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480A - Optical film - Google Patents

Optical film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480A
KR20150043480A KR20157006618A KR20157006618A KR20150043480A KR 20150043480 A KR20150043480 A KR 20150043480A KR 20157006618 A KR20157006618 A KR 20157006618A KR 20157006618 A KR20157006618 A KR 20157006618A KR 20150043480 A KR20150043480 A KR 2015004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gion
cured film
width direction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6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4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Abstract

두께가 10 내지 40㎛인 필름 기재(1) 상에, 경화막(2)이 형성된 광학 필름(F)에 있어서, 필름 기재(1)의 폭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50mm까지의 각 영역을,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이라 한다. 경화막(2)은, 필름 기재(1) 상에서, 제1 영역(R1)에서의 폭 방향으로 20 내지 100%의 범위, 및 제2 영역(R2)에서의 폭 방향으로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각각에서의 경화막(2)의 표면에, 경화막 형성 후에 널링 가공함으로써 요철 형상의 널링부(3)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부(3)는, 경화막(2)의 표면에 있어서, 경화막(2)의 각 단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In the optical film F in which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 the film substrate 1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占 퐉, the respective regions from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bstrate 1 to 50 mm, Is referred to as a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 the film base 1 in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in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R2 Respectively. The knurl portion 3 is formed by knurling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n each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fter the cured film is formed. The nulling portions 3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n a width direction of 3 mm or more from each end of the cured film 2.

Description

광학 필름{OPTICAL FILM}Optical film {OPTICAL FILM}

본 발명은, 막 두께가 얇은 필름 기재 상에 경화막이 형성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film on which a cured film is formed on a film substrate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최근 들어, CRT(Cathode Ray Tube) 외에, 액정TV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것들의 화면 사이즈가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는, 화면에 직접, 손이 접촉되거나, 물건이 접촉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화면에 흠집이 나기 쉽다. 따라서, 통상은, 흠집 발생 방지를 위해서, 하드 코팅층(경화막)을 필름 기재 상에 형성한 광학 필름이나, 또한 하드 코팅층 상에 반사 방지층 등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부착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TV, a plasma display, and an organic EL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o a CRT (Cathode Ray Tube), and their screen sizes are becoming larger. In such a display device, there is a case in which a hand touches the screen directly or an object touches the screen, and the screen is liable to be scratch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cratches, an optical film on which a hard coating layer (cured film) is formed on a film substrate or an optical film on which an antireflection layer or the like is formed on a hard coating layer is attached to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device Work is being done.

이러한 광학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폭 방향의 양단부에, 널링부 또는 엠보싱부라고 불리는, 필름면보다도 부피 밀도를 높게 한 부분(볼록부)이 설치된 필름 기재가 사용된다. 필름 기재에 널링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제조된 필름 기재를 권취 코어에 권취했을 때, 권취 코어 방향의 필름 기재의 어긋남이나, 기재끼리의 블로킹(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기재의 표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하드 코팅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은, 다시 권취 코어에 권취된다.In the production of such an optical film, a film substrate provided with a bulging portion or a portion (convex portion) higher in bulky density than the film surface is us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By forming the knurled portion on the film base, displacement of the film base in the winding core direction and blocking (adherence) between the base materials can be suppressed when the produced film bas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core. By forming a hard coat layer on the surface of such a film substrate, an optical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can be obtained. The obtained optical film is wound around a winding core again.

여기서, 하드 코팅층 부착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필름 기재의 널링부가 하드 코팅층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필름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또한, 필름 기재의 널링부 상에 또한 별도의 널링부를 추가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먼저 형성된 널링부의 요철을 이용하여 추가의 널링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엠보싱 롤의 요철부의 두께를 그다지 크게 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원하는 높이의 널링부를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서는, 필름 기재의 널링부 상까지 하드 코팅층을 도포하고, 또한, 널링부의 이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제조하도록 하고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a film substrate so that the knurled portion of the film substrate is located outside the hard coat layer, Further, another knurling portion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knurled portion of the substrate. In this case, since the additional knurled portion can be formed by using the unevenness of the knurled portion formed earlier, the knurled portion of the desired height can be easily formed with high accuracy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uneven portion of the embossed roll. Further,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3, a hard coating layer is applied to a knurled portion of a film base, and a fin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knurled portion to produce an optical film.

그런데,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사용하는 광학 필름의 박형화도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제조된 광학 필름을 권취 코어에 권취할 때의 권취 직경을 일정하게 한 경우, 박형의 광학 필름을 권취할 경우에는, 막 두께가 두꺼운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경우에 비하여 권취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박형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권취수가 많은 긴 형상(예를 들어 3000m 이상)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However,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thinness of the display device,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film to be used has also been required. Here, when the produced optical film is wound on the winding core and the winding diameter is constant, when the thin optical film is wound, the number of windings can b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ase of winding the optical film having a large thickness have.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produce an optical film having a long shape (for example, 3000 m or more) having a large number of windings as a thin optical film.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하드 코팅층보다도 부드러운 필름 기재에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긴 형상의 광학 필름을 권취했을 때의 자중이나 가압력에 의해, 널링부가 찌그러지기 쉬워진다. 널링부가 찌그러지면, 광학 필름의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널링부의 이면의 미세한 돌기는, 하드 코팅층의 기초가 되는 필름 기재의 이면에 설치되는 돌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돌기는 하드 코팅층보다도 부드러우므로, 역시, 긴 형상의 광학 필름을 권취했을 때에 돌기가 찌그러지기 쉬워져서 권취 어긋남 등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n Patent Documents 1 and 2, since the knurled portion is formed on the soft film base material rather than the hard coat layer, the knurled portion tends to be distorted by the self weight or pressing force when the long optical film is wound. If the knurled portion is squashed,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of the optical film can not be suppressed. In Patent Document 3, the fine protrusions on the back surface of the knurled portion can be considered to be protrusion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lm base which forms the base of the hard coating layer. However, since these protrusions are softer than the hard coating layer, The projections are liable to be distorted when the film is wound,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uppress winding displacement or the like.

따라서, 막 두께가 얇은, 긴 형상의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경우에도,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것이 요망된다.Therefore, even when a thin optical film having a thin film thickness is to be wound, it is desired to construct an optical film so as to reliably suppress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19272호 공보(청구항 1, 단락〔0028〕, 도 1 등 참조)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19272 (see claim 1, paragraph [0028], Fig. 1, etc.)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23129호 공보(단락〔0026〕, 도 1 등 참조)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223129 (paragraph [0026], Fig. 1, etc.)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47928호 공보(청구항 4, 단락〔0015〕 등 참조)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347928 (see claim 4, paragraph [0015], etc.)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막 두께가 얇은, 긴 형상의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경우에도,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lm which can reliably suppress winding deviation and blocking even when a thin optical film having a thin film thickness is woun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

1. 두께가 10 내지 40㎛인 필름 기재 상에, 경화막이 형성된 광학 필름이며,1. An optical film on which a cured film is formed on a film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占 퐉,

상기 필름 기재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50mm까지의 각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라 하면,When the respective regions from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ase material to 50 mm are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상기 경화막은, 상기 필름 기재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The cured film is formed so as to cover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and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on the film substrate,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경화막의 표면에, 상기 경화막 형성 후에 널링 가공함으로써 요철 형상의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고,A knurled portion of a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in eac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knurling after forming the cured film,

상기 널링부는, 상기 경화막의 표면에 있어서, 해당 경화막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Wherein the knur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in a range of 3 mm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each end of the cured film.

2. 상기 널링부의 높이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광학 필름.2. The optical film as described in 1 above, wherein the knurling portion has a height of 1 to 25 占 퐉.

3. 상기 널링부의 볼록부의 개수가, 1cm2당 10 내지 14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3.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of the knurled portion is 10 to 140 per cm 2 .

4. 상기 경화막의 탄성률이, 4.0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4. The optical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wherein the cured film has a modulus of elasticity of 4.0 GPa or more.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두께가 10 내지 40㎛로 얇은 필름 기재 상의 경화막의 표면에, 경화막 형성 후에 널링 가공함으로써 요철 형상의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부는, 필름 기재에 형성한 요철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화막의 경도를 갖고 있으므로, 광학 필름을 권취했을 때에도 자중이나 가압력에 의해 찌그러지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얇고 긴 형상의 광학 필름을 권취했을 때에도, 권취 코어 방향의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knurled portion of the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by knurling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on the thin film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占 퐉 after the cured film is formed. Since the knurled portion has a hardness of the cured film, not only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film substrate, but also the optical film is hardly distorted by its own weight or pressing force. As a result, even when the thin and long optical film is wound,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ore can be suppressed.

게다가, 상기의 널링부는, 필름 기재의 폭 방향으로 단부로부터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폭 방향(권취 코어 방향)에 대한 내성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널링부의 강도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얇은 광학 필름의 권취 시의 권취 코어 방향의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nurled portion is formed over 3 mm or more from th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bstrate, the resistance against the width direction (winding core direction) can surely be increased and also the strength of the knurled portion can be assured . As a result,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in the winding core direction at the time of winding the thin optical film can be reliably suppressed.

또한, 경화막은, 필름 기재 상에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폭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50mm까지의 영역)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의 경화막의 형성 범위는, 폭 방향으로 10mm(50mm의 20%에 상당) 내지 50mm(50mm의 100%에 상당)가 된다. 따라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경화막 표면에 있어서, 널링부의 형성 폭 3mm 이상을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since the cured film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 area up to 50 mm from each en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ilm substrate, The range of formation of the cured film in the second region is 10 mm (corresponding to 20% of 50 mm) to 50 mm (corresponding to 100% of 50 mm)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secure a formation width of the knurled portion of 3 mm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광학 필름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광학 필름의 경화막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0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1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2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3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 2의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optical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red film of the optical film of Figs. 1 and 2.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0.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1.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2.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of Example 13.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optical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A 내지 B라고 표기한 경우, 그 수치 범위에 하한(A) 및 상한(B)의 값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numerical ranges are denoted by A to B, the lower limit (A) and the upper limit (B) are included in the numerical range.

〔광학 필름의 구성〕[Composition of optical film]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폭 방향이란, 필름 면 내에서 길이 방향(반송 방향, MD 방향: Machine Direction)에 수직인 방향(TD 방향; Transverse Direction)을 가리킨다. 광학 필름(F)은, 필름 기재(1) 상에, 하드 코팅층으로서의 경화막(2)이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이다. 필름 기재(1)의 두께는 10 내지 40㎛이며, 박막의 기재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의 설명의 편의상, 필름 기재(1)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50mm까지의 각 영역을,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이라 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optical film F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the width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TD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chine direction) in the film plane. The optical film (F) is a hard coating film on which a cured film (2) as a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on a film substrate (1). The film substrate 1 has a thickness of 10 to 40 占 퐉 and is a substrate of a thin film.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region from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ase 1 to 50 mm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R1 and a second region R2.

경화막(2)은,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화막(2)의 수지 재료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경화막(2)의 수지 재료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조건(조사량 등)을 적절하게 선택 또는 제어함으로써, 경화막(2)의 탄성률을 제어할 수 있다.The cured film 2 is made of, for example,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such as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Details of the resin material of the cured film 2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cured film 2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or controlling the irradiation conditions (irradiation amount, etc.) of the resin material and the active energy ray of the cured film 2.

여기서, 탄성률이란, 왜곡과 응력의 비례 계수를 가리키며, 응력에 비하여 왜곡이 작은 재료는, 탄성률이 높고, 단단한 것을 나타낸다(탄성률이 작은 재료는 부드러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경우, 그 수지 재료에서의 관능기 수 및 입자 첨가, 경화 조건에 따라 경화막(2)의 탄성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능기를 2 이상 갖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에 대하여, 300mJ/cm2 이상의 활성 선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탄성률 4.0GPa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modulus refers to a coefficient of proportion of distortion and stress, and a material having a small distortion with respect to stress exhibits a high elastic modulus and a rigidity (a material having a small modulus of elasticity is soft). 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is us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cured film 2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n the resin material, particle addition, and curing conditions. For exampl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ate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an be irradiated with an active energy ray of 300 mJ / cm 2 or more to realize an elasticity of 4.0 GPa or more.

경화막(2)은, 필름 기재(1) 상에서, 제1 영역(R1)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 및 제2 영역(R2)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경화막(2)이,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폭 방향의 2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필름 기재(1)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폭 방향 길이는 50mm의 20%, 즉, 10mm이다.The cured film 2 is formed on the film base 1 in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in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R2 Respectively. 1 shows a case where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 the film base 1 so as to cover the range of 2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Respectively. In this case,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ed film 2 is 20% of 50 mm, that is, 10 mm.

한편, 도 2는, 광학 필름(F)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의 광학 필름(F)에서는, 경화막(2)은,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폭 방향의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폭 방향 길이는 50mm의 100%, 즉, 50mm이다.On the other h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In the optical film (F) of Fig. 2, the cured film 2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range of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respectively. In this case,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ed film 2 is 100% of 50 mm, that is, 50 mm.

따라서, 경화막(2)이, 필름 기재(1) 상에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서의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될 경우,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서의 경화막(2)의 폭 방향 길이는 10 내지 50mm가 된다.Therefore, when the cured film 2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on the film base 1,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ed film 2 in the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10 to 50 mm.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필름 폭 방향에 있어서, 경화막(2)은, 제1 영역(R1)부터 제2 영역(R2)까지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경화막(2)은,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만 형성되고,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사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경화막(2)은, 필름 기재(1)의 표면의 보호라기 보다, 후술하는 단단한 널링부(3)를 형성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사이에 경화막(2)이 형성됨과 함께, 이 경화막(2)과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경화막(2)이 형성되어도 된다.1 and 2, the cured film 2 i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first region R1 to the second region R2 in the film width direction, but may be formed discontinuously. For example,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nd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n this case,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ly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hardened circular ring portion 3 described later than the protection of the surface of the film base 1. The cured film 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first region R2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ured film 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The cured film 2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또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각각에서의 경화막(2)의 표면에는, 요철 형상의 널링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널링부(3)의 형성 영역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널링부(3)를 표면이 평탄한 층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널링부(3)의 표면은 요철 형상이다. 이 널링부(3)는, 요철의 패턴을 표면에 갖는 엠보싱 롤을 가열하여 경화막(2) 상에 가압하는 널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즉, 널링부(3)는, 경화막 형성 후의 널링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엠보싱 롤의 가열 온도를, 경화막(2)의 유리 전이 온도(Tg)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경화막(2)에 균열을 발생시키지 않고 널링부(3)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화막(2)의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한 경화 전에(예를 들어 반경화 상태에서) 엠보싱 롤을 밀어붙이고, 그 후, 경화막 재료를 완전 경화시켜서 널링부(3)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A concave-convex nulling portion 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n each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n FIGS. 1 and 2, for the sake of clarity, the knurling portion 3 is shown in a flat layer shape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formation region of the nulling portion 3, but actually, as shown in FIG. 3, The surface of the nulling portion 3 has a concavo-convex shape. The knurling portion 3 is formed by a knurling process in which an embossing roll having a concavo-convex pattern on its surface is heated and pressed onto the cured film 2. That is, the nulling portion 3 is formed by knurl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cured film. At this time, by mak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mbossing roll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cured film 2, the burring portion 3 can be formed without causing cracks in the cured film 2. Alternatively, the embossing roll may be pushed before the curing film 2 is cured by ultraviolet irradiation or the like (for example, in a semi-cured state), and then the curing film material is completely cured to form the nulling portion 3.

널링부(3)는, 경화막(2)의 표면에 있어서, 경화막(2)의 폭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경화막(2) 상의 널링부(3)의 형성 폭을 d(mm)로 나타냈을 때, d≥3이다.The nulling portion 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n a width direction of 3 mm or more from each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ed film 2. 1 and 2, when the forming width of the nulling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is d (mm), d? 3 is satisfied.

