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086A -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086A
KR20150042086A KR20130120851A KR20130120851A KR20150042086A KR 20150042086 A KR20150042086 A KR 20150042086A KR 20130120851 A KR20130120851 A KR 20130120851A KR 20130120851 A KR20130120851 A KR 20130120851A KR 20150042086 A KR20150042086 A KR 20150042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authentication
mobile terminal
hacking
recogn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557B1 (ko
Inventor
남기원
박길주
Original Assignee
박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주 filed Critical 박길주
Priority to KR102013012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57B1/ko
Priority to PCT/KR2014/009505 priority patent/WO2015053573A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해킹 가능한 지문 자국이 모바일 단말기의 표면에 남지 않게 하면서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단일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문인식의 해킹 방지를 수행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고,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특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보이스 인증을 통해 스크릿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 보장을 강화할 수 있게 한 목적도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APPARATUS FOR ANTI-HACKING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OF CELL-PHONE AND SURFACE MEAN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해킹 가능한 지문 자국이 모바일 단말기의 표면에 남지 않게 하면서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단일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문인식의 해킹 방지를 수행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네자리로 이루어진 비밀번호 인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흔히 쓰는 네자리 정도의 비밀번호에 대한 해킹 정도는 웬만한 해커들에게 매우 쉬운 일이다.
최근에는 온라인 원격 데이터 송수신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서, 금융 거래부터 자동차 시동에 이르기까지 온라인으로 신원을 확인해 접속하는 상황은 나날이 늘고 있는 반면, 보안은 전통적인 비밀번호 입력 방법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몇자리로 이루어진 비밀번호가 너무 쉽게 해킹 당하게 되므로 이제 보안 전문가들은 새로운 대안으로 ‘생체 측정술’부터 ‘비밀번호 대체 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단을 선보이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것은 생체 인식 기술. 얼굴, 음성, 지문, 홍채인식 등을 이용한 신분 인식이고 이러한 생체 인식방식은 변경되거나 분실할 위험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가장 오래된 생체측정 기술인 지문 인식은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애플은 새로 발표한 아이폰(5S)에 지문인식 기능을 추가했다.
하지만, 애플사가 새롭게 출시한 아이폰(5S)의 지문인식 방식은 출시 이틀만에 해킹당하였다. 해킹방식은 아이폰(5S)의 본체 표면이나 액정의 전면에 부착된 스크래치 방지필름 또는 홈버튼에 묻어 있는 지문 자국을 테이프로 떠서 확보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 상태로 확보하고 해당 이미지를 이용하여 가짜 손가락에 부착해서 지문 인식센서에 사용 가능하게 한 방식이다.
특히, 상기 아이폰(5S)은 홈버튼 내에 지문인식 센서가 내장되어져 있으므로 홈버튼의 표면에 가장 완성도 높은 지문자국이 남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지문 인식이 적용된 스마트폰은 그 기능의 편의성이 매우 높지만 해킹 방지를 위한 기술이 개발되지 않는 한, 온전하게 지문 인식 기술을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스마트폰은 화면 잠금을 해제할 때,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패턴 인증 또는 비밀번호 인증을 수행하고 화면 잠금을 해제시키도록 한 기능이 있으나, 이 기능은 단순하게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이고, 사용자는 화면 잠금이 해제된 이후 또 다른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므로 통화나 메시지 확인, 카메라 등 빈번하게 사용하는 아이콘의 조작하고자 하여도, 화면 잠금 해제와, 해당 아이콘 조작과 같이 2회의 조작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문인식 기술이 적용된 아이폰(5S)을 포함한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해킹이 아닌 이유로 지인에게 통화 내역이나 문자 메시지 또는 해당 스마트폰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노출시켜야할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의 노출은 프라이버시와 관련되어져 있으므로 숨김 기능으로 노출을 방지하려고 노력하지만, 지인도 숨김 기능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여전히 개인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을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해킹 가능한 지문 자국이 모바일 단말기의 표면에 남지 않게 하면서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단일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문인식의 해킹 방지를 수행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특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보이스 인증을 통해 스크릿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 보장을 강화할 수 있게 한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패턴이 가공된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가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 표면 또는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미지 움직임신호를 입력받아 표면에 묻은 지문이 뭉개지게 하는 지문 인식 센서부(104)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을 인증하는 지문 인증처리부(106)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인가된 손가락 이미지 신호를 통해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처리부(110)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 이미지와, 해당 지문 이미지의 주변에 배치된 바로가기 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제어부(112)와;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지문 자국이 남지 않게 하면서 동시에, 손가락의 이동신호를 통해 메뉴 바로가기가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내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 감지 처리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메뉴를 유저별로 직접 설정하기 위한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저별로 설정된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연동된 바로가기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1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가 원격 서버에 저장된 경우, 그 원격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02)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각인된 점 또는 선, 또는 다각형 패턴이 구성되어 지문 자국이 훼손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특정 패턴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인증 처리부(106)는 복수의 인증처리를 수행하며, 1차 인증은 기등록 지문과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2차 인증은 손가락의 이동방향 입력으로 훼손된 지문데이터가 인가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복수의 인증 성공시 최종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손가락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될 때, 그 지문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더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116)는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설정 단어 비교부(118)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116)는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크릿 모드가 해제되기 위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는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복수회 입력받고, 인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a)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지문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제어부(116)가 판단하는 과정과; b)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해당 지문데이터를 기준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예비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c) 