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679A - Dehumid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Dehumid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679A
KR20150042679A KR20130166613A KR20130166613A KR20150042679A KR 20150042679 A KR20150042679 A KR 20150042679A KR 20130166613 A KR20130166613 A KR 20130166613A KR 20130166613 A KR20130166613 A KR 20130166613A KR 20150042679 A KR20150042679 A KR 2015004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densate
tray
housing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6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현국
박찬정
송규완
김기수
강상우
김진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4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6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humid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a condensate to be leaded to the inside of a housing, if a water tank in which the condensate is stored is separated. The dehumid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housing; an evaporator mount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 exchanging an air and heat; a condensate tray arranged in a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for storing the condensate falling the evaporator; the water tank configured to be insertable or detachable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tray if the water tank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stores th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tray;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mounted in the condensate tray, which open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condensate is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tray to the water tank if the water tank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tray, and closes the outlet if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tray. According to the dehumidification apparatus, if the water tank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the condensate is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being leaked from the condensate tray, so that use convenience of goods and hygiene are improved.

Description

제습장치 {DEHUMIDIFICATION APPARATUS}DEHUMID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이 분리된 경우, 응축수가 하우징 내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humidif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humidifying device in which condensed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into a housing when a water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condensed water is separate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하우징(10) 내부에 송풍팬(20), 증발기(30) 및 응축기(40)를 구비하고, 증발기(3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증발기(30)의 하방에 응축수 트레이(50)를 구비할 수 있다.1,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includes a blowing fan 20, an evaporator 30, and a condenser 40 in the housing 10, and is configured to stor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30 A condensate water tray 50 may be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30. [

또한, 응축수 트레이(50)의 하방에는 응축수 트레이(5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60)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a water tank 60 for storing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water tray 50 is generally provided below the condensate water tray 50.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물통(60)에 저장된 물을 비우거나 제품 청소 등의 이유로 물통(60)을 하우징(10)에 분리시키는 경우, 응축수 트레이(50)에 저장된 물이 하우징(10) 바닥으로 누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water stored in the water tray 60 is discharged or the water tray 60 is separated into the housing 10 for reasons such as cleaning the product,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tray 50 is discharged to the housing 10 There is a problem of leaking to the floor.

이로 인해, 하우징(10) 바닥에 물이 고여있게 되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As a result, if water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a sanitary problem may occur.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사용자가 하우징(10) 바닥에 누수된 응축수를 일일이 청소해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dehumidifi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 must clean the condensed water leaking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는 물통(60)이 하우징(10)의 바닥에 면적촉되면서 슬라이딩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물통(60)에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물통(60)을 하우징(10)에서 분리하는데 큰 힘을 들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structured such that the water tank 60 is slidab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with an area being increased.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60,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r must take great effort to separate the water tank 60 from the housing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물통이 분리된 경우 응축수가 하우징 바닥에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humidifying device in which condensed water is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bottom of a housing when a bucket is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높은 중량의 물통을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easily removing a high-weight water bottle with a small force.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 및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연결되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상기 물통으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분리되면 상기 배출통로를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제습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at least part of the above objects, An evapora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A condensate tray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and storing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 water reservoir configured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tray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stor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condensed water tray; And a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condensate tray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from the condensed water tray 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bottle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tray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assage when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tray, Means for providing a dehumidifying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 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 연결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배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에 의해 밀려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개폐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densate tra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side of the water inlet / outlet direction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wa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And an opening portion for closing the outlet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ortion is pushed by the insertion portion to separate the insertion portion from the discharge port.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막은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closing membran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returns to a circular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고 하단에 구멍이 형성된 배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배수부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하는 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면 상기 볼부재를 상승시키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d water tray may include a drain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tray and having a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disposed inside the drain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for raising the ball member when the water bott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an be provided in the water bottle.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 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가동로드의 타단을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densed water tray,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ter bottle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ion / removal of the water bottle,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movable ro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nd reciprocabl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 And a packing member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densate tray and opening / closing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water bott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rod inward of the condensate tray And a press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가동로드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가동로드를 탄성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returning the movable rod so that the packing member closes the discharge port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ovable rod is removed.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탈거되는 동안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여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물통의 장착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 물받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reservoir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water receiving part extending 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bottle to receive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discharge port while the water bottle is being removed, and to guide the water into the water reservoi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물통의 저면을 지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to assist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water bottl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경우 자동으로 응축수 트레이에서 응축수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사용 편리성 및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densate water from being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water tray when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use and hygiene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롤러를 통해 물통과 하우징 바닥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높은 중량의 물통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삽탈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iction between a water tank and a bottom of a housing is reduced through a roller, so that a user can easily remove a heavy water tank with a small for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being improve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습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습장치에 포함되는 물통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습장치의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습장치에 포함되는 롤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ter bottle is mounted.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humidifier shown in Fig.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ter bottle is mounte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humidifier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bottle includ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shown in Figs. 5 and 6. Fig.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water bottle is mounted.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humidifier show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r member includ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습장치는 제습기, 제가습청정기 또는 제습청정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humid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to 8 can be applied to a dehumidifier, a humidifier or a dehumidifier.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First,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습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의 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제습장치의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a water tank of the dehumidifying device is separated.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하우징(110), 송풍팬(120), 증발기(130), 응축기(140), 응축수 트레이(150), 물통(160) 및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blowing fan 120, an evaporator 130, a condenser 140, a condensate tray 150 A water tank 160,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송풍팬(120), 증발기(130), 응축기(140) 및 응축수 트레이(15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constitute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blowing fan 120, an evaporator 130, a condenser 140, and a condensate tray 150, The inner spac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킨 후 다시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The air blowing fan 1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so that the air outside the housing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또한, 상기 증발기(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송풍팬(120)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The evaporator 13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can exchange heat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10 by the blowing fan 120.

