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229A -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229A
KR20150044229A KR20130123358A KR20130123358A KR20150044229A KR 20150044229 A KR20150044229 A KR 20150044229A KR 20130123358 A KR20130123358 A KR 20130123358A KR 20130123358 A KR20130123358 A KR 20130123358A KR 20150044229 A KR20150044229 A KR 20150044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pair
hous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1796B1 (en
Inventor
박솔
Original Assignee
박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솔 filed Critical 박솔
Priority to KR102013012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796B1/en
Publication of KR20150044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used to make a target object come in close contact with a user to be carried around and a bag using the device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The bag includes: a housing which stores the target object; a pair of shoulder straps respectivel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 contact fixing unit which connects the housing and the shoulder straps to make the housing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Description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osely holding an object to a user and a user-

본 발명은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losely holding an object to a user and a user-

일반적으로, 가방의 종류에는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는 손가방과, 한쪽 어깨, 또는 양쪽어깨에 걸어 맬 수 있는 어깨 걸이형 가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ype of bag can be classified into a hand bag which can be held by hand, and a shoulder bag or a shoulder bag that can be worn on both shoulders.

어깨 걸이형 가방에 대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39208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방을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깨띠라는 구성 덕분이다. Regarding the shoulder type bag,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392083 and the like are disclosed. The reason why these bags can be put on the shoulder i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houlder straps.

구체적으로, 어깨띠는 전체적으로 링과 같은 형태를 형성하며, 그의 양단부 모두가 가방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어깨띠가 형성하는 링 내로, 사용자는 팔을 집어넣어서, 어깨띠가 어깨를 감싸도록 하여 가방을 어깨에 걸게 된다.Specifically, the scallop forms a ring-like shape as a whole,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bag. Into the ring formed by the scabbard, the user puts his / her arm into his / her arms so that the shoulderbag is wrapped around the shoulder, and the bag is put on the shoulder.

그러나, 가방은 중력에 의해 사용자의 등에서 처져 내려가려 해서, 사용자의 어깨에 더 큰 부하가 걸리게 한다. However, the bag tends to sag from the back of the user by gravity, thus placing a greater load on the user's shoulder.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losely attaching an object to a user and capable of reducing a load felt by a user by bringing the object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s body, and a user-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과 관련된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는,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견착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밀착되게 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closely holding an object to a user, comprising: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each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ontact unit fo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gripping strap so that the housing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등판면과, 상기 등판면에 대향되는 외부면과, 상기 등판면과 상기 외부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되는 바닥면 및 천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유닛의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외부면과 상기 천정면 위를 지나서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includes a back plate corresponding to a user's back, an outer face opposed to the back plate, and a bottom and a ceiling facing each other connecting the back plate and the outer fac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ightening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strap past the oute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탄 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act units may include a pair of adhesive bands dispos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atching strap.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그의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밀착 밴드; 및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 밴드의 탄 단부를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act unit may include an adhesive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modul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and connecting the bullet end of the adhesive band to one of the pair of adhesive strap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리셉터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one of the pair of pulling straps includes a receptacle, and the connecting module may include a plu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여기서,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밴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sposed to intersect with the adhesive band.

여기서, 상기 고정 밴드는,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 본체와 함께 상기 밀착 밴드가 위치하는 제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xed band may include a band body;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us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and body to form a confined space in which the band is positioned together with the band body.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버클 조립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Here, it is further possible to provide a buckle assembly, which is mounted on the pair of gripper straps, and is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gripper straps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uckle assembly includes: a first pivoting unit for pivotally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y one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second pivoting unit pivot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ther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 fastening unit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revolv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revolving unit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여기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ivoting unit and the second pivoting unit may include an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ne strap or the other strap; A lower plat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straps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trap; And a latch unit protruding from the top plate, and a latch unit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having a latching hole for latching the latching pin.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ere, the buckle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the first pivoting unit, the second pivoting uni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re stacked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donut-shaped first donut plate coupled to the first turning unit; And a latch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donut plate so as to be cantilevered.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donut-shaped second donut plate coupled to the second turning unit and hav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plate is inserted in a fastened state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pressing plate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movably in a cantilevered manner and disposed above the holding plate in the engaged state.

여기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uckle assembly includes: a first coupling module installed on one of th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straps; And a second coupling module install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binding straps and having a pressing plate installed to press the holding plate by a cantilever mo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밀착형 가방은,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에 연결되며, 서로에 대해 체결 시에 상기 수납체의 일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수납체의 타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타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tight bag comprising: a storage body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and forming an X-axis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n fasten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adhesive bands forming an X-axis at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accommodating body,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And a tighten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ing strap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의하면, 디바이스 또는 가방이 사용자의 몸에 밀착되게 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 또는 가방을 짊어짐에 따라 느끼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device and the user-friendly bag using the device, the device and the device for carrying the obje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the device or the bag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load fe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앞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쪽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device 100 for carrying a subject in close contact with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device 100 for carrying a subject in close contact with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er wears a device 100 for holding a subject in close contact with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the device 100 of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buckle assembly 150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앞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100)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뒤쪽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100 for carrying a subject in close contact with a us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100 for carrying a device 100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wear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rear side of one state.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착용자가 대상물을 등에 짊어지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가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아기를 업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아기띠로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device 100 is a tool for a wearer to carry an object on his back. Such a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s bag. Alternatively, it may be embodied as a baby band when used to raise the baby.

