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464A -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464A
KR20150044464A KR20130123140A KR20130123140A KR20150044464A KR 20150044464 A KR20150044464 A KR 20150044464A KR 20130123140 A KR20130123140 A KR 20130123140A KR 20130123140 A KR20130123140 A KR 20130123140A KR 20150044464 A KR20150044464 A KR 20150044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usic
player
moving picture
sess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욱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Priority to KR2013012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464A/ko
Publication of KR20150044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player)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접속이 해제될 때마다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마지막 듣던 트랙 검색 및 재생 실행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마지막 세션을 복원하여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NDERING A MOVING PICTURE AND MUSIC}
본 발명은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바이스간 세션 복원을 통한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 플레이어의 보급이 증가하고 디지털 문화를 선도하는 컴퓨터, 스마트 폰, 개인 휴대 단말기, 핸드폰, PMP 등이 일반 수요자들에게 널리 확산됨에 따라, MP3 또는 avi와 같은 음원 또는 동영상 파일들이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음원 또는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동영상 또는 음원의 재생 방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나 미디어 플레이(media play) 등에서 동영상 또는 음원 재생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행하면, 마지막 페이지나 이어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직접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에 접속했을 때, 기존에 수행했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이어 보기/이어 듣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을 가지고 차량에 승차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노래를 듣고 있었다면, 차량에 탑승시마다 블루투스 접속하는 것 말고도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매번 실행시켜야 하고, 마지막에 들었던 음악도 찾아서 재생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DLNA/블루투스/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통한 접속시 기존 접속시 수행했던 일을 복원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일을 반복 수행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player)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서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부,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정보 획득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세션 리스트 정보에 기록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플레이어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정보는 실행 중인 플레이어 식별 정보, 플레이 리스트 정보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 실행부는 상기 새로 연결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 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최근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음악 또는 동영상 트랙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 실행부는 상기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제 1 정보와 상기 새로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로서 입력하는 재연결 디바이스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시,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트랙 재생 모드 설정시, 적어도 두 개의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을 재생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단계, 플레이어를 통해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서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세션 리스트 정보에 기록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플레이어 실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근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시,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시스템은 외부 입력 모드에서 근거리 통신 접속을 하도록 설정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거리 통신 접속이 해제될 때마다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마지막 듣던 트랙 검색 및 재생 실행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자동으로 마지막 세션을 복원하여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가 저장하는 세션 리스트의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세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트랙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에서 서로 다른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을 설정한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10), 근거리 네트워크(20) 및 제 2 디바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10)와 제 2 디바이스(30)는 근거리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제 1 디바이스(10)는 제 2 디바이스(30)와 근거리 네트워크(2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제 1 디바이스(1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는 외부 입력 모드를 설정하여 외부 기기(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바이스(30)일 수 있음)로부터의 입력(영상 또는 음원 관련 데이터)을 받아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화면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근거리 네트워크(20)는 제 1 디바이스(10)와 제 2 디바이스(30)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근거리 네트워크(2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근거리 네트워크(20)를 통해 제 1 디바이스(10)와 통신하며, 영상 또는 음원 관련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10)로 전송하여 제 1 디바이스(10)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영상 또는 음원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바이스(30)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제 1 디바이스(10)(예컨대, 차량일 수 있음)에 연결 후, 음악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한 후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연결 수에 세션 리스트에 제 1 디바이스(10) 관련 정보, 근거리 통신 관련 정보, 플레이어 관련 정보 및 플레이 중인 트랙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와의 연결이 끊긴 이후 재연결시 자동으로 플레이 중이었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30)는 컴퓨터, 스마트 폰, 개인 휴대 단말기, 핸드폰, PMP일 수 있다. 