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151A - 노리개 젖꼭지 - Google Patents

노리개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151A
KR20150043151A KR20130122224A KR20130122224A KR20150043151A KR 20150043151 A KR20150043151 A KR 20150043151A KR 20130122224 A KR20130122224 A KR 20130122224A KR 20130122224 A KR20130122224 A KR 20130122224A KR 20150043151 A KR20150043151 A KR 2015004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integrally
hollow
overmolding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표
Original Assignee
김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표 filed Critical 김상표
Priority to KR2013012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151A/ko
Publication of KR2015004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5Aesthetic properties for soothing, e.g. toy-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9Decora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리개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젖꼭지부의 후방 측에 플랜지 형상의 제1 베이스부가 일체로 확장 형성된 제1 부재; 및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동일한 외곽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리개 젖꼭지 {PACIFIER}
본 발명은 노리개 젖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젖꼭지와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를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오버몰딩(overmolding)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연한 실리콘 소재 특성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젖꼭지별 사이즈와 색채, 디자인 변화를 간단한 공정 변화만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리개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아직 이가 자라지 않은 유아들은 젖이 나오지 않아도 젖꼭지를 빠는 행위만으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고 만족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착안한 것이 노리개 젖꼭지 또는 공갈 젖꼭지이다.
일반적인 노리개 젖꼭지는 유아의 입으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유아의 입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되며, 플랜지의 후면 측으로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부드러운 재질(라텍스 또는 실리콘)로 구성된 젖꼭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유아들이 전면의 젖꼭지를 입으로 물면서 자연스럽게 불안감을 해소하고 심리적 만족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적인 노리개 젖꼭지는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된 플랜지와 부드러운 재질로 사출된 젖꼭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제품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의 플랜지는 젖꼭지를 입으로 무는 유아의 얼굴에 가장 넓게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부드러운 유아의 피부를 누를 때 불편함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품의 심미성 측면에서 젖꼭지와 플랜지의 색채나 디자인 변화를 다양하게 주는 경우에 상품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데, 기존의 일반적인 노리개 젖꼭지는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된 플랜지와 젖꼭지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다양한 색채나 디자인의 변화를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조립식 구조의 특성 상 사용 환경에 따라 젖꼭지가 분리 또는 파손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제조 측면에서 유아의 연령이나 입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젖꼭지가 마련될 필요가 있는데, 조립식 결합 구성이 아닌 일체형 구성이면서 이러한 다양한 사이즈의 젖꼭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노리개 젖꼭지의 구성이 마련될 필요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18637호 (2009.02.20 공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젖꼭지와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를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오버몰딩(overmolding)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연한 실리콘 소재 특성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젖꼭지별 사이즈와 색채, 디자인 변화를 간단한 공정 변화만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리개 젖꼭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젖꼭지부의 후방 측에 플랜지 형상의 제1 베이스부가 일체로 확장 형성된 제1 부재; 및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동일한 외곽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는, 중공형 젖꼭지부의 후방 측에 상기 제1 베이스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후방 중앙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에 중공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중앙에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가 관통한 상태로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부재를 관통하여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한 제1 부재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3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 삽입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1 이상의 돌기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4 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삽입결합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부의 확장 형성된 단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부재의 일부를 관통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단부의 후방면에서 그 내측 중공면까지 상기 제4 부재의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요홈형의 에어 벤트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순서적으로 먼저 형성된 제1 부재를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는 복수의 사이즈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로 젖꼭지부가 형성된 것이며,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다른 색채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후방면에 3차원적인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젖꼭지와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유연한 실리콘 소재 특성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젖꼭지별 사이즈와 색채, 디자인 변화를 간단한 공정 변화만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부드러운 실리콘 소재로 플랜지 부분까지 일체로 형성하므로, 젖꼭지를 입으로 무는 유아의 얼굴에 부드러운 접촉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품의 심미성 측면에서 플랜지 부분의 전후면을 서로 다른 색채로 형성할 수 있으며, 플랜지 부분의 후방면에 3차원적인 무늬를 레이어드 패턴(layerd pattern)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더욱 다양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젖꼭지와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사용 환경에 따른 젖꼭지의 분리 또는 파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사이즈(예, 대/중/소)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로 젖꼭지부가 형성된 제1 부재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제2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유아의 연령이나 입 크기에 따른 다양한 사이즈의 젖꼭지를 조립식 결합 구성이 아닌 일체형 구성으로 형성하면서도 제조 공정면에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또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또 다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제1 부재의 다양한 변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또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또 다른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젖꼭지 측을 전방, 그 반대 측을 후방으로 표현한다.