디바이스(100)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10)과, 견착 스트랩(130)과, 버클 조립체(150)와, 밀착 유닛(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100 may specifically include a housing 110, a gripping strap 130, a buckle assembly 150, and a tightening unit 180.

하우징(110)은 책이나 소지품 등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100)가 가방인 경우에, 하우징(110)은 박스 형의 수용체일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가죽이나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s a structure that provides space for accommodating objects such as books and belong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evice 100 is a bag, the housing 110 may be a box-shaped receptacle. At this tim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of a leather or cloth material.

하우징(110)은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가져서, 등판면(111)과, 한 쌍의 측면(112)과, 외부면(113)과, 바닥면(115), 그리고 천정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등판면(111)은 사용자의 등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면이 된다. 측면(112)은 등판면(111)과 외부면(113)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면(113)은 등판면(111)에 대향되는 면으로서 외부로 주되게 드러나는 면이다. 바닥면(115) 및 천정면(117)은 서로 대향되며, 등판면(111)과 외부면(113)을 연결하는 면이 된다. 바닥면(115) 및 천정면(117)은 또한 한 쌍의 측면(1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디바이스(100)가 아기띠로 구현되는 경우에, 하우징(110)은 대체로 외부면(113)과 바닥면(115)을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has a generally hexahedral shape and may include a backplane surface 111, a pair of side surfaces 112, an outer surface 113, a bottom surface 115, and a ceiling surface 117 have. The backing surface 111 is a surface arranged to face the back of the user. The side surface 112 may be provided as a pair connecting the back surface 111 and the outer surface 113 and facing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113 is a surface opposed to the back surface 111 and is a surface main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bottom surface 115 and the ceiling surface 117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serve as a surface connecting the back surface 111 and the outer surface 113. [ The bottom surface 115 and the ceiling surface 117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air of side surfaces 112. In the case where the device 100 is embodied as a baby band, the housing 110 may be shaped to have a generally outer surface 113 and a bottom surface 115.

견착 스트랩(130)은 착용자가 몸에 하우징(110)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끈이다. 견착 스트랩(130)은 한 쌍으로 구비된다. 견착 스트랩(130)은 하우징(110)의 좌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 스트랩(131)과, 하우징(110)의 우측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스트랩(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각각 상부(132)/(136)과 하부(133)/(13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견착 스트랩(130)의 양단부는 모두 하우징(110)의 등판면(111)에 연결된다. The strap 130 is a strap that allows the wearer to connect the housing 110 to the body. The pick-up straps 130 are provided in pairs. The pulling strap 130 may include a first strap 131 connecting the upper lef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and a second strap 135 connecting the upper right portion and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e first strap 131 and the second strap 135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32/136 and a lower portion 133/137,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both ends of the fastening strap 130 are all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111 of the housing 110.

견착 스트랩(130)은, 제1 스트랩(13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리셉터클(134)을 더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134)은 합성수지의 사출물일 수 있다. The pulling strap 130 may further include a receptacle 134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of the user, as an example of the first strap 131. The receptacle 134 may be an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버클 조립체(150)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체결(및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은 디바이스(100) 중 등판면(111) 측에서 엑스('X')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버클 조립체(150)는 또한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2)/(136)가 하부(133)/(137)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The buckle assembly 150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rst strap 131 and the second strap 135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fastened state). As a result, the first strap 131 and the second strap 135 form an X '(X) shape on the back plate surface 111 side of the device 100. The buckle assembly 15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ortion 132/136 of the first strap 131 and the second strap 135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133/137 .

밀착 유닛(180)은 하우징(110)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하는 구성이다. 밀착 유닛(180)은, 구체적으로, 밀착 밴드(181)와, 연결 모듈(185)과, 고정 밴드(18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ring unit 180 is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housing 110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ck. The adhesion unit 180 may specifically include an adhesion band 181, a connection module 185, and a fixing band 187.

