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892A -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892A
KR20150042892A KR20130121456A KR20130121456A KR20150042892A KR 20150042892 A KR20150042892 A KR 20150042892A KR 20130121456 A KR20130121456 A KR 20130121456A KR 20130121456 A KR20130121456 A KR 20130121456A KR 20150042892 A KR20150042892 A KR 20150042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product
good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명
Original Assignee
(주)리테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테일테크 filed Critical (주)리테일테크
Priority to KR2013012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892A/ko
Publication of KR2015004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상품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상품에 대한 데이터 및 인증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의 사용자는 출력된 콘텐츠를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기술 분야는 콘텐츠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품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폭발적인 보급과 더불어 세계 각지의 수 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되어 있는 인터넷은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의 축적 매체 및 정보 제공 매체가 되고 있다.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상업적 목적을 지닌 웹 사이트의 개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웹 사이트를 통한 전자 상거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를 위한 웹 사이트들은 소비자의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웹 사이트들은 검색된 상품에 해당하는 내용을 소비자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상품에 관련된 웹 페이지의 URL이 링크된 메일을 보내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상품의 정보는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즉각적으로 전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구매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한국공개 특허 제10-2000-0073435호(공개일 2000년 12월 11일)에는 인터넷상의 전자 상거래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웹 카탈로그 및 그 관리자 메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된 발명은 상품정보, 사이버 상점 접속수단이 내재된 웹 카탈로그와 상기 웹 카탈로그와 연계되는 운영자 측의 관리자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운영자는 웹 카탈로그를 수요자에게 전자메일로서 송달할 수 있다. 수요자는 송달된 웹 카탈로그를 웹 상에서 불러 자기에게 필요한 상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수요자가 상품정보를 확인한 후, 수요자가 그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웹 카탈로그상의 상품사진 등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가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자가 제작한 웹 카탈로그를 특정 고객에게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는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상품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Open API)를 사용하여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Open API를 사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상품의 카탈로그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상품의 카탈로그는 엑스엠엘(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에게 적합하도록 변형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설정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의 전체 화면 중 일부에만 출력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콘텐츠들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자의 상기 상품 서버 및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큐알(Quick Response;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및 상기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상기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교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의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출력되도록 상기 스케쥴링이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상기 제1 콘텐츠만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Open API)를 사용하여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카탈로그 통신부,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통신부, 상기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상품 및 상기 콘텐츠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상기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교대로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상품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콘텐츠들에 대해 스케쥴링을 설정하고,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출력함으로써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콘텐츠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해 설정된 스케쥴링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전송되는 변형된 콘텐츠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는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카탈로그(catalog)란, 선전을 목적으로 그림과 설명을 덧붙여 작은 책 모양으로 꾸민 상품의 안내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에서 사용되는 카탈로그는 상품의 정보를 텍스트 및 영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전자파일 형태의 이미지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은 상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재화 또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카탈로그는 웹 페이지 또는 엑스엠엘(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의 형태의 문서 또는 이미지 파일의 문서일 수 있다.
