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562A -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562A
KR20150041562A KR20140067128A KR20140067128A KR20150041562A KR 20150041562 A KR20150041562 A KR 20150041562A KR 20140067128 A KR20140067128 A KR 20140067128A KR 20140067128 A KR20140067128 A KR 20140067128A KR 20150041562 A KR20150041562 A KR 20150041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downlink
control channel
subframe
c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636B1 (ko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4/00899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50339A1/ko
Priority to US15/026,260 priority patent/US9998269B2/en
Priority to CN201480054504.XA priority patent/CN105659514B/zh
Publication of KR20150041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11/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 H04J2211/003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orthogonal multiplex systems within particular systems or standards
    • H04J2211/005Long term evolution [L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구성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s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M2M(Machine to Machine)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개입한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에 일어나는 통신이다. "machine"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개체를 의미할 수 있고, "MTC"는 이러한 "machine"이 하나 이상 포함된 데이터 통신의 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machine"의 예로는 이동 통신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미터, 자판기 등의 형태일 수 있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MTC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도 "machine"의 한 형태로 고려되고 있다.
MT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비해 전파 환경이 나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일반 단말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20dB 이상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MTC 단말이 일반 단말에 비해 20 dB 이상 향상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만 전송되는 각 물리 채널의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반복 전송 시에는 MTC 단말에게 반복 전송될 서브프레임과 검색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MTC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MTC 단말의 PDCCH monitoring을 위한 검색 공간 설정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구성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구성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현할 경우 MTC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4 가지의 PDCCH 포맷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ECCE 별 EREG의 수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지원되는 EPDCCH 포맷(Supported EPDCCH formats)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MTC 단말이 PDCCH 혹은 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PDCCH/E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안 1의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이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안 1의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이 결정하여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안 2의 CCE/ECCE 인덱스(들)을 기지국이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안 2의 CCE/ECCE 인덱스(들)을 기지국이 결정하여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송신)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기지국 또는 eNB(20)은 단말(10)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10)로 PDCCH/EPDCCH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한다. DCI는 PDSCH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assignment)을 포함하거나, PUSCH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g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20)은 단말(10)에 상/하향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DCI를 사용하고, 이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10)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D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서 PDCCH 및 EPDCCH로 분류될 수 있다.
PDCCH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통해서 설정되는 제어 영역에서 전송된다. 제어 영역은 하향링크 대역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마다 CFI 설정 값에 따라 1~4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EPDCCH는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E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전송 자원은 각 단말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으로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과 미리 정의된 복수 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페어(pair)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DCI를 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기본이 되는 전송 자원의 단위를 CCE(Control Channel Element)라 할 수 있다. 하나의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고, 하나의 REG는 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DCI를 E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기본이 되는 전송 자원의 단위를 ECCE(Enhanced CCE)라 할 수 있다. 하나의 ECCE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길이 및/또는 TDD 구성에 따라 4개 또는 8개의 EREG(Enhanced REG)로 구성되고, 하나의 EREG는 RS(Reference Signal) 전송에 사용되는 RE에 따라서 가변적인 복수 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DCI를 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사용하는 CCE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고 하고,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1, 2, 4, 또는 8개의 CC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DCI를 E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사용하는 ECCE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고 하고,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1, 2, 4, 8, 16 또는 32개의 ECCE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EPDCCH는 복수 개의 CCE/ECCE로 구성되고 있고,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복수 개의 DCI를 복수 개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PDCCH/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CCE/ECCE의 할당 정보(즉, 하나의 DCI 전송에 사용되는 CCE 결합 레벨 정보 및 CCE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 별도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DCI를 확인하기 위해 가능한 결합 레벨 및 CCE/ECCE 전송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단말이 PDCCH/EPDCCH 내에 존재하는 모든 CCE/ECCE에 대해서 결합 레벨 별로 가능한 모든 CCE/ECCE 조합을 블라인드 디코딩하기에는 처리 지연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단말 별로 미리 정의된 CCE/ECCE 인덱스들로 구성되는 PDCCH 후보(candidate)/EPDCCH 후보(candidate)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각 결합 레벨 별로 PDCCH 후보/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ECCE 인덱스는 결합 레벨,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의 값, 슬롯 넘버(또는 서브프레임 넘버)의 함수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결합 레벨 마다 제한된 개수의 PDCCH 후보/EPDCCH 후보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는 일반 단말이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PDCCH 후보/EPDCCH 후보에 대해서 PDCCH/E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도한다. DCI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어 있고, 단말은 CRC를 체크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DCI를 확인한다. CRC 체크 결과 자신에게 전송된 DCI를 확인한 때, 단말은 DCI에 포함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고, DCI가 전송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PDSCH를 디코딩한다.
