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828A -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828A
KR20150040828A KR20150042343A KR20150042343A KR20150040828A KR 20150040828 A KR20150040828 A KR 20150040828A KR 20150042343 A KR20150042343 A KR 20150042343A KR 20150042343 A KR20150042343 A KR 20150042343A KR 20150040828 A KR20150040828 A KR 2015004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code
unique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42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445B1 (ko
Inventor
신광섭
신재명
Original Assignee
(주)아이비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비허브 filed Critical (주)아이비허브
Priority to KR1020150042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각각에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를 승인 서버로 전송하여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여 물품이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 고유 식별 코드를 무선 방식으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 리더; 및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코드 리더는 코드 리더 그 자체 또는 코드 리더가 설치된 전자 기기를 통하여 고유 식별 코드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승인 서버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의 허용 여부는 승인 서버로부터 코드 리더 또는 전자 기기를 매개하여 제어 장치로 전달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최초 코드 리더로 전달된 고유 식별 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가진다.

Description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Electronic Device for Selling Articles Automatically and System for Selling Articles Automatical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각각에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를 구매 서버로 전송하여 물품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물품이 자동으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개발과 함께 무인 판매를 위한 다양한 장치 또는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무인 판매 기술은 자판기로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형태의 물품의 판매로 영역이 확대되는 한편 전자결제 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결제 수단이 무인 판매에 적용되고 있다. 무인 판매에 적용될 수 있는 물품은 유형의 물품으로부터 무형의 물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무형의 물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매체에 저장이 가능하면서 전기 신호의 형태로 전송이 가능하면 통신 수단이 이송 수단으로 사용되고 그리고 별도로 결제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에 비하여 유형의 물품의 경우 자동판매기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특수한 형태의 물품 전시 공간 및 결제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한다.
무인 판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8-0076480호 ‘무인 자동판매 시스템’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양한 규격과 포장상태의 상품의 진열이 가능하면서 복수 개의 상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판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인 판매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091636호 ‘휴대폰을 이용한 구매가 가능한 자동판매 시스템 및 관리서버 제어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매자에 상품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자판기와, 구매자 핸드폰으로부터 자판기 내의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화번호 정보 및 금액 결제 요청을 하며 상기 자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구매자 핸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자판기의 상품 토출 여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구매자 핸드폰으로 결제에 대한 영수증을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구매자가 미리 적립한 예치금에 대한 데이터가 보관되어 있으며 상기한 관리 서버로부터 전화번호 정보 및 금액 결제 요청이 있는 경우 전화정보 제공 및 해당 금액의 결제 승인을 하는 이동 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판매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자동판매 시스템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2-0031752호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금액 정보와 사용자 인식 정보가 기록된 정보 태그가 형성된 스마트 컵; 상기 스마트 컵의 정보 태그를 판독하여 잔여 금액과 음료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음료 판매 가능/불가능 상태로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대금 결제 요청을 제어하는 음료 자동판매기; 및 상기 음료 자동판매기로부터 대금 결제 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현재 이용 가능한 금액에 근거하여 대금의 결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대금 결제 서버로 이루어지는 자동 판매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제시된 선행기술은 제한된 물품 판매에 적용될 수 있거나 복잡한 상품 인출 구조가 별도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상품 구매 및 대금 결제를 위하여 예를 들어 화폐 인식 장치와 같은 별도의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공지의 사용자 결제방식의 자동판매기의 경우 요금 결제에 필요한 예를 들어 터치 화면 또는 버튼과 같은 입력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그리고 선택한 물품에 대한 결제를 위해 별도의 통신회선이 필수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2008-0076480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2005-0091636 선행기술3: 특허공개번호 2013-0031752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물품의 자동 판매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물품의 자동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매개를 통하여 구매 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모든 장소에서 구매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물품의 자동 판매를 위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는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전자기기에 판독이 가능하도록 전송하는 수단; 및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의하여 판독이 된 고유 식별 코드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물품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로 전송이 되고,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의 허용 여부가 구매 서버에 의하여 결정이 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이 되거나 또는 물품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물품 제어 모듈로 전송이 되고 그에 따른 물품에 대한 접근 또는 물품의 공급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구매 서버는 접근의 허용 여부를 위한 