밀착 밴드(181)는 서로 교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밀착 밴드(181)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 측에서 엑스(X) 자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밀착 밴드(181)의 일 단부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바닥면(115)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견착 스트랩(13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 유닛(180)의 일 단부는 바닥면(115) 중 코너 영역에 박음질된다. 그에 의해, 밀착 유닛(18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과 천정면(117) 상을 지나도록 배열된다. The adhesive bands 181 may be formed as a pair of mutually intersecting bands. The pair of adhesive bands 181 form an X (X) character on the outer surface 113 side of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one end of the adhesive band 181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115,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arring strap 130.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tightening unit 180 is stuck to the corner area of the bottom surface 115. Thereby, the adhering unit 180 is arranged to pass over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housing 110 and the ceiling surface 117.

연결 모듈(185)은 밀착 밴드(181)의 타 단부에 설치된다. 연결 모듈(185)은, 플러그(185a)와, 와인딩부(18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85a)는 리셉터클(134)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와인딩부(185b)는 밀착 밴드(181)가 감기어서, 밀착 밴드(181)가 연결 모듈(185)에 연결되게 하는 구성이다. The connection module 185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and 181. The connection module 185 may include a plug 185a and a winding portion 185b. The plug 185a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receptacle 134. The winding part 185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lose band 181 is wound so that the close band 18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85. [

이와 달리, 연결 모듈(185)은 밀착 밴드(181)의 타 단부를 견착 스트랩(130)에 대해 연결하기 위해 박음질된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 밴드(181)는 두 개로 분리되어, 벨크로 등에 의해 서로 중첩되게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밀착 밴드(181)는 고무 밴드 등과 같이 탄력성을 가져서, 단일 부재이지만 길이 조절 가능한 구성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nection module 185 may be configured as a stitched portion to connect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181 to the grip strap 130. At this time, the adhesive band 181 is divided into two pieces, and the overall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verlapping by the Velcro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adhesive band 181 may have elasticity such as a rubber band or the like, and may be a single member but a length-adjustable configuration.

고정 밴드(187)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며, 밀착 밴드(181)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밴드이다. 고정 밴드(187)는, 밴드 본체(188)와, 연결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and 187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nd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adhesive band 181. The fixing band 187 may include a band body 188 and a connecting portion 189.

밴드 본체(188)는 하우징(110)의 외부면(113)에 배치되고, 대체로 바닥면(115)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9)는 밴드 본체(188)의 복수의 위치에서 밴드 본체(188)를 외부면(113)에 대해 연결하는 구성이다. 연결부(189)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박음질 라인일 수 있다. 밴드 본체(188)와 연결부(189)에 의해 형성된 제한 공간에는 밀착 밴드(181)가 위치하게 된다. The band body 188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113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generally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15. The connection 189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band body 188 to the outer surface 113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band body 188. The connecting portion 189 may be, for example, a plurality of stitching lines. The tightening band 181 is located in the confined space defined by the band body 188 and the connecting portion 189.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견착 스트랩(130)이 버클 조립체(150)에 의해 엑스 자 형태로서 체결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을 십일자 형 또는 엑스자 형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astening straps 130 are fastened in an X-shaped configuration by the buckle assembly 150,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 pair of fastening straps 130 as a ten- .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을 엑스자 형으로 한 경우에는, 대상물에 의한 하중은 착용자(사용자)의 어깨뿐만 아니라 가슴, 등 등에 고루게 분산 지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착용자가 어깨에 집중된 하중에 의해 고통받는 것을 덜어 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이 십일자 형을 이루는 경우에 비해, 착용자의 옆구리와 가슴 사이 부분이 가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pair of gripping straps 130 are formed in an X-shape, the load caused by the object can be distributed and supported not only on the shoulders of the wearer (user) but also on the chest, back and the like. Thereby relieving the wearer of suffering from a load concentrated on the shoulder. In addi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air of straps 130 are in a ten-sided shape, the side portion of the wearer and the portion between the breas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다른 한 편으로, 밀착 유닛(180)이 구비됨에 의해, 하우징(110)이 착용자의 등에 밀착되게 된다. 그에 의해, 하우징(110)이 아래로 쳐짐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에 더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밀착 유닛(180)에 의한 하우징(110)의 착용자에 대한 밀착과, 앞서 설명한 버클 조립체(150)에 의한 하중 분산에 의해, 착용자는 대상물을 짊어짐에 의해 보다 적은 하중을 느끼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the tight fitting unit 180, the housing 1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wearer. Thereby, a greater loa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shoulder of the wearer as the housing 110 is knocked down. Further, by the close contact of the housing 110 with the wearer by the tight fitting unit 180 and the load distribution by the buckle assembly 150 described above, the wearer feels less load by carrying the object.

여기서, 밀착 유닛(180)은 한 쌍의 견착 스트랩(130)이 엑스 자를 이루는 것과 같이 엑스 자를 이루는 한 쌍의 밀착 밴드(181)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앞과 뒤에서 연속적으로 엑스 자가 형성되게 한다. 이는 하우징(110)이 착용자에 보다 강하게 밀착되게 하고, 힘의 분산에도 유리한 구조적 환경을 제공한다.Here, the tightening unit 180 includes a pair of tightening bands 181 formed in an X-shape such that the pair of fastening straps 130 are X-shaped, thereby allowing the X-shape to be continuously form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wearer. This allows the housing 110 to be more tightly attached to the wearer and provides a structural environment favorable to dispersion of force.