도 2는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PUSCH 스케줄링 정보 또한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종래의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 채널로서 Rel-10 이하의 시스템에서 정의된 PDCCH 및 Rel-11 시스템에서 새롭게 정의된 EPDCCH가 사용된다.
도 3은 4 가지의 PDCCH 포맷을 제시한 도면이다. PDCCH의 경우, 단말의 하향링크 무선 채널 품질 및 DCI의 사이즈에 따른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도 3과 같은 4가지 PDCCH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되었다. 도 4에서 CCE의 개수(Number of CCEs)는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을 나타낸다.
도 4는 ECCE 별 EREG의 수를 제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Figure pat00001
(Number of EREGs per ECCE)의 값은 서브프레임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노멀 사이클릭 프리픽스(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에는 노멀 서브프레임(Normal subframe) 또는 3, 4, 8 설정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3, 4, 8)에서는 4가 된다. 한편,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에는 노멀 서브프레임(Normal subframe) 또는 1, 2, 3, 5, 6 설정의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1, 2, 3, 5, 6)에서는 8이 된다.
도 5는 지원되는 EPDCCH 포맷(Supported EPDCCH formats)에 대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케이스 A와 케이스 B로 나뉘어지며, 각각 로컬라이즈 전송(Localized transmission)과 분산 전송(Distributed transmission)에 따라 5가지로 나뉘어진다.
즉, EPDCCH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DCI 전송을 위한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도 4, 5에 따라 5가지의 EPDCCH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되었다.
[ LTE 기반의 저가형 MTC ]
LTE 네트워크가 확산될 수록, 이동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유지보수 비용 등을 줄이기 위해 RAT(Radio Access Terminals)의 수를 최소화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GSM/GPRS 네트워크 기반의 MTC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고,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사용하는 MTC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 입장에서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MTC를 위해서는 GSM/GPRS 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두 개의 RAT을 각각 운영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주파수 대역의 비효율적 활용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수익에 부담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GSM/EGPRS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값싼 MTC 단말을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MTC 단말로 대체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LTE MTC 단말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저가 LTE MTC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협대역 지원/ 싱글 RF 체인(Single RF chain)/ 반듀플렉스 FDD(Half duplex FDD) / 긴 DRX(Long Discontinued Reception) 등의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고려되고 있는 상기 방법들은 종래의 LTE 단말과 비교하여 MTC 단말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과 같은 MTC 서비스를 지원하는 MTC 단말 중 20%정도는 지하실과 같은 'Deep indoor' 환경에 설치되므로, 성공적인 MTC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LTE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종래 일반 LTE 단말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20dB 정도 향상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규격 변경으로 인한 성능 감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LTE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20dB 이상 향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LTE MTC 단말 가격을 낮추면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PSD 부스팅(boosting) 또는 낮은 코딩률(Low coding rate) 및 시간 도메인 반복(Time domain repetition) 등과 같은 로부스트(Robust)한 전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각각의 물리채널 별로 고려되고 있다. LTE 기반의 저가형 MTC 단말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소 EGPRS 기반의 MTC 단말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속도, 즉 하향링크 118.4kbps, 상향링크 59.2kbps를 만족해야 한다.
2) 주파수 효율은 GSM/EGPRS MTC 단말 대비 획기적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3)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은 GSM/EGPRS MTC 단말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4) 전력 소모량도 GSM/EGPRS MTC 단말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5) 레가시(Legacy) LTE 단말과 LTE MTC 단말은 동일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6) 기존의 LTE/SAE 네트워크를 재사용한다.
7) FDD 모드뿐만 아니라 TDD 모드에서도 최적화를 수행한다.
8) 저가 LTE MTC 단말은 제한된 mobility와 저전력 소모 모듈을 지원해야 한다.
