전송되지 않는 (또는 약한 전력의 전송만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한다. 다만 ABS 에서도 PBCH, PSS, SSS 등의 하향링크 채널 및 하향링크 신호는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서브프레임의 단위로 사일런싱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일런싱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ABS 서브프레임 패턴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ABS 라 언급하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ABS 는 상술한 'ABS with MBSFN' 또는 'AB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BS 와 관련하여, 현재 3GPP LTE-A 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ABS 관련 시그널링은 크게 ABS 정보(information)과 ABS 상태(status)가 있다. 먼저 ABS 정보는 ABS 로 사용할 서브프레임을 비트맵으로 나타낸 정보이며, FDD 에서는 40 비트, TDD 의 경우 UL-DL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70 비트의 비트맵으로 구성된다. FDD 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40 비트는 40 개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비트의 값이 1 이면 ABS 를, 0 이면 non-ABS 를 지칭한다. 제한된 측정을 UE 에게 설정해 줄 때, CRS 측정을 위해서 해당 셀의 CRS 안테나 포트 개수를 알려준다. 그리고 측정 서브셋(Measurement Subset)은 ABS 패턴 정보의 서브셋으로 역시 FDD 는 40 비트, TDD 는 최대 70 비트의 비트맵으로써, 단말에게 제한된 측정을 설정해 주기 위한 일종의 제한된 측정의 추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ABS 상태 정보요소는 eNB 가 ABS 패턴을 바꾸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전환
앞서 언급되었던 TDD 에 대해 다시 도 1 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LTE/LTE-A 시스템에서 TDD 의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상향링크-하향링크 간 전환을 위한 특수 서브프레임을 제외하고는)은 각각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사용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아래 표 1 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하향링크 설정 0 의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서 0, 5 번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를 위해 사용되도록, 2, 3, 4, 7, 8, 9 번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를 위해 사용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어떤 특정 기지국이 사용할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은 시스템 정보의 일부(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등)로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기지국들은 간섭 등의 이유로 동일한 TDD 설정, 즉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을 사용하도록 강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 과 같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따라 시스템이 운영되는 경우에도 각 셀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의 원활한 전송을 위하여 상향링크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를 위한 것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써 하향링크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상향링크를 위한 것으로 변경/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중 하항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서브프레임을 UD 서브프레임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UL 서브프레임 (즉, UL 서브프레임은 SIB 상의 설정에서 UL 이며, 실제 전송도 UL 로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DL 서브프레임이라 칭한다. 또 다른 의미로, UD 서브프레임은 인접 셀은 UL 전송을 수행하지만, 서빙 셀은 DL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UL, DL 서브프레임은 서빙셀과 인접셀이 같은 전송 방향을 갖는 경우로 해석될 수도 있다.
UD 서브프레임의 경우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된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DL 서브프레임과 동일하지만, 안테나 설정, RS 설정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에는 TDD 시스템 하에서 동작하는 제 1 전송포인트(eNB1), 제 2 전송포인트(eNB2), 제 1 전송포인트에 속한 제 1 단말(UE1) 및 제 2 전송포인트에 속한 제 2 단말(UE2)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상황은, 제 1 전송포인트가 UD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며, 제 2 전송포인트는 제 1 전송포인트와 같은 상향링크-하향링크 설정에 따라 UL 서브프레임에서 제 2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8 에서는 UD 서브프레임의 사용이 셀-특정(cell-specific)한 동작임을 고려한 것이다. 다만, UD 서브프레임이 반드시 셀-특정으로만 설정/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8의 상황에서 제1 단말은 제1 전송포인트로부터 UD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때, 인접한 제2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으로 인한 강한 간섭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전송포인트의 UD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신호 전송은 이웃 셀의 상향링크 전송에 미치는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UD 서브프레임에서의 하향링크 신호 전송은 다른 전송포인트 또는 단말의 신호 송수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과 비교해 다른 RS 설정, 안테나 설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DL 서브프레임에서의 신호 전송에 관련된 설정이 변화되는 경우 이는 단말에게 알려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을 위한(UD 서브프레임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UD 서브프레임에서 신호 전송에 관련된 설정의 변화 및 이러한 설정의 변화에 관련된 정보의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CRS 설정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D 서브프레임에서의 채널 상태는 DL 서브프레임에서의 채널 상태와는 다를 수 