또한, 도 1의 구성에서는, 경화막(2)에 대한 널링 가공 시에, 경화막(2) 외에 필름 기재(1)의 표면에도 엠보싱 롤을 누름으로써, 필름 기재(1)의 표면에 요철 형상의 널링부(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필름 기재(1)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경화막(2)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널링 가공을 행하여 널링부를 형성해 두어도 되고, 널링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필름 기재(1)에 미리 널링부를 형성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경화막(2)에의 널링부(3)의 형성 시에, 필름 기재(1) 상에 추가로 널링부(4)를 형성(적층)하게 된다. 물론, 도 2와 같이, 경화막(2)이 필름 기재(1)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화막(2)에 대해서만 널링 가공을 행하여 경화막(2)의 표면에만 널링부(3)를 형성하게 된다(널링부(4)는 형성되지 않음).1, by pressing the embossing roll on the surface of the film substrate 1 in addition to the cured film 2 at the time of knurling the cured film 2, Thereby forming a knurling portion 4 of the kneading portion. The knurled portions may be formed beforeh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ase material 1 before forming the cured film 2, or knurled portions may not be formed. The knurl unit 4 is further formed (laminated) on the film base 1 at the time of forming the knurling unit 3 in the cured film 2 when the knurled part is previously formed on the film base 1, . Of course, when the cured film 2 is formed up to the end portion of the film base 1 as shown in Fig. 2, only the cured film 2 is subjected to knurling processing so that only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s covered with the knurled portion 3 (The nulling portion 4 is not formed).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경화막(2)의 표면에 널링 가공을 실시하여 널링부(3)를 형성함으로써, 널링부(3)를 경화막(2)과 동일한 경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 기재(1)가 10 내지 40㎛로 얇은 광학 필름(F)을 권취하는 경우에도, 그 자중이나 가압력에 의해 널링부(3)가 찌그러지기 어려워져, 권취 코어 방향의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블로킹을 억제함으로써, 광학 필름(F)의 폭 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기인하는 블랙 밴드(원주 방향으로 나타나는 띠 형상의 줄무늬)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form the nulling portion 3 with the same hardness as that of the cured film 2 by knurling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and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as in this embodiment. As a result, even when the film base 1 is wound with a thin optical film F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탆, it is difficult for the knurl unit 3 to be crushed by its own weight or pressing force, , Blocking can be suppressed. Further, by suppressing the blocking, it is also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black bands (stripe-shaped stripes appear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ue to thickness irregularit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film (F).

또한, 폭 방향의 길이가 50mm인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폭 방향의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경화막(2)을 형성함으로써, 경화막(2)의 형성 범위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10 내지 50mm가 된다. 이에 의해,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경화막(2)의 표면에, 널링부(3)를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경화막(2)의 표면에 널링부(3)를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 즉 권취 코어 방향에 대한 내성을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널링부(3)를 폭 방향으로 3mm 이상의 넓은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널링부(3)의 강도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얇은 광학 필름(F)의 권취 시의 권취 코어 방향의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The cured film 2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each having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50 mm, 2 is 10 to 50 mm in the width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is makes it possible to form the nulling portions 3 in a width direction of 3 mm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n, by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n such a manner (over 3 mm in the width direction), the resistance to the width direction, that is, the winding core direction can surely be increased. Further, by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in a wide range of 3 mm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the strength of the nulling portion 3 can be reliably ensured. As a result,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in the direction of the winding core at the time of winding the thin optical film (F) can be reliably suppress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화막(2)의 탄성률은 4.0GPa 이상이며, 경화막(2)이 단단하므로, 경화막(2)의 표면에 널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술한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단단한 널링부(3)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ured film 2 has a modulus of elasticity of 4.0 GPa or more and the cured film 2 is rigid,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s knurled so that the abov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alize the hard knurled portion 3 that exhibits the function of suppressing the knurl.

또한, 경화막(2)은, 정지 마찰 계수가 낮아, 평활하고 부착되기 쉬우므로,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억제할 수 있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경화막(2)을 포함한 상태에서의 두께가 70㎛ 이하, 나아가 50㎛ 이하의 박막 광학 필름(F)이 긴 상태에서의 권취에 매우 유효해진다. 이와 같이 광학 필름(F)의 권취 어긋남이나 블로킹을 억제하면서, 광학 필름(F)이 긴 권취가 가능해지면, 그 후, 광학 필름(F)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작할 때, 편광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cured film 2 has a low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nd is smooth and easy to adhere to the cured film 2,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capable of suppressing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can be realized by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n the state including the cured film 2 is The thin film optical film (F) having a thickness of 70 μm or less, furthermore 50 μm or less is very effective for winding in a long state. When the optical film F is allowed to take up a long length of time while suppressing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of the optical film F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vity of the polarizing plate is improved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manufactured using the optical film (F) .

그런데, 도 3은, 경화막(2)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t)는 1 내지 25㎛이다. 여기서, 널링부(3)의 높이(t)란, 경화막(2)의 표면에 있어서, 널링부(3)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널링 가공을 실시하기 전의 경화막(2)의 표면)으로부터의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높이(최대 높이)를 가리킨다. 널링부(3)의 높이(t)는, 널링 가공 시에 사용하는 엠보싱 롤의 경화막(2)에 대한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red film 2 on an enlarged sca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1 to 25 占 퐉. Here,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on which the unevenness of the nulling portion 3 is not formed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before the knurling process) (Maximum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3a of the nulling portion 3 from the surface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embossing roll used at the time of knurling to the cured film 2.

널링부(3)의 높이(t)가 1㎛ 미만인 경우, 널링(3)에 의한 권취 어긋남 억제의 효과가 작아짐과 함께, 필름 권취 시에 필름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널링부(3)의 높이(t)가 25㎛를 초과하면, 필름 권취 시에 널링부(3)의 볼록부(3a)가 폭 방향 내측으로 무너지기 쉬워져서, 폭 방향에 따른 단면 내에서 권취한 롤에 휨(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양호한 권취 모습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When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less than 1 占 퐉,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winding displacement by the knurling 3 becomes small and blocking between the films tends to occur at the time of winding the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exceeds 25 탆, the convex portion 3a of the nulling portion 3 tends to collapse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film winding, Warpage (deformation) tends to occur in the rolls wound on the rollers, and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a good winding state.

따라서, 널링부(3)의 높이(t)를 1 내지 25㎛의 범위로 함으로써, 필름 권취 시의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면서, 롤의 변형을 억제하여 권취 모습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by setting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in the range of 1 to 25 占 퐉,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roll while suppressing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at the time of winding the film, thereby improving the winding appearanc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화막(2) 표면에서의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밀도)는, 1cm2당 10 내지 140개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3a)의 개수는, 표면에서 틀이 되는 볼록부의 단위 면적당의 개수가 상이한 복수의 엠보싱 롤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널링 가공을 행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density) of the convex por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is 10 to 140 per cm 2 .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3a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a suitable one among a plurality of embossing roll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convex portions forming a frame on the surface, and performing knurling processing.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가 10개/cm2 미만이면, 볼록부(3a)의 수가 너무 적어서 널링부(3)의 기능, 즉, 상기한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볼록부(3a)의 개수가 140개/cm2를 초과하면, 필름 파단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즉, 볼록부(3a)의 개수가 140개/cm2를 초과하는 널링 가공을 행하면, 필름 기재(1)에 부여하는 데미지가 증대하여 필름 기재(1)의 폭 방향 강도가 저하되므로, 필름 파단의 위험성이 높아진다.Of the knurling (3) convex portions if the number of (3a) 10 gae / cm 2 is less than, the convex portion (3a) not so low knurling (3) of the function, i.e., to suppress the above-described take-up shift and blocking The function can not be efficiently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3a exceeds 140 pieces / cm 2 , the risk of film breakage increases. That is, if the knurling process in which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3a exceeds 140 pieces / cm 2 is performed, damage to the film base 1 is increased and the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ase 1 is lowered, .

따라서,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를 10 내지 140개/cm2로 함으로써,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는 널링부(3)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키면서, 필름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by a null in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of the ring (3) from 10 to 140 / cm 2, while reliably exert the function of the knurling (3) of inhibiting the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the breakage of the film .

또한, 필름 기재(1) 상으로의 경화막(2)의 형성 시에, 경화막 재료를 필름 기재(1)의 단부 끝까지 도포하면, 그 경화막 재료가 필름 기재(1)의 이면에 돌아 들어가고, 그 이면에도 경화막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필름 기재(1)의 단부로부터 적어도 5mm 이격된 위치로부터 폭 방향 내측(단부와는 반대측)에, 경화막 재료를 도포하여 경화막(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ured film material is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ilm substrate 1 at the time of forming the cured film 2 on the film substrate 1, the cured film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lm substrate 1 , And there is a fear that a cured film is formed even on the backside thereof. In order to avoid such a situ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ured film 2 by applying the cured film material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pposite to the end) from the position at least 5 mm away from the end of the film substrate 1.

또한, 이상에서는, 경화막(2) 상에 반사 방지층 등의 기능성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기능성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경화막(2) 상에 기능성층을 설치함과 함께, 그 기능성층의 폭 방향 외측의 경화막(2) 상에 널링부(3)를 형성함으로써, 광학 필름(F)의 권취 어긋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널링부(3)는, 기능성층의 형성 전에 경화막(2) 표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기능성층의 형성 후에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above, the functional layer such as the antireflection layer is not formed on the cured film 2, but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forming the functional layer. That is to say, by providing the functional layer on the cured film 2 and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outside the functional layer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suppressed. Further, the nulling portions 3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before formation of the functional layer, or may be formed after formation of the functional layer.

특히, 기능성층으로서, 방오성 향상을 위하여 불소계의 활성제를 포함하는 층(방오층)을 설치한 경우에는, 권취 어긋남 등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 경우에는, 경화막(2) 상에 널링부(3)를 설치하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이 매우 유효해진다.Particularly, when a layer containing a fluorine-based activator (antifouling layer) is provided as a functional layer for improving the antifouling property, winding displacement or the like easily occurs. In this case, 3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effective.

〔각 층의 상세〕[Details of each layer]

이하, 상기한 광학 필름(F)의 각 층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details of each layer of the optical film (F) will be described below.

〔하드 코팅층〕[Hard Coating Layer]

상기한 경화막으로서의 하드 코팅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선 조사에 의해 가교 반응 등을 거쳐서 경화되는 수지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와,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양자가 포함된다.The hard coat layer as the above-mentioned cured film is formed of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type refers to a resin that is cured through a crosslinking reaction or the like by irradiation with an active ray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rays, and specifically a resin having an ethylenic unsaturated group.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includes both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 and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other than an isocyanurate derivativ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Lt; Active Energy ray 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s >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로서는, 이소시아누르산 골격에 1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동일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기 및 1개 이상의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종류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스티릴기, 비닐에테르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로일기 또는 아크릴로일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일기이다.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 may be any compou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ethylenic unsaturated group is bonded to the isocyanuric acid skelet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compound having three or more ethylenic unsaturated groups and at least one isocyanurate ring is preferred. The ethylenic unsaturated group is preferably an acryloyl group, a methacryloyl group, a styryl group or a vinyl ether group, more preferably a methacryloyl group or an acryloyl group,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n acryloyl group.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식 중의 L2는, 2가의 연결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누레이트환에 탄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원자수 4 이하의 알킬렌 옥시기 또는 폴리알킬렌 옥시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옥시기이며, 각각 동일하여도 상이해도 된다.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각각 동일하여도 상이해도 된다. 화학식(1)로 표시되는 구체적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L 2 in the formula is a divalent linking group, preferably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eneoxy group or polyalkyleneoxy group having 4 or less carbon atoms in which a carbon atom is bonded to an isocyanurate ring, Is an alkyleneoxy group, and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Specific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re shown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그 밖의 화합물로서는, 이소시아누르산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2)로 표시되는 이소시아누르산 에톡시 변성 디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As other compounds, isocyanuric acid diacrylate compounds can be mentioned, and isocyanuric acid ethoxy-modified diacrylat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are preferable.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또한, 그 밖에, ε-카프로락톤 변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를 들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In additio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 of? -Caprolactone denaturation may also be used. Specifically, it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 구조식의 R1 내지 R3의 -에는, 하기 a, b, c로 나타내는 관능기가 붙는데, R1 내지 R3 중 적어도 1개는 b의 관능기이다.The - of R 1 to R 3 in the chemical structural formulas have the following functional groups represented by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R 1 to R 3 is a functional group of b.

a: -H 또는 -(CH2)n-OH(n=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n=2 내지 6)a: -H or - (CH 2 ) n -OH (n = 1 to 10, preferably n = 2 to 6)

b: -(CH2)n-O-(COC5H10)m-COCH=CH2(n=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n=2 내지 6, m=2 내지 8)b = - (CH 2 ) n O- (COC 5 H 10 ) m-COCH = CH 2 (n = 1 to 10, preferably n = 2 to 6, m = 2 to 8)

c: -(CH2)n-O-R(R은 (메트)아크릴로일기, n=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n=2 내지 6)c: - (CH 2 ) n OR wherein R is a (meth) acryloyl group, n = 1 to 10, preferably n = 2 to 6,

화학식(3)으로 표시되는 구체적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 (3) are shown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이소시아누르산 트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제 A-9300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누르산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아고세(주)제 아로닉스M-215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누르산 트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누르산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도아고세(주)제 아로닉스M-315, 아로닉스M-313 등을 들 수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isocyanuric acid triacrylate compound include, for example, Shin-Nakamura Kagaku Kogyo Co., Ltd., A-9300.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isocyanuric acid diacrylate compound include Aronix M-215 manufactured by DOKOSEI CO., LTD. Examples of the mixture of the isocyanuric acid triacrylate compound and the isocyanuric acid diacrylate compound include Aronix M-315 and Aronix M-313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ε-카프로락톤 변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로서는,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인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제 A-9300-1CL, 도아고세(주)제 아로닉스M-327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ctive energy of ε-caprolactone denaturation As the isocyanurate derivative of the ray-curable type, Shin-Nakamura, which is ε-caprolactone-modified tris- (acryloxyethyl) isocyanurate, A-9300-1CL, Aronix M-327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Lt;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other than isocyanurate derivative >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other than the isocyanurate derivative include an ultraviolet curable urethane acrylate resin, an ultraviolet curable polyester acrylate resin, an ultraviolet curable epoxyacrylate resin, an ultraviolet curable polyol acrylate resin, Epoxy resin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Among them, an ultraviolet curable acrylate resin is preferable.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해당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이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다.As the ultraviolet curable acrylate resin, polyfunctional acrylate is preferable. The polyfunctional acrylate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polyfunctional acrylate, dipentaerythritol polyfunctional acrylate, pentaerythritol polyfunctional meth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polyfunctional methacrylate Do. Here, the polyfunctional acrylate is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acryloyloxy groups or meth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mer of polyfunctional acrylate include ethylene glycol diacrylate, diethylene glycol diacrylate, 1,6-hexane diol diacrylate, neopentyl glycol di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rimethylol But are not limited to, ethylene glycol di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thanetri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ri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etraacrylate, pentaglycer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ris (acryloyloxyethyl) isocyanur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Recolled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methylol ethane trimethacrylate, tetramethylol methane trimethacrylate, But are not limited to, tetramethylolmethane tetramethacrylate, pentaglycer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glycerin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acrylate, and the like.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해도 된다.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 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아크릴레이트,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나 오사카유키가가쿠고교(주)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각각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단량체의 이량체, 삼량체 등의 올리고머이어도 된다.A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other than the isocyanurate derivative, a monofunctional acrylate may be used. Examples of monofunctional acrylates include isobornyl acrylate, 2-hydroxy-3-phenoxypropyl acrylate, isostearyl acrylate, benzyl acrylate, ethyl carbitol acrylate, phenoxy ethyl acrylate, Acrylate, isooctyl acrylate, tetrahydrofurfuryl acrylate, behenyl acrylate, 4-hydroxybut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 As the monofunctional acrylate, Shin Nakamura can be obtained from Kakugo Kogyo Co., Ltd. or Yuki Kagakugaku Kogyo Co., Ltd. These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Further, oligomers such as dimers, trimers, etc. of the above monomers may be used.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점도는, 25℃에서의 점도가 3000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mPa·s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점도는,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의 조건에서 측정한 값이다.The viscosity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is preferably 3000 mPa 占 퐏 or less at 25 占 폚, and more preferably 2000 mPa 占 퐏 or less. The above viscosity is a value measured at 25 캜 using a B-type viscometer.

또한, 하드 코팅층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와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A)와 이소시아누레이트 유도체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B)의 함유 질량비를, (A):(B)=10:90 내지 50:50의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막 강도(내찰상성)가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 and a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other than an isocyanurate derivative are used in combination in the hard coat layer,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isocyanurate derivative (A) and isocyanurate (A) :( B) = 10: 90 to 50: 50 in view of the excellent film strength (scratch resistance), which is obtained by using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B) .

하드 코팅층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 촉진을 위해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양으로서는, 질량비로, 광중합 개시제: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20:100 내지 0.0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preferably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for accelerating curing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As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 20: 100 to 0.01: 100 by mass ratio.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 등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지만, 특히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cetophenone, benzophenone, hydroxybenzophenone, Michler's ketone,? -Amyloxime ester, thioxanthone, and derivative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블로킹의 방지나, 내찰상성 등을 높이기 위해서, 무기 또는 유기의 미립자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산화 규소, 산화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주석, 산화인듐, ITO,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을 들 수 있다. 특히, 산화 규소, 산화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n order to prevent blocking and improve scratch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add inorganic or organic fine particles to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Examples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silicon oxide, titanium oxide, aluminum oxide, tin oxide, indium oxide, ITO, zinc oxide, zirconium oxide, magnesium oxid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calcined kaolin, calcined calcium silicate, , Magnesium silicate and calcium phosphate. In particular, silicon oxide, titanium oxide, aluminum oxide, zirconium oxide, magnesium oxide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이들 무기 미립자는, 광학 필름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내찰상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표면의 일부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성분이 피복된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의 일부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성분이 피복되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에 실란 커플링제 등의 유기 성분을 포함하는 화합물이 반응하여, 표면의 일부에 유기 성분이 결합된 형태,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에 수소 결합 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기 성분을 부착시킨 형태나, 중합체 입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se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coated with an organic component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on a part of the surface in view of improving scratch resistance while maintaining the transparency of the optical film. As a form in which an organic component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is coated on a part of the surface, for example, a compound containing an organic component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reacts with hydroxyl group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A form in which an organic component is adhered by interaction of a hydroxyl group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with hydrogen bonding or the like, a form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inorganic fine particles in a polymer particle, .

