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788A -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788A
KR20150043788A KR20130122632A KR20130122632A KR20150043788A KR 20150043788 A KR20150043788 A KR 20150043788A KR 20130122632 A KR20130122632 A KR 20130122632A KR 20130122632 A KR20130122632 A KR 20130122632A KR 20150043788 A KR20150043788 A KR 2015004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ilure
fault
transmission l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대
김경대
안연일
두선화
윤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13012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788A/ko
Publication of KR2015004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고장기록장치 및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고,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FAULT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OF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고장 발생시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에게 전송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로에 낙뢰 및 수목접촉 등의 외부요인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면, 운영자는 고장기록장치(Fault Recoder)에 저장된 고장정보를 원격으로 접속하거나, 고장기록장치에서 직접 고장정보를 취득 및 분석한 후 고장내용 및 고장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송전선로에 고장 발생시, 고장원인 및 위치분석을 운영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고장원인 및 위치분석을 운영자의 숙련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방식에서는 운영자가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고장정보분석에서 현장조치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4-0104442호(2004.12.10)의 '전력계통 모의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로에 고장 발생시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에게 전송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에 고장 발생시 고장위치 및 고장내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운영자에게 전송하여 송전선로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에 고장발생시 고장정보분석에서부터 현장조치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송전선로를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의 고장 발생시 그 고장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운영자가 송전선로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는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고장기록장치; 및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고장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동기 페이저 정보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의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및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하는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는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동기 페이저 정보를 비교하여 위상의 차이를 비율로 환산한 후, 송전선로의 긍장으로 상기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내용정보는 고장 채널과 고장 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상기 고장정보를 저장하는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상기 고장정보를 기 설정된 판단조건에 따라 중요도를 판단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기록장치는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 고장 측정부; 상기 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고장정보 분석부; 및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는 상기 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송전선로의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및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하는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장내용정보는 고장 채널과 고장 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장기록장치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저장하는 고장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시하여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 고장 발생시 고장위치 및 고장내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운영자에게 전송하여 송전선로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 고장발생시 고장정보분석에서부터 현장조치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송전선로를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고장 발생시 그 고장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운영자가 송전선로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고장기록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감시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송전선로의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송전선로가 고장난 상태에서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고장기록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감시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4 는 송전선로의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송전선로가 고장난 상태에서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는 고장기록장치(10) 및 감시 서버(20)를 포함한다.
고장기록장치(Fault Recoder)(10)는 각 변전소(40)에 설치되며, 발전에서 송배전에 이르는 전력계통에서 사고 발생시, 그 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그 고장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고장기록장치(10)는 생성한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한다. 게다가, 고장기록장치(10)는 상기한 고장기록정보를 감시 서버(2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고장기록장치(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측정부(11), 고장정보 분석부(12) 및 고장정보 전송부(14)를 포함한다.
고장 측정부(11)는 송전선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되면, 그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고장 측정부(11)는, 낙뢰사고시 노이즈와 DC 성분이 함께 발생되므로, 디지털 필터를 통해 DC-offset을 제거하여 정확한 동기 페이저의 값을 추출한다.
이 경우, 고장 측정부(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 또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등을 통해 정밀한 시간 정보를 입력받고, 1PPS(1 Pulse Time Protocol)와 같은 동기 신호를 감시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동기 페이저는 전력계통상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진 거리에서 GPS 위성의 1PPS 기준신호를 참조하여 전압/전류 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동일한 시점에서 고속으로 수집하고, 그 위상차를 비교할 수 있는 벡터값이다. 이러한 동기 페이저는 PMU(Phasor Measurement Unit)에 의해 계산되어지는데, PMU는 기준 시간 정보인 상기한 GPS 시스템의 위성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16bit 이상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칩을 사용하여 매 주기 최소 32 샘플링 이상으로 정상분 전압/전류값을 연산한다. 이와 같이, PMU는 송전계통의 주요 위치에서 3상 전압/전류의 동기 페이저를 계산하여 PDC(Phasor Data Concentrator) 등 상위 시스템으로 매 주기마다 전송한다.
고장정보 분석부(12)는 고장 측정부(11)에서 측정된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한다. 이러한 고장정보 분석부(12)는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121) 및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122)를 포함한다.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121)는 고장 측정부(11)에서 고장기록정보가 입력되면, 이 고장기록정보 중 송전선로의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여 고장난 송전선로의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122)는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채널, 고장원인 등과 같은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한다.
고장정보 저장부(13)는 고장정보 분석부(12)에서 생성된 고장정보를 저장한다.