기존의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임의의 한 단말 혹은 단말 그룹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혹은 기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PDCCH/EPDCCH는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그 전송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저가형 MTC 단말에 대해 일반 LTE단말과 비교하여 20dB 향상된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지던 PDCCH 혹은 EPDCCH 전송을 복수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하고, 해당 MTC 단말도 해당 복수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된 PDCCH 혹은 EPDCCH를 컴바이닝(combining)하여 디코딩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저가형 MTC 단말을 위한 PDCCH 혹은 EPDCCH 전송 시, 해당 채널에 대한 repetition이 지원될 경우, 해당 MTC 단말에서 PDCCH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PDCCH 포맷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MTC 단말이 PDCCH 혹은 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의 DCI를 SF#0(Subframe Number #0) 내지 SF#3의 4개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SF#3 내지 SF#6의 4개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SF#0 내지 SF#3에서 전송된 DCI의 수신 값을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한 결과 CRC check가 성공할 때, 단말은 DCI에 포함된 PD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단말은 SF#3 내지 SF#6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 값을 소프트 컴바이닝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처럼 저가형 MTC 단말을 위한 PDCCH 혹은 EPDCCH 전송 시, 해당 채널에 대한 반복이 지원될 경우, 해당 MTC 단말에서 성공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반복 횟수 및 반복을 포함한 검색 공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MTC 단말을 위한 PDCCH 검색 공간 설정 방안에 대해 정의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N 반복 전송되는 PDCC/EPDCCH 후보(N repeated PDCCH/EPDCCH candidate), m의 구성을 위한 DL 서브프레임(들) 결정 방안에 이어서 각각의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 해당 PDCCH 후보, m을 위해 할당된 CCE 인덱스(들)(index 혹은 indices)를 구성하는 검색 공간(search space)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기존의 3GPP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단말의 경우, 임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을 위해 모니터링 하도록 정의된 PDCCH 후보(candidate)의 셋(set)으로 해당 단말을 위한 검색 공간(search space),
Figure pat00002
이 구성된다. 이 때 해당
Figure pat00003
을 구성하는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where,
Figure pat00004
)을 갖는 임의의 PDCCH 후보 m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여기서
Figure pat00006
의 값을 가지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경우,
Figure pat00007
을 가지며,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08
의 값을 갖는다. (단,
Figure pat00009
는 해당 DCI에 포함된 CIF(Carrier Indicator Field)값을 의미) 또한,
Figure pat00010
의 값을 가지고,
Figure pat00011
은 결합 레벨, L에 대해 단말이 모니터링 하도록 정의된 PDCCH 후보의 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는 해당 DL 서브프레임 k에서의 PDCCH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을 구성하는 CCE의 개수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식 (1)에서
Figure pat00013
값은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4
여기서 각각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는 슬롯 넘버(slot number))의 값을 가진다.
하지만, MTC 단말의 경우 해당 PDCCH가 단일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PDCCH 반복(repetition) 횟수 혹은 MTC 단말을 위한 새로운 PDCCH 포맷(format)의 정의에 따라 N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 되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검색 공간을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도메인(domain)으로 확장하여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반복 횟수가 N으로 정의된 임의의 N 반복되는 PDCCH 후보(N repeated PDCCH candidate), m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 결정 방안으로서, 방안 1에서는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를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 인덱스(들)(index 혹은 indices)를 결정하고, 방안 2에서는 각각의 N개의 DL 서브프레임에서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index 혹은 indices)를 정의하는 검색 공간 설정 식을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PDCCH/E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 결합 레벨 L 기반의 N회 반복된 PDCCH/E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N회 반복된 PDCCH/EPDCCH 전송이 시작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start ,n이 결정되고, PDCCH/EPDCCH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SF#kstart ,n으로부터 N개의 연속적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즉, SF#kstart ,n 내지 SF#(kstart ,n +N-1)을 통해 N회 반복되어 전송될 수 있다.
방안 1: MTC UE 를 위한 PDCCH / EPDCCH 반복이 시작되는 DL 서브프레임( starting DL subframe of PDCCH/EPDCCH repetition for MTC UEs )
먼저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들)를 결정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도록 한다.