또한, 유기 미립자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수지 분말, 아크릴 스티렌계 수지 분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분말, 실리콘계 수지 분말, 폴리스티렌계 수지 분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분말, 멜라민계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계 수지 분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분말, 폴리아미드계 수지 분말, 폴리이미드계 수지 분말, 폴리불화 에틸렌계 수지 분말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polymethacrylate methyl acrylate resin powder, acryl styrene resin powde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wder, silicone resin powder, polystyrene resin powder, polycarbonate resin powder, benzoguanamine resin A resin powder, a melamine resin powder, a polyolefin resin powder, a polyester resin powder, a polyamide resin powder, a polyimide resin powder and a polyfluorinated ethylene resin powder.

바람직한 유기 미립자로서는,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예를 들어, 소켄가가쿠제 SX-130H, SX-200H, SX-350H),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입자(예를 들어, 소켄가가쿠제 MX150, MX300), 불소 함유 아크릴 수지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불소 함유 아크릴 수지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니뽄페인트제: FS-701 등의 시판품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입자로서, 예를 들어 니뽄페인트제: S-4000, 아크릴-스티렌 입자로서, 예를 들어 니뽄페인트제: S-1200, MG-251 등을 들 수 있다.Preferred examples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include crosslinked polystyrene particles (for example, SX-130H, SX-200H and SX-350H manufactured by Soken Chemical Industries, Ltd.), polymethylmethacrylate-based particles (for example, MX150 and MX300, , And fluorine-containing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Examples of the fluorine-containing acrylic resin fine particles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Nippon Paint: FS-701. Examples of the acrylic particles include Nippon Paint S-4000, and acryl-styrene particles such as Nippon Paint S-1200 and MG-251.

이들 미립자 분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 내지 5㎛가 바람직하고, 0.01 내지 1.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입경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미립자를 함유해도 된다.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어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se fine particle powd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1 to 5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0.01 to 1.0 mu m. It may contain two or more kinds of fine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ne particles can be measured by, for example, a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apparatus.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과 미립자의 비율은,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0질량부가 되도록 미립자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질량부이다.The ratio of the ultraviolet-curable resin composition to th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10 to 4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50 to 200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resin composi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하드 코팅층은, 용제로 희석한 하드 코팅층 도포 조성물을, 이하의 방법으로 필름 기재 상에 도포, 건조, 경화하여 설치하는 것이, 하드 코팅층과 필름 기재의 층간 밀착을 얻을 수 있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제로서는, 케톤류 또는 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케톤류로서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스테르류로서는,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프로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 밖의 용제로서는, 알코올류(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디아세톤 알코올),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벤젠, 시클로헥산), 글리콜에테르류(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등)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hard coating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btained by applying the hard coat layer coating composition diluted with a solvent onto the film substrate by the following method, drying and curing it to obtain interlayer adhesion between the hard coat layer and the film substrate It is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being easy. As the solvent, ketones or esters a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ketone include methyl ethyl ketone, acetone, cyclohexan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Examples of the esters inclu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propyl aceta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Examples of the other solvent include alcohols (ethanol, methanol, butanol, n-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 and diacetone alcohol), hydrocarbons (toluene, xylene, benzene, cyclohexane), glycol ethers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etc.)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이들 용제를 20 내지 200질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도포 조성물로서의 안정성이 우수하다.By using these solvents in a range of 20 to 20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the stability as a coating composition is excellent.

또한, 하드 코팅층 도포 조성물의 도포량은, 웨트 막 두께로 0.1 내지 40㎛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이며, 드라이 막 두께로는, 평균 막 두께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이다.The coating amount of the hard coat layer coating composition is suitably from 0.1 to 40 탆 in wet film thickness, preferably from 0.5 to 30 탆, and the dry film thickness is from 0.1 to 30 탆, preferably from 1 to 30 탆,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4 to 15 [mu] m.

하드 코팅층은, 그라비아 코터, 딥 코터, 리버스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다이(압출) 코터, 잉크젯법 등 공지된 도포 방법을 이용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하드 코팅층 도포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UV 경화 처리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UV 경화에 가열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hard coat layer is coated with a hard coat layer coating composition which forms a hard coat layer by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a gravure coater, a dip coater, a reverse coater, a wire bar coater, a die (extrusion) Curing treatment, and, if necessary, heat treatment by UV curing.

UV 경화 처리에 사용하는 광원으로서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광원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카본 아크 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사 조건은 각각의 램프에 따라 상이하지만, 활성선의 조사량은, 통상, 50 내지 1000mJ/cm2,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mJ/cm2이다.As the light source used for the UV curing treatment, any light source that generates ultraviolet ray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arbon arc lamp, a metal halide lamp, a xenon lamp and the like can be used. Irradiation conditions are different, but the active line dose is generally 50 to 1000mJ / cm 2, preferably 100 to 500mJ / cm 2 according to the respective lamp.

또한, 활성선을 조사할 때에는,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으로도 장력을 부여하면서 행하는 것이다. 부여하는 장력은 30 내지 300N/m가 바람직하다. 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백롤 상에서 반송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해도 되고, 텐터로 폭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해도 된다. 이에 의해 또한 평면성이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irradiating an active l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is carried out while applying a tensile force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and more preferably, the tension is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The tensile force to be imparted is preferably 30 to 300 N / m. The method of imparting the tens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tension may be impart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ckroll, or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biaxial direction by the tenter. As a result, a film having excellent planarity can be obtained.

하드 코팅층에는,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전제를 포함시켜도 된다. 바람직한 도전제로서는, 금속 산화물 입자 또는 π공액계 도전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온 액체도 도전성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하드 코팅층에는, 도포성의 관점 및 미립자가 균일한 분산성의 관점에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 계면 활성제 및 불소-실록산 그래프트 중합체를 함유시켜도 된다. 불소-실록산 그래프트 중합체란, 적어도 불소계 수지에, 실록산 및/또는 오르가노실록산 단체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및/또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그래프트화시켜서 얻을 수 있는 공중합체의 중합체를 말한다. 시판품으로서는, 후지가세이고교(주)제의 ZX-022H, ZX-007C, ZX-049, ZX-047-D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은, 도포액 내의 고형분 성분에 대하여, 0.01 내지 3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coat layer may contain a conductive agent for imparting antistatic properties. Preferable examples of the conductive agent include metal oxide particles or a π conjugated conductive polymer. An ionic liquid is also preferably used as the conductive compound. The hard coat layer may contain a nonionic surfactant such as a silicone surfactant, a fluorine surfactant or a polyoxyether, an anionic surfactant and a fluorine-siloxane graft polymer from the viewpoints of coating properties and dispersibility of fine particles uniformly . The fluorine-siloxane graft polymer refers to a polymer of a copolymer obtained by grafting polysiloxane and / or organopolysiloxane containing at least a siloxane and / or an organosiloxane group to at least a fluorine resi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ZX-022H, ZX-007C, ZX-049 and ZX-047-D manufactured by Fuji Chemical Industry Co., These components are preferably added in the range of 0.01 to 3 mass% with respect to the solid content component in the coating liquid.

하드 코팅층은, 1층이어도 되고, 복수의 층이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의 하드 코팅성, 헤이즈, 산술 표면 조도(Ra)를 제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하드 코팅층을 2층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해도 된다. 또한, 하드 코팅층은, 필름 기재의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The hard coat layer may be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The hard coat layer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layers in order to facilitate control of hard coatability, haze, and arithmetic surface roughness (Ra) of the hard coat layer. The hard coating layer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lm substrate.

하드 코팅층을 2층 이상 설치하는 경우의 최상층의 막 두께는, 0.05 내지 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2층 이상의 적층은 동시 중층으로 형성해도 된다. 동시 중층이란,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기재 상에 2층 이상의 하드 코팅층을 wet on wet으로 도포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2 하드 코팅층을 wet on wet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압출 코터에 의해 순서대로 중층하거나, 또는 복수의 슬릿을 갖는 슬롯다이로 동시 중층을 행하면 된다.The thickness of the uppermost layer when two or more hard coating layers are provide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5 to 2 占 퐉. The lamination of two or more layers may be formed as a simultaneous middle layer. The simultaneous intermediate layer is a method in which two or more hard coating layers are coated on a substrate by wet on wet without a drying step to form a hard coating layer. In order to laminate the second hard coating layer wet on wet without the drying process on the first hard coat layer, it may b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the extrusion coater or in the simultaneous middle layer with the slot die having the plurality of slits.

하드 코팅층은, 경도의 지표인 연필 경도가 H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H 이상이다. 4H 이상이면,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화 공정에서 흠집이 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옥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대형의 액정 표시 장치나, 디지털 사이니지용 액정 표시 장치의 표면 필름 기재로서 사용했을 때도 우수한 막 강도를 나타낸다. 연필 경도는, 제작한 광학 필름을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조건에서 2시간 이상 조습한 후,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일본공업표준조사회)의 규격 중 하나인 JIS S 6006에 규정되어 있는 시험용 연필을 사용하여, JIS K5400에 규정되어 있는 연필 경도 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The hard coat layer has a pencil hardness of not less than H,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4H, which is an index of hardness. If it is 4H or more, it is not only hard to be scratched in the polarizing ste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ut also excellent when used as a surface film substrat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surface fil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gital display, Film strength. The pencil hardness was obtained by humidity-adjusting the prepared optical film at a temperature of 23 DEG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2 hours or more and then measuring the pencil hardness according to JIS S 6006, one of the standards of the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JIS) Measured by a pencil hardness evaluation method prescribed in JIS K5400, using a test pencil having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헤이즈><Hayes>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헤이즈값은, 클리어 광학 필름에서는 1% 이하가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을 1% 이하로 함으로써, 대형화된 액정 표시 장치나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옥외에서 사용될 때의 충분한 휘도나 높은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헤이즈값은, JIS K7105 및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haze value of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1% or less in the clear optical film. When the haze value is set to 1% or less, sufficient brightness and high contrast can be obtained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used outdoors such as a large-siz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 digital signage. The haze value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05 and JIS K7136.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방현성을 가져도 된다. 방현성이란, 광학 필름의 하드 코팅층에서 반사된 상이나 외광의 윤곽을 흐리게 하는 기능이며, 반사 상의 시인성을 저하시켜서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광학 필름을 사용했을 때, 반사 상의 투영이 신경쓰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방현성을 가진 광학 필름에서는, 전체 헤이즈값은 3%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헤이즈값(필름의 표면 산란에 기인하는 헤이즈)은 3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 헤이즈값(내부 산란에 기인하는 헤이즈)은 35% 이하가 바람직하다.Further, the optical film of this embodiment may have anti-scattering properties. The blurring is a function of blurring the image reflected from the hard coating layer of the optical film or the outline of the external light, and the visibility of the reflection image is lowered so that the projection of the reflection image is not disturbed when an optical film is use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In the optical film having the antiglare property, the total haze value is preferably 3% to 40%. The surface haze value (haze due to surface scattering of the film) is preferably 3 to 40%, and the internal haze value (haze due to internal scattering) is preferably 35% or less.

〔필름 기재〕[Film substrate]

필름 기재는, 제조가 용이한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필름,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필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아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술폰(폴리에테르술폰도 포함함)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셀로판,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필름,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계 필름, 노르보르넨 수지계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에테르케톤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나일론 필름,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아크릴 필름 등을 필름 기재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a cellulose ester film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film, a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film, a cellulose diacetate film, or a cellulose acetate butyrate film in view of easiness of production. Examples of the other films include polyester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 films, polyarylate films, polysulfone (including polyethersulfone) films, polyethylene films, polypropylene films , Polyvinylidene chloride films, polyvinyl alcohol films, ethylene vinyl alcohol films, syndiotactic polystyrene films, norbornene resin films, polymethylpentene films, polyether ketone films, polyether ketone imide films, poly Amide film, fluororesin film, nylon film, cycloolefin polymer film, polymethyl methacrylate film, acrylic film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the film substrate.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may be used in combination.

필름 기재의 굴절률은 1.3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내지 1.6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굴절률은, 아타고사제 아베 굴절률계 2T를 사용하여 JIS K7142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lm base material is preferably 1.30 to 1.70, more preferably 1.40 to 1.65. The refractive index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of JIS K7142 using Abbe's refractometer 2T manufactured by Atago Co.,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Cellulose ester film>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의 경우에는, 평균 아세트화도(결합 아세트산량)가 54.0 내지 62.5%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아세트화도가 58.0 내지 62.5%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이다. 평균 아세트화도가 작으면, 치수 변화가 크고, 또한 편광판의 편광도가 저하된다. 평균 아세트화도가 크면,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저하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In the cellulose ester film, in the case of cellulose triacetate, the average degree of acetalization (amount of bound acetic acid) is preferably 54.0 to 62.5%, more preferably the cellulose triacetate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acetatization of 58.0 to 62.5% to be. When the average degree of acetalization is small, the dimensional change is large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is lowered. If the average degree of acetalization is high, the solubility in a solvent is lower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필름 기재는, 아세틸기 치환도가 2.80 내지 2.95이며, 수 평균 분자량(Mn)이 125000 이상 155000 미만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A)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A)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65000 이상 310000 미만, Mw/Mn이 1.9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m substrate preferably contains cellulose triacetate (A) having an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of 2.80 to 2.95 and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125000 to less than 155000. The cellulose triacetate (A)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265000 or more and less than 310000, and Mw / Mn of 1.9 to 2.1.

또한, 연필 경도가 향상되는 점에서, 아세틸기 치환도가 2.75 내지 2.90이며, 수 평균 분자량(Mn)이 155000 이상 180000 미만, Mw가 290000 이상 360000 미만, Mw/Mn이 1.8 내지 2.0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B)를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A)에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A)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B)를 병용할 경우에는, 질량비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A):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B)=100:0 내지 20: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cellulose triacetate having an acetyl group substitution degree of 2.75 to 2.90,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of 155000 or more and less than 180,000, an Mw of 290000 or more and less than 360000, and an Mw / Mn of 1.8 to 2.0 in that pencil hardness is improved. (B)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cellulose triacetate (A). When the cellulose triacetate (A) and the cellulose triacetate (B) are used in combination, the ratio of cellulose triacetate (A): cellulose triacetate (B)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0 to 20:80 by mass ratio.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이외에서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아실기를 치환기로서 갖고, 아세틸기의 치환도를 X라 하고, 프로피오닐기 또는 부티릴기의 치환도를 Y라 했을 때, 하기 식 (I) 및 (II)를 동시에 만족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I) and (II), when the substitution degree of the acetyl group is X and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the propionyl group or the butyryl group is Y, the acyl group having 2 to 4 carbon atoms is used as the substituent other than the cellulose triacetate, (II) can be used as the cellulose ester.

식(I) 2.6≤X+Y≤3.0(I) 2.6? X + Y? 3.0

식(II) 0≤X≤2.5(II) 0? X? 2.5

그 중에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9≤X≤2.5, 0.1≤Y≤0.9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기 치환도의 측정은,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미국 시험 재료 협회)가 책정·발행하는 규격 중 하나인 ASTM D817-96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mong them,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is preferable, and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1.9? X? 2.5 and 0.1? Y? 0.9. The measurement of the acyl group substitution degree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STM D817-96, which is one of the standards established and published by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Cellulose diacetate is also preferably used.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수 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Mw)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of the cellulose ester can be measur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Solvent: methylene chloride

칼럼: Shodex K806, K805, K803G(쇼와덴코(주)제를 3개 접속하여 사용함)Column: Shodex K806, K805, K803G (connected with three of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Showa Denko K.K.)

칼럼 온도: 25℃Column temperature: 25 ° C

시료 농도: 0.1질량%Sample concentration: 0.1 mass%

검출기: RI Model 504(GL사이언스사제)Detector: RI Model 504 (manufactured by GL Science)

펌프: L6000(히다치세이사쿠쇼(주)제)Pump: L6000 (manufactured by Hitachi Seisakusho Co., Ltd.)