밀착 밴드(181)가 연결 모듈(185)에 연결되는 길이를 와인딩부(175b)를 이용해 조절하게 되면, 착용자는 하우징(110)의 자신에 대한 밀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밴드(187)가 구비됨에 의해, 밀착 밴드(181)가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하우징(110)을 착용자의 등에 밀착하는 제 기능을 다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tightening band 18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odule 185 is adjusted by using the winding portion 175b, the wearer can adjust the degree of close contact of the housing 110 with itself. Further, the provision of the fixing band 187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closely contacting the housing 110 with the back of the wearer without leaving the adhesive band 18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다음으로, 이상의 버클 조립체(150)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above-described buckle assembly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Fig.

먼저,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100)의 버클 조립체(150)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the device 1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클 조립체(15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1, the buckle assembly 150 includes a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a second coupling module 170,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 결합 모듈(160)은, 도 1에 예시된 바대로,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와 하부(133)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결합 모듈(170)은, 역시 도 1에 예시된 바대로,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와 하부(137)를 서로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로부터, 제1 스트랩(131), 제2 스트랩(135), 제1 결합 모듈(160), 및 제2 결합 모듈(170)은 스트랩 어셈블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는, 디바이스(100) 중에서, 착용자의 어깨에서 시작하여 가슴과 배를 지나 옆구리까지 대응하도록 연장하는 부분이다.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pivotally connects the upper portion 132 and the lower portion 133 of the first strap 131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pivotally connects the upper portion 136 and the lower portion 137 of the second strap 135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also illustrated in FIG. The first strap 131, the second strap 135,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may be referred to as a strap assembly. The strap assembly is a portion of the device 100 that extends from the shoulder of the wearer to the chest and abdomen to correspond to the side.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결합 모듈(170)의 그의 상면[제2 체결부(177)]이 온전히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177)이 눌려지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서로에게서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77)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are coupled. 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77 is depressed,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에서 견착 스트랩(130)과 연결되기 위한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는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가 노출되는 중앙 영역과, 상부 연결부(161c,171c) 및 하부 연결부(163b,173b)가 형성하는 주변 영역이 보다 간결한 구조를 이루면서 조화될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portions 161c and 171c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s 163b and 173b for connecting to the hand strap 130 in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are all located at the same height. Thereby, the center area where the second fastening part 177 is exposed and the peripheral area formed by the upper connection parts 161c and 171c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s 163b and 173b can be made more concise and structured.

다음으로, 위의 제1 결합 모듈(16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bove first coupling module 1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모듈(160)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 및 제1 체결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은 전체로서 제1 선회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may include an upper plate 161, a lower plate 163, a coupling unit 165, and a first coupling unit 167. Here, the upper plate 161, the lower plate 163, and the engaging unit 165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revolving unit as a whole.

상부판(161)은 제1 디스크부(161a)와, 제1 측벽부(161b)와, 상부 연결부(161c)를 구비한다. 디스크부(161a)는 대체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61b)는 디스크부(16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61c)는 측벽부(161b)에 설치되어 제1 스트랩(131)의 상부(132)가 연결되게 하는 부분이다. The top plate 161 includes a first disk portion 161a, a first side wall portion 161b, and an upper connection portion 161c. The disk portion 161a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disc shap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1b protrudes along the edge of the disk portion 161a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like shape.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161c is a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wall portion 161b to allow the upper portion 132 of the first strap 131 to be connected.

하부판(163)은 상부판(161)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 하부판(163)은, 디스크부(163a)와, 하부 연결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63b)는 디스크부(16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스트랩(131)의 하부(13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plate 163 is a memb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61. The lower plate 163 may include a disk portion 163a and a lower connection portion 163b.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63b extends from the edge of the disc portion 163a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133 of the first strap 131. [

걸림 유닛(165)은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65)은, 구체적으로 걸림핀(166)과, 걸림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66)은, 로드(166a)와 슬리브(166b)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66a)는 상부판(161)의 디스크부(161a)의 중앙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166b)는 로드(166a)의 자유단에서 로드(166a)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홀(166')은 하부판(16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된 것이다. 걸림핀(166)이 걸림홀(166')에 억지로 끼워짐에 의해, 슬리브(166b)가 하부판(163)에 걸림에 의해,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 연결이 완선된다. 이때, 상부판(161)과 하부판(163) 간의 선회의 중심축은 로드(166a)가 된다.The latching unit 165 is configured to pivotably connect the upper plate 161 and the lower plate 163 relative to each other. The latching unit 165 may specifically include a latching pin 166 and a latching hole 166 '. The locking pin 166 may include a rod 166a and a sleeve 166b. The rod 166a may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disk portion 161a of the top plate 161. [ The sleeve 166b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rod 166a at the free end of the rod 166a. The latching hole 166 'is opened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163.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plate 161 and the lower plate 163 is relieved by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in 166 with the engaging hole 166 'so that the sleeve 166b is caught by the lower plate 163. At this time, the central axis of the turning between the top plate 161 and the bottom plate 163 becomes the rod 166a.