결합 레벨, L 기반의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N 반복되는 PDCCH 전송(N repeated PDCCH transmission)이 시작되는 DL 서브프레임, kstart ,n을 정의하고, 이에 따라 DL 서브프레임 # kstart ,n ~ DL 서브프레임 # (kstart ,n + N-1)까지 연속적인 N개의 DL 서브프레임을 통해 해당 N 반복되는 PDCCH 전송을 수행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PDCCH 반복의 시작이 이루어지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start,n은 해당 PDCCH 반복의 횟수 N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해당
Figure pat00017
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8
여기서 M은 SFN(System Frame Number)값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19
는 슬롯 넘버를 나타낸다. 단, 상기의 수학식 3의 해당 mod 값이 0이 아닌 N보다 작은 임의의 자연수 값을 갖도록 정의할 수 있다. 혹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결합 레벨, L도 해당 DL 서브프레임(들)를 결정 식의 파라미터로 정의할 수도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20
상기의 수학식 3과 수학식 4는 반복 횟수, N의 함수 혹은 반복 횟수 N과 L의 함수로서 해당 PDCCH 반복이 이루어지는 DL 서브프레임(들)를 결정하는 실시예일뿐이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N의 함수 혹은 N과 L의 함수로서 DL 서브프레임(들)를 결정하는 다른 형태의 식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들)를 정의하기 위한 해당 PDCCH 전송이 시작되는 DL 서브프레임 인덱스(subframe index), kstart ,n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각각의 반복 횟수 N값에 따라 해당 시작 서브프레임 index값을 직접 설정하여 이를 셀 특이적(cell specific) 혹은 단말 특이적(UE-specific)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각각의 MTC 단말에 전송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해당 상위 계층 시그널링 기반의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작 DL 서브프레임 인덱스(starting DL subframe index), kstart ,n 설정 방법의 한 예로, 기존의 EPDCCH 모니터링 서브프레임 설정 방안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주기의 DL 서브프레임에 대해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작 DL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비트맵(bitmap) 방식으로 설정하여 시그널링하도록 할 수 있다.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DL 서브프레임(들)를 정의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N개의 DL 서브프레임 인덱스(들)를 해당 기지국에서 셀 특이적 혹은 단말 특이적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각각의 MTC 단말에게 직접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은 비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정한 주기 P를 갖는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를 할당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는 해당 주기 P 내의 모든 DL 서브프레임들(FDD의 경우 해당 DL 서브프레임 개수는 P개이고, TDD의 경우 P보다 작을 수 있다.)에 대해 비트맵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으나, 해당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를 할당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그널링 방안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방안 2: N 반복되는 PDCCH/EPDCCH를 위한 검색 공간 설정(Search space configuration for N repeated PDCCH/EPDCCH)
상기의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을 위한 DL 서브프레임(들) 결정 방안에 이어서 각각의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 해당 PDCCH 후보, m을 위해 할당된 CCE 인덱스(들)(index 혹은 indices)를 구성하는 검색 공간 설정 방안에 대해 제안하도록 한다.
각각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의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서 기존의 수학식 1을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임의의 MTC 단말을 위한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위해 각각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 설정되는 검색 공간, {
Figure pat00021
}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22
각각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의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아래의 수학식 6과 N을 파라미터로 추가하여 MTC 단말을 위한 변형된 {
Figure pat00023
} 을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4
단, 상기의 수학식 6은 반복 횟수, N을 파라미터로 포함하는 검색 공간 결정 식의 한 실시예일뿐, 해당 N을 포함한 검색 공간 설정 식의 형태를 이로 한정 짓는 것은 아니다. 즉, 해당 검색 공간 설정 식을 정의함에 있어서 해당 N값을 파라미터로 하는 다른 형태 검색 공간 설정 식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의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의 N repeated PDCCH 전송이 시작되는 DL 서브프레임인, DL 서브프레임 # kstart ,n에서 정의되는 CCE 인덱스(들)에 의해 후속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를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임의의 MTC 단말을 위한 DCI 전송을 위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start ,n부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start ,n+N-1까지 N개의 연속적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N번의 PDCCH 반복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N번 반복되는 PDCCH 전송(N repeated PDCCH transmission)을 위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kstart,n+1부터 kstart ,n+N-1까지 후속 N-1개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각각에서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는 첫번째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인 kstart ,n에서 해당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된 CCE 인덱스(들)와 동일한 CCE 인덱스(들)를 사용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수학식 5 혹은 수학식 6에 의해 해당 N 반복되는 후보(N repeated candidate), m을 구성하는 첫 번째 DL 서브프레임 # kstart,n에서의 CCE 인덱스(들),
Figure pat00025
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DL 서브프레임 #( kstart ,n+1)~Dl서브프레임 #( kstart ,n+N-1)에서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도
Figure pat00026
을 따르도록 정의할 수 있다.