예비 지문인증 성공시, 상기 제어부(116)가 지문 인식센서부(104)를 리셋하고, 새로운 지문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d)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지문 뭉개짐 신호인지를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판단하는 과정과; e) 지문 뭉개짐 신호인 경우,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최종 지문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는 과정과; f) 지문 뭉개짐 신호를 상기 지문 인식센서부(104)에 입력하는 것으로, 손가락 이동방향을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감지하는 과정과; g) 상기 제어부(116)가 화면 제어부(112)를 제어하여 해당 방향에 매칭된 바로가기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에 각 손가락 이동방향별 바로가기 메뉴가 유저별로 설정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에 지문 데이터 비교를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원격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지문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은 상기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은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가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과정과 g) 과정의 사이에는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설정 단어 비교부(118)를 통해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116)가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 표면 또는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거나 가공되어, 사용자의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는 투명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은 액정 표면에 부착된 필름과 케이스 표면 전체에 지문자국을 훼손시키는 패턴을 형성하거나,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스크래치 방지필름과 케이스 표면에서 지문 자국을 복사할 수 없게 하고, 홈버튼에 묻을 가능성이 있는 지문은 홈버튼 조작을 통한 바로가기 메뉴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홈버튼 표면의 지문이 자연스럽게 뭉개지게 하고 단일 동작으로 연결되어 바로가기 메뉴가 활성화되므로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문 인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부착된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로부터 캡쳐한 지문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의 다른 표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문 예비인증과 최종 인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시 방향의 판단 처리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추가 인증으로 보이스 인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추가인증으로 세컨드 지문인증과 보이스 인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문 인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부착된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로부터 캡쳐한 지문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의 다른 표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문 예비인증과 최종 인증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 도 6참조)는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해킹 가능한 지문 자국이 모바일 단말기의 표면에 남지 않게 하면서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단일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지문인식의 해킹 방지를 수행하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통한 지문 해킹방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와,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를 통한 지문의 해킹은 모바일 단말기(2)의 본체 표면이나 액정의 전면에 부착된 스크래치 방지필름 또는 홈버튼(8)에 묻어 있는 지문 자국을 테이프로 떠서 확보하거나 스캐너로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 상태로 확보하여 해킹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통한 지문 해킹방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와,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로 구현되는 바, 먼저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사용자의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패턴이 가공된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가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 표면 또는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미지 움직임신호를 입력받아 표면에 묻은 지문이 뭉개지게 하는 지문 인식 센서부(104)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을 인증하는 지문 인증처리부(106)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인가된 손가락 이미지 신호를 통해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처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복수의 인증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바, 첫째로 사용자의 지문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는 지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만약, 사용자의 정상적인 지문이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인가된 경우라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지문 예비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두 번째 과정으로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뭉개진 지문 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여 뭉개진 지문신호가 인가된 경우 지문 자국이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남지 않게 되므로 최종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의미없이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뭉개진 지문신호를 입력하는 것은 불필요한 노력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뭉개진 지문신호 입력과 동시에 바로가기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단일의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손가락(6)의 이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지문인증 처리부(106)는 복수의 인증처리를 수행하며, 1차 인증은 기등록 지문과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2차 인증은 손가락의 이동방향 입력으로 훼손된 지문데이터가 인가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복수의 인증 성공시 최종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 이미지와, 해당 지문 이미지의 주변에 배치된 바로가기 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제어부(112)와;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지문 자국이 남지 않게 하면서 동시에, 손가락의 이동신호를 통해 메뉴 바로가기가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내부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손가락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4)에 출력되는 지문이미지(3)의 상단에 현재 인증 상태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창(20)이 출력되고, 지문 스캔상태가 비율로 표시되며, 바로가기 메뉴(24)의 선택 방향으로 손가락을 밀라는 정보(22)가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지문이 스캔되는 상태를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4)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112)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될 때, 그 지문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더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6)는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바로가기 메뉴(24)에 대한 선택신호를 상기 지문 인식센서부(104)를 통해서 입력하지 않고, 상기 광고데이터를 드래그하여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바, 이 경우 광고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주목도가 더욱 높아지므로 광고 효과가 매우 크다.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상기 방향 감지 처리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메뉴를 유저별로 직접 설정하기 위한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지문신호를 입력하기도 하며, 바로가기 메뉴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하기도 하므로,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로 용어를 정한다.