제1 체결부(167)는 제2 체결부(177, 도 6)와 함께 체결 유닛을 이루는 구성이다. 제1 체결부(167)는, 상부판(16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부(161b)에 결합된다. 제1 체결부(167)는 제1 측벽부(161b) 및 제1 디스크부(161a)와 함께 일 측부가 개방된 제1 수용 공간(S1)을 형성하게 된다. The first fastening part 167 constitutes a fastening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fastening part 177 (Fig. 6).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1b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top plate 161. [ The first coupling part 167 forms a first receiving space S 1 with one side opened together with the first side wall part 161b and the first disk part 161a.

제1 체결부(167)는, 제1 도넛판(167a)과, 걸림판(16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넛판(167a)은 대체로 도넛 형인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넛판(167a)으로서 원형을 예시하나, 폐곡선 형태라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각형도 가능하다.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판(167b)은 제1 도넛판(167a)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167b)은 그의 자유단 측이 제1 도넛판(167a) 보다 상기 제1 선회 유닛에서 멀어지도록 휘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판(167b)은 연결부(167b')에 의해 제1 도너산(167a)에 연결되고, 연결부(167b')를 중심으로 외팔보 운동을 하게 된다.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may include a first donut plate 167a and a latch plate 167b. The first donut plate 167a may be a plate that is generally toroid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onut plate 167a is circular, but it may be square, hexagonal, octagonal or the like as long as it is a closed curve. The engaging plate 167b is disposed in a hollow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onut plate 167a.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plate 167b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donut plate 167a. The engagement plate 167b may be bent such that its free end side is farther away from the first swivel unit than the first donut plate 167a. More specifically, the latching plate 167b is connected to the first donor mount 167a by the connecting portion 167b ', and performs the cantilever motion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167b'.

다음으로, 도 6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제2 결합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이다.Nex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of the buckle assembly 15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과 유사하게,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은, 제1 결합 모듈(160)의 제1 체결부(167)에 대응하여, 제2 체결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may include an upper plate 171, a lower plate 173, and a latching unit 175, similar to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177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7 of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상부판(171)은 제2 디스크부(171a)와, 제2 측벽부(171b)와, 상부 연결부(171c)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부(171a)는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71b)는 디스크부(17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대체로 원호형인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연결부(171c)는 제2 스트랩(135)의 상부(136, 이상 도 1)에 연결된다. 상부 연결부(171c)는 하부 연결부(173b)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기 위해, 제2 측벽부(171b) 중에서 디스크부(171a)가 위치한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된다. The top plate 171 may include a second disk portion 171a, a second side wall portion 171b, and an upper connection portion 171c. The disk portion 171a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circular shape.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71b protrudes along the edge of the disc portion 171a and may form a generally circular arc wall. The upper connection 171c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36 (Fig. 1) of the second strap 135.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71c is install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71b at which the disc portion 171a is positioned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73b.

하부판(173)은 디스크부(173a)와, 하부 연결부(173b)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173b)는 디스크부(173a)의 가장 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스트랩(135)의 하부(137, 이상 도 1 참조)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lower plate 173 may include a disc portion 173a and a lower connection portion 173b.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73b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disc portion 173a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137 of the second strap 135 (see FIG. 1).

걸림 유닛(175)은 상부판(171)이 하부판(173)에 대해 선회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걸림 유닛(175)는, 걸림핀(176)과, 걸림홀(176')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176)은 상부판(171)에서 돌출 형성되며, 로드(176a)와 슬리브(176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176')은 하부판(173)의 중앙에 관통 개구되며, 걸림핀(176)을 수용하는 부분이다.The engaging unit 175 is configured to cause the top plate 171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73. [ The latching unit 175 may include a latching pin 176 and a latching hole 176 '. The latching pin 176 protrudes from the top plate 171 and may include a rod 176a and a sleeve 176b. The latching hole 176 'is a portio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173 and receives the latching pin 176.

제2 체결부(177)는 제1 체결부(167, 도 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제2 체결부(177)는 상부판(171)의 상측에, 구체적으로 제2 측벽부(171b)에 설치된.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와 제2 측벽부(171b) 및 제2 디스크부(171a)는 일 측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S2)을 형성하게 된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Fig. 2).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plate 171, specifically o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71b. Thereby,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71b and the second disk portion 171a form a receiving space S 2 having one side opened.