고장정보 전송부(14)는 고장정보 분석부(12)에서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한다. 고장정보 전송부(14)는 단문 메시지 송신이 가능한 통신 모뎀이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장정보 전송부(14)는 별도의 외부통신장비 없이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장정보 전송부(14)는 상기한 고장정보 전송시, 텍스트 형식으로 고장선로, 고장위치 및 고장내용을 시각정보와 함께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장정보 전송부(14)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장정보를 유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한편,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1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여 고장난 송전선로의 위치정보를 계산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고장시 현장여건에 따라 고장위치정보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3 에 도시된 감시 서버(20)를 통해 더욱 정확한 고장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감시 서버(20)는 각 고장기록장치(10)로부터 수신된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고,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감시 서버(20)는 고장정보 분석 모듈(21),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22),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23) 및 고장정보 전송 모듈(24)을 포함한다.
고장정보 분석 모듈(21)은 고장기록장치(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고장정보 분석 모듈(21)은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211) 및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212)를 포함한다.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211)는 각 고장기록장치(10)로부터 입력된 고장기록정보 중 동기 페이저 정보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의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한다. 이러한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2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시간정보 또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등을 통한 정밀한 시간 정보 및 1PPS(1 Pulse Time Protocol)와 같은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시 양 모선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비교하고 그 위상의 차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긍장(c-km)으로 고장 위치를 산출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송전선로의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는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가 동일하나, 송전선로가 고장난 상태에서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모선간의 동기 페이저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211)는 이러한 양방향 고장전류의 위상 차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긍장으로 고장위치를 산출함으로써,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는 단방향 고장위치 계산부(121) 보다 더욱 정확한 고장위치정보를 얻는다.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212)는 각 고장기록장치(10)로부터 입력받은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고장내용정보에는 고장채널과 고장원인 등이 포함된다.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22)는 상기한 고장정보 분석 모듈(21)에서 생성된 고장정보를 저장한다.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23)는 고장정보 분석 모듈(21)에서 생성된 고장정보를 기 설정된 판단조건, 예를 들어 고장 심각성 등에 따른 중요도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하고, 각 고장정보에 해당 등급을 매칭시킨다. 이후,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23)는 고장정보에 매칭된 등급을 저장한다.
고장정보 전송 모듈(24)은 고장정보 분석 모듈(21)에서 생성된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고장정보 전송 모듈(24)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이메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고장정보를 전송한다.
운영자 단말(30)은 전력계통을 운영 및 관리하는 운영자가 소지 또는 휴대하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로써, 상기한 고장기록장치(10) 및 감시 서버(20)와 통신망을 통해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고장기록장치(10) 및 감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각종 고장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운영자 단말(30)에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단말, 태블릿 피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WiBro 기반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 및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이 모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각 고장기록장치(10)는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시하여(S110), 고장이 감지되면(S120), 이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고장기록장치(10)는 송전선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되면, 그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데, 이 경우 고장기록장치(10)의 고장 측정부(11)는 디지털 필터를 통해 DC-offset을 제거하여 정확한 동기 페이저의 값을 추출한다. 게다가, 고장 측정부(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 또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등을 통해 정밀한 시간 정보를 입력받고, 1PPS(1 Pulse Time Protocol)와 같은 동기 신호를 감시 서버(20)로 전송한다.
이후, 고장기록장치(10)는 상기한 고장기록정보를 감시 서버(20)로 전송한다(S130).
각 고장기록장치(10)로부터 고장기록정보를 전송받으면, 감시 서버(20)는 이들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한다(S140),
감시 서버(20)의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2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시간정보 또는 PTP(Precision Time Protocol) 등을 통한 정밀한 시간 정보 및 1PPS(1 Pulse Time Protocol)와 같은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시 양 모선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비교하고 위상의 차이를 비율로 환산하여 해당 송전선로의 긍장(c-km)으로 고장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한다.
또한, 감시 서버(20)의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212)는 각 고장기록장치(10)로부터 입력받은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 예를 들어 고장채널과 고장원인 등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고장정보를 생성하면, 감시 서버(20)는 생성한 고장정보를 저장한다(S150). 이 과정에서,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23)는 판단기준에 따라 고장정보별로 등급을 매칭시켜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22)에 저장한다.
이후, 감시 서버(20)는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하고(S160), 운영자 단말(30)은 감시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고장정보를 출력하고, 이때 운영자는 송전선로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장기록장치(10)는 상기한 감시 서버(20)와 별개로 자체적으로도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감시 서버(20)나 통신망 에러 등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먼저 고장기록장치(10)는 송전선로의 상태를 감시한다(S210). 이때, 고장기록장치(10)는 송전선로의 고장이 감지되면(S210),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한다(S220).
이 경우, 고장기록장치(10)의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121)는 고장 측정부(11)에서 입력된 고장기록정보 중 송전선로의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여 고장난 송전선로의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고,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122)는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채널, 고장원인 등과 같은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고장정보가 생성되면, 고장기록장치(10)는 고장정보를 저장하고(S240), 운영자 단말(30)로 고장정보를 전송한다(S250).