있으므로,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과는 다른 CRS 설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CRS 설정은 UD 서브프레임에서 CRS 가 아예 전송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UD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단말을 위해,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에 UD 서브프레임에서 CRS 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UD 서브프레임에 CRS 가 전송됨/존재함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DL 서브프레임과 같은 CRS 설정을 갖는 것으로, CRS 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UD 서브프레임에서 DMRS 기반의 전송이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DMRS 설정을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는 DMRS 포트, 스크램블링 시퀀스 파라미터(scrambling sequence parameter)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에서 CRS 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MBSFN 서브프레임과 논(non)-MBSFN 서브프레임으로 나누어 CRS 전송영역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는 UL 서브프레임이 UD 서브프레임으로 사용될 경우에 대비해, (SIB 설정 상에서의) UL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이는 CRS 가 전송되는 영역이 서브프레임(PDSCH+PDCCH)과 제어 영역(PDCCH)으로 구분됨을 의미한다. CRS 전송영역의 지시는 OFDM 심볼 단위(예를 들어, CRS 의 시간 영역 전송이 특정 OFDM 심볼(들)로 제한될 수 있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UD 서브프레임 상의 주파수 대역폭 중 일부 대역(예를 들어, 전체 대역폭 중 한가운데 6RB 등)에서만 CRS 가 전송되는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자원 영역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에서 어떤 CRS 포트가 전송되는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는 일반 DL 서브프레임과 UD 서브프레임에서의 CRS 포트 수가 다른 경우(예를 들어, UD 서브프레임에서의 CRS 포트 수는 DL 서브프레임에서의 CRS 포트 수의 서브셋일 수 있다.)를 전제한다. 특히, CRS 를 전송하되 복조 용도로써 사용하지 않는 경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timing 을 tuning 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CRS 오버헤드가 줄어들어 코딩 이득(coding gain)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전송 전력의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UD 서브프레임에서 PDSCH 또는 RS 의 전송 전력은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전력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과 채널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DL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대 RS 전력 비율(PDSCH-to-RS power ratio)과는 다른 PDSCH 대 RS 전력 비율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써, UD 서브프레임에서 PDSCH 대 RS 전력 비율은 DL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대 RS 전력 비율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PDSCH 대 RS 전력 비율은 고차 변조(high order modulation), 예를 들어, 16QAM, 64QAM 등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이를 통해 16QAM, 64QAM 복조 시 판정 바운더리(decision boundary)를 정확하게 알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PDSCH 대 RS 전력 비율을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RS 는 CRS 또는 DMRS 일 수 있다. 상술한 전력 비율 정보의 전달을 통해, 이웃 셀에 속하며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예를 들어 도 8 의 제 2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인한 간섭 등으로 인한, UD 서브프레임 특정의 채널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RS 전력 부스팅(power boosting/borrowing)등을 UD 서브프레임 특정하게 구현할 수 있다. PDSCH (다만, 설명된 바와 달리 UD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대 RS 전력 비율은 사전에 정의되는 형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채널 추정에 관련된 설정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이전 DL 서브프레임에서의 RS 를 현재 UD 서브프레임의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기존에는 낮은 SNR 등의 열악한 채널 상태에서 RS 평균화를 통한(즉, RS 밀도(density)를 증가시켜) 채널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목적으로, 또는 PDCCH 를 얼리 디코딩(early decoding)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DL 서브프레임이 연속으로 할당될 경우 이전 서브프레임의 RS 를 현재 서브프레임의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었다. 다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UD 서브프레임에서는 RS 설정 등이 DL 서브프레임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전 DL 서브프레임에서의 RS 를 현재 서브프레임의 채널 추정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이전 DL 서브프레임의 RS 를 이용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단말에게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이전 DL 서브프레임과 현재 UD 서브프레임의 CRS 설정이 같거나 같다고 여길 수 있는 경우 단말에게 이전 DL 서브프레임의 RS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시그널링을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써, 단말에게 UD 서브프레임에서는 현재 UD 서브프레임내의 RS 만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MCS (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기지국은 단말에게 UD 서브프레임에서 사용 MCS 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시그널링은 UD 서브프레임 이전의 DL 서브프레임에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을 수신한 단말은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새로운 MCS 가 시그널링되기 전까지) 해당 MCS 만으로 동작할 수 있다.