제2 체결부(177)는, 구체적으로, 제2 도넛판(177a)과, 누름판(17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넛판(177a)은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중앙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넛' 형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원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각형의 형태도 가능하다. 제2 도넛판(177a)은 누름판(177b) 보다 큰 두께를 가지고,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상면 측에 치우져서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누름판(177b)은 제2 도넛판(177a)의 중공부에 배치되는 판재이다. 누름판(177b)은, 본 실시예에서 제2 도넛판(177a)의 원형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원판으로 형성된다. 누름판(177b)은 연결부(177b')에 의해 지지되어 외팔보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may specifically include a second donut plate 177a and a pressure plate 177b. The second donut plate 177a is a plate having a generally donut shape,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Here, the 'donut' shape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but other polygonal shapes are also possible. The second doodle plate 177a has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pressure plate 177b and the pressure plate 177b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doodle plate 177a (see FIG. 7). The pressure plate 177b is a plate member disposed on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177a. The pressure plate 177b is formed of a circ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circular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177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ure plate 177b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77b 'so as to perform a cantilever motion.

이상에서 설명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서로 결합된 형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도 4의 버클 조립체(150)의 라인(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buckle assembly 150 of FIG.

본 도면들[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상태에서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 된다. Referring to these Figures [and FIGS. 4-6], in the state of FIG. 1,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are coupled together as shown in FIG.

이러한 결합을 위해, 제1 결합 모듈(160)의 상부판(161)과 하부판(163)은 [연결부들(161c 및 16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α)]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1 선회 유닛인 상부판(161)과, 하부판(163)과, 걸림 유닛(16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또한, 제2 결합 모듈(170)의 상부판(171)과 하부판(173) 역시 [연결부들(171c 및 173b)을 기준으로] 대체로 일 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꺽인 상태[각도(β)]로 상대 선회되어야 한다. 이는 제2 선회 유닛인 상부판(171)과,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의 상호 작용에 의한다. The upper plate 161 and the lower plate 163 of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bent in relation to each other (alpha)]. This i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upper plate 161, the lower plate 163, and the engaging unit 165, which are the first revolving unit. The upper plate 171 and the lower plate 173 of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are also bent in a state of being bent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the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generally straight (with reference to the coupling portions 171c and 173b) ]. This is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upper plate 171, the lower plate 173, and the engaging unit 175, which are the second revolving unit.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 유닛인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가 서로 체결되어야 한다. 상기 체결 시에,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우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체결 방향(C) 참조]. 그에 의해, 상기 제2 선회 유닛은 제1 측벽부(16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1 수용 공간(S1) 내로 삽입된다. 반대로, 제1 체결부(167)는 제2 측벽부(171b)가 형성되지 않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제2 수용 공간(S2) 내로 삽입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제1 체결부(167), 제2 체결부(177)는 순차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In order to engage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the first coupling part 167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77, which are the coupling unit, must be coupl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the fastening,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moves to the right in the figure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moves to the left in the drawing (see the fastening direction C). Thereby, the second pivot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 1 through the open side wher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61b is not formed. Conversel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S 2 through the open side where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71b is not formed. Accordingly, the first swivel unit, the second swivel uni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67,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77 are sequentially stacked.

이러한 체결 과정 중에, 제1 체결부(167)의 상측으로는 제2 체결부(177)가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체결부(177)의 제2 도넛판(177a)은 제1 체결부(167)의 상향 돌출된 걸림판(167b)을 누르며 지나가게 된다. 제2 체결부(177)가 제1 체결부(167)에 완전하게 중첩된 위치에 이르게 되면, 걸림판(167b)은 다시 탄성적으로 상향 경사져서 누름판(177b)의 저면을 향해 들어 올려진다. 이때, 걸림판(167b)의 자유단인 걸이부(167b')는 제2 도넛판(177a)의 내면인 걸림부(177a')에 맞닿아서,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이 유지되게 한다.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Thereby, the second donut plate 177a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passes through the upwardly projecting fastening plate 167b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reache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77 is completely overlapped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67, the latching plate 167b is elastically upwardly inclined again and is lifted toward the bottom face of the pressure plate 177b. 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167b ', which is a free end of the engaging plate 167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177a', which i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onut plate 177a,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67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77 ' (177).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이 수평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적으로 적층 배치되어, 상기 스트랩 어셈블리가 완전한'X'자에 가까운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모듈(160)의 하부판(173)과 걸림 유닛(175)만이 착용자의 배(또는 가슴)에 접촉하게 되므로, 착용자가 버클 조립체(150)를 의식하게 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are vertically stacked rather than horizontally, so that the strap assembly can have a shape close to a complete 'X' character . In addition, since only the lower plate 173 of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and the engaging unit 175 contact the wearer's belly (or ches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rtion of the wearer who considers the buckle assembly 150 do.