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A)는 젖꼭지와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한 노리개 젖꼭지로서 실리콘 소재를 이용하여 오버몰딩(overmolding)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젖꼭지부(120)의 후방 측에 플랜지 형상의 제1 베이스부(102)가 일체로 확장 형성된 제1 부재(100)와,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102)와 동일한 외곽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102)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202)가 구비된 제2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오버몰딩(overmolding)은 2 이상의 소재를 하나로 성형하기 위한 인젝션 몰딩 방식으로서, 투-샷 몰딩(two shot overmolding), 멀티-샷 인젝션 몰딩(multi-shot injection molding) 및 인서트 오버몰딩(insert overmolding)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는, 순서적으로 먼저 형성된 제1 부재(100)를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200)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의 오버몰딩(overmolding)은 인서트 오버몰딩(insert overmolding)이나 투-샷 몰딩(two shot overmolding) 등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오버몰딩(insert overmolding)을 적용하는 경우, 제1 부재(100)를 먼저 성형 완료한 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상기 제2 부재(20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투-샷 몰딩(two shot overmolding)을 적용하는 경우, 제1 부재(100)를 1차 샷 한 후에 제2 부재(200)를 2차 샷 하는 방식으로 최종 제품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는,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서로 다른 색채의 실리콘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되, 특히, 플랜지의 전후면을 이루는 제1 베이스부(102)와 제2 베이스부(202)를 각각 서로 다른 색채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욱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부(202)의 후방면에 3차원적인 무늬가 레이어드 패턴(layered pattern)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더욱 다양한 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1 부재(100)는, 중공형 젖꼭지부(120)의 후방 측에 상기 제1 베이스부(102)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102)의 후방 중앙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120)에 중공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부(104,106,108,11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04,106,108,110)는, 후술하는 제2 부재(200)의 개구부(204)에 대응하는 제1 단차부(104)와, 제3 부재(300)의 단턱부(306)에 대응하는 제2 단차부(106)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단부(110)가 순차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단차부(104)는 1단 또는 2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제2 부재(200)의 개구부(204)도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8은 상기 단부(110)의 측면부를 나타내며, 미설명 부호 112는 상기 단부(110)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4 부재(400)의 돌기(404)가 관통 결합하기 위한 돌기공을 나타낸다.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제2 베이스부(202)의 중앙에 상기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가 관통한 상태로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개구부(20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부재(200)를 관통하여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한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부재(300)가 구비된다. 제3 부재(300)는 상기 제1 부재(100)의 제2 단차부(106)와 상호 삽입 결합되는 단턱부(306)와, 상기 제1 부재(100)의 단부(110) 및 후술하는 제4 부재(400)의 커버부(402)가 내삽되는 내삽부(30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의 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부(402)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3 부재(300)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제1 부재(1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 삽입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1 이상의 돌기(404, 본 실시예의 경우 총 4개)가 상기 커버부(402)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4 부재(40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부재(100)는, 상기 결합부(104,106,108,110)의 단부(110)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400)는, 상기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삽입결합부(406)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돌기(404)가 상기 결합부(104,106,108,110)의 확장 형성된 단부(110)에 형성된 돌기공(112)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부재(300)의 일부인 돌기결합공(304)에 관통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3 부재(300) 및 제4 부재(400)는 열융착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제1 부재(100) 및 제2 부재(200)에 고정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의 단부(110)의 후방면에는 상기 제4 부재(400)의 커버부(402)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12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요홈형의 에어 벤트(114)가 형성된다.
에어 벤트(114)는 상술한 제4 부재(400)의 삽입결합부(406)가 상기 제1 부재(100)의 결합부(104,106,108,110)의 중공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부재(100)의 중공형 젖꼭지부(120)의 내부까지 외부의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104,106,108,110)의 단부(110)의 후방면에서 그 내측 중공면까지 대략 "ㄱ"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젖꼭지를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젖꼭지를 입으로 무는 유아에게 부드러운 젖꼭지의 감각을 느끼게 하면서, 유아가 입으로 물 때 발생하는 젖꼭지의 수축이나 찌그러짐을 자연스럽게 방지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특히, 대략 "ㄱ"자 형태로 에어 벤트(114)가 형성되므로, 외부의 수분 등의 유입은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통만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리개 젖꼭지의 제1 부재의 다양한 변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노리개 젖꼭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특히, 순서적으로 먼저 형성된 제1 부재(100)를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200)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오버몰딩(overmolding)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오버몰딩(insert overmolding) 또는 투-샷 몰딩(two shot overm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면서, 복수의 사이즈(예, 대/중/소)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로 젖꼭지부가 형성되는 상기 제1 부재(100)를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더욱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노리개 젖꼭지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1 부재(100)만을 각 젖꼭지 사이즈별로 별도 금형 제작하고, 제2~ 제4 부재는 공통의 사이즈에 대한 금형만을 준비하고, 오버몰딩(overmolding)이나 조립을 하면 되므로, 금형 제작을 최소화하여 공정의 편의성 및 효율성, 제조 단가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100: 제1 부재 102: 제1 베이스부
104: 제1 단차부 106: 제2 단차부
108: 단부의 측면부 110: 단부
112: 돌기공 120: 젖꼭지부
200: 제2 부재 202: 제2 베이스부
204: 개구부 300: 제3 부재
302: 내삽부 304: 돌기결합공
306: 단턱부 400: 제4 부재
402: 커버부 404: 돌기
406: 삽입결합부