증발기(130)는 내부에서 냉매의 증발작용을 통해, 접촉하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표면에 응축시켜 공기를 제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vaporator 13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cooling the air to be contacted by condens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30 through the evaporation action of the refrigerant, thereby dehumidifying the air.

또한, 응축기(140)는 내부에서 냉매가 응축액화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0) 내부에서 증발기(1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14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evaporator 130 inside the housing 110 as a portion where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and liquefied therein.

또한, 상기 응축수 트레이(150)는 증발기(130)의 하방에 배치되어, 증발기(13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ndensate tray 150 may be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130 to stor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130.

일 실시예에서, 응축수 트레이(150)에는 후술할 물통(160)의 삽탈 방향 측 즉, 하우징(110)에서 물통(160)이 삽입 및 탈거되는 방향으로 배출구(152)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densate tray 150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5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housing 110, that is, the side of the water bottle 16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물통(16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water bottle 160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이러한 물통(160)은 하우징(110)에 삽입되면 응축수 트레이(150)에 연결되어 응축수 트레이(150)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water bottle 160 can be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to store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일 실시예에서, 물통(16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에 삽입 연결될 수 있는 삽입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cket 160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 162 which may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outlet 152 of the condensate tray 150, as shown in FIGS.

이러한 삽입부(162)는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태의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62 may include a pipe-shaped flow path protruding toward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삽입부(162)는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에 삽입 연결된 경우에 배출구(15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물통(160)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The insertion portion 162 may constitut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2 flows into the water container 160 when the insertion portion 162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응축수 트레이(150)에 구비되며,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provided in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and can open / close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즉, 개폐수단은 물통(160)이 응축수 트레이(150)에 연결되면 응축수 트레이(150)에서 물통(160)으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개방하고, 물통(160)이 응축수 트레이(150)에서 분리되면 배출통로를 폐쇄하여 응축수 트레이(150)에 저장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pens the discharge passage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condensed water tray 150 to the water bottle 160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The separation passage can be closed to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from flowing out.

일 실시예에서, 개폐수단은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 측에 구비된 개폐막(170)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comprise an opening closure 17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outlet 152 of the condensate tray 150.

상기 개폐막(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의 삽입부(162)가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에 삽입되면 삽입부(162)에 의해 밀려서 배출구(152)를 개방할 수 있다.3, when the insertion portion 162 of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the opening portion 170 is pushed by the insertion portion 162 to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52, Can be opened.

반대로, 개폐막(1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의 삽입부(162)가 배출구(152)에서 퇴거하여 분리되면 자동으로 배출구(152)를 폐쇄할 수 있다.4, the opening portion 170 can be closed automatically when the insertion portion 162 of the water bottle 160 is retracted from the discharge port 152 and separated.