제1 체결부(167)와 제2 체결부(177) 간의 체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착용자는 제2 체결부(177)의 누름판(177b)을 누른 채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겨주면 된다. 여기서, 착용자가 누름판(177b)을 누르게 되면, 누름판(177b)은 걸림판(167b)을 또한 눌러주게 된다. 눌려진 걸림판(167b)은 하강되면서, 그의 걸이부(167b')가 걸림부(177a')와 맞닿은 상태에서 걸림부(177a')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의해, 걸이부(167b')와 걸림부(177a')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제2 체결부(177)를 제1 체결부(167)에서 멀어지도록 당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모듈(160)은 도면상 좌측으로, 제2 결합 모듈(170)은 도면상 우측으로 당겨진다[해제 방향(D) 참조]. In order to release the fastening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167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77, the wearer pushes the second fastening part 177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77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late 177b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177 So that it is pulled away from the portion 167. Here, when the wearer presses the pressing plate 177b, the pressing plate 177b also presses the holding plate 167b. While the depressed engaging plate 167b is lowered, the engaging portion 177a 'is move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ortion 167b'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177a '. Thereby, engagement between the hook portion 167b 'and the engaging portion 177a' is released, so that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77 can be pulled away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67.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module 160 is pull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coupling module 170 is pull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see the releasing direction D).

이 상태에서는, 제1 스트랩(131)과 제2 스트랩(135)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대략 십일자를 이루게 된다. 그에 의해, 착용자는 버클 조립체(150)의 제1 결합 모듈(160)과 제2 결합 모듈(170)을 서로 체결하지 않은 상태로 디바이스(100)를 어깨에 짊어질 수도 있다. 이는 일반적인 가방을 짊어지는 경우와 유사하다.In this state, the first strap 131 and the second strap 135 are arranged side by side to form an approximately eleventh letter. Thereby, the wearer may bear the device 100 on the shoulder without engaging the first engaging module 160 and the second engaging module 170 of the buckle assembly 150 with each other. This is similar to carrying a normal bag.

상기와 같은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사용자 밀착형 가방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evice for closely carrying the object to the user and carrying it thereon and the user-friendly bag using the devic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사용자 밀착형 가방
110: 하우징 111: 등판면
113: 외부면 115: 바닥면
117: 천정면 130: 견착 스트랩
131: 제1 스트랩 135: 제2 스트랩
150: 버클 조립체 160: 제1 결합 모듈
161,171: 상부판 163,173: 하부판
165,175: 걸림 유닛 167: 제1 체결부
170: 제2 결합 모듈 177: 제2 체결부
180: 밀착 유닛 181: 밀착 밴드
185: 연결 모듈 187: 고정 밴드
100: Device / user-friendly bag for carrying the object to the user closely
110: housing 111: back plate surface
113: outer surface 115: bottom surface
117: cloth front face 130: fastening strap
131: first strap 135: second strap
150: buckle assembly 160: first coupling module
161, 171: upper plate 163, 173:
165, 175: engaging unit 167: first engaging part
170: second coupling module 177: second coupling part
180: Adhesive unit 181: Adhesive band
185: connection module 187: fixed band