Claims (8)

  1.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젖꼭지부의 후방 측에 플랜지 형상의 제1 베이스부가 일체로 확장 형성된 제1 부재; 및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동일한 외곽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베이스부와 면 접합 상태로 일체로 결합되는 제2 베이스부가 구비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중공형 젖꼭지부의 후방 측에 상기 제1 베이스부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후방 중앙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에 중공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중앙에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가 관통한 상태로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부재를 관통하여 더욱 후방 측으로 돌출한 제1 부재의 결합부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여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3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제1 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 삽입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1 이상의 돌기가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4 부재;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단부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확장 형성되며,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삽입결합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부의 확장 형성된 단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부재의 일부를 관통 삽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결합부의 단부의 후방면에서 그 내측 중공면까지 상기 제4 부재의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상기 중공형 젖꼭지부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통이 가능하도록 요홈형의 에어 벤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5. 제1항에 있어서,
    순서적으로 먼저 형성된 제1 부재를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복수의 사이즈 중 어느 하나의 사이즈로 젖꼭지부가 형성된 것이며, 오버몰딩(overmolding)을 통해 상기 제2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서로 다른 색채의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후방면에 3차원적인 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리개 젖꼭지.
KR20130122224A 2013-10-14 2013-10-14 노리개 젖꼭지 KR20150043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224A KR20150043151A (ko) 2013-10-14 2013-10-14 노리개 젖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224A KR20150043151A (ko) 2013-10-14 2013-10-14 노리개 젖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51A true KR20150043151A (ko) 2015-04-22

Family

ID=5303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224A KR20150043151A (ko) 2013-10-14 2013-10-14 노리개 젖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01B1 (ko) 2015-07-16 2016-02-16 김상표 노리개 젖꼭지 및 그 결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01B1 (ko) 2015-07-16 2016-02-16 김상표 노리개 젖꼭지 및 그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8129A1 (en) A pacif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ifier
US9095501B2 (en) Soother
WO2006011573A1 (ja) 人工乳首、哺乳器及び人工乳首の製造方法
EP3141238B1 (en) Teether
USD971795S1 (en) Baby carriage
US20130060281A1 (en) Multilayer One-Piece Pacifier
TWM499236U (zh) 泳鏡
KR20150043151A (ko) 노리개 젖꼭지
US429731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cifier
KR20200011250A (ko) 실리콘 튜브 결합형 유아용 젖병
KR102037596B1 (ko) 유아용 노리개 젖꼭지
US20080172089A1 (en) Pacifier with integral protective nipple housing
KR101594501B1 (ko) 노리개 젖꼭지 및 그 결합 구조
KR200421850Y1 (ko) 이름표 주머니가 형성된 장화
US20180104158A1 (en) Hygienic pacifi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1185017A (zh) 一种可翻转变换里外形象的玩具及其制作方法
CN109849260B (zh) 新型篮球镜框架及二次成型方法
US20100152774A1 (en) Pacifier/ protection from all surfaces
US9629784B2 (en) Pacifiers
CN212491515U (zh) 一种可翻转变换里外形象的玩具
KR20170001230U (ko) 장식물이 부가된 칫솔
KR200237406Y1 (ko) 물안경
ITTO20110243A1 (it) "telecomando per automazione e relativo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JPS59222B2 (ja) 乳首用栓
KR200312550Y1 (ko) 음용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