유량: 1.0ml/minFlow rate: 1.0 ml / min

교정 곡선: 표준 폴리스티렌STK standard 폴리스티렌(도소(주)제)Calibration curve: Standard polystyrene STK standard Polystyrene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Mw=1000000 내지 500까지의 13샘플에 의한 교정 곡선을 사용하였다. 13샘플은, 거의 등간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alibration curve with 13 samples of Mw = 1000000 to 500 was used. The 13 samples are preferably us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에스테르 화합물>&Lt; ester compound &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내투습성이 우수한 점에서, 에스테르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프탈산, 아디프산, 적어도 1종의 벤젠 모노카르복실산 및 적어도 1종의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을 반응시킨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cellulose ester film preferably contains an ester compound because of its excellent moisture permeability. The ester compound is preferably an ester compound having a structure obtained by reacting phthalic acid, adipic acid, at least one benzene monocarboxylic acid, and at least one alkylene glycol having 2 to 12 carbon atoms.

벤젠 모노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산, 파라-tert-부틸벤조산, 오르토 톨루일산, 메타 톨루일산, p-톨루일산, 디메틸벤조산, 에틸벤조산, 노르말 프로필 벤조산, 아미노 벤조산, 아세톡시 벤조산 등이 있고, 이들은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벤조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benzene monocarboxylic acid component include benzoic acid, para-tert-butylbenzoic acid, orthotoluenic acid, meta-toluic acid, p-toluic acid, dimethylbenzoic acid, ethylbenzoic acid, normalpropylbenzoic acid, aminobenzoic aci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Most preferred is benzoic acid.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킬렌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 펜탄),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3,3-디메틸올헵탄), 3-메틸-1,5-펜탄디올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1,12-옥타데칸디올 등이 있고, 이들 글리콜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특히 1,2-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lkylene glycol component having 2 to 12 carbon atoms include ethylene glycol, 1,2-propylene glycol, 1,3-propylene glycol, 1,2-butanediol, 1,3-butanedi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2,2-dimethyl-1,3-propanediol (neopentyl glycol), 2,2- Diol (3,3-dimethylol pentane), 2-n-butyl-2-ethyl-1,3-propanediol (3,3-dimethylolheptane) Hexanediol, 2,2,4-trimethyl 1,3-pentanediol, 2-ethyl 1,3-hexanediol, 2-methyl 1,8-octanediol, 1,9- , 1,12-octadecanediol, and the like, and these glycols are used singly or as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Particularly preferred is 1,2-propylene glycol.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최종적인 화합물의 구조로서, 아디프산 잔기 및 프탈산 잔기를 갖고 있으면 된다.The ester compound may have an adipic acid residue and a phthalic acid residue as the structure of the final compound.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에스테르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예를 들어 180 내지 2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0 내지 25시간 혼합시키고,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ester compound can be produced, if necessary, in the presence of an esterification catalyst,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180 to 250 ° C for 10 to 25 hours and then subjected to an esterification reaction.

또한,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방향족 말단 에스테르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말단 에스테르 화합물의 예시 화합물을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ester compound, an aromatic terminal ester compound can also be used. Exemplary compounds of aromatic terminal ester compounds are shown below,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또한, 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당 에스테르계 화합물도 들 수 있다. 당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단당, 2당, 3당 또는 올리고당 등의 당의 OH기의 모두 또는 일부를 에스테르화한 화합물이며,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서는, 화학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ester compound may be a sugar ester compound. The sugar ester compound is a compound obtained by esterifying all or a part of the sugar OH groups such as the following monosaccharides, 2 sugars, 3 sugars or oligosaccharides. More specific examples includ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 (4) .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식 중, R1 내지 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2의 알킬카르보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2의 아릴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1 내지 R8은, 동일하여도, 상이해도 된다.In the formulas, R 1 to R 8 represent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carbonyl group having 2 to 22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carbonyl group having 2 to 22 carbon atoms. R 1 to R 8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이하에 화학식(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보다 구체적으로 (화합물4-1 내지 화합물4-23으로서)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rmula (4) are more specifically shown (as the compounds 4-1 to 4-23),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4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에 있어서는, 수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500이다. 또한, 산가는, 0.08 내지 0.50mgKOH/g이 바람직하다. 수산기가는, 25mgKOH/g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gKOH/g 이하이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ster compound is preferably 300 to 2000, and more preferably 400 to 1500. The acid value is preferably 0.08 to 0.50 mgKOH / g. The hydroxyl value is preferably 25 mgKOH / g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mgKOH / g or less.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필름 기재중에 1 내지 35질량%, 특히 5 내지 30질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블리드 아웃 등도 없어 투명성이 우수하다.The ester compou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the film base in an amount of 1 to 35 mass%, particularly 5 to 30 mass%. Within this range, there is no bleeding-out and the transparency is excellent.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The cellulose ester film may contain a thermoplastic acrylic resin and a cellulose ester resin.

아크릴 수지에는, 메타크릴 수지도 포함된다. 아크릴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50 내지 99질량%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 단위 1 내지 50질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알킬수의 탄소수가 2 내지 18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수의 탄소수가 1 내지 18인 알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α,β- 불포화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기 함유 2가 카르복실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α,β-불포화 니트릴, 무수 말레산, 말레이미드, N-치환 말레이미드, 글루타르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단량체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acrylic resin also includes a methacrylic resin. The acryl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composed of 50 to 99 mass% of methyl methacrylate units and 1 to 50 mass% of other monomer units copolymerizable therewith.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alkyl methacrylates having 2 to 18 carbon atoms in the alkyl number, alkyl acrylates having 1 to 18 carbon atoms in the alkyl number, alpha, beta -unsaturated acids such as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Methylstyrene,?,? -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maleic anhydride, maleimide , N-substituted maleimide, and glutaric anhydride. Thes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들 중에서도, 공중합체의 내열 분해성이나 유동성의 관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s-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나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Of thes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s-bu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rmal decomposition resistance and fluidity of the copolymer , Methyl acrylate or n-butyl acrylate are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또한, 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80000 내지 5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 내지 500000의 범위 내이다. 아크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측정 조건 포함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델펫 60N, 80N(아사히가세이케미컬즈(주)제), 다이아날 BR52, BR80, BR83, BR85, BR88(미츠비시레이온(주)제), KT75(덴키가가쿠고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resi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00 to 50000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100000 to 50000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resin can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including measurement conditions.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DELPET 60N and 80N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DAIANAL BR52, BR80, BR83, BR85 and BR88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nd KT75 (manufactured by Denki Kagaku Kogyo Co., ) And the like. Two or more acrylic res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첨가제><Additives>

필름 기재의 취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아크릴 입자를 함유해도 된다. 아크릴 입자의 시판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블렌W-341(C2)(미츠비시레이온(주)제)를 케미스노우 MR-2G(C3), MS-300X(C4)(소켄가가쿠(주)제) 등을 들 수 있다.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brittleness of the film substrate, acrylic particles may be contained.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acrylic particles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Metabolene W-341 (C2) (Mitsubishi Rayon Co., Ltd.), Chemisnow MR-2G (C3), MS- And the like.

아크릴 미립자는, 필름 기재를 형성하는 수지의 총 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30%의 범위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rylic fine particles are preferably contained in the range of 0.5% to 30%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resin forming the film base.

(미립자)(Fine particles)

필름 기재는, 아크릴 미립자 이외의 미립자를 함유해도 된다. 아크릴 미립자 이외의 미립자로서는, 미끄럼성, 보관 안정성의 관점에서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탄산칼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 등의 무기 미립자가 바람직하다.The film substrate may contain fine particles other than acrylic fine particles. From the viewpoint of slid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the fine particles other than the acrylic fine particles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dioxide, titanium dioxide, aluminum oxide, zirconium oxide, calcium carbonat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fired kaolin, calcined calcium silicate, , Magnesium silicate and calcium phosphate are preferable.

이들 무기 미립자 중에서는, 탁도가 낮은 점에서, 이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이산화규소는 소수화 처리된 것이 미끄럼성과 헤이즈를 양립시키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4개의 실라놀기 중, 2개 이상이 소수성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고, 3개 이상이 치환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소수성의 치환기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규소의 1차 입경은 20nm 이하가 바람직하고, 10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Among these inorganic fine particles, silicon dioxide is preferable because of low turbidity. Silicon dioxide is preferably subjected to hydrophobic treatment in order to make both slip and haze compatible. Of the four silanol groups, two or more of them are preferably substituted with a hydrophobic substituent, and more preferably three or more thereof are substituted. The hydrophobic substituent is preferably a methyl group. The primary particle diameter of the silicon dioxide is preferably 20 nm or less, more preferably 10 nm or less.

이산화규소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에어로실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TT600(이상, 니뽄에어로실(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에어로실 R976 및 R811(이상, 니뽄에어로실(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어로실200V, 에어로실R972V가 필름 기재의 헤이즈를 낮게 유지하면서, 마찰 계수를 낮추는 효과가 크므로 특히 바람직하고, 에어로실R812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름 기재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 면의 동마찰 계수가 0.2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e particles of silicon dioxide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under the trade names Aerosil R972, R972V, R974, R812, 200, 200V, 300, R202, OX50 and TT600 (manufactured by Nippon Aerosil Co., Ltd.) . The fine particles of zirconium oxide are commercially available, for example, under the trade names Aerosil R976 and R811 (manufactured by NIPPON AEROSIL CO., LTD.) And can be used. Of these, Aerosil RV122 and Aerosil R972V are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they have a high effect of lowering the friction coefficient while keeping the haze of the film base low, and Aerosil R812 is most preferably used. In the film bas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of at least one surface is 0.2 to 1.0.

(그 밖의 첨가제)(Other additives)

필름 기재에는, 조성물의 유동성이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소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가소제로서는, 프탈산 화합물, 지방산 화합물, 트리멜리트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fluidity and flexibility of the composition, a plasticizer may be added to the film base.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hthalic acid compounds, fatty acid compounds, trimellitic acid compounds, phosphoric acid compounds, acrylic polymers, and epoxy compounds.

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프로필(i-, n-), 아크릴산 부틸(n-, i-, s-, t-), 아크릴산 펜틸(n-, i-, s-), 아크릴산 헥실(n-, i-), 아크릴산 헵틸(n-, i-), 아크릴산 옥틸(n-, i-), 아크릴산 노닐(n-, i-), 아크릴산 미리스틸(n-, i-),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ε-카프로락톤),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아크릴산(2-메톡시에틸), 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등, 또는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지만, 아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30질량% 이상을 갖고 있을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메타크릴산 메틸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40질량% 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산 메틸 또는 메타크릴산 메틸의 단독 중합체가 바람직하다.As the acrylic polymer,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or alkyl methacrylate a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monomer of the acrylic acid ester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i-, n-), butyl acrylate (n-, i-, s-, t-) , s-), hexyl acrylate (n- and i-), heptyl acrylate (n- and i-), octyl acrylate (n- and i-), nonyl acrylate (n- and i-) and myristyl acrylate -, i-), acrylic acid (2-ethylhexyl), acrylic acid (? -caprolactone), acrylic acid (2-hydroxyethyl), acrylic acid (2- hydroxypropyl) (2-methoxyethyl), acrylic acid (2-ethoxyethyl) and the like, or those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acrylate ester with a methacrylate ester . The acrylic polymer is a homopolymer or a copolymer of the above monomer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acid methyl ester monomer units are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mass% or more, and the methacrylic acid methyl ester monomer units are preferably 40 mass% or more. In particular, a homopolymer of methyl acrylate or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red.

용도에 따라서 이들 가소제를 선택,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의 첨가량은, 필름 기재 100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se plasticizers may be selected or used in combination. 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to be added is preferably 0.5 to 3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film substrate.

필름 기재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2-히드록시벤조페논계 또는 살리실산 페닐에스테르계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트리아졸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류를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분자량이 400 이상인 자외선 흡수제는, 고비점으로 휘발되기 어렵고, 고온 성형 시에도 비산되기 어려우므로,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 효과적으로 내후성을 개량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film substrate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to be used include those based on benzotriazole, 2-hydroxybenzophenone or salicylic acid phenyl ester.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2- (5-methyl-2-hydroxyphenyl) benzotriazole, 2- [2-hydroxy-3,5- , Triazole compounds such as 2- (3,5-di-t-butyl-2-hydroxyphenyl) benzotriazol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 2-hydroxy- Phenone, and 2,2'-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Among ultraviolet absorbers, an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00 or more is difficult to volatilize at a high boiling point and is unlikely to be scattered even at high temperature molding, so that the addition of a relatively small amount can effectively improve weather resistance.

분자량이 400 이상인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의 힌더드 아민계, 또는 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론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1-[2-[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분자 내에 힌더드 페놀과 힌더드 아민의 구조를 모두 갖는 하이브리드계인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벤조트리아졸이나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이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not less than 400 include 2- [2-hydroxy-3,5-bis (α, α-dimethylbenzyl) phenyl] -2-benzotriazole, 2,2- (2,2,6,6-tetramethyl-4-piperidyl) benzophenone-based compound such as bis (2,2,6,6-tetramethyl- Sebacate, and bis (1,2,2,6,6-pentamethyl-4-piperidyl) sebacate, or 2- (3,5-di-t-butyl- 1- [2- [3- (3,5-di-t-butoxycarbonyl) -2-n-butylmalonic acid bis (1,2,2,6,6- Propyloxy] ethyl] -4- [3- (3,5-di-t-butyl-4-hydroxyphenyl) propionyloxy] -2,2,6,6- Tetramethylpiperidine, and the like. These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The term &quot; hindered amine &quot; Among these compounds, preferred are 2- [2-hydroxy-3,5-bis (α, α-dimethylbenzyl) phenyl] -2-benzotriazole, 2,2- -Tetrabutyl) -6- (2H-benzotriazol-2-yl) phenol] is particularly preferred.

또한, 필름 기재에는, 성형 가공 시의 열분해성이나 열 착색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각종 산화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여, 필름 기재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antioxidants may be added to the film base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perty and thermal coloring property at the time of molding. It is also possible to add an antistatic agent to impart antistatic properties to the film substrate.

필름 기재에는, 인계 난연제를 배합한 난연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로서는, 적인, 트리아릴 인산 에스테르, 디아릴 인산 에스테르, 모노 아릴 인산 에스테르, 아릴 포스폰산 화합물, 아릴 포스핀옥시드 화합물, 축합 아릴 인산 에스테르, 할로겐화 알킬 인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인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축합 포스폰산 에스테르, 할로겐 함유 아인산 에스테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A flame retardant acrylic resin composition in which a phosphorus flame retardant is blended may be used for the film substrate. Examples of the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 used herein include triaryl phosphoric acid esters, diaryl phosphoric acid esters, monoaryl phosphoric acid esters, arylphosphonic acid compounds, arylphosphine oxide compounds, condensed aryl phosphoric acid esters, halogenated alkyl phosphoric acid esters, Esters, halogen-containing condensed phosphonic acid esters, halogen-containing phosphorous acid esters, and the lik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9,10-디히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시드, 페닐포스폰산, 트리스(β-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브로모네오펜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riphenyl phosphate, 9,10-dihydro-9-o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phenylphosphonic acid, tris (β-chloroethyl) phosphate, tris (dichloropropyl) Tris (tribromoneopentyl) phosphate, and the like.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옥외 용도에의 이용에 의해, 더 높은 휘도가 요구되는 점에서, 필름 기재는, 보다 고온의 환경 하에서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필름 기재의 장력 연화점이 105℃ 내지 145℃라면, 충분한 내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특히 110℃ 내지 130℃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required that the film base material can withstand use under a higher temperature environment because higher luminance is required by use in outdoor applications such as digital signage. If the tensile softening point of the film base material is 105 캜 to 145 캜, it can be judged that it exhibits sufficient heat resistance, 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preferably 110 캜 to 130 캜.

장력 연화점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텐실론 시험기(ORIENTEC사제, RTC-1225A)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120mm(세로)×10mm(폭)로 잘라내고, 10N의 장력으로 인장하면서 30℃/min의 승온 속도로 승온을 계속하여, 9N이 된 시점에서의 온도를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에 의해 구할 수 있다.As a specific measuring method of the tensile softening point, for example, an optical film is cut into 120 mm (length) x 10 mm (width) using a tensile testing machine (RTC-1225A manufactured by ORIENTEC Co., Ltd.)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heating rate of 占 폚 / min, and the temperature at the time when the temperature becomes 9N is measured thre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is obtained.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필름 기재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the film substrate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110 캜 or higher. More preferably, it is 120 DEG C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50 ° C or higher.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Perkin Elmer사제 DSC-7형)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분으로 측정하고, JIS K7121(1987)에 따라 구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Tmg)이다.The term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s used herein refers to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at a heating rate of 20 ° C / min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7 made by Perkin El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mg).

또한, 필름 기재를,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필름 기재의 치수 변화율(%)은 0.5% 미만이 바람직하고, 또한, 0.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film substrate is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ed particularly outdoors, the dimensional change rate (%) of 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less than 0.5%, and more preferably less than 0.3%.