또,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저별로 설정된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연동된 바로가기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가 원격 서버에 저장된 경우, 그 원격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02)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에 부착된 필름 또는 케이스 표면에 지문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를 표면에 부착하는 바,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각인된 점 또는 선, 또는 다각형 패턴이 구성되어 표면에 남게 되는 지문 자국을 해당 패턴으로 훼손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특정 패턴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를 통한 지시 방향의 판단 처리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의 방향 감지처리부(110)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입력된 지문의 이동궤적을 이용하여 손가락(6)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16)는 해당 방향에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바로가기 메뉴를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Chopping)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이미지(3)의 이동궤적(26)을 감지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 복수개 이상의 지문 이미지(3)만 상기 지문 인식센서부(104)로 입력되어도 상기 방향 감지처리부(110)는 손가락의 이동궤적(26)을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손가락이 서쪽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Chopping)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이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②→③→④→⑤와 같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지되는 지문 이미지의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지문 이미지(3)가 남아있는 방향을 손가락 이동궤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의 신호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2)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지문 인증에 기준이 되는 지문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2)에 저장될 수도 있고, 원격 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지문 인증으로 인한 목적이 모바일 단말기(2)를 통한 소액 결제이거나, 메시지 확인, 이메일 확인 등의 경우에는 기준 지문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2)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오픈 마켓과 같은 온라인 쇼핑의 경우에는 지문 인증에 대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해당 오픈 마켓 또는 밴사 서버 등에 저장하고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준 지문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2)에 저장되는 것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준 지문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2)에 저장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에 구성된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에 각 이동 방향별 바로가기 메뉴를 유저별로 설정한다.
바로가기 메뉴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16)는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지문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에 손가락을 밀착시키면 지문인식 센서부(104)가 해당 사용자의 지문데이터를 스캔한다.
그러면,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해당 지문데이터를 기준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예비 지문 인증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지문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지문이 스캔되는 것을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 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데이터는 지문 이미지 하단에 구비됨으로써 광고에 대한 주목도를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예비 지문 인증에 실패하면, 지문 인증 실패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화면 제어부(112)를 제어하고, 예비 지문인증 성공시, 상기 제어부(116)가 지문 인식센서부(104)를 리셋하고, 새로운 지문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지문 인증을 수행하므로 첫 번째 지문 인증을 예비 지문인증이고, 두 번째 지문 인증을 최종 지문 인증으로, 두 번째 지문 인증은 뭉개진 지문 신호가 인가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는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지문 뭉개짐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바, 뭉개진 지문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최종 인증이 완료되게 하는 것은 사용자 스스로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묻은 지문 자국을 지우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지문 뭉개짐 신호인 경우,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최종 지문인증 성공으로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적극적인 지문 자국의 뭉개뜨림을 유도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서 손가락 이동방향신호를 입력하여 바로가기 메뉴를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지문 뭉개짐 신호를 상기 지문 인식센서부(104)에 입력하는 것으로, 손가락 이동방향을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16)는 화면 제어부(112)를 제어하여 해당 방향에 매칭된 바로가기 메뉴를 활성화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통한 방향 감지를 위해,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가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동작을 통해 해당 시간간격마다 신규의 지문이미지를 입력받고, 그로인해 입력받은 지문 이미지의 변화량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에서 바로가기 메뉴 활성화를 위한 방향 입력을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외에 터치스크린인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4)을 통해 입력 가능하다. 특히, 화면에서 바로가기 메뉴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추가 인증으로 보이스 인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지문 인식 기능을 통한 화면 잠금 해제와 동시에, 특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보이스 인증을 통해 스크릿 메뉴 바로가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 보장을 강화할 수 있게 한다.
