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959A -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 Google Patents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959A
KR20150042959A KR20130121811A KR20130121811A KR20150042959A KR 20150042959 A KR20150042959 A KR 20150042959A KR 20130121811 A KR20130121811 A KR 20130121811A KR 20130121811 A KR20130121811 A KR 20130121811A KR 20150042959 A KR20150042959 A KR 2015004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ight
portable container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치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959A/ko
Publication of KR2015004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살균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관성센서부 및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관성센서부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portable container having sterillizing UV LED of which on-off is automatically controlled}
본 개시(disclosure)는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레저 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야외 활동에 필요한 휴대용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전지, 충전지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를 휴대용 장치 내에 내장시켜, 상기 휴대용 장치의 구동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건전지, 충전지는 가정 내의 전원 장치와는 달리 수명이 유한하므로, 일정 시간 사용 후에 새로운 건전지로 교체하거나, 또는 충전할 것을 요구한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장치의 경우, 휴대용 장치 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통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도록 설계되는데,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끄는 것을 잊는 경우, 원하지 않게 상기 건전지 또는 충전지의 방전이 이루어져 상기 전원이 단시간에 고갈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장치가 그 용도상 단시간에 전원의 온-오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시마다 사용자가 직접 전원 스위치를 턴온 및 턴오프시키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외선 광원을 휴대용 살균 장치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용 장치의 특성상 상기 자외선 광원으로서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채용하는 경우에,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제공하는 휴대용 건전지 및 충전지를 채용할 때 상술한 문제점이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은 일반 발광다이오드의 수명보다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온-오프 관리에 보다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본 개시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살균용 휴대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온-오프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살균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관성센서부 및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관성센서부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는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를 감지하는 관성센서부, 상기 몸체부 내부의 상기 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살균부, 및 상기 관성센서부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결정하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용기는 몸체부 내부의 대상물을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한다. 휴대용 용기는 또한, 상기 몸체부 내부에 관성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관성센서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자동으로 온-오프(on-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가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직접 스위칭하여 온-오프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필요 이상의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사용 가능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휴대용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재에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또는 ”하부”,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성센서란 운동의 관성력을 검출하여 측정 대상인 움직이는 물체의 가속도, 속도, 방향, 거리 등 다양한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공지의 장치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상기 관성센서를 휴대용 용기에 채용한다. 상기 관성센서는 상기 휴대용 용기의 몸체부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의 휴대용 용기(10)는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몸체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몸체부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용 용기(10)는 관성센서부(12), 구동제어부(14) 및 살균부(16)를 포함한다.
관성센서부(12)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성센서부(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지된 관성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관성센서부(12)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구동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성센서부(12)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대한 감지 기능의 지속 또는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관성센서부(12)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동제어부(14)는 상기 관성센서의 감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을 향하는 제1 모드 인지,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모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구동제어부(14)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이루는 각이 90°이상일 경우, 상기 제2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14)는 상기 몸체부가 제1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살균부(16)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하라는 제어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14)는 상기 몸체부가 제2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살균부(16)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온시키거나, 온 상태를 유지하라는 제어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살균부(16)는 상기 몸체부 내의 대상물 또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살균부(16)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일 예로서,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200 내지 290 nm 파장 영역의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구동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전류가 인가될 때 발광하거나 발광상태를 유지하며, 구동제어부(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로부터 전류가 차단될 때 발광을 중단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성센서부(12)와 살균부(16)는 구동제어부(14)와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관성센서부(12)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및 상태에 따라 살균부(16)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부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휴대용 용기의 결합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및 도 2b의 휴대용 용기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용 용기의 일예로서, 양념통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상기 휴대용 용기는 반드시 양념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다양한 대상물을 저장하는 용기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용기(10)는 몸체부(20), 살균부(212, 222), 관성센서부(232) 및 구동제어부(234)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용기(10)는 몸체부(20) 내에 배치되어 살균부(212, 222), 관성센서부(232) 및 구동제어부(234)에 구동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20)는 제1 수용부(21), 제2 수용부(22), 및 제3 수용부(2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2a,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21)는 내부에 대상물로서, 소금, 후추, 설탕 등의 양념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의 내벽에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는 기판에 실장된 패키지의 형태로서, 제1 수용부(21)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키지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 수용부(21)의 내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는 제1 수용부(21)의 내벽 상에 복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 사이에는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는 구동제어부(2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약 200 내지 400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수용부(21) 내부의 상기 양념이 살균될 수 있다.