다만, 제 2 디바이스(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관련 구성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3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플레이어(2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부(210)는 제 1 디바이스(10)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10)와 통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 1 디바이스(10)에서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요청은 근거리 네트워크(20)에 속한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응하겠다는 응답 메시지를 제 1 다비이스(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고, 접속 요청에 응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10)와의 근거리 통신이 확립된다. 통신부(210)는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이 확립된 후, 플레이어(230)로부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1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 및 플레이어(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의 외부 기기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디바이스(10)와의 접속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 설정을 통해 복수의 제 1 디바이스(10)와의 접속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기기 접속 요청에 모두 응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플레이어(230)를 제어하여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을 때, 제어부(220)는 재생 중인 동영상 또는 음악 관련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통신부(210)로 전송되고, 통신부(21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최초 플레이어(230)의 실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플레이어(230)의 실행 중에 세션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뿐만 아니라 플레이어(230)의 재생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 상태를 체크하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의 복구 과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과정의 복구에 이어, 재생 중인 동영상 또는 음악 데이터 역시 복구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복구 환경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디바이스(10)에 재연결시 자동으로 복구를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복구하는 환경도 경우에 따라 마지막 재생 중인 트랙을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플레이어(230)를 자동 실행하되, 플레이 리스트의 최초 트랙을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부적인 옵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세션 리스트를 통해 제어부(220)는 제 1 디바이스(10)와의 접속이 끊어진 이후, 재연결시 원활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돕고, 플레이어(230) 정보를 파싱하여 재생 중인 트랙이 재생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복구 과정에서는 해당 정보를 인출하는 동안 짧은 시간 버퍼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제 1 디바이스(10)가 아닌 타디바이스에 연결되는 경우, 타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하고, 이후에는 등록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디바이스에서도 제 1 디바이스(10)에서와 같이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플레이어(230)는 제어부(220)의 제어를 받아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한다. 플레이어(230)는 최초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플레이어(230)를 실행하고, 이후에는 연속적인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플레이어(230)는 뮤직 애플리케이션 또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플레이어(230)는 제어부(2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통신부(210)로 음악 또는 동영상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플레이어(230)는 플레이 리스트를 통해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제어부(220)에 상기 플레이 리스트 정보 및 재생 중인 음악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는 사용자 입력을 받는 구성요소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사용자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에는 세션 리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필요한 경우, 저장부(미도시)로부터 관련 정보를 인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가 저장하는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의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는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 근거리 통신 정보(320), 플레이어 정보(330)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20)는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 관련 정보로서,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 관련 정보와 플레이어(230)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관련 정보로는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 및 제 1 디바이스(10)와의 통신이 어떤 통신을 통해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근거리 통신 정보(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어(230) 관련 정보로서, 실행 중이었던 플레이어 정보(330)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에는 복수 개의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세션 리스트 1(300-1)는 차량 A에서의 세션 리스트 정보이고, 세션 리스트 2(300-2)는 차량 B에서의 세션 리스트 정보이며, 세션 리스트 3(300-3)은 TV에서의 세션 리스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디바이스인 차량 A에서의 세션 리스트가 복수 개일 수 있고, 최근 데이터가 위에 저장되어 계속 쌓여 나가는 형식으로 쓰여질 수 있다. 제어부(220)는 가장 최근 저장되어 있는 세션 리스트부터 파싱하면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최근 세션 리스트를 확인한다. 이하, 세션 리스트(300-1, 300-2, ..., 300-N)에 포함된 정보를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이다. 이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의 외부 기기 접속 요청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상기 접속 요청을 파싱하여 접속되는 제 1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차량 A에 대해서는 "차량 A" 라는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접속이 끊어진 후, 재연결시 재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접속 요청 신호를 파싱하여 기존에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차량 A"라는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디바이스인지 판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는 저장된 세션 리스트에서 재연결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가 있는지 조회하여 관련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데 필요하다.