전자 상거래에서 카탈로그는 상거래의 핵심이 될 수 있다. 카탈로그는 상품의 소비자에게 적시에 정확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의 카탈로그의 분류체계 및 식별체계의 국제적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카탈로그의 국제 표준을 국내 상황에 맞게 적용함으로써 소비자는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카탈로그는 상품의 주요 정보로써 상품의 제조처, 상품의 판매처, 상품의 원산지, 상품의 크기 정보, 상품의 사진 정보, 상품의 특징 정보, 상품의 가격 정보 및 상품의 관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농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에 관한 카탈로그는 상품의 포장 단위별 용량, 수량, 크기, 원산지, 등급, 생산년도, 생산자, 수입자, 판매자, 상품 구성, 인증 표시 및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는 [표 1] 내지 [표 6]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에 포함된 정보들은 컬럼 식별자(IDendification; ID)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 내지 [표 6]은 카탈로그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널(Null) 여부 크기(size) 세부내용
DIV_CD varchar 아니오 4 디비전 코드
DIV_NAME varchar 아니오 50 디비전 명
DEPT_CD varchar 아니오 4 디파트먼트 코드
DEPT_NAME varchar 아니오 50 디파트먼트 명
SECTION_CD varchar 아니오 4 섹션 코드
SECTION_NAME varchar 아니오 50 섹션 명
CLASS_CD varchar 아니오 4 클라스 코드
CLASS_NAME varchar 아니오 50 클라스 명
[표 1]은 상품 분류를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Null 여부 크기 세부내용
ITEM_CD varchar 아니오 13 상품코드
PRODUCER_CD varchar 아니오 13 생산자코드
DIV_CD varchar 아니오 4 디비젼코드
DEPT_CD varchar 아니오 4 디파트먼트 코드
SECTION_CD varchar 아니오 4 섹션코드
CLASS_CD varchar 아니오 4 클라스코드
[표 2]는 상품 마스터를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Null 여부 사이즈 세부내용
ITEM_CD varchar 아니오 13 상품코드
VALIDATION_CD
(GROUP_CD)
varchar 5 그룹코드
VALIDATION_CD_VALUE
(CODE_NUM)
varchar 5 그룹코드 값
VALIDATION_VALUE varchar 50 인증코드 값
ITEM_NM varchar 아니오 50 상품명
PRICE num 상품기본 판매가격
MANUFACTURE_DATE datetime 상품 제조일
VALID_DATE datetime 상품 유효기간
PACKING_UNIT varchar 상품 기본 포장 단위
WEIGHT float 상품 기본 무게
ITEM_FEATURE varchar 아니오 50 상품 특징
ITEM_FEATURE_DETAIL varchar 100 상품을 이용한
요리법 등
IMAGE_URL varchar 100 상품 메인 이미지
IMAGE_URL_SMALL varchar 100 상품 활용 이미지
QR_CODE_LINK varchar 100 QR 코드 링크
3D_PANORAMA_LINK varchar 100 3D 파노라마 링크
REG_DATE datetime 아니오 등록일
[표 3]은 상품 마스터의 상세한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Null 여부 사이즈 세부내용
ITEM_CD varchar 아니오 13 상품코드
VALIDATION_CD
(GROUP_CD)
varchar 5 그룹코드
VALIDATION_ CD_VALUE
(CODE_NUM)
varchar 5 그룹코드 값
VALIDATION_VALUE varchar 50 인증코드 값
SEQ1 int 칸수1
SER2 int 칸수2
SEQ3 int 칸수3
SEQ4 int 칸수4
[표 4]는 상품 인증에 관한 사항을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Null 여부 사이즈 세부내용
PRODUCER_CD varchar 아니오 13 생산자코드
PRODUCER_NM varchar 아니오 20 생산자 명
PRODUCER_PHONE_NUM varchar 아니오 13 생산자 연락처
PRODUCER_HP_NUM varchar 아니오 13 생산자 핸드폰
PRODUCER_ADDRESS varchar 아니오 50 생산자 주소
PRODUCER_HOMEPAGE varchar 아니오 50 생산자 홈페이지
[표 5]는 생산자 마스터를 나타낼 수 있다.