또한, 필름 기재에 있어서, 필름 면 내의 직경 5㎛ 이상의 결점이 1개/10cm 사방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개/10cm 사방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0.1개/10cm 사방 이하이다. 여기서, 결점이란, 용액 제막의 건조 공정에서 용매가 급격한 증발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필름 내의 공동(발포 결점)이나, 제막 원액 내의 이물이나 제막 내에 혼입되는 이물에 기인하는 필름 내의 이물(이물 결점), 또한, 롤 흠집의 전사나 찰상 등, 표면 형상이 변화되고 있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결점의 직경이란, 결점이 원형인 경우에는 그 직경을 나타내고,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결점의 범위를 하기 방법에 의해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결정하고, 그 최대 직경(외접원의 직경)으로 한다.Further, in the film b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defects with a diameter of 5 m or more in the film surface is one per 10 cm square or less. More preferably at most 0.5 / 10 cm square, further preferably at most 0.1 / 10 cm square. The defect means defects in the film (defective foams) in the film due to the rapid evaporation of the solvent in the drying step of the solution film formation, foreign matter (foreign matter defect) in the film due to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ilm forming solution, It also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roll, such as a transfer or scratch, whose shape changes. The diameter of the defect refers to the diameter when the defect has a circular shape, and when the defect is not circular, the range of the defect is determined by observing with a microscope by the following method, and the maximum diameter is defined as the diameter of the circumscribed circle.

결점의 범위는, 결점이 기포나 이물인 경우에는, 결점을 미분 간섭 현미경의 투과광으로 관찰했을 때의 그림자 크기이다. 결점이, 롤 흠집의 전사나 찰상 등, 표면 형상의 변화인 경우에는, 결점을 미분 간섭 현미경의 반사광으로 관찰하여 크기를 확인한다. 또한, 반사광으로 관찰할 경우, 결점의 크기가 불명료하면, 표면에 알루미늄이나 백금을 증착하여 관찰한다.The range of the defect is the shadow size when the defect is observed with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when the defect is bubble or foreign matter. When the defect is a change in surface shape such as a transfer of a roll scratch or a scratch, the size is confirmed by observing the defect as reflected light of a differential interference microscope. In addition, when observed with reflected light, if the size of the defect is unclear, aluminum or platinum is deposited on the surface and observed.

이러한 결점 빈도로 표현되는, 품위가 우수한 필름을 생산성 높게 얻기 위해서는, 중합체 용액을 유연 직전에 고정밀도 여과하는 것이나, 유연기 주변의 클린도를 높게 하는 것, 또한, 유연 후의 건조 조건을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효율적이면서 발포를 억제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유효하다.In order to obtain a film having excellent durability expressed by the frequency of defects with high productivity,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filter the polymer solution immediately before the pouring, to increase the cleanliness around the pore, and to set the drying conditions after the pouring stepwise Thus, it is effective to effectively suppress foaming and dry.

결점의 개수가 1개/10cm 사방보다 많으면, 예를 들어 후속 공정에서의 가공 시 등에서 필름에 장력이 가해지면, 결점을 기점으로 필름이 파단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결점의 직경이 5㎛ 이상이 되면, 편광판 관찰 등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광학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 휘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If the number of defects is more than 1/10 cm square, for example, if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film at the time of processing in a subsequent process or the like, the film may be broken from the defect point and the productivity may be lowered. Further, when the diameter of the defect is 5 mu m or more,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by observing the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and a bright spot may be generated when used as an optical member.

또한, 결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해당 필름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했을 때, 하드 코팅층 도포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하지 못하고, 결점(도포 누락)이 되는 경우가 있다.Further, even when the defects can not be visually confirmed, when the hard coat layer is formed on the film,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hard coat layer can not be uniformly applied, resulting in defects (coating omission).

또한, 필름 기재는, JIS K7127(1999)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향의 파단 신도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Further, 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at least 10%, more preferably at least 20%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measurement according to JIS K7127 (1999).

파단 신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250% 정도이다. 파단 신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이물이나 발포에 기인하는 필름 내의 결점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The upper limit of the elongation at brea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actically about 250%. In order to increase the elongation at break, it is effective to suppress defects in the film caused by foreign matter or foaming.

필름 기재의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The thickness of 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10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at least 20 mu m.

필름 기재의 두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액 제막법으로 필름화하는 경우에는, 도포성, 발포, 용매 건조 등의 관점에서, 상한은 250㎛ 정도이다. 또한, 필름 기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film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film is formed into a film by a solution casting method, the upper limit is about 250 탆 from the viewpoint of coatability, foaming, solvent drying and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film base material can be suitab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필름 기재의 두께는, 1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부재의 박막화의 관점에서는, 10 내지 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film b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10 to 250 占 퐉, more preferably 20 to 100 占 퐉.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optical member,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10 to 40 占 퐉.

필름 기재는, 그 전체 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이다. 또한, 현실적인 상한으로서는 99% 정도이다. 이러한 전체 광선 투과율로 표현되는 우수한 투명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첨가제나 공중합 성분을 도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나, 중합체중의 이물을 고정밀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필름 내부의 광 확산이나 흡수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The film substrate preferably h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3% or more. The practical upper limit is about 99%. In order to achieve excellent transparency expressed by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t is necessary to prevent introduction of an additive or a copolymerizable component that absorbs visible light, remove impurities in the polymer by high-precision filtration, It is effective to reduce it.

또한, 필름 기재의 리타데이션은, 파장 590nm에서의 면 내 리타데이션(Ro)이 0 내지 50nm,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h)이 -10 내지 50nm 범위가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필름 기재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구성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예를 들어 터치 패널용 구성 부재에 사용한 경우, 복굴절에 의한 간섭 줄무늬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of the film base materia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50 nm in the in-plane retardation (Ro) at a wavelength of 590 nm and in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10 to 50 nm. When an optical film is constituted by using a film base having retardation in this range, interference fringes caused by birefringence can be satisfactorily suppressed when the optical film is used, for example, in a constituent member for a touch panel.

또한, 상기의 Ro 및 Rth는 하기 식 (I) 및 (II)로 정의된 값이다.The above-mentioned Ro and Rth are value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식(I) Ro=(nx-ny)×d(I) Ro = (nx-ny) xd

식(II) Rth={(nx+ny)/2-nz}×d(II) Rth = {(nx + ny) / 2-nz} xd

단, 식 중, nx는 필름 기재의 면 내 지상 축방향의 굴절률, ny는 필름 기재의 면 내에서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z는 필름 기재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 d는 필름 기재의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의 리타데이션은, 예를 들어 KOBRA-21ADH(오지게이소쿠기키(주))를 사용하여, 23℃, 55% RH의 환경 하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 구할 수 있다.Ny is the index of refrac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within the plane of the film substrate, nz is the index of refra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base, d is the index of refraction of the film base, And thickness (nm), respectively. The above retardation can be obtained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90 nm under the environment of 23 deg. C and 55% RH using, for example, KOBRA-21ADH (Ojieiso Kiki K.K.).

리타데이션은, 상술한 에스테르 화합물이나 가소제의 종류, 첨가량 및 필름 기재의 막 두께나 연신 조건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can be adjusted by kinds and amounts of the above-mentioned ester compounds and plasticizers, film thickness of the film substrate, stretching conditions and the like.

또한, 제막 시의 필름 접촉부(냉각 롤, 캘린더 롤, 드럼, 벨트, 용액 제막에서의 도포 기재, 반송 롤 등)의 표면 조도를 작게 하여 필름 표면의 표면 조도를 작게 하는 것이나,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을 작게 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광 확산이나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 유효하다.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lm contacting portion (cooling roll, calender roll, drum, belt, coating base in a solution film, transport roll, etc.)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o reduc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ilm surface, It is effective to reduce light diffusion and refle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lm.

(필름 기재의 제막)(Film Formation of Film Substrate)

이어서, 필름 기재의 제막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Next, an example of the film-forming method of the film base material is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필름 기재의 제막 방법으로서는,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절삭법, 유연법, 에멀전법, 핫 프레스법 등의 제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착색 억제, 이물 결점의 억제, 다이 라인 등의 광학 결점의 억제 등의 관점에서는, 유연법에 의한 제막이 바람직하다. 유연법에 의한 제막에는, 용액 유연법과 용융 유연법이 있다.As the film forming method of the film substrate, a manufacturing method such as an inflation method, a T-die method, a calendering method, a cutting method, a fusing method, an emulsion method, and a hot press method can be used. From the viewpoints of suppressing coloration, suppressing foreign matter defects, suppressing optical defects such as die lines, etc., film formation by the flexible method is preferable. For the film formation by the flexible method, there are a solution casting method and a melt casting method.

(유기 용매)(Organic solvent)

필름 기재를 용액 유연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의 도프를 형성하기에 유용한 유기 용매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나, 기타의 첨가제를 동시에 용해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useful for forming the dope when the film substrate is prepared by the solution softening metho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dissolves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and other additives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염화메틸렌, 비염소계 유기 용매로서는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아밀,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1,4-디옥산, 시클로헥사논, 포름산 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헥사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니트로에탄 등을 들 수 있고, 염화메틸렌,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chlorine-based organic solvent include methylene chloride and the non-chlorine-based organic solvent include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myl acetate, acetone, tetrahydrofuran, 1,3-dioxolane, 1,4-dioxane, cyclohexanone, Ethyl, 2,2,2-trifluoroethanol, 2,2,3,3-hexafluoro-1-propanol, 1,3-difluoro-2-propanol, 1,1,1,3,3 , 3-hexafluoro-2-methyl-2-propanol, 1,1,1,3,3,3-hexafluoro-2-propanol, 2,2,3,3,3-pentafluoro- -Propanol, nitroethane and the like, and methylene chlorid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acetone can be preferably used.

도프에는, 상기 유기 용매 이외에, 1 내지 40질량%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프중의 알코올의 비율이 높아지면 웹이 겔화되어, 금속 지지체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알코올의 비율이 적을 때는, 비염소계 유기 용매계에서의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의 용해가 촉진된다.The dope preferably contains a linear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 an amount of 1 to 40 mas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rganic solvent. When the proportion of alcohol in the dope is high, the web is gelled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metal support. When the proportion of alcohol is small, the dissolution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cellulose ester resin in the non-chlorinated organic solvent system is promoted .

특히,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을 함유하는 용매에, 아크릴 수지와,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 입자의 3종을, 적어도 합계 15 내지 45질량% 용해시킨 도프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n a solvent containing methylene chloride and a linear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t least a total of 15 to 45 mass% of an acrylic resin, a cellulose ester resin and an acrylic particle are dissolved, Composition.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도프의 안정성, 비점도 비교적 낮고, 건조성도 좋은 점 등에서, 에탄올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straight chain or branched aliphatic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clude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sec-butanol and tert-butanol. Of these, ethanol is preferable because of its low drip stability, relatively low boiling point, and good drying properties.

(용액 유연법)(Solution softening method)

필름 기재는, 용액 유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용액 유연법에서는, 수지 및 첨가제를 용제에 용해시켜서 도프를 제조하는 공정, 도프를 벨트 형상 또는 드럼 형상의 금속 지지체 상에 유연하는 공정, 유연한 도프를 웹으로서 건조하는 공정, 금속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하는 공정, 웹을 연신 또는 폭 유지하는 공정, 또한 건조하는 공정, 마무리된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에 의해 행하여진다.The film substrate can be produced by a solution casting method. In the solution casting method, a process of preparing a dope by dissolving a resin and an additive in a solvent, a process of forming a dope on a belt-shaped or drum-shaped metal support, a process of drying a dope as a web, A step of stretching or maintaining the width of the web, a step of drying, and a step of winding the finished film.

도프 내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농도는, 농도가 높은 쪽이 금속 지지체에 유연된 후의 건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여과 시의 부하가 증가하여 여과 정밀도가 나빠진다. 이들을 양립시키는 농도로서는, 10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질량%이다.The concentration of the cellulose ester resin in the dope is preferable because the drying load after the concentration of the cellulose ester resin in the dope is softened to the metal support can be reduced. However, if the concentration of the cellulose ester resin is too high, It gets worse. The concentration at which they are compatible is preferably 10 to 35 mass%, and more preferably 15 to 25 mass%.

유연(캐스트) 공정에서의 금속 지지체는,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지지체로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벨트 또는 주물로 표면을 도금 마무리한 드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metal support in the casting step is preferably mirror-finished on the surface, and as the metal support, a stainless steel belt or a drum finished by plating the cast iron surface is preferably used.

캐스트의 폭은 1 내지 4m로 할 수 있다. 유연 공정의 금속 지지체의 표면 온도는 -50℃ 내지 용제가 비등하여 발포되지 않는 온도 이하로 설정된다. 온도가 높은 쪽이 웹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만, 너무 지나치게 높으면 웹이 발포되거나, 평면성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The width of the cast may be 1 to 4 m.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of the flexible process is set to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50 DEG C and not foaming by boiling of the solven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faster the drying speed of the web can be. However,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web may be foamed or the planarity may deteriorate.

금속 지지체의 온도는, 0 내지 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는, 냉각함으로써 웹을 겔화시켜서 잔류 용매를 많이 포함한 상태에서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이다.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is suitably determined in the range of 0 to 100 캜, more preferably 5 to 30 캜.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be gelled by cooling to peel off the metal support in a stat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residual solvent.

금속 지지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온풍 또는 냉풍을 불어대는 방법이나, 온수를 금속 지지체의 이면측에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온수를 사용하는 쪽이 열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행해지므로, 금속 지지체의 온도가 일정해질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re is a method of blowing hot air or cold air, or a method of bringing hot water to the back side of a metal support. The use of hot water is preferable because the heat transfer is performed efficiently and the time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becomes constant is short.

온풍을 사용할 경우에는, 용매의 증발 잠열에 의한 웹의 온도 저하를 고려하여, 용매의 비점 이상의 온풍을 사용하면서, 발포도 방지하면서 원하는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의 바람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유연부터 박리될 때까지의 동안에 금속 지지체의 온도 및 건조풍의 온도를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warm air,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drop of the web due to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solvent, it is possible to use win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a desired temperature while preventing warming while using warm air above the boiling point of the solvent.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etal suppo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wind are chang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the softening is peeled to the time when the drying is performed efficiently.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이 양호한 평면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금속 지지체로부터 웹을 박리할 때의 잔류 용매량은 10 내지 150질량%가 바람직하다. 잔류 용매량의 하한의 바람직한 범위는 20 내지 4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질량%이다. 잔류 용매량의 상한의 바람직한 범위는 60 내지 130질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질량%이다. 또한, 잔류 용매량은 하기 식으로 정의된다.In order for the cellulose ester-based film to exhibit good planarity,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when peeling the web from the metal support is preferably from 10 to 150% by mass. The lower limit of the residual solvent amount is preferably 20 to 40%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20 to 30% by mass.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residual solvent is preferably 60 to 130%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70 to 120% by mass. Further, the amount of residual solvent i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잔류 용매량(질량%)={(M-N)/N}×100Amount of residual solvent (mass%) = {(M-N) / N} 100

여기서, M은 웹 또는 필름을 제조중 또는 제조 후의 임의의 시점에서 채취한 시료의 질량으로, N은 M을 115℃에서 1시간 가열한 후의 질량이다.Here, M is the mass of the sample taken from the web or film at any point in time during or after the production, and N is the mass after heating the M at 115 ° C for 1 hour.

또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또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아크릴 수지 필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는, 웹을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또한 건조하여, 잔류 용매량을 1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1질량% 이하이다.In the drying process of the cellulose ester film or the cellulose ester resin / acrylic resin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web is peeled off from the metal support and dried to make the residual solvent amount not more than 1%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1% By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0 to 0.01% by mass or less.

연신 공정에서는, 웹(필름)의 반송 방향(MD 방향; Machine Direction) 및 이것에 수직인 폭 방향(TD 방향; Transverse Direction)에 대하여, 차차 또는 동시에 연신할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2축 방향의 연신 배율은, 각각 최종적으로는 MD 방향으로 1.0 내지 2.0배, TD 방향으로 1.07 내지 2.0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MD 방향으로 1.0 내지 1.5배, TD 방향으로 1.07 내지 2.0배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롤에 주위 속도 차를 두어, 그 사이에서 롤 주위 속도 차를 이용하여 MD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웹의 양단을 클립이나 핀으로 고정하고, 클립이나 핀의 간격을 진행 방향으로 확장하여 MD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마찬가지로 가로 방향으로 확장하여 TD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또는 MD/TD 방향 동시에 확장하여 MD/TD 양쪽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In the stretching step, th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MD direction) of the web (film)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The stretching magnifications in the biaxial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1.0 to 2.0 times in the MD direction and 1.07 to 2.0 times in the TD direction, respectively, and 1.0 to 1.5 times in the MD direction and 1.07 To 2.0 times as high as tha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re are a method in which a peripheral speed difference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rolls, and a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MD direction using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rolls therebetween, a method in which both ends of the web are fixed with clips or pins, And stretching in the MD direction. Similarly,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stretching in the TD direction, or stretching in the MD / TD direction simultaneously and stretching in the MD / TD both directions.