측정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측정(RRL, RLM, CSI 등을 위한), 특히 간섭 측정과 관련해 일반적으로 여러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간섭을 평균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의 간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UD 서브프레임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채널 상황이 다른 DL 서브프레임과 달라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종래의 다수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간섭의 평균화는 적절치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간섭 측정에 사용하는 서브프레임 세트(또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는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IMR(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의 시그널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UD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간섭만을 UD 서브프레임의 간섭으로 간주할 것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시간 구간 내에서, UD 서브프레임에 대한 간섭만을 평균화할 것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는 UD 서브프레임의 빈도수가 낮고, 채널 상태(이웃 셀의 상향링크 전송 등)이 빠르게 변하는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서브프레임 세트에 대한 정보의 시그널링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에서 간섭 측정에 사용할 RS 설정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서 RS 는 CRS, DMRS 등 특정할 수 있는 참조신호일 수 있다.
전송 모드의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채널 상태의 변화로 인해, UD 서브프레임에서는 바로 직전의 DL 서브프레임과도 다른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즉, UD 서브프레임과 DL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 모드가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UD 서브프레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사용할 전송 모드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서브프레임에서는 폐 루프 MIMO 방식의 전송을 수행하고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방식의 전송을 수행할 경우, 단말은 시그널링을 통해 어떤 전송 모드가 UD 서브프레임에서 사용되는지를 미리 알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명시적인 시그널링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다음과 같은 묵시적인 방법에 의해서도 전송모드의 변경을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RS 가 전송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거나 또는 CRS 가 전송되지 않음을 시그널링 받은 단말은 UD 서브프레임에서는 DMRS 기반의 전송 모드(예를 들어, 전송 모드 9)로 동작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한편, UD 서브프레임에서 사용 가능한 전송 모드는 제한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D 서브프레임에서 CRS 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DMRS 기반의 전송 모드만으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전송모드 9, 10 만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로써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만약, CoMP 동작을 고려하는 경우 전송 모드 10 도 UD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모드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CoMP 의 경우 동적으로 UD 서브프레임이 사용되면 원활한 동작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전송 모드의 제한은 상위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지시되거나, (UD 서브프레임에서 CRS 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DMRS 기반의 전송 모드(예를 들어, 전송모드 9)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 모드를 시그널링 받고, 서브프레임 용도가 바뀌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전송모드를 따로 시그널링 받지 않더라도, 해당 서브프레임 들에서는 RRC 시그널링된 전송모드와 다른 전송모드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용도가 UL 에서 DL 로 변경된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송모드 9 만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서브프레임에서는 전송모드 9 나 10 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은 이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 등을 통해 실제 사용되는 전송모드를 유추할 수 있다. 또는 전송모드를 지시하는 RRC 시그널링에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거나, 추가적인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을 통하여, 서브프레임 용도가 바뀌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전송모드를 시그널링 받을 수도 있다.
CQI ( Channel Quality Information ) 가정( assumption )의 변경 및 이에 관련된 시그널링
UD 서브프레임에서는 CQI 를 위한 가정이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과 상이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CQI(CQI index)를 도출하는 과정에 대해 먼저 살펴본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UD 서브프레임 특정의 CQI 가정에 대해 설명한다.