근거리 통신 정보(320)는 제 1 디바이스(10)와 어떤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이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DLNA를 통해 연결되었는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었는지, 또는 다른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었는지를 명확히 하는 정보이다. 이를 통해 동일한 디바이스에 대해 동일한 통신 접속에 재연결될 시 특정 명령이 없이도, 기존에 재생을 이어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플레이어 정보(330)는 플레이어(230)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상기 플레이어 정보(330)는 디바이스 내에 복수의 플레이어(230)가 있으면, 재생 중이었던 플레이어(23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중이었던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는 마지막에 재생 중이었던 동영상 또는 음악 트랙 정보를 나타낸다. 즉, 어느 트랙이 마지막에 재생 중이었는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상기 트랙 정보(340)는 경우에 따라, 플레이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의 포맷은 "차량 A/블루투스/뮤직 플레이어 1/트랙 3(재생 시점 04:20)" 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맷의 세션 리스트 정보가 다수 개 저장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 1 디바이스(10)에 대한 세션 리스트가 존재할 수 있고, 동일한 제 1 디바이스(10)에 관해서도 복수 개의 세션 리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재연결 시에는 동일한 디바이스에 대해 가장 최근 세션 리스트를 활용하여 복구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세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트랙 정보(3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디바이스(30)에서 뮤직 1(Music 1)이 재생 중이다. 이때, 트랙 정보는 현재 재생 중인 뮤직 1이라는 트랙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랙 정보는 재생 중인 뮤직 1의 재생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북마크를 이용하여 트랙의 재생에 따라 북마크는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제 1 디바이스(10)와의 연결이 종료되는 시점에 북마크가 세션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세션 리스트는 트랙 정보로서 마지막에 재생중인 뮤직 1이라는 트랙 식별 정보와 "02:14" 라는 마지막 재생 시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제어부(22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정보 획득부(510), 저장부(520), 세셔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530), 플레이어 실행부(540) 및 재연결 디바이스 정보 입력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획득부(510)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의 접속 연결 요청에서 제 1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예컨대, 디바이스 ID 및 근거리 통신 정보)를 획득하고, 플레이어(230)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세션 리스트에 포함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자징부(520)는 제 1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310) 및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정보(320)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어(230)로부터 수신한 정보(예컨대, 어떤 플레이어(230)가 실행 중인지에 대한 플레이어 정보(330)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이후 접속 해제 및 재연결시 자동으로 플레이어(230) 실행 및 트랙 재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530)는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새롭게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접속 요청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와의 비교를 통해 상기 새롭게 접속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 즉, 특정 디바이스와 연결이 되었다가 연결이 끊어진 경우, 세션 리스트의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에는 연결되었던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후에, 새롭게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와 기존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 디바이스인지 판별한다. 만약 동일한 디바이스인 경우, 플레이어 실행부(540)에 비교 결과 정보를 전달하여,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재생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실행되었던 플레이어(230)를 실행하고, 마지막 재생 중이었던 트랙을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기존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와 새롭게 연결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다른 경우, 즉, 기존에 접속된 적이 없는 디바이스와 최초 연결된 경우,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530)는 기존 접속 디바이스가 아니라는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플레이어를 실행시키지 않고, 재연결 디바이스 정보 입력부(550)를 통해 새 디바이스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설정을 통해, 기존에 접속된 적이 없던 새로운 디바이스에서도 플레이어 정보(330)와 트랙 정보(340)를 이용하여 플레이어(230)를 실행시키고, 최근 재생 중이던 트랙을 재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플레이어 실행부(540)는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530)에서의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 결과가 동일 디바이스로 판별된 경우, 즉, 새롭게 접속된 디바이스의 세션 리스트를 추출한 경우, 상기 추출된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플레이어 정보(330)를 기반으로 해당 플레이어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를 기반으로 마지막 재생 중이던 트랙을 재생시킬 수 있다.
재연결 디바이스 정보 입력부(550)는 상기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530)에서의 비교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비교 결과, 현재 접속된 디바이스와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현재 접속된 디바이스를 새롭게 접속된 디바이스로 간주하여, 새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새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를 이후, 제어부(220)는 재연결시 해당 세션 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플레이어의 실행 및 트랙 재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1 디바이스(10)와 연결되어 세션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면서 플레이어(230)를 이용하여 트랙을 재생한다. 그리고는, 제 1 디바이스(10)와의 연결이 끊어진 후(S610), 동일한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재연결될 수 있다(S620). 제 2 디바이스(30)가 재연결되면, 제 2 디바이스(30)의 제어부(220)는 세션 리스트 추출 과정을 수행한다(S630). 이때, 추출 과정(S630)에서는, 세션 리스트에는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 근거리 통신 정보(320), 플레이어 정보(330)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34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를 기반으로 재연결된 디바이스가 기존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동일한지 비교하여(S640), 재연결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 경우에 따라 이때, 접속 디바이스 정보(310)뿐만 아니라 근거리 통신 정보(320)도 비교할 수 있다. 