제막 공정의 이들의 폭 유지 또는 폭 방향의 연신은, 텐터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핀 텐터이어도 클립 텐터이어도 된다. 텐터 내 등에서의 제막 공정에서의 필름 반송 장력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20N/m 내지 200N/m가 바람직하고, 140N/m 내지 200N/m가 더욱 바람직하고, 140N/m 내지 160N/m가 가장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lm forming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tenter, and a pin tenter or a clip tenter may be used. The film transport tension in the film forming process in a tenter or the like is preferably 120 N / m to 200 N / m, more preferably 140 N / m to 200 N / m, and more preferably 140 N / m to 160 N / desirable.

필름을 연신할 때의 온도는,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라 하면, (Tg-30) 내지 (Tg+100)℃, 보다 바람직하게는(Tg-20) 내지 (Tg+80)℃, 더욱 바람직하게는 (Tg-5) 내지 (Tg+20)℃이다.(Tg-30) to (Tg + 100) deg. C, and more preferably from (Tg-20) to (Tg + 80) deg. C , More preferably (Tg-5) to (Tg + 20) 占 폚.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 종류 및 구성하는 재료의 비율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필름 기재의 건조 시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1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필름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7121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substrate can b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kind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ilm and the ratio of the constituent materia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substrate upon drying is preferably 110 DEG C or higher, more preferably 120 DEG C or high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190 占 폚 or lower, and more preferably 170 占 폚 or lower.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film substrate can be determined by a method described in JIS K7121.

필름을 연신할 때의 온도를 150℃ 이상으로 하고, 연신 배율을 1.15배 이상으로 하면, 표면이 적절하게 조면화되므로 바람직하다. 필름 표면을 적절하게 조면화하는 것은, 미끄럼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표면 가공성, 특히 하드 코팅층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의 표면 산술 평균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2.0nm 내지 4.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nm 내지 3.5nm이다.When the film is stretch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or more and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1.15 times or more, the surface is preferably roughened. Properly roughening the surface of the film is preferable because it not only improves the slidability but also improves the surface processability, particularly the hard coat layer adhesion. The surfac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film substrate is preferably 2.0 nm to 4.0 nm, more preferably 2.5 nm to 3.5 nm.

필름 건조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롤 건조 방식(상하에 배치한 다수의 롤에 웹을 교대로 통과 건조시키는 방식)이나, 텐터로 웹을 반송하면서 건조시키는 방식이 채용된다.In the film drying process, a roll drying system (a system in which a web is alternately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rolls arranged at upper and lower sides and dried) or a system in which a web is transported and dried by a tenter is employed.

(용융 유연법)(Melting and softening method)

필름 기재는, 용융 유연법에 의해 제막할 수도 있다. 용융 유연법은, 수지 및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동성을 나타내는 온도까지 가열 용융하고, 그 후, 유동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용융물을 유연하는 것을 말한다. 필름 형성 재료가 가열되어, 그 유동성을 발현시킨 후, 드럼 상 또는 엔드리스 벨트 상에 압출하여 제막하는 방법도 용융 유연법에 포함된다.The film substrate may be formed by a melt-blown method. The melt-softening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he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n additive such as a resin and a plasticizer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fluidity is exhibited, and thereafter flexing the melt containing the fluid cellulose ester. A method in which the film forming material is heated to express the fluidity thereof and then extruded on a drum or an endless belt to form a film is also included in the melting and fusing method.

가열 용융하는 성형법은,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인플레이션법, 사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연신 성형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성형법 중에서는, 기계적 강도 및 표면 정밀도 등의 점에서, 용융 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에 사용하는 복수의 원재료는, 통상 미리 혼련하여 펠릿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molding method for heating and melting can be classified into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a press molding method, an inflation method, an injection molding method, a blow molding method, and an extension molding method. Among these molding methods, a melt extrusion molding method is preferable in terms of mechanical strength and surface precis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aw materials used for melt extrusion are usually previously kneaded and pelletized.

펠릿화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셀룰로오스에스테르나 가소제, 기타 첨가제를 피더로 압출기에 공급하고, 1축이나 2축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련하여, 다이로부터 스트랜드 형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또는 공냉하고, 커팅함으로써 펠릿화할 수 있다.The pelletization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dry cellulose ester, a plasticizer and other additives may be fed into an extruder as a feeder, kneaded using a single- or twin-screw extruder, extruded into a strand shape from a die, and then pelletized by water- have.

첨가제는,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혼합해 두어도 되고, 각각 개별의 피더로 압출기에 공급해도 된다.The additives may be mixed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extruder, or may be supplied to the extruder by individual feeders.

입자나 산화 방지제 등 소량의 첨가제는,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해서, 사전에 혼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Small amounts of additives such as particles and antioxidants are preferably mixed in advance in order to mix them uniformly.

압출기는, 전단력을 억제하고, 수지가 열화(분자량 저하, 착색, 겔 생성 등)되지 않도록 펠릿화 가능하여, 가능한 한 저온에서 가공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축 압출기의 경우, 깊은 홈 타입의 스크루를 사용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의 균일성에서, 맞물림 타입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uder is capable of pelletizing so as to suppress the shear force and not to deteriorate the resin (decrease in molecular weight, coloration, gel formation, etc.), and to work at as low a temperature a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win-screw extruder, it is preferable to use a deep groove type screw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kneading uniformity, an engaging type is preferable.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필름 제막을 행한다. 물론 펠릿화하지 않고, 원재료의 분말을 그대로 피더로 압출기에 공급하고, 그대로 필름 제막하는 것도 가능하다.Film formation is carried out using the pellet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eed the powder of the raw material directly to the extruder as a feeder, and to form the film as it is without pelletizing.

상기 펠릿을 1축이나 2축 타입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할 때의 용융 온도를 200 내지 300℃ 정도로 하고, 리프 디스크 타입의 필터 등으로 여과하여 이물을 제거한 후, T다이로부터 필름 형상으로 유연하고, 냉각 롤과 탄성 터치 롤로 필름을 닙하고, 냉각 롤 상에서 고화시킨다.The pellets are extruded using a single-screw extruder or a twin-screw extruder at a melt temperature of about 200 to 300 ° C, filtered with a filter such as a leaf disc type filter to remove foreign matters, , Nip the film with the cooling roll and the elastic touch roll, and solidify on a cooling roll.

공급 호퍼로부터 압출기에 재료를 도입할 때는, 진공 하 또는 감압 하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로 하여 산화 분해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펠릿의 압출 유량은, 기어 펌프를 도입하거나 하여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ntroducing the material from the feed hopper into the extruder,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oxidative decomposition or the like under vacuum or in an inert gas atmosphere under reduced pressur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usion flow rate of the pellets is stably performed by introducing a gear pump.

또한, 이물의 제거에 사용하는 필터는, 스테인리스 섬유 소결 필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스테인리스 섬유 소결 필터는, 스테인리스 섬유체를, 복잡하게 서로 얽힌 상태를 만들어 낸 후에 압축하고, 접촉 개소를 소결하여 일체화한 것으로, 그 섬유의 굵기와 압축량에 따라 밀도를 바꾸어 여과 정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ainless steel fiber sintered filter is preferably used as the filter used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The stainless steel fiber sintering filter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stainless steel fiber body in an intricately intertwined state, compressing it, and sintering the contact portions. The filtration accuracy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densit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fiber and the amount of compression .

가소제나 입자 등의 첨가제는, 미리 수지와 혼합해 두어도 되고, 압출기의 도중에 첨가해도 된다. 균일하게 첨가하기 위해서, 스태틱 믹서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and particles may be mixed with the resin in advance, or added in the middle of the extruder. In order to uniformly add it,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ing device such as a static mixer.

냉각 롤과 탄성 터치 롤로 필름을 닙 할 때의 터치 롤측의 필름 온도는, 필름의 Tg 이상 Tg+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하는 탄성 터치 롤은, 표면에 탄성체를 갖는 공지된 롤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터치 롤은 협지 가압 회전체라고도 불리며, 특허 3194904호, 특허 342279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32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333호 등에서 개시되어 있는 터치 롤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탄성 터치 롤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film temperature at the touch roll side when nipping the film with the cooling roll and the elastic touch roll is preferably Tg + Tg + 110 deg. C or lower. A known roll having an elastic body on its surface can be used as the elastic touch roll used for this purpose. The elastic touch roll is also referred to as a nip pressurized rotating body, and a touch roll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3194904, Japanese Patent No. 342279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633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36333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A commercially available elastic touch roll may also be used.

냉각 롤로부터 필름을 박리할 때는, 장력을 제어하여 필름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lm is peeled from the cooling roll,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ens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lm.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은, 냉각 롤에 접하는 공정을 통과한 후, 연신 조작에 의해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하는 방법은, 공지된 롤 연신기나 텐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통상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Tg 내지 Tg+60℃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s stretched by a stretching operation after passing through a process in contact with a cooling roll. As the stretching method, a known roll stretcher, a tenter or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Tg to Tg + 60 占 폚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lm.

제막된 필름을 권취하기 전에, 제품이 되는 폭에 단부를 슬릿하여 잘라버리고, 권취중의 부착이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서, 널링 가공(엠보싱 가공)을 양단에 실시해도 된다. 널링 가공은, 요철의 패턴을 표면에 갖는 엠보싱 롤을 가열하여 필름에 가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양단부의 클립 파지 부분은, 통상, 필름이 변형되어 있어,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절제되어 재이용된다.Before winding the formed film, knurling (embossing) may be carried out at both ends for slitting and cutting the end portion of the width of the product to prevent adhesion during winding and scratching. Knurling can be performed by heating an embossing roll having a pattern of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and pressing it on the film. In addition, the clip hold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film are usually cut off because the film is deformed and can not be used as a product.

〔기능성층〕[Functional layer]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에는, 대전 방지층, 백코팅층, 반사 방지층, 역활성층, 접착층, 배리어층 등의 기능성 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al layer such as an antistatic layer, a back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inactive layer, an adhesive layer, and a barrier layer can be formed.

(백코팅층)(Back coating layer)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필름 기재의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컬이나 접착 방지를 위하여 백코팅층을 형성해도 된다.In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a back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bas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hard coating layer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curling or adhesion.

백코팅층에 첨가되는 무기 화합물의 입자로서는,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타늄, 산화 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탄산칼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아연, ITO,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및 인산칼슘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articles of the inorganic compound to be added to the back coating layer include silicon dioxide, titanium dioxide, aluminum oxide, zirconium oxide, calcium carbonate, calcium carbonate, talc, clay, calcined kaolin, calcined calcium silicate, tin oxide, , Hydrated calcium silicate, alumin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and calcium phosphate.

백코팅층에 포함되는 입자의 양은, 결합제에 대하여 0.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로서는,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back coating layer is preferably 0.1 to 50 mass% with respect to the binder. As the binder, a cellulose ester resin such as diacetyl cellulose is preferable.

또한, 백코팅층을 설치한 경우의 헤이즈의 증가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back coating layer is provided, the increase in haze is preferably 1.5% or less, more preferably 0.5%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1% or less.

(반사 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하드 코팅층의 상층에 반사 방지층을 도설하여, 외광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as an antireflection film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by providing an antireflection layer on the upper layer of the hard coat layer.

반사 방지층은, 광학 간섭에 의해 반사율이 감소하도록 굴절률, 막 두께, 층수, 층 순서 등을 고려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지지체인 필름 기재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 또는 지지체인 필름 기재보다도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3층 이상의 굴절률층으로 구성되는 반사 방지층이며, 지지체측으로부터 굴절률이 상이한 3층을, 중굴절률층(지지체보다도 굴절률이 높고, 고굴절률층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의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는, 2층 이상의 고굴절률층과 2층 이상의 저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4층 이상의 층 구성의 반사 방지층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ntireflection layer is lamina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the film thickness, the number of layers, the layer order, and the like so as to reduce the reflectance by optical inter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tireflection layer is formed by combining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film substrate supporting the support or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and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film substrate as a support. Particularly preferably, three antireflection layers composed of three or more refractive index layers and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rom the support side are used as the intermediate refractive index layer (a layer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upport and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are preferably laminated in this order. Alternatively, an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 layer structure of four or more layers in which two or more high refractive index layers and two or more low refractive index layers are alternately laminated is also preferably used.

반사 방지 필름의 층 구성으로서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the layer structure of the antireflection film, the following structure is conceivab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필름 기재/하드 코팅층/저굴절률층Film substrate / hard coating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필름 기재/하드 코팅층/중굴절률층/저굴절률층Film substrate / hard coating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필름 기재/하드 코팅층/중굴절률층/고굴절률층/저굴절률층Film base material / hard coating layer / medium refractive index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필름 기재/하드 코팅층/고굴절률층(도전성층)/저굴절률층Film base material / hard coating layer / high refractive index layer (conductive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필름 기재/하드 코팅층/방현성층/저굴절률층Film substrate / hard coat layer / antiglare layer / low refractive index layer

<저굴절률층><Low Refractive Index Layer>

저굴절률층은, 실리카계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굴절률은, 23℃,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 1.30 내지 1.4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preferably contains silica-based fine particles, and its refractive index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0 to 1.45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50 nm at 23 占 폚.

저굴절률층의 막 두께는 5nm 내지 0.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m 내지 0.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nm 내지 0.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ilm thickness of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from 5 nm to 0.5 占 퐉, more preferably from 10 nm to 0.3 占 퐉, and most preferably from 30 nm to 0.2 占 퐉.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실리카계 미립자로서, 특히 외각층을 갖고 내부가 다공질 또는 공동의 입자를 적어도 1종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해당 외각층을 갖고 내부가 다공질 또는 공동인 입자가, 중공 실리카계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As fo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lica-based fine particles have at least one outer layer and at least one particle of porous or hollow particles therein.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s having the respective outer layers and the inside of which are porous or hollow are hollow silica-based fine particles.

또한,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에는, 하기 화학식(OSi-1)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 또는 그 가수분해물, 또는, 그 중축합물을 함께 함유시켜도 된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may contain an organosilicon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OSi-1), a hydrolyzate thereof, or a polycondensate thereof.

화학식(OSi-1): Si(OR)4 (OSi-1): Si (OR) 4

식 중, R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n the formulas, R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As the organosilicon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specifically, tetramethoxysilane, tetraethoxysilane, tetraisopropoxysilane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또한,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은, 불소 원자를 35 내지 80질량%의 범위에서 포함하고, 또한 가교성 또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포함하는 불소 함유 화합물을 주로 하여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및/또는 광경화성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또는 불소 함유 졸겔 화합물 등이다. 불소 함유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실란 화합물〔예를 들어 (헵타데카플루오로-1,1,2,2-테트라히드로데실)트리에톡시실란〕의 가수분해물이나 탈수 축합물 외에, 불소 함유 단량체 단위와 가교 반응성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는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용제,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경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저굴절률층 형성용 조성물에 첨가해도 된다.Further,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thermosetting and / or photo-curable property mainly comprising a fluorine-containing compound containing fluorine atoms in a range of 35 to 80% by mass and containing a crosslinkable or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 Specifically, it is a fluorine-containing polymer or a fluorine-containing sol-gel compound. As the fluorine-containing polymer, for example, a hydrolyzate or a dehydration condensation product of a perfluoroalkyl group-containing silane compound [for example, (heptadecafluoro-1,1,2,2-tetrahydrodecyl) triethoxysilane] , A fluorine-containing copolymer having a fluorine-containing monomer unit and a crosslinkable reactive unit as a constituent unit. In addition, a solvent, a silane coupling agent, a curing agent, a surfactant, and the like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if necessary.

<고굴절률층>&Lt; High refractive index layer &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23℃, 측정 파장 550nm에 있어서, 1.4 내지 2.2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굴절률층의 두께는 5nm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고, 10nm 내지 0.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nm 내지 0.1㎛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굴절률을 조정하는 수단은, 고굴절률층에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을 첨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굴절률은 1.80 내지 2.6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5 내지 2.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 to 2.2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50 nm at 23 占 폚. 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preferably 5 nm to 1 탆, more preferably 10 nm to 0.2 탆, and most preferably 30 nm to 0.1 탆. The means for adjusting the refractive index can be achieved by adding metal oxide fine particles or the like to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to be used is preferably 1.80 to 2.60, and more preferably 1.85 to 2.50.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Ti, Zr, Sn, Sb, Cu, Fe, Mn, Pb, Cd, As, Cr, Hg, Zn, Al, Mg, Si, P 및 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갖는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금속 산화물 미립자에는, Al, In, Sn, Sb, Nb, 할로겐 원소, Ta 등의 미량의 원자가 도핑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산화지르코늄, 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인듐-주석(ITO),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ATO) 및 안티몬산 아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주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안티몬산 아연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ind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i, Zr, Sn, Sb, Cu, Fe, Mn, Pb, Cd, As, Cr, Hg, Zn, Al, Mg, Si, A metal oxide having one kind of element may be used. These metal oxide fine particles may be doped with a small amount of atoms such as Al, In, Sn, Sb, Nb, a halogen element, and Ta, or may be a mixture thereof. Among them, at least one metal oxide fine particle selected from zirconium oxide, antimony oxide, tin oxide, zinc oxide, indium tin oxide (ITO), antimony doped tin oxide (ATO) and zinc antimonate is used as a main component Particularly preferre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contain zinc antimonate particles.