CQI 인덱스를 도출하기 위해, 단말은 PMI(Precoding Matrix Index) 코드북을 이용해 각 랭크에 대한 가장 좋은(best) PMI를 선택하고, 랭크별 PMI 각각에 대한 레이어 별 SINR을 계산한다. 그리고, 'CodeWord-to-layer mapping rule'을 이용하여 코드워드(CW)별 SINR을 계산한 후, 각 SINR에서 BLER 10%를 만족하는 스펙트럼 효율(spectral efficiency, SE)를 산출한다. PDSCH NRE (the number of available RE for PDSCH)와 SE를 이용하여 코드워드 별 수율(throughput)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랭크별 최종 수율(total throughput)을 계산한다. 그 중 가장 큰 수율과 이 값을 갖는 랭크를 선택함으로써 RI 결정한다. 이후, CQI 테이블 중 SE에 PDSCH NRE를 곱한 값들과 위에서 결정된 수율을 비교하여 가장 가까운 CQI 인덱스를 도출한다.
상술한 CQI 인덱스의 도출 과정에 있어서, PDSCH NRE 를 위해 몇 가지 가정이 있다. 예를 들어, PDCCH 는 3 OFDM 심볼을 이용하여 전송됨, CRS RE 는 논-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에 따라 매핑됨 등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UD 서브프레임에서는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과는 다른 설정 하에서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UD 서브프레임에서 CQI 인덱스 계산을 위한 가정 역시 다음과 같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동일 단말에 대한) 일반적인 DL 서브프레임 (즉, SIB 에서 DL 로 설정되고, 실제로 DL 전송이 수행되는 서브프레임)과 UD 서브프레임에서의 CQI 계산에 대한 단말의 assumption 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첫 번째로, CRS 에 관련된 가정은, UD 서브프레임에서 인접 셀로의 eNB-to-eNB interference 를 줄이는 등의 목적을 위해 CRS 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UD 서브프레임에서 CQI 인덱스 도출시, CRS 가 전송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에 의하여 CRS 설정이 해당 서브프레임들에서 변경될 경우, 해당 시그널링에 근거하여 CRS RE 수를 가정할 수 있다.
두 번째로, PDCCH 와 관련된 가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은 UD 서브프레임에 대한 CQI를 계산할 때, CRS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CRS 기반의 전송을 수행하는 PDCCH의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PDCCH 전송이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는 PDSCH가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부터 전송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는 전송 모드 10과 같이 PDSCH의 시작(starting) 심볼이 시그널링되는 경우, 해당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PDCCH 심볼 수 (또는 PDSCH 심볼 수)를 가정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단말은 현재 UD 서브프레임에 앞선 UD 서브프레임에 대한 랭크(즉, 보고한 랭크)에 기반하여 DMRS 오버헤드를 가정할 수 있다. 즉, UD 서브프레임에 대한 CSI 프로세스가 따로 정의될 경우, 해당 CSI 프로세스에서 가장 최근에 보고한 랭크에 기반하여 DMRS 오버헤드를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UD 서브프레임에 선행하는 마지막 UD 서브프레임에서의 랭크가 1,2 인 경우 12 RE 의 DMRS 오버헤드를 가정할 수 있으며, 랭크가 3, 4 인 경우 24 RE 의 DMRS 오버헤드를 가정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단말은 UD 서브프레임에서 DL 서브프레임과 다른 하향링크 전력 할당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계층 시그널링등으로 전송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스킴을 의미하는 전송 모드 2 또는 3 이 설정되고 4 포트 CRS 가 설정된 경우에 있어서, DL 서브프레임에서는 4 포트 CRS 에 의한 전송 다이버시티 스킴이 적용될 경우의 전력 할당 (ρ A = P Aoffset+10log10(2))이 적용될 수 있으나, UD 서브프레임에서는 CRS 가 전송되지 않아서 DMRS 기반의 전송 모드가 사용될 경우, 단말에게 RRC 에 의해 전송 모드 2 또는 3 이 설정 되었다 할지라도 CQI 계산은 원래 DL 인 서브프레임에서 적용되었던 전력 비율과는 다른 값(예를 들어, ρ A = P Aoffset)을 가정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단말은 도출중인 CQI 가 어떤 서브프레임에 적용될지에 따라 서로 다른 전송 모드를 가정할 수 있다.