제1 수용부(21)는 상기 양념의 제공 통로로서의 제1 배출구(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배출구(310)와 인접한 통로에는 필터부(250)와 제2 수용부(22)와의 접합을 위한 결합부(312)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12)는 통로의 내벽에 형성되는 나사선 형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252)를 가지는 필터부(250)가 결합부(312) 내부에 안착될 수 있고, 도 3a에 도시되는 제2 수용부(22)의 연결부(342)가 결합부(312)와 돌려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1 수용부(21)와 제2 수용부(22) 사이의 결합에 있어서, 돌려끼움 방식이 아닌 공지의 클립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용부(21)와 제2 수용부(22)의 결합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제1 수용부(21)는 제1 배출구(310)의 반대쪽에 바닥면(320)을 구비할 수 있다. 바닥면(320)은 측벽부(324)와 함께 제1 수용부(21)가 양념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측벽부(324)의 일부분 상에는 제3 수용부(23)와의 접합을 위한 연결부(3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21)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수용부(22)가 배치된다. 제1 수용부(21)와 제2 수용부(22) 사이의 통로에는 제1 수용부(21)와 제2 수용부(22) 사이에서 상기 양념의 공급을 조절하는 필터부(250)가 위치한다. 필터부(25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개구(25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양념의 이동량 및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2)는 제1 배출구(310)와 연결되는 제1 유입구(34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2)의 측벽부(344)에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 사이에는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22)는 구동제어부(234)의 제어신호에 따라 약 200 내지 400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수용부(22) 내부의 상기 양념이 살균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2)의 상부에는 외부로 살균된 양념을 배출시키는 제2 배출구(3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d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21)와 결합하는 제3 수용부(23)가 배치된다. 제3 수용부(23)는 제1 수용부(21)의 바닥면(320) 및 측벽부(324)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결합부(350)를 구비한다. 결합부(350) 내부의 측벽 상에는 나사선 형태의 홈(3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의 연결부(322)는 홈(352)과 돌려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수용부(23)의 내부에는 관성센서부(232) 및 구동제어부(234)가 배치된다. 관성센서부(232) 및 구동제어부(234)는 구동칩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마이컴(230)의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
관성센서부(232)는 몸체부(20)의 위치 또는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성센서부(232)는 제3 수용부(23)의 바닥면(360)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관성센서부(232)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대한 감지신호를 구동제어부(234)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부(234)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성센서부(232)는 몸체부(20)의 위치 또는 상태에 대한 감지 기능의 지속 또는 중단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234)는 관성센서부(232)의 감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지면을 향하는 제1 모드 또는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모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제어부(234)는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몸체부(20)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일 예로서,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면과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이루는 각이 90°이상일 경우, 상기 제2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234)는 몸체부(20)가 제1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살균부(212, 222)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키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하라는 제어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234)는 몸체부(20)가 제2 모드로 위치하는 경우, 살균부(212, 222)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온시키거나 온 상태를 유지하라는 제어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용부(23)의 내부에는 살균부(212, 222), 관성센서부(232) 및 구동제어부(234)에 구동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236)가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236)는 일 예로서, 건전지, 충전지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살균부(212, 222), 관성센서부(232), 구동제어부(234) 및 전원부(236) 사이에는 상술한 배선이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성요소 사이의 제어신호, 전류 또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휴대용 용기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성센서부(232) 는 몸체부(20)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 결과를 구동제어부(234)에 보고한다. 구동제어부(234)는 도 4a에서와 같이,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지면에 대하여 임계각 이하의 각(α1)으로 위치하는 경우, 제1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임계각은 지면에 대하여 90°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 222)는 턴오프되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234)는 도 4b에서와 같이, 몸체부(20)의 바닥면(360)이 지면에 대하여 임계각 이상의 각(α2)으로 위치하는 경우, 제2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임계각은 일 예로서, 지면에 대하여 90°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모드인 경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 222)는 턴온되거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인 경우, 제1 수용부(21)로부터 제2 수용부(22)를 거쳐서 양념(41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양념(410)은 제1 수용부(21) 내부로부터 제2 수용부(22)를 통과하는 동안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212, 222)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개시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개시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10: 휴대용 용기, 20: 몸체부, 21: 제1 수용부, 22: 제2 수용부, 23: 제3 수용부, 24: 배선, 212 222: 살균부, 230: 마이컴, 232: 관성센서부, 234: 구동제어부, 236: 전원부,
310: 제1 배출구, 312: 결합부, 320: 바닥면, 322: 연결부, 324: 측벽부, 330: 제2 배출구, 340: 제1 유입구, 342: 연결부, 344: 측벽부, 350: 결합부, 352: 홈, 360: 바닥면.