Claims (15)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하우징;
각각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견착 스트랩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이 사용자에 밀착되게 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A housing configured to receiv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each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nd a tightening unit fo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gripping strap to bring the housing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등에 대응하는 등판면과, 상기 등판면에 대향되는 외부면과, 상기 등판면과 상기 외부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되는 바닥면 및 천정면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 유닛의 일 단부는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며,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외부면과 상기 천정면 위를 지나서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bottom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facing each other connecting the back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correspond to the back surface,
Wherein one end of the tighte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ightening unit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strap past the outer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닛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각각 상기 바닥면에 연결되는 일 단부와 상기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탄 단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ightly-
And a pair of adhesive bands disposed to intersect one another and each having an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bullet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bulging strap,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닛은,
그의 일 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밀착 밴드; 및
상기 밀착 밴드의 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착 밴드의 탄 단부를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ghtly-
An adhesive band to which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nd a connection modu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adhesive band and connecting the bullet end of the adhesive band to one of the pair of the adhesive strap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리셉터클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of said pair of gripping straps comprises a receptacle,
The connection module includes:
And a plu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밀착 밴드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ightly-
And a fastening band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sposed to intersect the fastening ba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밴드 본체; 및
상기 밴드 본체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여, 상기 밴드 본체와 함께 상기 밀착 밴드가 위치하는 제한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xed band
Band body;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housing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and body to form a confined space in which the band is located together with the ban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을 서로에 대해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버클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uckle assembly mounted to the pair of grip straps and configured to fasten the pair of grip straps to each oth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선회 유닛;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의 상부 및 하부를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선회 유닛; 및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uckle assembly comprises:
A first pivoting unit pivotally connec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ny one of said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second pivoting unit pivot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ther of the pair of gripping strap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nd a fastening unit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revolv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revolving unit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유닛과 상기 제2 선회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판;
상기 어느 하나의 스트랩 또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스트랩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걸림핀과,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홀을 구비하는 걸림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ng unit and the second swing unit comprises:
An upper plat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straps or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trap;
A lower plat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straps or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trap; And
And a latch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and a latching unit formed on the lower plate, the latching unit latching the latching p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제1 선회 유닛, 상기 제2 선회 유닛,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가 차례로 적층된 형태를 갖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uckle assembly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ivoting unit, the second pivoting unit, the first pivoting unit, and the second pivoting unit are stacked in order in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unit, Device for carrying 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선회 유닛에 결합되는 도넛 형의 제1 도넛판; 및
상기 제1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donut-shaped first donut plate coupled to the first turning unit; And
And a latch plate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donut plate so as to be cantilever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선회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체결부와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자유단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도넛 형의 제2 도넛판; 및
상기 제2 도넛판의 중공부에 외팔보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second donut plate coupled to the second turning unit and having a hollow portion into which the free end of the latching plate is inserted in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irst fastening unit; And
And a pressing plate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donut plat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cantilever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late in the engaged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조립체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는 걸림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외팔보 운동하여 상기 걸림판을 눌러 주도록 설치되는 누름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자에 밀착시켜 짊어지기 위한 디바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uckle assembly comprises:
A first coupling modul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air of picking straps and having a latching plate for cantilevering; And
And a second coupling module mounted on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catching straps and having a pressing plate installed to press the holding plate by a cantilever motion.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에 연결되며, 서로에 대해 체결 시에 상기 수납체의 일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견착 스트랩; 및
상기 수납체의 타 면 측에서 엑스 자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밀착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일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밀착 밴드 각각의 타 단부는 상기 한 쌍의 견착 스트랩에 연결되는 밀착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밀착형 가방.
A housing configured to accommodate an object;
A pair of fastening strap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and forming an X-axis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n fastened to each other; And
And a pair of adhesive band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housing body,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adhesive bands is connected to the And a tightening unit connected to the pair of gripping straps.
KR1020130123358A 2013-10-16 2013-10-16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KR1015217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2013-10-16 2013-10-16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2013-10-16 2013-10-16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29A true KR20150044229A (en) 2015-04-24
KR101521796B1 KR101521796B1 (en) 2015-05-27

Family

ID=5303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358A KR101521796B1 (en) 2013-10-16 2013-10-16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7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65A1 (en) * 2015-08-07 2017-02-16 이종무 Tightening straps for ba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946U (en) * 1989-07-10 1991-03-06
JP3021946B2 (en) 1992-04-17 2000-03-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Cooling method for high temperature steelmaking slag
US20060049227A1 (en) * 2004-09-09 2006-03-09 Travel Caddy, Inc. D/B/A Travelon Small animal backpack
KR200392083Y1 (en) * 2005-05-27 2005-08-09 손원용 Bag for dispersing a load
KR101292620B1 (en) * 2012-04-25 2013-08-16 박솔 Multi mode bag of swing type and suspenders assembly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765A1 (en) * 2015-08-07 2017-02-16 이종무 Tightening straps for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796B1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302B1 (en) Eyeglass holder with clasp
US9538833B2 (en) Assembly for storing and deploying for use a handheld digital device
US11067827B2 (en) System to secure glasses to hat
US7553018B1 (en) Eyeglass holder
US7340804B2 (en) Strap assembly capable of rotational engagement with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413047B2 (en) Hat holder
MX2014008304A (en) Adjustable holder for tablet computer and cover therefor.
US8534933B2 (en) System for storing and releasing a camera for quick use
AU2013291006B2 (en) Safety pin for fastening accessories
KR101521796B1 (en)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JP2007130112A (en) Clip and eyeglasses storage implement using the clip
KR20090008463U (en) Hanger for glasses
JPS5837626A (en) Improved camera body harness
KR101529628B1 (en)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and x connecting baby carrier
CN203574698U (en) Detachable-connected mobile phone protector
JP3396416B2 (en) Body-mounted body
JP3220010U (en) Accessories and holders for golf bags
JP7374507B2 (en) Strap attachment and how to attach the strap attachment
KR102575884B1 (en) buckle for backpack having hinge locking tool
JP3237537U (en) Cage
CN212100231U (en) Watch pillow and packing box assembly
JPH0956439A (en) Case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2988409B2 (en) Portable bottle
JP3211784U (en) Shoulder strap attachment
KR200483876Y1 (en) Bag with rotary hand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