즉, 재연결된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정보와 세션 리스트에 저장되었던 기존 근거리 통신 정보(320)를 확인하여 플레이어의 자동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비교 결과, 재연결된 디바이스가 기존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동일하여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접속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를 복원하여 플레이어(230)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S650). 그리고는, 트랙 정보(340)를 기반으로 마지막 재생 중이었던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S660). 이때, 재생 시점 정보를 기반으로 북마크를 이용하여 마지막 재생되었던 시점부터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만약, 비교 결과, 재연결된 디바이스가 기존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동일하지 않아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가 없는 경우, 새롭게 재연결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입력한다(S655). 그리고는, 재연결된 디바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세션 관련 정보(예컨대, 근거리 통신 정보, 플레이어 정보 및 트랙 정보)를 포함하여 세션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한다(S665). 이후, 연결이 끊긴 후, 새로 입력된 디바이스에 재연결시, 세션 복원을 통해 해당 플레이어 및 트랙을 재생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710), 근거리 네트워크(720) 및 제 2 디바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디바이스(710)는 근거리 네트워크(720)를 통해 제 2 디바이스(7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 1 디바이스(710)는 제 2 디바이스(30)와 근거리 네트워크(720)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제 1 디바이스(710)는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710)는 외부 입력 모드를 설정하여 외부 기기(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디바이스(730)일 수 있음)로부터의 입력(영상 또는 음원 관련 데이터)을 받아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화면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근거리 네트워크(720)는 제 1 디바이스(710)와 제 2 디바이스(730)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근거리 네트워크(720)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730)는 근거리 네트워크(720)를 통해 제 1 디바이스(710)와 통신하며, 영상 또는 음원 관련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710)로 전송하여 제 1 디바이스(710)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해당 영상 또는 음원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디바이스(730)는 와이파이 등을 통해 제 1 디바이스(710)(예컨대, TV일 수 있음)에 연결 후, 음악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한 후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연결 후에 세션 리스트에 제 1 디바이스(710) 관련 정보, 근거리 통신 관련 정보, 플레이어 관련 정보 및 플레이 중인 트랙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제 1 디바이스(710)와의 연결이 끊긴 이후 재연결시 자동으로 플레이 중이었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730)는 컴퓨터, 스마트 폰, 개인 휴대 단말기, 핸드폰, PMP일 수 있다. 다만, 제 2 디바이스(7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플레이어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관련 구성을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는 TV(810)이고, 제 2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830)인 상황을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TV(810)는 외부 기기 접속 연결 모드로 설정하여 스마트 폰(830)과의 연결을 결정한다(S802). 그리고는, TV(810)는 스마트 폰(830)으로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S804). 이는 네트워크(820) 내의 모든 기기에게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는 TV(81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스마트 폰(830)은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TV(810)의 식별을 위한 정보(예컨대, 디바이스 ID 및/또는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폰(830)은 접속 요청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TV(810)로 전송한다(S806).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TV(810)는 스마트 폰(830)에서의 재생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S808). 이후, 스마트 폰(830)가 플레이어를 실행시키면(S810), 재생되는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TV(810)로 전송하게 된다(S812). TV(810)는 스마트 폰(830)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814). 스마트 폰(830)은 영상 데이터를 TV(810)로 전송하면서, TV의 식별 정보, 근거리 통신 관련 정보, 실행 중인 플레이어 정보 및 재생 중인 영상 트랙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S816). 이후, TV(810)와 스마트 폰(830) 간의 근거리 접속 연결이 끊어지게 되면, TV(810)는 외부 기기 접속 연결 모드를 통해 스마트 폰(830)과의 재연결을 시도한다(S820). 그리고는, TV(810)는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을 스마트 폰(830)으로 전송하고(S822), 스마트 폰(830)은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TV(810)로 전송하여 TV(810)와 스마트 폰(830)과의 재연결을 확립한다(S824). 이후, 스마트 폰(830)은 빠른 복구를 위해, 저장했던 최근 세션 리스트 정보를 인출하고, 재연결된 디바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재연결된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한다(S826). 비교 결과, 동일한 디바이스에 재연결되었다는 확인이 있으면,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에 저장된 플레이어 정보를 추출한다(S828). 그리고, 상기 플레이어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실행 중이었던 플레이어를 자동으로 실행시킨다(S830). 이때, 트랙 정보를 통해 마지막에 재생 중이었던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는,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를 TV(810)로 전송한다(S832). 마지막으로, TV(810)는 스마트 폰(830)에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834).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의 자동 실행 모드(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식별 결과를 기반으로 세션 리스트에 기록된 재생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모드)를 설정하고(S910), 그리고,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S920). 고정 트랙 모드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되었을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정해진 플레이어에 의해 정해진 트랙을 재생하는 모드이다.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하고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S930), 접속 연결을 수행하면(S940), 디바이스는 설정된 고정 트랙 정보를 추출한다(S950). 그리고는, 추출된 고정 트랙 정보에 해당하는 플레이어를 실행시키고, 해당 트랙을 재생한다(S960).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이 원하는 고정된 트랙을 타디바이스와의 연결시마다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에서 서로 다른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을 설정한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트랙을 연결되는 디바이스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차량 A 및 차량 B와 같이, 동영상을 재생하지 못하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특정 음악 트랙을 고정 트랙을 설정할 수 있고, TV와 같은 디바이스에서는 특정 동영상 트랙이 자동 재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고정 트랙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에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110). 