컬럼 ID 데이터 타입 Null 여부 사이즈 세부내용
GROUP_CD varchar 아니오 5
CODE_NUM varchar 아니오 5
CODE_NM varchar 아니오 20
[표 6]은 코드 마스터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 "유일 자원 지시기(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및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상호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100)은 콘텐츠 관리 장치(110)(이하, 콘텐츠 관리 장치(110)는 장치(110)로 약술된다), 상품 서버(120) 및 인증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서버(120) 및 인증 서버(130)는 장치(110)와 서로 간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상품 서버(120)는 장치(110)로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서버(120)는 상품의 제공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상품의 제공자는 상품의 제조자, 유통자 및 판매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의 판매에 관여하는 자는 상품에 제공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은 농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장치(110)로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상품에 대한 인증을 제공하는 자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을 제공하는 자는 정부의 기관일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110), 상품 서버(120) 및 인증 서버(130)에 대해,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전술된 장치(110)는 카탈로그 통신부(210), 인증 통신부(220), 콘텐츠 관리부(230) 및 데이터 관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120)로부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통신부(220)는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130)로부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는 수신한 상품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수신한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품 정보, 상품에 대한 데이터, 인증 정보 및 생성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 인증 통신부(220), 콘텐츠 관리부(230) 및 데이터 관리부(240)에 대해,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310)에서,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40)는 장치(110)의 운영자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240)는 상품 서버(120)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의 상품 서버(120)에 대한 정보, 상품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가격 정보, 수량 정보 및 인증 서버(130)로부터 상품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120)로부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품 서버(120)는 수신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데이터는 상품 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의 카탈로그의 데이터일 수 있다. 카탈로그의 데이터는 카탈로그의 전자 파일일 수 있다. 또한 카탈로그의 데이터는 카탈로그를 나타내는 링크 또는 카탈로그의 URL일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Open API)를 사용하여 상품 서버(120)로부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소정의 주기로 상품 서버(120)로부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최신의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후술된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인증 통신부(220)는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130)로부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0)는 수신한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상품의 품질, 성질, 재배 환경 및 유통 과정 등에 관한 인증을 하는 기관에 의해 인증된 정보일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농산물, 축산물 및 수산물에 대한 인증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상품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고기의 관한 상품에 대해 이력 정보는 소가 출생된 날짜, 소를 기른 장소, 소의 소유주, 도축한 날짜 및 상품을 가공된 날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통신부(220)는 Open API를 사용하여 인증 서버(13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상품의 인증 정보가 상품의 광고에 이용됨으로써 상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320) 및 단계(330)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320)이 수행된 후, 단계(330)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330)이 수행된 후, 단계(32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콘텐츠 관리부(230)는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는 상품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콘텐츠는 상품의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장치(110)가 장치(1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상품의 3차원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의 3차원 영상은 상품의 3차원 파노라마의 영상일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수신된 상품 정보 또는 상품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품에 대한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큐알(Quick Response;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를 장치(110)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영자로부터 생성될 콘텐츠에 대한 디자인을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해,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50)에서, 콘텐츠 관리부(230)는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은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또는 장치(11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의 화면, 키오스크(kiosk)의 화면 및 모니터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은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일 수도 있다.
상품 및 콘텐츠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상품들은 복수의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콘텐츠들이 복수인 경우,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 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화면의 구성의 설정은 콘텐츠를 장치(110)의 전체 화면 중 일부에만 출력함으로써 콘텐츠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콘텐츠들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장치(110)의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장치(110)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영자로부터 화면의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대해,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60)에서, 콘텐츠 관리부(230)는 상품 및 콘텐츠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을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은 콘텐츠가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 출력되는 시각 및 출력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교대로 출력되도록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단계(350)에서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동일한 시점에 출력되도록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의 설정을 위한 제3 인터페이스를 장치(110)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제3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운영자로부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의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해 설정된 스케쥴링에 대해,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370)에서, 콘텐츠 관리부(230)는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또는 장치(11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콘텐츠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물리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단계(350)에서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장치(110)의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단계(360)에서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교대로 출력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출력되도록 스케쥴링이 설정된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콘텐츠를 도시한다.