비밀번호 입력 또는 지문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 식별 인증은 불특정 제 3자에 대해서는 우수한 보안능력을 나타내지만, 불가피하게 모바일 단말기(2)의 잠금을 해제해야 하거나, 이메일과 메시지를 열람 가능하게 식별키를 해제시켜야 한다. 예컨대, 아내 등과 같은 지인에 대해서는 식별키의 보안능력보다는 폴더나, 파일을 숨기고 해당 파일 숨김 서비스를 사용하는 지를 모르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시크릿 메뉴 바로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지문 인증과 보이스 인증을 통해 시크릿 메뉴 바로가기가 수행되도록 한다.
즉, 지문 인증은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므로, 뭉개진 지문신호까지 입력되어야만 지문이 인증된 것으로 처리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지문 인증을 의미한다.
보이스 인증은 사용자의 목소리를 식별 인증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사용자가 미리 음성으로 등록한 단어나 문장이 일치되는 지를 음성으로 인증하는 것이고,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2)에는 음성 인식하는 기능이 존재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의 경우, 어떤 단어나 문장을 몇 음절로 등록하였는 지를 지인들이 예측할 수 없으므로 시크릿 바로가기 메뉴서비스가 사용중인 지를 지인들이 알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는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설정 단어 비교부(118)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116)는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에 추가인증으로 세컨드 지문인증과 보이스 인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시크릿 모드가 해제되기 위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는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복수회 입력받고, 인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어느 손가락의 지문을 세컨드 지문으로 등록해놨는 지를 지인이 알기 어렵기 때문에, 복수개의 지문 인증과 더불어, 보이스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보안등급이 매우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100)에는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설정 단어 비교부(118)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116)는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시크릿 모드가 해제되기 위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는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복수회 입력받고, 인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모바일단말기, 3:지문이미지,
4:화면, 10: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
24:바로가기 메뉴,
100: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04:지문인식 센서부, 106:지문 인증처리부,
108:지문연동 바로가기 메뉴설정부, 110:방향감지처리부,
112:화면제어부, 114:데이터저장부,
116:제어부.

Claims (23)

  1. 사용자의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패턴이 가공된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가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 표면 또는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고, 사용자의 손가락 이미지 움직임신호를 입력받아 표면에 묻은 지문이 뭉개지게 하는 지문 인식 센서부(104)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을 인증하는 지문 인증처리부(106)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인가된 손가락 이미지 신호를 통해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처리부(110)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로부터 스캔된 지문 이미지와, 해당 지문 이미지의 주변에 배치된 바로가기 메뉴를 화면에 출력하는 화면 제어부(112)와;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에 지문 자국이 남지 않게 하면서 동시에, 손가락의 이동신호를 통해 메뉴 바로가기가 구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내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 처리부(1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바로가기 메뉴를 유저별로 직접 설정하기 위한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저별로 설정된 손가락의 이동방향에 연동된 바로가기 메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11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인증하기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가 원격 서버에 저장된 경우, 그 원격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02)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각인된 점 또는 선, 또는 다각형 패턴이 구성되어 지문 자국이 훼손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10)는 미리 특정 패턴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인증 처리부(106)는 복수의 인증처리를 수행하며, 1차 인증은 기등록 지문과 일치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2차 인증은 손가락의 이동방향 입력으로 훼손된 지문데이터가 인가되는 지를 인증하는 것이고 복수의 인증 성공시 최종 지문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손가락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될 때, 그 지문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더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6)는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는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설정 단어 비교부(118)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116)는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크릿 모드가 해제되기 위해서,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는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복수회 입력받고, 인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14. a)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지문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제어부(116)가 판단하는 과정과;
    b)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해당 지문데이터를 기준 지문데이터와 비교하여 예비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c) 예비 지문인증 성공시, 상기 제어부(116)가 지문 인식센서부(104)를 리셋하고, 새로운 지문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d) 입력된 지문데이터가 지문 뭉개짐 신호인지를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판단하는 과정과;
    e) 지문 뭉개짐 신호인 경우,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가 최종 지문인증 성공으로 처리하는 과정과;
    f) 지문 뭉개짐 신호를 상기 지문 인식센서부(104)에 입력하는 것으로, 손가락 이동방향을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감지하는 과정과;
    g) 상기 제어부(116)가 화면 제어부(112)를 제어하여 해당 방향에 매칭된 바로가기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지문 연동 바로가기 메뉴 설정부(108)에 각 손가락 이동방향별 바로가기 메뉴가 유저별로 설정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에 지문 데이터 비교를 위한 기준 지문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원격서버에 저장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부(104)를 통해 스캔된 지문이미지는 지문이 스캔되는 시간동안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게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이미지 하단에 광고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 제어부(112)가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은 상기 방향 감지처리부(110)가 모바일 단말기(2)의 화면에 출력되는 지문데이터 또는 광고데이터를 특정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해당 방향에 설정된 바로가기 메뉴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은 상기 방향감지 처리부(110)가 상기 지문인식 센서부(104)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리셋하는 초핑동작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이미지의 이동 궤적을 통해 손가락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f) 과정과 g) 과정의 사이에는 상기 지문 인증처리부(106)를 통한 지문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설정 단어 비교부(118)를 통해 기설정 단어나 문장에 대한 사용자 음성 인증을 추가로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116)가 지문 인증과 음성 인증이 모두 성공한 경우 히든폴더나 히든 메뉴가 화면에 출력되는 시크릿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해킹 방지방법.