이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1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nm 내지 200nm이며, 10nm 내지 150n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 등에 의한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계측할 수 있지만, 동적 광산란법이나 정적 광산란법 등을 이용하는 입도 분포계 등에 의해 계측해도 된다. 입경이 너무 작으면 응집되기 쉬워져서 분산성이 열화된다. 입경이 너무 크면 헤이즈가 현저하게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형상은, 미립 형상, 구 형상, 입방체 형상, 방추 형상, 바늘 형상 또는 부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imary particles of these metal oxide fine particles is 10 nm to 200 n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nm to 15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can be measured from a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r the like, but may be measured by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ter using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or a static light scattering method. If the particle diameter is too small, aggregation tends to occur and the dispersibility is deteriorated. If the particle size is too large, the haze increases remarkably, which is undesirable. The shape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is preferably a fine particle shape, a spherical shape, a cubic shape, a spindle shape, a needle shape, or an irregular shape.

금속 산화물 미립자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표면 처리되어도 된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표면을 유기 화합물로 표면 수식함으로써, 유기 용매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되고, 분산 입경의 제어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시간 경과시의 응집, 침강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바람직한 유기 화합물에서의 표면 수식량은, 금속 산화물 미립자에 대하여 0.1질량% 내지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 내지 3질량%이다. 표면 처리에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의 예에는, 폴리올, 알칸올아민, 스테아르산, 실란 커플링제 및 티타네이트 커플링제가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2종 이상의 표면 처리를 조합해도 된다.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may be surface-treated with an organic compound. By surface modifying the surface of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with an organic compound, the dispersion stability in the organic solvent is improved, and the control of the dispersion particle diameter is facilitated, and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over time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urface water content of the organic compound is preferably from 0.1% by mass to 5% by mass, more preferably from 0.5% by mass to 3% by mass, based on the metal oxide fine particles. Examples of the organic compound used in the surface treatment include polyols, alkanolamines, stearic acid, silane coupling agents and titanate coupling agents. Among them, a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e. Two or more kinds of surface treatments may be combined.

또한, 고굴절률층은, π공액계 도전성 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π공액계 도전성 중합체란, 주쇄가 π공액계로 구성되어 있는 유기 고분자라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류, 폴리피롤류, 폴리아닐린류, 폴리페닐렌류, 폴리아세틸렌류, 폴리페닐렌비닐렌류, 폴리아센류, 폴리티오펜 비닐렌류 및 이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중합의 용이함, 안정성 면에서는, 폴리티오펜류, 폴리아닐린류, 폴리아세틸렌류가 바람직하다.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may contain a pi conjugated system conductive polymer. The? -conjugated conductive polymer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n organic polymer having a main chain of? -conjugated system.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thiophenes, polypyrroles, polyanilines, polyphenylene, polyacetylenes, polyphenylene vinylene, polyacenes, polythiophene vinylenes and copolymers thereof. From the standpoint of ease of polymerization and stability, polythiophenes, polyanilines and polyacetylenes are preferred.

π공액계 도전성 중합체는, 비치환 그대로도 충분한 도전성이나 바인더 수지에의 용해성을 나타내지만, 도전성이나 용해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알킬기, 카르복시기, 술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등의 관능기를 도입해도 된다. 해당 중합체와 결합제의 비율은,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결합제가 10 내지 4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결합제가 100 내지 200질량부이다.The? -conjugated conductive polymer exhibits sufficient conductivity and solubility in the binder resin as it is, but in order to further improve conductivity and solubility, a functional group such as an alkyl group, a carboxyl group, a sulfo group, an alkoxy group, a hydroxyl group or a cyano group is introduced You can. The ratio of the polymer and the binder is preferably 10 to 400 parts by mass, more preferably 100 to 200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mer.

또한, 고굴절률층은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이온성 화합물로서는, 이미다졸륨계, 피리듐계, 지환식 아민계, 지방족 아민계, 지방족 포스포늄계의 양이온과, BF4 -, PF6 - 등의 무기 이온계, CF3SO2 -, (CF3SO2)2N-, CF3CO2 - 등의 불소계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may contain an ionic compound. As the ionic compound, an imidazole ryumgye, pyridinium-based, alicyclic amine-based, aliphatic amine-based, and the cation of an aliphatic phosphonium nyumgye, BF 4 -, PF 6 - inorganic ionic, such as, CF 3 SO 2 -, ( CF 3 SO 2 ) 2 N - , CF 3 CO 2 -, and the like.

〔편광판〕[Polarizing plate]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광판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이면측을 알칼리 비누화 처리하고, 처리한 광학 필름을, 요오드 용액중에 침지 연신하여 제작한 편광막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완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막의 다른 한쪽 면에,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접합해도 되고, 상술한 필름 기재를 접합해도 된다.Next,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optical film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polarizing plate can be manufactured by a general method. The back side of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jected to alkali saponification treatment and the treated optical film is bond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ed by immersion stretching in an iodine solution using a complete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 Further,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bond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r the above-described film substrate may be bonded.

또한, 이 밖에, 파장 590nm에 있어서, 면 내 리타데이션(Ro)이 20 내지 70nm, 막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Rt)이 70 내지 400nm인 위상차를 갖는 광학 보상 필름(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시야각 확대 가능한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7195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코틱 액정 등의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서 형성한 광학 이방층을 갖고 있는 광학 보상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8348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광학 이방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retardation film) having a retardation (Ro) of 20 to 70 nm and a retardation (Rt) of 70 to 400 nm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t a wavelength of 590 nm,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increasing the viewing angle. Such a polarizing plat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71957.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having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formed by aligning a liquid crystal compound such as a discotic liquid crystal. For example,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can be form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98348.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시판되고 있는 편광판 필름 기재로서는, KC8UX2MW, KC4UX, KC5UX, KC4UY, KC8UY, KC12UR, KC4UEW, KC8UCR-3, KC8UCR-4, KC8UCR-5, KC4FR-1, KC4FR-2, KC8UE, KC4UE(코니카미놀타옵토(주)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olarizing plate film substrates that are preferably used include KC8UX2MW, KC4UX, KC5UX, KC4UY, KC8UY, KC12UR, KC4UEW, KC8UCR-3, KC8UCR-4, KC8UCR-5, KC4FR-1, KC4FR- KC4UE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and the like.

편광판의 주된 구성 요소인 편광막이란, 일정 방향의 편파면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소자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이며, 이것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염색시킨 것과, 2색성 염료를 염색시킨 것이 있지만, 편향막은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polarizing film,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olarizing plate, is an element that allows only light of a polarization plane in a certain direction to pass through. A typical polarizing membrane currently known is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which includes a polyvinyl alcohol film stained with iodine and a dichroic dye stained, but the deflecting film is not limited thereto.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제막하고, 이것을 1축 연신시켜서 염색하거나, 염색한 후 1축 연신하고 나서, 바람직하게는 붕소 화합물로 내구성 처리를 행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막은, 막 두께가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arizing film is obtained by forming a film of 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uniaxially stretching it, dyeing it, dyeing it, uniaxially stretching it, and preferably durability treatment with a boron compound. The polarizing film preferably has a film thickness of 5 to 30 탆, preferably 8 to 15 탆.

해당 편광막의 면 상에,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의 편면을 접합하여 편광판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On on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bonded to form a polarizing plate. Preferably, it is bonded by an aqueous adhesive mainly composed of completely saponified polyvinyl alcohol or the like.

〔점착층〕[Adhesive layer]

액정 셀의 기판과 접합하기 위하여 필름 기재의 편면에 사용되는 점착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은 물론, 적당한 점탄성이나 점착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used for one side of the film substrate for bonding to the substrat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and exhibits appropriate viscoelasticity and adhesive properties.

구체적으로는, 점착층으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나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테르, 부티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합성 고무 등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의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를 사용하여, 건조법, 화학 경화법, 열 경화법, 열 용융법, 광 경화법 등에 의해 막 형성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장 점착 물성을 제어하기 쉽고, 또한 투명성이나 내후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adhesive layer, an adhesive such as an acrylic copolymer, an epoxy resin, a polyurethane, a silicone polymer, a polyether, a butyral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used. Using these material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forming a film by a drying method, a chemical hardening method, a thermal hardening method, a heat melting method, a photo hardening method, or the like and curing it. Among them, an acrylic copolymer is preferred because it is easy to control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and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durability and the lik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내장함으로써, 다양한 시인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By incorporating the polarizing plate produced using 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display device,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excellent visibility can be produced.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은 편광판에 내장되어 반사형, 투과형,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또는 TN형, STN형, OCB형, HAN형, VA형(PVA형, MVA형), IPS형, OCB형 등의 각종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corporated in a polarizing plate and is used as a reflective type, a transmissive type, a trans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or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N type, STN type, OCB type, HAN type, VA type (PVA type, MVA type) And is preferably use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of various driving methods.

또한, 터치 패널이 달린 액정 표시 장치의 터치 패널용 부재에 본 실시 형태의 광학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인성이나 펜 입력에 대한 내구성(미끄럼 이동에 의한 흠집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ptical film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be used for a member for a touch pan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touch panel. In this case, visibility and durability against pen input (scratches due to sliding) can be improv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예에 대하여 실시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도 4는, 실시예 1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광학 필름(F)은,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폭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대하여 대칭인 층 구성이므로, 동일 도면에서는, 광학 필름(F)의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중에서 제1 영역(R1)만을 도시하고, 제2 영역(R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이하에서 등장하는 단면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함).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Example 1. Fig. Since the optical film F has a layer structu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region R1 of the optical film F and the second region Only the first region R1 is shown in the region R2 and the second region R2 is not shown (the same applies to the cross-sectional views shown below).

실시예 1에서는, 필름 기재(1)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을 사용하고, 경화막 재료로서, 펜타에리트리톨 디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필름 기재(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영역(R1)부터 제2 영역(R2)에 걸쳐서 경화막 재료를 도포하고,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서, 탄성률 4.5GPa의 경화막(2)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 때의 자외선 조사 조건은, 조도 100mW/cm2, 조사량 300mJ/cm2이었다. 그 후, 광학 필름(F)에 대하여, 엠보싱 롤을 사용하여 널링 가공을 행하고, 경화막(2) 상에 널링부(3)를 형성함과 함께, 필름 기재(1) 상에 널링부(4)를 형성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 a triacetylcellulose film (TAC) was used as the film substrate 1, and pentaerythritol diacrylate resin was used as the cured film material. The cured film material is applied from the first region R 1 to the second region R 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bstrate 1 and is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to form a cured film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4.5 GPa 2) was formed. The 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 at this time was an illuminance of 100 mW / cm 2 and an irradiation dose of 300 mJ / cm 2 . Thereafter, the optical film F is subjected to a knurling process using an embossing roll to form a knurling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and to form a knurling portion 4 on the film base 1 ) Was formed to prepare an optical film (F).

여기서, 필름 기재(1)의 폭 방향 단부 위치를 A라 한다. 그리고, 위치(A)로부터 폭 방향 내측(단부(A)와는 반대측)에 50mm 들어간 위치를 D라 한다. 이 경우,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은, A-D간의 영역(50mm 폭)이 된다. 또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 각각에 있어서, 경화막(2)은, 필름 기재(1) 상에서 폭 방향에 위치(B1)부터 위치(B2)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널링부 전체(널링부(3)+널링부(4))는, 상기 폭 방향에서 위치(C1)부터 위치(C2)까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위치(B1·C1)는, 위치(B2·C2)보다도 단부(A)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위치(C1)는 위치(A)와 일치하고 있고, 위치(B2)는 위치(D)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Here, the end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ase material 1 is A. A position 50 mm inward from the position A in the width direction (opposite to the end A) is referred to as D. In this case,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become the area between the A and D (50 mm width). It is also assumed that the cured film 2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position B1 to the position B2 on the film substrate 1 in each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 And the entire nulling portion (nulling portion 3 + nulling portion 4) is formed from the position C1 to the position C2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also assumed that the position B1 占 폚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end A than the position B2 占 폚.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C1 is coincident with the position A and the position B2 is coincident with the position 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실시예 1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는 B1-B2간의 45mm(A-D간의 90%)이며, 널링부 전체(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는 C1-C2간의 15mm이었다. 즉,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필름 기재(1) 상의 널링부(4)의 형성 범위는, A(C1)-B1간의 5mm이며, 경화막(2) 상의 널링부(3)의 형성 범위는 B1-C2간의 10mm이었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curing film 2 is formed in a range of 45 mm (90% between ADs) between B1 and B2, 3) + nulling portion 4) was 15 mm between C1 and C2. That is,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formation range of the nulling portion 4 on the film base 1 is 5 mm between A (C1) and B1, The formation range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0 mm between B1 and C2.

또한, 널링부(3)의 높이(t)는 10㎛이며,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는 70개/cm2이었다. 또한, 널링부(3)의 높이(t)의 측정은, 접촉식 막 두께 측정기 TOF-6R((주)야마분덴키)에 의해 행하고, 볼록부(3a)의 개수의 측정은, 현미경VHX-2000((주)키엔스)에 의해 행하였다. 또한, 사용한 필름 기재(1)의 두께는 30㎛이었다.In addition, the board height (t) of the ring (3) is 10㎛, and the number of boards was raised portion (3a) of the ring (3) is 70 / cm 2. The measurement of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carried out by a contact type film thickness measuring instrument TOF-6R (manufactured by Yama Bunden Co., Ltd.), and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was measured by a microscope VHX- 2000 (manufactured by Keans Co., Ltd.). The thickness of the film base material 1 used was 30 mu m.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필름 단부로부터의 널링부 전체(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8mm로 하고, 경화막(2) 상에서의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3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ormation range (C1-C2) of the entire nulling part (the nulling part 3 + the nulling part 4) from the film end i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And the formation range of the blanking portion 3 (between B1 and C2) on the cured film 2 was 3 mm,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3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t)를 1㎛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3,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 占 퐉.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4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t)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4,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25 占 퐉.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5에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를 10개/c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5,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umber of projec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0 pieces / cm 2 .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6에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를 140개/c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6, the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40 pieces / cm 2 .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7에서는, 사용하는 필름 기재(1)의 막 두께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7,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base material 1 to be used had a thickness of 10 탆.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8에서는, 사용하는 필름 기재(1)의 막 두께를 4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8,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base material 1 to be used had a thickness of 40 탆.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9에서는, 자외선의 조사 조건을, 조도 80mW/cm2, 조사량 100mJ/cm2로 하고, 경화막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막(2)의 탄성률을 4.0GPa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9, the ultraviolet irradiation condition was set to 80 mW / cm 2 , the irradiation amount was set to 100 mJ / cm 2 , and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the cured film material to adjust the elastic modulus of the cured film 2 to 4.0 GPa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0)(Example 10)

도 5는, 실시예 10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 10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B1-B2간)를 10mm(A-D간의 20%)로 하고, 널링부 전체(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50mm로 하였다. 즉,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경화막(2) 상에서는,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10mm로 하였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Example 10. Fig. In Example 10, the formation range (B1 to B2) of the cured film 2 was set to 10 mm (20% between AD)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nulling portion 3 + the nulling portion 4) was set to be 50 mm. That is, on the cured film 2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forming range (between B1 and C2) of the nulling portion 3 is set to 10 mm. Other than that,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1)(Example 11)

도 6은, 실시예 11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 11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B1-B2간)를 50mm(A-D간의 100%)로 하고, 그 경화막(2) 상의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15mm로 하였다. 즉, 실시예 11에서는, 경화막(2)의 단부 위치(B1)가,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단부 위치(A(C1))와 일치하고 있으므로, 널링 가공에 의해 경화막(2) 상에만 널링부(3)가 형성되어 있다(필름 기재(1) 상에 널링부(4)는 형성되어 있지 않음).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Example 11. Fig. In Example 11, the formation range of the cured film 2 (between B1 and B2) was 50 mm (100% between AD)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2) of the knurl unit 3 (between B1 and C2) was set to 15 mm. That is, in the eleventh embodiment, since the end position B1 of the cured film 2 coincides with the end position A (C1)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knurl unit 3 is formed only on the cured film 2 (the knurl unit 4 is not formed on the film substrate 1). Other than that,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2)(Example 12)

도 7은, 실시예 12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 12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만 경화막(2)을 형성함과 함께, 경화막(2)의 단부 위치(B2)를, 위치(D)보다도 폭 방향 단부측(위치(A)측)으로 치우치게 하고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Example 12. Fig. The cured film 2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end position B2 of the cured film 2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A).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B1-B2간)를, 단부의 위치(A)부터 폭 방향으로 20mm까지의 범위(A-D간의 40%)로 하고,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15mm로 하였다. 즉, 실시예 12에서는, 경화막(2)의 단부 위치(B1)가,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단부 위치(A(C1))와 일치하고 있으므로, 널링 가공에 의해 경화막(2) 상에만 널링부(3)가 형성되어 있다(필름 기재(1) 상에 널링부(4)는 형성되어 있지 않음).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formation range (between B1 and B2) of the cured film 2 is set to be from 20 mm to 20 mm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nd position A (40% between ADs), and the forming range of the nulling portion 3 (between B1 and C2) was 15 mm. That is, in the twelfth embodiment, since the end position B1 of the cured film 2 coincides with the end position A (C1)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knurl unit 3 is formed only on the cured film 2 (the knurl unit 4 is not formed on the film substrate 1). Other than that,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3)(Example 13)

도 8은, 실시예 13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 13에 있어서도,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만 경화막(2)을 형성함과 함께, 경화막(2)의 단부 위치(B2)를, 위치(D)보다도 폭 방향 단부측(위치(A)측)에 옮겨놓고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Example 13. Fig. The cured film 2 wa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end position B2 of the cured film 2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2, (Position A) sid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D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를, 단부의 위치(A)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10mm의 위치(B1)부터, 위치(A)로부터 폭 방향 내측으로 40mm의 위치(B2)까지의 30mm의 범위(A-D간의 60%)로 하고, 널링부(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20mm로 하였다. 이 경우,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경화막(2) 상에서는,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는 10mm이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formation range of the cured film 2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changed from a position B1 that is 10 mm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a position A in the width direction, (The width of the knurling portion 3 and the nulling portion 4) in the range of 30 mm from the position A to the position B2 of 40 mm in the width direction (60% between AD) C2) was set to 20 mm. In this case, on the cured film 2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the forming range (between B1 and C2) of the nulling portion 3 is 10 mm. Other than that,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14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필름 단부로부터의 널링부(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10mm로 하고, 경화막(2) 상에서의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the fourteenth embodiment, the formation range (between C1 and C2) of the nulling portion (nulling portion 3 + nulling portion 4) from the film end portion is set to be 10 mm and the formation range (between B1 and C2) of the knurling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was 5 mm,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실시예 15)(Example 15)

실시예 15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t)를 0.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5,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0.5 탆.