콘텐츠(410)는 카탈로그(4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410)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2차원 바코드(440) 및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차원 바코드(440)는 QR 코드, 피디에프(PDF)417, 데이터 매트릭스, 막시(Maxi) 코드 및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상품 서버(120)로부터 콘텐츠(410) 내의 카탈로그(415)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카탈로그(415)의 데이터는 카탈로그(415)를 나타내는 링크 또는 URL일 수 있다. 카탈로그(415)는 상품의 이미지(420) 및 상품의 판매 정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 통신부(210)는 수신한 카탈로그(415)의 데이터 중 상품의 이미지(420) 및 상품의 판매 정보(430)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410)에 상품의 이미지(420) 및 상품의 판매 정보(430)를 포함시킬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수신한 상품에 대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콘텐츠(41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카탈로그(415)의 상품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은 소정의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출력된 콘텐츠(410)를 제공받는 장치(110)의 사용자는 사용자의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통해 상품에 대한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의 웹 페이지를 통해 출력된 콘텐츠(410)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350)에 대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도록 화면의 제1 구성(510)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부(230)는 동시에 12개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도록 화면의 제1 구성(510)을 설정할 수 있다.
동시에 화면에 출력될 수 있는 콘텐츠들의 개수보다 복수의 콘텐츠들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게 설정된 페이지 내에서 출력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들 각각에게 설정되는 화면의 페이지 및 설정되는 위치는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520)는 화면의 제1 구성(510)에서 출력되는 페이지가 3페이지로 설정되고, 3페이지 내에서 출력되는 위치가 최 좌측 및 최 상단으로 설정된 위치일 수 있다.
제1 위치(520)에는 제1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520)에는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대표 이미지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품의 이미지(420)일 수 있다.
화면의 제1 구성(510)이 출력된 경우, 도 3에서 전술된 단계들(310 내지 370) 외의 추가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도 3의 단계(370)가 수행된 후, 콘텐츠 관리부(230)는 장치(110)의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제1 위치(520)의 제1 콘텐츠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콘텐츠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만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350)에 대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도록 화면의 제2 구성(610)을 설정할 수 있다.
장치(110)는 화면의 제2 구성(610)에 대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는 제4 인터페이스를 장치(110)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제4 인터페이스를 통해 장치(110)의 운영자로부터 화면의 구성에 대한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관리부(230)는 수신한 설정에 기반하여 동시에 5개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도록 화면의 제2 구성(610)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화면의 제2 구성(610)은 제1 파티션(620) 내지 제5 파티션(6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수신한 설정에 기반하여 제1 파티션(620) 내지 제5 파티션(660)의 각각에 대한 화면의 분할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화면의 제2 구성(610)에 기반하여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앞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해 설정된 스케쥴링을 도시한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전술된 화면의 제2 구성(610)에 기반하여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최 좌측에 표시된 패턴들은 전술된 도 6의 화면의 제2 구성(610)의 제1 파티션(620) 내지 제5 파티션(660)들이 출력되는 위치들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티션(620)에는 제1 콘텐츠가 17시 55분 내지 17시 58분에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제2 콘텐츠가 17시 58분 내지 18시 08분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파티션(630)에는 제3 콘텐츠가 17시 55분 내지 18시 00분에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제4 콘텐츠가 18시 00분 내지 18시 04분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파티션(630)에는 제5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로 변경되지 않고 계속 출력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부(230)는 장치(110)의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분할된 제1 파티션(620) 내지 제5 파티션(660)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230)는 각 파티션에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교대로 출력되도록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을 설정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다.
하기의 단계들(810 내지 830)은 전술된 도 3의 단계(340)가 수행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단계들(810 내지 830)은 단계들(350 내지 370)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들(810 내지 830)이 수행되는 중, 단계들(350 내지 370)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들(810 내지 830)은 단계들(350 내지 370)이 수행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장치(110)의 데이터 관리부(240)는 단말(8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8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컴퓨터, 노트북, 랩탑, 이동 통신 단말 및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요청은 단말(800)에 대한 단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정보는 단말(800)의 웹 브라우저의 종류, 웹 브라우저의 버전 및 단말(800)의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콘텐츠 관리부(230)는 수신한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단말(800)에 적합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변형된 콘텐츠에 대해, 하기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830)에서, 데이터 관리부(240)는 단말(800)에게 적합하도록 변형된 콘텐츠를 단말(8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800)의 사용자는 수신한 콘텐츠를 통해 상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치(110) 및 단말(8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및 적외선 통신(IrDA)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전송되는 변형된 콘텐츠를 도시한다.