즉, 개폐막(170)은 물통(160)의 삽탈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를 개폐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closing membrane 170 can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outlet 152 of the condensate tray 150 in conjunction with the insertion / removal operation of the water container 160.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개폐막(170)은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막(170)은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closure membrane 17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returns to a circular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For example, the opening membrane 170 may be made of silicon or rub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물통(160)이 하우징(110)에서 분리되는 경우, 개폐막(170)에 의해 자동으로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가 폐쇄되어 응축수 트레잉 저장된 물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isposes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ate tray 150 by the opening shutter 170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The condensed water trained water may not be discharged.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에 대해서 살펴본다. Next, a dehumid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의 물통(160)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제습장치(100)의 물통(160)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물통(160)의 사시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water bottle 160 is mounted. FIG. 6 is a cross- 16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ntainer 160. As shown in Fig.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응축수 트레이(150), 개폐수단 및 물통(160)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며, 하우징(110), 송풍팬(120), 증발기(130) 및 압축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For reference, the dehumid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 to 7 and the dehumid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housing 110, the blowing fan 120, the evaporator 130, and the compressor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configuration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water bottle 160.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의 응축수 트레이(150), 개폐수단 및 물통(16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Therefore, only the structure of the condensate tray 150,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water tank 160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응축수 트레이(150)의 저면에는 배수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age section 155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tray 150.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배수부(15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트레이(15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고 하단에 구멍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rainage section 155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rainage section 15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tray 15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has a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이러한 배수부(155)는 응축수 트레이(15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ain 155 may function as a drain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condensate tray 150 is discharged.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개폐수단은 배수부(155)의 내측에 배치되는 볼부재(175)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constituted by a ball member 175 disposed inside the drainage section 155.

볼부재(175)는 지름이 상기 배수부(155)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보다 넓고, 배수부(155)의 상측보다 작다.The diameter of the ball member 175 is wider than th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ortion 155 and small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ortion 155.

이를 통해, 볼부재(175)는 외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배수부(155)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ball member 175 to open and close a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age section 155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즉, 볼부재(175)는 외력에 의해 상승된 경우에 배수부(155)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서 이탈되어, 배수부(155)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개방시킬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배수부(155)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폐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all member 175 is lifted by the external force, the ball member 175 is released from th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ortion 155, and th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ortion 155 can be opened. Th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ortion 155 can be closed.

이러한 볼부재(175)는 물통(160)이 하우징(110)에 삽탈되는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할 수 있다. The ball member 175 can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water container 160 being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housing 110.

이를 위해,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물통(16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이 하우징(110)에 삽입 장착되면 볼부재(175)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볼부재(175)를 지지하는 지지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7,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ball member 175 is lifted and the raised ball member 175 is lifted up And a supporting portion 165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portion.

이와 같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에서, 물통(160)이 하우징(110)에 삽입 장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의 지지부(165)에 의해 볼부재(175)가 상승하게 되고, 볼부재(175)의 상승으로 인해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수부(155)는 개방될 수 있게 된다. 5,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ball member 175 is rotated by the support portion 165 of the water bottle 160, as shown in FIG. 5,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in portion 155 of the condensate tray 150 can be opened due to the rise of the ball member 175. [

또한, 물통(160)이 하우징(110)에서 분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의 지지부(165)가 볼부재(175)에서 이탈되어 볼부재(175)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하강한 볼부재(175)는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수부(155)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6,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the support portion 165 of the water bottle 160 is detached from the ball member 175 and the ball member 175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And the lowered ball member 175 can close the drainage section 155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부(165)는 물통(160)의 삽탈동작시 볼부재(175) 및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수부(155)를 파손하지 않도록 상면이 장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65 may be formed such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65 is inclined in a mounting direction so as not to break the ball member 175 and the drain portion 155 of the condensate tray 150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and removed.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에 대해서 살펴본다. Next, a dehumid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여기서,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의 물통(160)이 장착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9는 제습장치(100)의 물통(160)이 분리된 상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 water bottle 160 is mounted.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160 of the water tank 160 is separated.