그리고는, 상기 추출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상태에 적합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1120). 예컨대, 고정 트랙으로 320 비트 레이트의 동영상을 고정 트랙을 설정해 놓았는데, 네트워크가 320 비트 레이트의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어려운 환경일 경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320 비트 레이트의 동영상을 전송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은 고정 트랙 리스트에서 선순위의 비트 레이트와 상기 네트워크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적합한 가장 선순위의 고정 트랙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해당 네트워크 상태 값과 가장 가까운 비트 레이트의 동영상 또는 음악 파일이 선택되어 자동 재생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부;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player);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서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부;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정보 획득부;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세션 리스트 정보에 기록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플레이어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실행 중인 플레이어 식별 정보, 플레이 리스트 정보 및 재생 중인 트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실행부는
    상기 새로 연결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제 1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최근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음악 또는 동영상 트랙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실행부는
    상기 세션 리스트에 저장된 제 1 정보와 상기 새로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로서 입력하는 재연결 디바이스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시,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트랙 재생 모드 설정시, 적어도 두 개의 제 1 디바이스에 대해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을 재생하도록 설정하여 상기 서로 다른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접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디바이스.
  11.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단계;
    플레이어를 통해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단계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에서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플레이어로부터 상기 제 2 정보를 획득하는 제 2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세션 리스트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근거리 통신 접속 요청으로부터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와 관련된, 세션 리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세션 리스트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세션 리스트 정보에 기록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플레이어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근거리 통신을 요청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속시,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설정하는 고정 트랙 재생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고정 트랙이 재생되도록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대응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방법.
  15.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입력 모드에서 근거리 통신 접속을 하도록 설정하여 제 2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는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동영상 또는 음악을 재생하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또는 음악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세션 리스트에 상기 근거리 통신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정보 및 상기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과 관련된 제 2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접속되는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플레이어를 자동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시스템.

KR20130123140A 2013-10-16 2013-10-16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50044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40A KR20150044464A (ko) 2013-10-16 2013-10-16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40A KR20150044464A (ko) 2013-10-16 2013-10-16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464A true KR20150044464A (ko) 2015-04-27

Family

ID=5303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140A KR20150044464A (ko) 2013-10-16 2013-10-16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193B2 (en) System and method of a remote conference
US11921781B2 (en) Display apparatus, background music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background music providing system
KR20140051850A (ko) 디스플레이 장치상의 콘텐츠의 플레이 제어
CN103037265A (zh) 第一终端控制第二终端的方法、系统及智能终端
CN105072146B (zh) 一种音乐信息的共享方法及装置
JP2019154066A (ja) 再生装置および出力装置
US9384752B2 (en) Audio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150044A1 (en) Audio/video-on-demand method, server, terminal and system
JP5943050B2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CN204215585U (zh) 儿童故事机
JP2014112766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215776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the cooperative operation of several appliances interconnected via a home network
US10057631B2 (en) Interface for browsing and playing content over multiple devices
CN103731457A (zh) 一种业务处理方法和终端
JP6089874B2 (ja) 多言語同時再生システム
KR20150044464A (ko)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JP2015050709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53535A (ja) 端末装置
JP5418567B2 (ja) 受信装置
KR101469084B1 (ko) 외부 출력 기기의 연결 상태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7397B1 (ko)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CN112738910B (zh) 应用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30050539A (ko)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음원 정보 제공 방법
CN113766278B (zh) 音频播放方法、音频播放装置和音频播放系统
JP2009110399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