고장정보를 전송받으면, 운영자 단말(30)은 고장정보를 출력한다(S260).
이에 따라, 운영자는 운영자 단말(30)을 통해 송전선로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 고장 발생시 고장위치 및 고장내용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운영자에게 전송하고, 송전선로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 고장발생시 고장정보분석에서부터 현장조치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켜 송전선로를 빠른 시간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고장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운영자가 송전선로를 손쉽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고장기록장치 11: 고장 측정부
12: 고장정보 분석부 121: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122: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 13: 고장정보 저장부
14: 고장정보 전송부 20: 감시 서버
21: 고장정보 분석 모듈 211: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212: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 22: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
23: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 24: 고장정보 전송 모듈
30: 운영자 단말 40: 변전소

Claims (11)

  1.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고장기록장치; 및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감시 서버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고장정보를 생성하는 고장정보 분석 모듈; 및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은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동기 페이저 정보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의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및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하는 메인 고장내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는
    상기 고장기록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동기 페이저 정보를 비교하여 위상의 차이를 비율로 환산한 후, 송전선로의 긍장으로 상기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내용정보는 고장 채널과 고장 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상기 고장정보를 저장하는 고장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서버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 모듈에서 분석된 상기 고장정보를 기 설정된 판단조건에 따라 중요도를 판단하여 등급별로 구분하는 고장정보 등급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기록장치는
    송전선로의 고장을 감지하여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생성하는 고장 측정부;
    상기 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고장기록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고장정보 분석부; 및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전송하는 고장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는
    상기 고장 측정부에서 측정된 송전선로의 단방향 고장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위치정보를 계산하는 단방향 고장위치정보 계산부; 및
    상기 고장기록정보 중 상태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내용정보를 생성하는 FR 고장내용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내용정보는 고장 채널과 고장 원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기록장치는 상기 고장정보 분석부에서 생성된 상기 고장정보를 저장하는 고장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 장치.
KR20130122632A 2013-10-15 2013-10-15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KR20150043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632A KR20150043788A (ko) 2013-10-15 2013-10-15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632A KR20150043788A (ko) 2013-10-15 2013-10-15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88A true KR20150043788A (ko) 2015-04-23

Family

ID=5303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632A KR20150043788A (ko) 2013-10-15 2013-10-15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305A1 (ko) * 2018-09-20 2020-03-26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고장위치 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2432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피엠유의 자동연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154016A (ko)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모선 보호반을 이용한 전력계통 고장 데이터 처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305A1 (ko) * 2018-09-20 2020-03-26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고장위치 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33536A (ko) * 2018-09-20 2020-03-30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의 고장위치 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2432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피엠유의 자동연계를 위한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20210154016A (ko)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모선 보호반을 이용한 전력계통 고장 데이터 처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611B2 (en) Measuring and mitigating channel delay in remote data acquisition
CN110337626B (zh) 用于检测变电站中的错误数据注入的系统和方法
US10228409B2 (en) Fault location using traveling waves
Liu et al. Recent developments of FNET/GridEye—A situational awareness tool for smart grid
US10375108B2 (en) Time signal manipulation and spoofing detection based on a latency of a communication system
Guo et al. Synchrophasor-based islanding detection for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using systemati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pproaches
US8457912B1 (en) Unwrapping angles from phasor measurement units
US20090099798A1 (en) Real-Time Power System Oscillation Detection Using Modal Analysis
MX2009002819A (es) Proteccion y control de un area amplia utilizado datos de sistema de energia que tienen un componente de tiempo asociado.
Decker et al. Experience and applications of phasor measurements to the Brazilian interconnected power system
KR101698227B1 (ko)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장치
Stewart et al. Open μpmu: A real world reference distribution micro-phasor measurement unit data set for research and application development
CN104076321A (zh) 一种数字式电能表在线监测与评估系统及方法
Alcaide-Moreno et al. Electric power network state tracking from multirate measurements
CN104201782A (zh) 一种变电站故障处理系统
CN111512168B (zh) 用于分析电力传输网络的故障数据的系统和方法
KR20150043788A (ko) 송전선로 고장정보 출력장치
KR101452979B1 (ko) 전력계통선로 양단 사고 데이터를 이용한 고장점 표정 기능이 탑재된 고장 기록장치와 이를 포함한 고장점 표정 시스템 및 방법
US91952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K2667021T3 (en) Timestamp in wind turbines
CN110932403A (zh) 线损信息获取方法、系统及处理设备
CN105676061A (zh) 广域测量系统的扰动识别功能的测试系统及方法
JP4909595B2 (ja) 事故点標定システムおよび事故点標定方法、事故点標定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標定演算装置
JP4891635B2 (ja) 事故点標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Martin et al. Impact of phasor measurement data quality in grid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