참고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는 개폐수단 및 물통(160)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며, 하우징(110), 송풍팬(120), 증발기(130), 압축기 및 응축수 트레이(15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For reference,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 and 9 and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he housing 110, the blowing fan 120, the evaporator 130, the compressor, and the condensate tray 15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each other.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의 개폐수단 및 물통(16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Therefore, onl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nd the structure of the water container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개폐수단은 가동로드(177), 패킹부재(179) 및 탄성부재(178)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include a movable rod 177, a packing member 179, and an elastic member 178.

상기 가동로드(177)는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에 삽입되며, 물통(160)의 삽탈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ovable rod 177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ed water tray 150 and is configured to be reciprocabl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 removal of the water container 160.

또한, 상기 패킹부재(179)는 가동로드(177)의 일단에 구비되어 응축수 트레이(1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79)는 가동로드(177)의 움직임에 따라 응축수 트레이(150)의 배출구(152)를 개폐할 수 있다. The packing member 179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movable rod 177 and disposed inside the condensate tray 150. The packing member 179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52 of the condensate water tray 15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rod 177.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개폐수단의 구성에 대응하여, 물통(160)에는 물통(160)이 하우징(110)에 삽입 장착되는 경우에 가동로드(177)의 타단을 응축수 트레이(15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67)가 구비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rod 177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water tray 160 in the water bottle 160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The pressing portion 167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pressing portion 167 inward.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167)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60)의 상단에서 가동로드(177)의 타단을 향해 돌출된 돌출편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and 9, the pressing portion 167 may be a protruding piece protruding toward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rod 177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le 1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78)는 가동로드(177)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패킹부재(179)가 배출구(152)를 밀폐하도록 가동로드(177)를 탄성복귀시킬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78 can elastically return the movable rod 177 so that the packing member 179 seals the discharge port 152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ovable rod 177 is removed.

즉, 탄성부재(178)는 물통(160)이 하우징(110)에서 탈거되어 가압부(167)가 가동로드(177)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 가동로드(177)가 물통(160)이 탈거 방향으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ater bottle 160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and the pressing portion 167 does not press the movable rod 177, the elastic member 178 moves the water bottle 160 in the removal direction As shown in FIG.

일 예로, 탄성부재(178)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가동로드(177)에 지지되고 타단이 응축수 트레이(150)의 몸체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and 9, the elastic member 178 may include a spring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movable rod 177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body of the condensed water tray 150. However, It is no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물통(160)에는 연장 물받이부(169)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bottle 16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water receiving portion 169. [

상기 연장 물받이부(169)는 물통(160)이 하우징(110)에서 탈거되는 동안 배출구(152)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여 물통(160)으로 안내할 수 있다. The extension water receiving portion 169 can receive the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discharge port 152 and guide the water to the water can 160 while the water can 160 is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다시 말해, 연장 물받이부(169)는 물통(160)이 탈거되어 패킹부재(179)가 배출구(152)를 밀폐하는 순간 배출구(152)의 외측으로 유출된 소량의 응축수를 수용하여 물통(160)으로 안내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water receiving portion 169 receives a small amount of condensed water flowing out of the outlet 152 at the moment when the water container 160 is detached and the packing member 179 seals the discharge opening 152, .

이를 위해,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장 물받이부(169)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52)의 하방에 배치되는 부분이 물통(160)의 장착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8 and 9, a portion of the extension water receiving portion 169, which is disposed below the outlet 152, is formed to extend in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bottle 160 .

한편, 도 2 내지 도 10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10)의 바닥에는 롤러부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습장치(100)에 포함된 롤러부재(18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to 10,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er member 18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Her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ller member 180 included in the dehumidify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부재(180)는 물통(160)이 슬라이딩되는 하우징(110)의 바닥에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the roller member 18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in which the water container 160 slides.

이러한 롤러부재(180)는 물통(160)의 삽탈동작을 보조하도록 물통(16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roller member 180 can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160 to assist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water container 160.