상술한 UD 서브프레임의 다양한 설정 변경을 알려주는 기지국의 시그널링, 즉 UD 서브프레임을 위한(UD 서브프레임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RRC 시그널링, MAC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물리계층 시그널링(physical layer signalling)등의 방법으로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D 서브프레임에서 반-정적(semi-static)인 설정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이, 채널 상태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다이나믹 설정을 위해서는 물리계층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물리계층 시그널링은 UD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가 UD 서브프레임과 인접한 DL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UD 서브프레임에 앞서 전송되는 DL 서브프레임 등)의 PDCCH, EPDCCH 등을 통해 전달되는 'pre-scheduling'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의 유효기간에 관련된 정보도 함께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가 해당 UD 서브프레임에 앞서 전송되는 DL 서브프레임의 PDCCH/EPDCCH 를 통해 다이나믹하게 전달되는 경우, 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해당 UD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개수의 UD 서브프레임에게 유효하다는 유효 기간에 관련된 정보가 함께 시그널링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910)는, 수신모듈(911), 전송모듈(912), 프로세서(913), 메모리(914) 및 복수개의 안테나(9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9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9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9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99)는 전송포인트 장치(9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910)의 프로세서(913)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수행되도록 동작 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910)의 프로세서(9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9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9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920)는, 수신모듈(921), 전송모듈(922), 프로세서(923), 메모리(924) 및 복수개의 안테나(9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9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921)은 전송포인트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922)은 전송포인트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923)는 단말 장치(9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920)의 프로세서(923)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단말 장치(920)의 프로세서(9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9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9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 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9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9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위한 것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 셀 특정 참조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단말에게 지시되며,
    상기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 가능한 것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 시 전송되는 셀 특정 참조신호의 안테나 포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셀 특정 참조 신호의 안테나 포트 정보의 서브셋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PDSCH 대 RS 전력 비율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SCH 대 RS 전력 비율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PDSCH 대 RS 전력 비율보다 큰 값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한 단말의 간섭 측정을 위한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세트 정보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들의 집합인,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하향링크 신호 전송을 위한 전송 모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단말 특정 참조신호 오버헤드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 앞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 중 하향링크 신호 전송에 사용된 서브프레임의 랭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에 앞선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전송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위한 것인, 기지국 장치.
KR1020147027429A 2012-04-10 2013-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143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22012P 2012-04-10 2012-04-10
US61/622,012 2012-04-10
US201361751246P 2013-01-10 2013-01-10
US61/751,246 2013-01-10
PCT/KR2013/002956 WO2013154327A1 (ko) 2012-04-10 2013-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162A true KR20140143162A (ko) 2014-12-15

Family

ID=4932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429A KR20140143162A (ko) 2012-04-10 2013-04-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0780B2 (ko)
KR (1) KR20140143162A (ko)
WO (1) WO2013154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316B1 (ko) * 2013-02-28 2019-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6321815B2 (ja) * 2014-03-03 2018-05-09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情報を受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369191B2 (en) * 2014-05-07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Throughput based rank selection
WO2016017357A1 (ja) * 2014-07-31 2016-02-0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211896B2 (en) 2017-05-05 2019-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dynamic layer mapping with multiple downlink control channe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0794B2 (ja) 2008-03-24 2013-07-10 ゼットティーイー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tdd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アップリンク割り付け比率の動的調整およびシグナリング方法
KR101859594B1 (ko) * 2011-03-10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시분할복신 지원 방법 및 장치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WO2013113144A1 (en) * 2012-01-30 2013-08-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in a communications system
AU2013235809B2 (en) * 2012-03-19 2017-0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ggregation of resources in enhanced control channels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327A1 (ko) 2013-10-17
US20150071208A1 (en) 2015-03-12
US9590780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86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81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US95094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113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99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319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EP28744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373369B2 (ja) Fdr送信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1500355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0044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3141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erv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369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US9654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neighbor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2898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를 통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31415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416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5004489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401451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328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hannel)를 통한 제어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09598A1 (ko) 다중 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90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0477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