각각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의 해당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각각의 반복 레벨 별 PDCCH 후보(들)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를 단말 특이적 혹은 셀 특이적 RRC 시그널링을 통해 반 정적(semi-static)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결합 레벨, L 및 반복 레벨, N 별 CCE 시작 오프셋(starting offset) 값, CCEL ,N을 시그널링해주도록 할 수 있다. 즉, 임의의 결합 레벨 L 기반의 PDCCH 전송에 대해 해당 PDCCH의 반복 횟수를 N이라 하고, 해당 N 반복되는 PDCCH 모니터링 후보(N repeated PDCCH monitoring candidates) 수를 C라 하면, 해당 N repeated candidate, m을 구성하는 첫 번째 DL subframe # kstart ,n ~ Dl subframe #(kstart ,n + N-1)에서 해당 첫번째 N 반복되는 PDCCH 후보가 각각 CCEL ,N~CCEL ,N+L-1에 의해 구성되고, 두번째 CCE는 CCEL,N+L~CCEL,N+2L-1에 의해 구성되는 식으로 해서 C번째 N 반복되는 PDCCH 후보는 CCEL,N+(C-1)L~CCEL,N+CL-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색 공간 설정 방안 상기의 N값이 어떤 값을 갖건 관계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N 반복되는 PDCCH 후보, m을 위한 DL 서브프레임 인덱스 설정 방법과 각각의 DL 서브프레임에서의 CCE 구성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그 조합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제안된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MTC 단말을 위한 DCI가 EPDCCH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에도, 즉, N 반복되는 PDCCH 후보(N repeated EPDCCH candidate)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 제안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안 1의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이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지국(20)과 단말(10)은 방안 1의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와 같이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한다. 즉 상기 N, L,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파라미터로 한 함수로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S810). 이후 기지국(20)은 단말(10)에게 PDCCH/EPDCCH를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하고, 단말(10)은 이를 수신한다(S82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안 1의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이 결정하여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방안 1의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20)이 반복 시작 서브프레임을 설정하고(S910),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920). 그 결과 단말(10)은 어느 서브프레임이 반복 전송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후 기지국(20)은 단말(10)에게 PDCCH/EPDCCH를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하고, 단말(10)은 이를 수신한다(S930).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안 2의 CCE/ECCE 인덱스(들)을 기지국이 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기지국(20)은 반복 전송될 PDCCH/EPDCCH의 검색 공간을 수학식 5 또는 수학식 6과 같이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기지국(20)과 단말(10)은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반복 전송의 시작 서브프레임의 PDCCH/EPDCCH 검색 공간을 반복 횟수(N) 및/또는 결합레벨(L)의 함수로 결정하고(S1010), 이후 기지국(20)은 단말(10)에게 PDCCH/EPDCCH를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하고, 단말(10)은 이를 수신한다(S102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안 2의 CCE/ECCE 인덱스(들)을 기지국이 결정하여 시그널링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기지국(20)이 반복 전송될 서브프레임의 CCE/ECCE를 설정하고(S1110), 이들 CCE/ECCE에 대한 정보를 단말(10)에게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한다(S1120). 그 결과, 단말(10)은 모니터링할 CCE/ECCE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게 되므로, 이후 기지국(20)은 단말(10)에게 PDCCH/EPDCCH를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하고, 단말(10)은 이를 수신한다(S1130).
도 8, 도 9의 방안 1과 도 10 및 도 11의 방안 2를 각각 선택 및 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N 반복전송되는 PDCCH/EPDCCH 후보(N repeated PDCCH/EPDCCH candidate), m을 구성을 위한 DL 서브프레임(들) 결정 방안에 이어서 각각의 N개의 DL 서브프레임(들)에서 해당 PDCCH/EPDCCH 후보, m을 위해 할당된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구성하는 검색 공간(search space) 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한다(S1210).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를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한다(S1220).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한다(S1230).
도 8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S1210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앞서 수학식 3 또는 4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단말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S1210 단계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0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S1220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5 또는 6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단말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11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S1220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을 통해 상기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셀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한다(S1310). 그리고 단말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한다(S1320). 상기 S1310과 S1320의 확인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혹은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수신한다(S1330).