즉, 롤러부재(180)는 높은 중량의 물통(160)이 하우징(110)에서 슬라이딩될 때 물통(160)과 하우징(110) 바닥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물통(160)을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roller member 180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ter tank 160 and the bottom of the housing 110 when the water tank 160 having a large weight is slid in the housing 110, So that it can be remove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100 : 제습장치 110 : 하우징
120 : 송풍팬 130 : 증발기
140 : 응축기 150 : 응축수 트레이
152 : 배출구 155 : 배수부
160 : 물통 162 : 삽입부
165 : 지지부 167 : 가압부
169 : 연장 물받이부 180 : 롤러부재
<개폐수단>
170 : 개폐막 175 : 볼부재
177 : 가동로드 178 : 탄성부재
179 : 패킹부재
100: dehumidifier 110: housing
120: blower fan 130: evaporator
140: Condenser 150: Condensate tray
152: outlet 155: drain
160: water bottle 162:
165: Support part 167:
169: extension water receiving part 180: roller member
<Opening / closing means>
170: Opening closure 175: Ball member
177: movable rod 178: elastic member
179: packing member

Claims (8)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 및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연결되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상기 물통으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서 분리되면 상기 배출통로를 폐쇄하는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제습장치.
housing;
An evapora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A condensate tray disposed below the evaporator and storing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evaporator;
A water reservoir configured to be removab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condensed water tray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store condensate discharged from the condensed water tray; And
And a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condensate tray for discharging condensed water from the condensed water tray to the water tank when the water bottle is connected to the condensate water tray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assage when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from the condensate water tray, ;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 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에는 상기 배출구에 삽입 연결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배출구 측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면 상기 삽입부에 의해 밀려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출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개폐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ensate tra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side of the water bottl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
The water bottle has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ide of the condensate tray, and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port is pushed by the insertion portion to open the discharge port.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dehumidifying device is a dehumidify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은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ning-closing membran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o a circular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테이퍼지게 돌출되고 하단에 구멍이 형성된 배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기 배수부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하는 볼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면 상기 볼부재를 상승시키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ainage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condensate tray and having a hole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is composed of a ball member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drainage portion and opens and closes a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age portion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for raising the ball member when the water bott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 측에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에 삽입되며 상기 물통의 삽탈 방향으로 왕복 가능한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로드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 장착되면 상기 가동로드의 타단을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ensate tray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on the side of the water bottle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movable rod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water bottle and a pack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rod and disposed inside the condensed water tra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water bottle has 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rod inward of the condensate tray when the water bott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가동로드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패킹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가동로드를 탄성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resiliently returning the movable rod so that the packing member closes the discharge port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movable rod is remo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이 탈거되는 동안 상기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수용하여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물통의 장착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 물받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ater reservoir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water receiving part extending in a mounting direction of the water bottle so as to receive condensate water falling from the outlet while the water bottle is detached and guide the condensed water to the water bott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상기 물통의 삽탈동작을 보조하도록 상기 물통의 저면을 지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roller member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to assist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water bottle.
KR20130166613A 2013-10-11 2013-12-30 Dehumidification apparatus KR2015004267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552 2013-10-11
KR20130121552 2013-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679A true KR20150042679A (en) 2015-04-21

Family

ID=5303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6613A KR20150042679A (en) 2013-10-11 2013-12-30 Dehumidif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67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410B1 (en) Dehumidifier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EP2843335A2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H1183073A (en) Drainage apparatus for humidifier
KR20160063085A (en)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150042679A (en) Dehumidification apparatus
KR101341375B1 (en) Drain structure of dehumidifier
KR200469954Y1 (en) garbage can
KR20150056246A (en) Dehumidifier with preventing condensate leakage
JP4603897B2 (en) Dehumidifier
KR20160104830A (en) Dehumidification apparatus
JP2013226484A (en) Dehumidifier
KR101819927B1 (en) Condensation water drain device for &#39;kimchi&#39; refrigerator
KR102211114B1 (en) Dehumidifier
KR20160054723A (en) Dehumidifier
JP2006084127A (en) Refrigerator
KR200410801Y1 (en) Auto draining device of dehumidifier
KR100381169B1 (en) The drain apparatus for a dehumidifier
JP5685780B2 (en) Dehumidifier
KR20130074163A (en) Apparatus for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JP2000070656A (en) Dehumidifier
KR102225177B1 (en) Dehumidifier
KR100829124B1 (en) Kimchi refrigerator instituted a auto-rice exhausting device
WO2016086966A1 (en) Laundry drying machine with a condensate water receptacle
KR101542015B1 (en) A module for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