변형된 콘텐츠(900)는 카탈로그(905)를 포함할 수 있다. 카탈로그(905)는 단말(800)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카탈로그일 수 있다. 카탈로그(905)는 상품의 제1 이미지(910) 및 상품의 판매 정보(915)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콘텐츠(900)는 제2 이미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미지(920)는 제1 이미지(910)의 크기가 변형된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920)는 상품의 이미지가 아닌, 상품의 동영상 또는 상품의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변형된 콘텐츠(900)는 복수의 콘텐츠들을 나타내는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이미지(930)는 복수의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이미지 일 수 있다. 단말(800)의 사용자로부터 제3 이미지(930)의 선택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800)은 장치(110)로 제3 이미지(930)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앞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콘텐츠 관리 시스템
110: 콘텐츠 관리 장치
120: 상품 서버
130: 인증 서버
210: 카탈로그 통신부
220: 인증 통신부
230: 콘텐츠 관리부
240: 데이터 관리부

Claims (15)

  1. 콘텐츠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Open API)를 사용하여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2 Open API를 사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는 상기 상품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는 상기 상품의 카탈로그의 데이터인 콘텐츠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카탈로그는 엑스엠엘(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의 형태인 콘텐츠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상기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단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적합하도록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게 적합하도록 변형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설정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의 전체 화면 중 일부에만 출력함으로써 상기 콘텐츠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콘텐츠들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자의 상기 상품 서버 및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되는 콘텐츠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큐알(Quick Response; QR) 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및 상기 콘텐츠는 복수이고 - 상기 복수의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함 -,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상기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교대로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의 화면을 분할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이 출력되는 화면의 구성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화면의 구성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출력되도록 상기 스케쥴링이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선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 중 상기 제1 콘텐츠만을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4.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오픈 에이피아이(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Open API)를 사용하여 상품의 제공자의 상품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카탈로그 통신부;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통신부;
    상기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및 상기 콘텐츠는 복수이고 - 상기 복수의 상품들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에 각각 대응함 -,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의 출력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들 중 하나 이상의 콘텐츠들을 상기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교대로 출력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KR20130121456A 2013-10-11 2013-10-11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42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56A KR20150042892A (ko) 2013-10-11 2013-10-11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456A KR20150042892A (ko) 2013-10-11 2013-10-11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892A true KR20150042892A (ko) 2015-04-22

Family

ID=5303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456A KR20150042892A (ko) 2013-10-11 2013-10-11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8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762A (ko) 2018-10-19 202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이상 진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762A (ko) 2018-10-19 202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이상 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3824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flexible internet based information with physical objects
US93116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a product through an adaptable purchase interface
US201302267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ed Message Delivery
US10068283B2 (en) Localization of merchant data
US9076169B2 (en) Digit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00235257A1 (en) Multimedia gift registry system
JP2019523947A (ja) 友だちのアカウントページに直接商品をプッシュして友だちの購入過程に関わる方法
AU20232019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beddable point-of-sale transactions
KR20150042892A (ko)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9058988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装置、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およ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
US10861074B2 (en) Furniture ordering an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1199427B (zh) 网络用户的分组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494170B2 (ja) 流通管理システム
JP2011028695A (ja) 商品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6109054A1 (en) Post-purchase usage analytics to prompt reselling of items in an online marketplace
CN112950104A (zh) 物流数据管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130159124A1 (en) Tag store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contactless tags available for end users of tag-related software applications
US20200380545A1 (en) Presenting products to users based on personalized product pricing determined from user characteristics
US201402890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feed management
WO201807973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2763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f-Branding Through E-Commerce Channels, Establishing a Virtual Storefront, and Procuring Self-Branded Merchandise for Sale Therein
JP201600432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30053078A (ko) 복수의 배송지 입력이 가능한 배송관리 시스템 제공방법
JP2008047080A (ja) 物販・サービス支援ネットシステム
US20120203621A1 (en) Method for developing sales for promotional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