도 8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S1310의 확인 방식은 단말이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3 또는 4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지국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S1310의 확인 방식은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0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S1320의 확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은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5 또는 6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지국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11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S1320의 확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은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셀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이적 상위계층 시그널링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400)은 제어부(1410), 송신부(1420) 및 수신부(1430)를 포함한다.
제어부(14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 있어서 MTC 단말의 PDCCH 모니터링을 위한 검색 공간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420)와 수신부(14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기지국(1400)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1410)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한다. 또한, 송신부(1420)는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한다.
도 8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3 또는 4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단말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도록 송신부(14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5 또는 6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단말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11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410)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도록 상기 송신부(14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500)은 수신부(1530), 제어부(1510) 및 송신부(1520)를 포함한다.
수신부(153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5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을 위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에 있어서 MTC 단말의 PDCCH monitoring을 위한 검색 공간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52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단말(1500)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한다.
도 8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3 또는 4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지국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안 1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수신부(1530)가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15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상기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수학식 5 또는 6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지국과 미리 수학식 또는 적용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도 11의 방안 2를 적용할 경우, 상기 제어부(1510)는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1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구성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되어 전송되는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구성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로 이루어진 검색 공간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도록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가 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설정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들)(index or indices) 또는 ECCE(Enhanced CCE) 인덱스(들)을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확인된 시작 서브프레임 및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단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전송 횟수(repetition) N, 결합 레벨(aggregation Level) L, 슬롯 넘버(slot number) n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기 시작 서브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전송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인덱스, 각각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구성된 전체 CCE 또는 ECCE의 개수, 단말의 RNTI, 상기 반복 전송 횟수 N 및/또는 결합 레벨 L을 이용하여 상기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또는 EPDCCH 후보를 위한 검색 공간에 할당되는 CCE 인덱스(들) 또는 ECCE 인덱스(들)에 대한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067128A 2013-10-04 2014-06-0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995 WO2015050339A1 (ko) 2013-10-04 2014-09-26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5/026,260 US9998269B2 (en) 2013-10-04 2014-09-2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apparatus therefor
CN201480054504.XA CN105659514B (zh) 2013-10-04 2014-09-26 用于传输和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8593 2013-10-04
KR1020130118593 2013-10-04
KR1020130142479 2013-11-21
KR20130142479 2013-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562A true KR20150041562A (ko) 2015-04-16
KR101919636B1 KR101919636B1 (ko) 2018-11-20

Family

ID=5303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128A KR101919636B1 (ko) 2013-10-04 2014-06-02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98269B2 (ko)
KR (1) KR101919636B1 (ko)
CN (1) CN105659514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1474A4 (en) * 2015-04-29 2019-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LC DEVICE FOR RECEIV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2368972A (zh) * 2018-07-12 2021-02-12 高通股份有限公司 利用pdcch重复的pdsch调度的时隙的确定规则
US11095404B2 (en) 2015-07-31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of same aggregation level by coding together
CN113316127A (zh) * 2015-05-15 2021-08-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跨多个子帧接收或传送下行链路传送的方法和装置
KR20220123745A (ko) * 2016-07-18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송신 지속 기간을 갖는 반송파 집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3658B1 (en) * 2013-11-22 2019-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bundle of pdcch, and mtc device
US10278120B2 (en) 2014-01-16 2019-04-3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for controlling small cell and apparatus for same
GB2522482A (en) 2014-01-28 2015-07-29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KR101865643B1 (ko) * 2014-03-21 2018-06-0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제어 정보 강화 전송 방법, 사용자 기기,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
JP6476306B2 (ja) * 2015-01-29 2019-02-2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Mtcデバイスに適したpdcchの初期化
CN107079306B (zh) 2015-02-06 2021-06-0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线通信方法、eNode B和用户设备
CN106559161B (zh) 2015-09-24 2019-01-04 株式会社Kt 传输和接收下行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10602488B2 (en) * 2015-10-22 2020-03-24 Qualocmm Incorporated HARQ and control channel timing for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EMTC)
WO2017144262A1 (en) * 2016-02-25 2017-08-3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10154481B2 (en) * 2016-11-15 2018-12-11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ation of search space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placement for improved decoding timeline