  22. 제 1항의 모바일 단말기(2)의 액정 표면 또는 케이스 표면에 부착되거나 가공되어, 사용자의 지문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는 투명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
KR1020130120851A 2013-10-10 2013-10-10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KR10157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51A KR101576557B1 (ko) 2013-10-10 2013-10-10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PCT/KR2014/009505 WO2015053573A1 (ko) 2013-10-10 2014-10-10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851A KR101576557B1 (ko) 2013-10-10 2013-10-10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86A true KR20150042086A (ko) 2015-04-20
KR101576557B1 KR101576557B1 (ko) 2015-12-16

Family

ID=5281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851A KR101576557B1 (ko) 2013-10-10 2013-10-10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6557B1 (ko)
WO (1) WO201505357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1487A (zh) * 2015-12-07 2016-05-04 北京云知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及装置
WO2016204528A1 (ko) * 2015-06-16 2016-12-22 남기원 스마트 간편 결제장치 및 그 시스템
CN107066858A (zh) * 2017-03-08 2017-08-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解锁方法及移动终端
KR20180029365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1681B (zh) * 2017-08-25 2020-09-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9858227B (zh) * 2019-02-02 2021-04-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录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598A (ko) *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기의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2133079A (ja) * 2010-12-21 2012-07-12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141861A (ja) * 2011-01-05 2012-07-26 Secure Design Solutions Inc 指紋読取り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689A (ko) * 2004-07-07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598A (ko) *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기의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2133079A (ja) * 2010-12-21 2012-07-12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141861A (ja) * 2011-01-05 2012-07-26 Secure Design Solutions Inc 指紋読取りセン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528A1 (ko) * 2015-06-16 2016-12-22 남기원 스마트 간편 결제장치 및 그 시스템
CN105551487A (zh) * 2015-12-07 2016-05-04 北京云知声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及装置
KR20180029365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066858A (zh) * 2017-03-08 2017-08-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解锁方法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557B1 (ko) 2015-12-16
WO2015053573A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1716B2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variable keypad and biometric identification
US108247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US8447273B1 (en) Hand-held user-aware security device
KR101576557B1 (ko) 모바일 단말기용 지문인식 해킹방지 장치 및 지문 해킹방지용 표면부재와 그 지문해킹 방지방법
US2016014037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ser authentication
TWI507910B (zh) 基於欺騙偵測之可切換至使用者介面解鎖模式之電子裝置及相關方法
TWI471809B (zh) 包括具有基於定向之鑑認的手指感測器之電子裝置及相關方法
EP3259701B1 (en) Biometric setup that runs in the background
US20140059674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code setting method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electronic apparatus
CN106355141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50332038A1 (en) Secure entry of secrets
JP2008243149A (ja) 認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認証方法、プログラム
WO2017063763A1 (en) Secure biometric authentication
JP2007122164A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18413A (ja) 携帯端末、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61989A (ko) 생체정보와 터치 패턴을 조합한 복합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401127B1 (ko)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CN109583168B (zh)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JP2006352325A (ja) 携帯端末機器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KR102390173B1 (ko)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140089773A (ko) 회전 인증부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및 디지털 도어락 출입인증방법
US10691833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JP6765929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2059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139174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