(실시예 16)(Example 16)

실시예 16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t)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6,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ight (t)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30 占 퐉.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7에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를 5개/c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7,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5 pieces / cm 2 .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8에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를 150개/c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Example 18,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50 pieces / cm 2 .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19에서는, 자외선의 조사 조건을, 조도 50mW/cm2, 조사량 50mJ/cm2로 하고, 경화막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막(2)의 탄성률을 3.5GPa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Example 19 was repeated except that the irradiation condition of the ultraviolet ray was set to 50 mW / cm 2 at an illuminance of 50 mJ / cm 2 and th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the cured film material so that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cured film 2 was 3.5 GPa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필름 단부로부터의 널링부(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7mm로 하고, 경화막(2) 상에서의 널링부(3)의 형성 범위(B1-C2간)를 2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In the comparative example 1, the formation range (between C1 and C2) of the nulling part (nulling part 3 + nulling part 4) from the end of the film in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is And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nge of formation of the nulling portion 3 (between B1 and C2) on the cured film 2 was 2 mm.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도 9는, 비교예 2의 광학 필름(F)의 개략의 구성을 도시하는, 폭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비교예 2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에 있어서, 경화막(2)의 형성 범위(B1-B2간)를 5mm(A-D간의 10%)로 하고, 널링부(널링부(3)+널링부(4))의 형성 범위(C1-C2간)를 45mm로 하였다. 즉, 비교예 2에서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의 필름 기재(1) 상에만 널링부(4)를 형성하고, 경화막(2) 상에는 널링부(3)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F)을 제작하였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optical film (F)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formation range (B1-B2) of the cured film (2) is 5 mm (10% between AD) i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Between the ring portion 3 and the nulling portion 4) (the distance between C1 and C2) was 45 mm. That is, in Comparative Example 2, a nulling portion 4 is formed only on the film base 1 of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and a nulling portion 3 is formed on the cured film 2 Did not do it. Other than that, an optical film (F)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평가><Evaluation>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19,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작된 광학 필름(F)을 권취하고, 권취 코어 방향의 권취 어긋남, 게이지 밴드(부착, 블로킹), 권취 모습, 필름 파단에 대한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optical films (F) produce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1 to 19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wound and evaluated for wound displacement in the winding core direction, gauge band (attachment and blockin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5

여기서, 권취 어긋남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Her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winding deviation are as follows.

◎: 권취 어긋남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양호하다.?: No winding displacement occurs at all, which is good.

○: 권취 어긋남이 조금 발생하였지만, 문제 없는 레벨이다.A: A slight deviation in winding occurred, but it is a problem-free level.

△: 권취 어긋남이 더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다.DELTA: A further winding displacement occurred, but it is at a level at which no problem occurs in practice.

×: 권취 어긋남이 문제가 될 정도로 발생하고, 불량이다.X: Wrapping deviation occurs to such a degree that it is a problem, and it is defective.

게이지 밴드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The gauge band evaluation criteria are as follows.

◎: 게이지 밴드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양호하다.?: No gauge band is generated at all, which is good.

○: 게이지 밴드가 조금 발생하였지만, 문제 없는 레벨이다.○: A little gauge band occurred but no problem level.

△: 게이지 밴드가 더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다.[Delta]: A gage band was further generated, but the level was practically problematic.

×: 게이지 밴드가 문제가 될 정도로 발생하고, 불량이다.X: Gauge band occurs to such a degree that it is a problem, and it is defective.

권취 모습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The evaluation standard of the winding appearance is as follows.

◎: 롤이 변형되지 않고, 권취 모습이 양호하다.?: The roll is not deformed, and the winding state is good.

○: 롤에 휨이 조금 발생하였지만, 문제 없는 레벨이다.A: A slight warp occurred in the roll, but it is a problem-free level.

△: 롤에 휨이 더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다.DELTA: There was more warpage in the roll, but the level was practically unproblematic.

×: 롤의 휨이 문제가 될 정도로 발생하고, 불량이다.X: Deflection of the roll occurs to a degree, which is defective.

필름 파단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Evaluation criteria of the film breakage are as follows.

◎: 필름의 파단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양호하다.?: No breakage of the film occurs at all, which is good.

○: 필름의 파단이 조금 발생하였지만, 문제 없는 레벨이다.?: A slight breakage of the film occurred but a problem-free level.

△: 필름의 파단이 더 발생하였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다.DELTA: The film was further broken, but the level was practically unproblematic.

×: 필름의 파단이 문제가 될 정도로 발생하고, 불량이다.X: Rupture of the film occurs to such a degree that it is a problem, and it is defective.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9에서는, 경화막(2) 상의 널링부(3)가 폭 방향으로 3mm 이상 형성되어 있고,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에 대해서, 양호(◎)이거나, 문제 없는 레벨(○)이거나, 실사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2에서는, 경화막(2) 상의 널링부(3)가 폭 방향으로 3mm 미만이고,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가 모두 발생하고, 불량(×)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경화막(2) 상에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널링부(3)를 형성함으로써,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1, it is understood that in Examples 1 to 19, the knurl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i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3 mm or more, and the winding deviation and the gage band are good (?), Level (?) Or a level (?) That is not problematic in actual use.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knurl portion 3 on the cured film 2 was less than 3 mm in the width direction, and both the winding deviation and the gage band occurred, and the result was defective (X). Therefore, by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over the cured film 2 in the width direction by 3 mm or m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winding deviation and the gage band.

또한, 실시예 15에서는, 경화막(2) 상에 널링부(3)가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더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널링부(3)의 높이가 0.5㎛로 작은 점에서, 널링부(3)에 의해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Further, in Example 15, even if the knurl portion 3 is formed over the cured film 2 in the width direction by 3 mm or more, the winding displacement and the gage band are further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 heigh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as small as 0.5 占 퐉 and the winding gap and the gage band can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by the nulling portion 3.

또한, 실시예 16에서는, 권취한 롤이 변형되고, 권취 모습이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뒤떨어지는 결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널링부(3)의 높이가 30㎛로 큰 점에서, 권취 시에 볼록부(3a)가 폭 방향 내측으로 무너지기 쉬워지고, 그 결과, 권취한 롤에 휨이 더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Further, in Example 16, the wound roll was deformed, and the winding state was inferior to that in Example 1. This is because the heigh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as large as 30 占 퐉 so that the convex portion 3a easily collaps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winding and as a result, do.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14에서는, 널링부(3)의 높이가 1 내지 25㎛의 범위이며, 권취 어긋남, 게이지 밴드, 권취 모습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양호(◎)이거나, 문제 없는 레벨(○)이다. 따라서,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면서, 롤의 변형을 억제하여 권취 모습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널링부(3)의 높이가 1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14, the heigh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in the range of 1 to 25 占 퐉, and it is good (?) For any of winding displacement, gage band, to b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nulling portion 3 is 1 to 25 占 퐉 in order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roll while suppressing the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ing, thereby improving the winding appearance.

또한, 실시예 17에서는, 경화막(2) 상에 널링부(3)가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더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가 5개/cm2이며, 볼록부(3a)의 수가 너무 적으므로, 널링부(3)에 의해 권취 어긋남 및 블로킹을 억제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n Example 17, even if the knurling portion 3 is formed over the cured film 2 in a width direction of 3 mm or more, the winding deviation and the gage band are further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is knurling (3)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3a) 5 number / and cm 2,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so too low, a null function to suppress the winding displacement and blocked by the ring section 3 of the It can not be demonstrated efficiently.

또한, 실시예 18에서는, 권취중에 필름의 파단이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더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가 150개/cm2가 되는 널링 가공을 행했을 때, 필름 기재(1)에 큰 대미지를 주어버리고, 이에 의해 필름의 폭 방향 강도가 저하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Further, in Example 18, breakage of the film during winding was further generated as compared with Example 1. This, when the channel row of the convex portion (3a) Number of the knurl finish that is 150 / cm 2 of the ring (3), away given a great damage to the film base (1), whereby the transverse direction strength of the film .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14에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가 10 내지 140개/cm2이며, 권취 어긋남, 게이지 밴드, 필름 파단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양호(◎)이거나, 문제 없는 레벨(○)이다. 따라서, 권취 어긋남, 블로킹 및 필름 파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널링부(3)의 볼록부(3a)의 개수가 10 내지 140개/cm2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14,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3a of the nulling portion 3 was 10 to 140 / cm 2 , and the result was good (?) For either winding displacement, gage band or film breakage , And no problem level (?). Thus,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to suppress the winding misalignment, blocking and film rupture, knurling 3 dogs from 10 to 140.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3a) / cm 2 is preferably of.

또한, 실시예 19에서는, 경화막(2) 상에 널링부(3)가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권취 어긋남 및 게이지 밴드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더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경화막(2)의 탄성률이 3.5GPa로 낮으므로, 경화막(2)의 표면에 형성되는 널링부(3)에 원하는 경도를 부여할 수 없어, 권취 어긋남이나 게이지 밴드가 더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In Example 19, even if the knurl portion 3 is formed over the cured film 2 in the width direction by 3 mm or more, the winding deviation and the gauge band are further generat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because the elastic modulus of the cured film 2 is as low as 3.5 GPa and the desired hardness can not be imparted to the nulling portion 3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14에서는, 경화막(2)의 탄성률이 4.0GPa 이상이며, 권취 어긋남이나 게이지 밴드의 발생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경화막(2)의 표면에 단단한 널링부(3)가 형성됨으로써, 널링부(3)가, 권취 어긋남이나 게이지 밴드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권취 어긋남 등을 억제하는 널링부(3)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경화막(2)의 탄성률이 4.0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s 1 to 14, the cured film 2 had an elastic modulus of 4.0 GPa or more, and no winding displacement or gauge band was observed.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 knurl unit 3 has a function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inding deviation and gauge band by firmly forming the nulling portion 3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2. Therefore, in order to reliably exhibit the function of the nulling portion 3 for suppressing winding displacement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odulus of the cured film 2 is 4.0 GPa or mor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편광판용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확대 필름 등의 각종 기능 필름에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unctional films such as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a retardation film, a viewing angle enlarging film, and the like, which are used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for example.

1 : 필름 기재
2 : 경화막
3 : 널링부
F : 광학 필름
R1 : 제1 영역
R2 : 제2 영역
1: Film substrate
2:
3: Null ring
F: Optical film
R1: first region
R2: second region

Claims (4)

두께가 10 내지 40㎛인 필름 기재 상에 경화막이 형성된 광학 필름이며,
상기 필름 기재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50mm까지의 각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라 하면,
상기 경화막은, 상기 필름 기재 상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의 폭 방향으로 20 내지 100%의 범위, 및 상기 제2 영역에서의 폭 방향으로 20 내지 100%의 범위를 각각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서의 상기 경화막의 표면에, 상기 경화막 형성 후에 널링 가공함으로써 요철 형상의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널링부는, 상기 경화막의 표면에 있어서, 해당 경화막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3mm 이상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An optical film having a cured film formed on a film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占 퐉,
When the respective regions from th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substrate to 50 mm are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e cured film is formed on the film substrate so as to cover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region and a range of 20 to 100%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econd region,
A knurled portion of a concavo-convex shap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in eac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knurling after forming the cured film,
Wherein the knur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red film in a range of 3 mm or more in the width direction from each end of the cured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부의 높이가 1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ight of the knurled portion is 1 to 25 占 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널링부의 볼록부의 개수가 1cm2당 10 내지 14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of the knurled portion is 10 to 140 per 1 cm &lt; 2 & gt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막의 탄성률이 4.0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ured film has an elastic modulus of 4.0 GPa or more.
KR20157006618A 2012-09-20 2013-09-06 Optical film KR2015004348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7297 2012-09-20
JPJP-P-2012-207297 2012-09-20
PCT/JP2013/074033 WO2014045898A1 (en) 2012-09-20 2013-09-06 Optical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480A true KR20150043480A (en) 2015-04-22

Family

ID=5034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6618A KR20150043480A (en) 2012-09-20 2013-09-06 Optical fil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8506B2 (en)
KR (1) KR20150043480A (en)
CN (1) CN104640695A (en)
WO (1) WO201404589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3429B2 (en) * 2013-11-19 2018-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film and functional film
JP6892751B2 (en) * 2016-11-28 2021-06-23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conductive film
EP3971568A4 (en) * 2019-05-15 2022-11-30 Denka Company Limited Carrier film and inspection k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289A (en) * 1997-11-27 1999-06-15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aken-up and coating raw sheet
JP2000108228A (en) * 1998-10-06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Roll film and its manufacture
JP2002068540A (en) * 2000-08-29 2002-03-08 Toppan Printing Co Ltd Winding member
JP2002211803A (en) * 2001-01-15 2002-07-31 Fuji Photo Film Co Ltd Film roll
CN1286640C (en) * 2001-09-25 2006-11-29 富士胶片株式会社 Hard coat film, base on which hard coat film is formed, image display having them
JP2005224754A (en) * 2004-02-16 2005-08-25 Konica Minolta Opto Inc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having hard coat layer,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unit
JP2006259647A (en) * 2005-02-18 2006-09-28 Konica Minolta Opto Inc Manufacturing method of antireflection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94461A (en) * 2006-10-13 2008-04-24 Fujifilm Corp Packaging method for rolled optical film and its package
JP5504605B2 (en) * 2007-10-30 2014-05-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hard coat layer and hard coat film
JP5449789B2 (en) * 2009-01-29 2014-03-19 藤森工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imprint transfer film roll body, and imprint transfer film roll body
JP5909925B2 (en) * 2011-08-26 2016-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Hard coat film
CN102490401A (en) * 2011-10-29 2012-06-13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Hardened film for in-mold deco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harden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40695A (en) 2015-05-20
WO2014045898A1 (en) 2014-03-27
JP6048506B2 (en) 2016-12-21
JPWO2014045898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249B2 (en) Hard coat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89883B1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5799954B2 (en) Antiglare film,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18423B1 (en) Antiglare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member for touch panel
JP5423382B2 (en) Method for producing hard coat film
KR101342183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83795A (en)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er and image display unit
JP597112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KR20130069736A (en) Hard-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26192A1 (en) Hard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115890A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containing same and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64821A (en) Hard coat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689912B1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09419B1 (en)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948750B2 (en) Antiglare film,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5980465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048506B2 (en) Optical film
JP6164050B2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206856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118088A (en) Lo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088438A (en) Optical film,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5132661A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4061643A (en) Production method of optical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