US11337237B2 (en) * 2016-11-25 2022-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receiving scheduling commands
WO2018137205A1 (zh) * 2017-01-25 2018-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信道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8137234A1 (zh) * 2017-01-26 2018-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10952241B2 (en) * 2017-02-14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index determination for bundled channel transmission in special subframes
CN108811096B (zh) 2017-05-02 2021-05-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信道传输、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CN109041223B (zh) * 2017-06-08 2024-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0741594B (zh) * 2017-06-13 2022-05-17 Lg电子株式会社 接收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设备
US11025403B2 (en) 2017-07-12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structure dependent configuration of physical channels
CN111095841B (zh) * 2017-09-11 2021-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信道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EP3689059A4 (en) 2017-09-29 2021-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IN CONNECTION WITH CONTROL CHANNEL DE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9819475B (zh) * 2017-11-20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搜索空间资源的确定方法、和装置
CN110166197B (zh) * 2018-02-12 2021-11-1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的发送、接收方法、装置、设备及基站
CN110536459A (zh) * 2018-08-10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重复传输方法及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2423392A (zh) * 2019-08-23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pdcch传输方法及装置
WO2021159308A1 (zh) * 2020-02-12 2021-08-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方法及装置
US11706810B2 (en) * 2020-02-21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Message 2 repetition with transmit beam sweep and associated beam refinement for message 3 and message 4
EP4149069A4 (en) * 2020-05-08 2024-02-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SSION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STORAGE MEDIUM
CN115053573A (zh) * 2020-12-30 2022-09-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配置参数确定方法、配置参数确定装置及存储介质
CN114828228A (zh) * 2021-01-18 2022-07-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Pdcch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5880A (zh) 2007-10-30 2009-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答信息跨子帧重复传输的方法及装置
CN102255688B (zh) * 2011-07-06 2013-04-10 合肥东芯通信股份有限公司 Ltepdcch盲检控制方法和装置
WO2013019088A2 (ko) 2011-08-04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tc 단말의 검색 영역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62374A1 (ko) * 2011-10-27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CN103096478B (zh) 2011-11-02 2016-01-13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优化pdcch中cce资源调度分配的方法和设备
US9807740B2 (en) * 2012-08-02 2017-10-31 Sun Patent Trust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uplink response signal transmission method
WO2014075239A1 (zh) * 2012-11-14 2014-05-2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发方法及相关装置
JP2016533658A (ja) * 2013-09-27 2016-10-27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eIMTA用のHARQ−ACKリソースの割当及び使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1474A4 (en) * 2015-04-29 2019-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LC DEVICE FOR RECEIV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US10952209B2 (en) 2015-04-29 2021-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LC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3316127A (zh) * 2015-05-15 2021-08-2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跨多个子帧接收或传送下行链路传送的方法和装置
US11095404B2 (en) 2015-07-31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of same aggregation level by coding together
US11882064B2 (en) 2015-07-31 2024-01-2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of same aggregation level by coding together
KR20220123745A (ko) * 2016-07-18 2022-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송신 지속 기간을 갖는 반송파 집성
US20220321275A1 (en) * 2016-07-18 2022-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er aggregation with variable transmission durations
US11799591B2 (en) 2016-07-18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rier aggregation with variable transmission durations
CN112368972A (zh) * 2018-07-12 2021-02-12 高通股份有限公司 利用pdcch重复的pdsch调度的时隙的确定规则
CN112368972B (zh) * 2018-07-12 2024-05-17 高通股份有限公司 利用pdcch重复的pdsch调度的时隙的确定规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49331A1 (en) 2016-08-25
CN105659514A (zh) 2016-06-08
KR101919636B1 (ko) 2018-11-20
US9998269B2 (en) 2018-06-12
CN105659514B (zh)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36B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0869303B2 (en) Method for monitor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pre-emption indication information in new radio networks and apparatus thereof
US1085630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pre-emption indication information using bitmap in new radio networks and apparatus thereof
US1056793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by MTC UE, and apparatus therefor
KR101940344B1 (ko)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08524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US202103518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1856304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5855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87805A (ko) 응답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8702280B (zh) 基于共享的解调参考信号来建立上行链路数据信道的方法及其装置
KR20150037461A (ko)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36888A (ko) Mtc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5002673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6450A (ko)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5013A (ko) Mtc 단말을 위한 상향 링크 물리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13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31793A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1009B1 (ko)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40192A (ko)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포맷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6766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1589A (ko) Mtc 단말을 위한 harq ack/nack 피드백 타이밍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9510A (ko)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0193A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3752A (ko) Mtc 단말을 위한 피드백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