Claims (18)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배치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살균부;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는 관성센서부 및 구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관성센서부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휴대용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살균부, 상기 관성센서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에 구동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휴대용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휴대용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관성센서부의 감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을 향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모드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하는
    휴대용 용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온시키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키는
    휴대용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부로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대상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센서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수용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벽과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휴대용 용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따라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휴대용 용기.
  11. 내부에 대상물을 수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를 감지하는 관성센서부;
    상기 몸체부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살균부; 및
    상기 관성센서부가 인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위치 또는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결정하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관성센서부의 감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을 향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모드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용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하는
    휴대용 용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온시키고,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모드 인 것으로 판단할 때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턴오프시키는
    휴대용 용기.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대상물을 보관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부로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대상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성센서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를 수용하는 제3 수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배출구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수용부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휴대용 용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벽에 배치되는
    휴대용 용기.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는 200 내지 400 nm의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휴대용 용기.

KR20130121811A 2013-10-14 2013-10-14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KR20150042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11A KR20150042959A (ko) 2013-10-14 2013-10-14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11A KR20150042959A (ko) 2013-10-14 2013-10-14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59A true KR20150042959A (ko) 2015-04-22

Family

ID=5303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811A KR20150042959A (ko) 2013-10-14 2013-10-14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95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7268B2 (en) 2010-06-01 2016-07-12 Alexander Farr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687575B2 (en) 2010-06-01 2017-06-27 Bluemorph, Llc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WO2017111424A1 (ko) * 2015-12-23 2017-06-29 김윤주 자외선 살균장치
US9707306B2 (en) 2010-06-01 2017-07-18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s
US10046073B2 (en) 2010-06-01 2018-08-14 Bluemorph, Llc Portable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US11260138B2 (en) 2010-06-01 2022-03-0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7268B2 (en) 2010-06-01 2016-07-12 Alexander Farr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682161B2 (en) 2010-06-01 2017-06-20 Bluemorph,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687575B2 (en) 2010-06-01 2017-06-27 Bluemorph, Llc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V sterilization
US9707306B2 (en) 2010-06-01 2017-07-18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s
US10046073B2 (en) 2010-06-01 2018-08-14 Bluemorph, Llc Portable U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US10603394B2 (en) 2010-06-01 2020-03-3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US11040121B2 (en) 2010-06-01 2021-06-22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US11260138B2 (en) 2010-06-01 2022-03-01 Bluemorph, Llc UV sterilization of container, room, space or defined environment
WO2017111424A1 (ko) * 2015-12-23 2017-06-29 김윤주 자외선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2959A (ko) 온-오프가 자동 제어되는 살균용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용기
US11883549B2 (en) Ultraviolet (UV) light emission device employing visible light for operation guidan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particularly suited for decontamination
KR102565094B1 (ko) 조명 피쳐가 있는 브러싱 장치
US9289523B2 (en) Universal UV sterilizer
US11882407B2 (en) Charging case for earbuds
CN110915681B (zh) 用于动物的液体分配器
US20160083271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ultraviolet light
US2014028449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oor opening device or other point of contact
US9433065B2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time of flight ranging system
KR20190130847A (ko) 살균 수저통
US20230084210A1 (en) Charging case for earbuds
EP2886352A2 (en) Cartridge, cartridge chip, light-emis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artridge chip
JP7326634B2 (ja) 機器消毒
EP3946578A2 (en) Improved phototherapy system
US11191252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3653046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0343728Y1 (ko) 휴대용 살균장치
CN213373953U (zh) 具有震动通知效果的紫外线杀菌灯
KR102580127B1 (ko) Ipl 살균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20200345876A1 (en) Sterilizer
US20220152232A1 (en) Germicidal Light Dosage Dispensing System
KR20240048367A (ko) 수면케어 기능을 갖는 스마트 공기청정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0353622Y1 (ko) 방향제 자동분사기의 제어시스템
KR20220082221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장치
KR20220075916A (ko) 패드형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