결정을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기기로 암호화가 된 보안 식별 코드를 함께 전송하고 그리고 보안 식별 코드는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전자기기로 고유 식별 코드가 판독이 되면서 생성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은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 상기 물품의 고유 식별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수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 및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하여 구매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에 대한 접근의 허용 여부 또는 공급의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 폰이 되고 그리고 물품은 유형 또는 무형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구매 서버는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만을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을 통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 또는 공급 여부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는 물품의 고유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구매자의 휴대용 이동 통신 기기 또는 전자 기기가 사용되는 것에 의하여 물품 구매가 편리하도록 하는 한편 물품 구매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 방식은 예를 들어 양으로 판매되는 어류 또는 곡물류, 개수 단위로 판매되는 공산품 또는 무형의 전기와 같이 물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 방식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하여 구매 과정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매를 위한 설비가 단순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구체적 구매 장소에 제어 장치만이 설치되고 그리고 휴대용 전자 기기와 구매 서버 사이에 물품 구매와 관련된 모든 정보가 송수신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무인 판매 설비가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물품과 관련되는 제어 장치가 구매 서버와 별도로 통신회선의 연결이 필요가 없도록 하면서 장소에 상관없이 무인 판매 시설의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달리 말하면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하여 자동 판매 관련 장치에 결제를 위한 입력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공지의 시스템과 달리 결제를 위한 통신 회선, 화폐 인식 장치 또는 NFC(Near Field C ommunication) 시스템과 같은 것이 요구되지 않아 시스템의 설치가 간단하면서 유지 및 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판매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판매의 작동 과정에서 물품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송신 및 수신이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판매 과정에서 진열 랙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구매 시스템에서 구매 과정이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는 칩 또는 소자 형태로 되어 전기적 또는 전자적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전자 신호가 저장된 저장 매체, 전자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 칩과 같은 무선 통신 칩, 블루투스 통신 칩, 근거리 통신 칩, 무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전기 통신이 가능한 광학 장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매체를 판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판독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적 신호의 저장, 수신, 송신, 실행 또는 이들의 조합이 가능한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전자 장치는 단일의 형태가 되거나, 다양한 소자의 결합된 형태, 프로그램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 매체와 결합된 형태가 될 수 있고 반드시 물리적 외관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가지는 자동 물품 공급 장치 또는 물품에 부착된 QR 코드. 바-코드 또는 다른 전자적 신호로 부여된 제품 ID 코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근거리 이동통신 기능 또는 카메라가 내장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자동 판매 랙에 진열된 제품의 고유 식별 번호를 획득하여 구매 서버에 구매 요청을 하면 구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고유 식별 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물품의 금액과 판매자 송금 계좌 정보 또는 구매자 결제구좌정보를 가져와서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와 같은 기능을 관련된 일련의 프로세스가 전자 정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물품은 유형 또는 무형이 될 수 있다. 유형의 물품은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상품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무형의 물품은 예를 들어 충전을 위한 전력 또는 전송이 가능한 프로그램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전송이 가능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전기 신호 형태로 변환된 게임, 음악, 소설 또는 기타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무형의 물품은 예를 들어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의 사용을 위한 전력 또는 전송이 가능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전송이 가능한 콘텐츠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 의하여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파일 형태로 변환된 게임, 음악, 소설 또는 기타 소프트웨어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은 판매 가능한 모든 재화를 포함하고 재화의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판매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무선 방식으로 전자기기에 의하여 판독이 가능하도록 전송하는 수단; 및 각각의 물품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의하여 판독이 된 고유 식별 코드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물품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로 전송이 되고, 상기 물품 공급의 허용 여부가 구매 서버에 의하여 결정이 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이 되거나 또는 물품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급 제어 모듈로 전송이 되고 그에 따라 물품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 물품의 고유 식별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수단;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 및 물품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하여 구매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품(11a 내지 12m)은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진열대의 진열 랙(11, 12)에 진열이 되거나, 사용자에 대한 물품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도로 주변 또는 주차장과 같은 곳에 설치되거나 또는 자동판매기 형태로 설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11a 내지 12m)은 건물 내부의 판매 시설 내에 별도로 마련된 진열대에 진열이 되거나 또는 주차장과 같은 곳에 자동판매기 또는 공급 포스트(post)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물품(11a 내지 12m)은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질 수 있다.
고유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 code) 또는 전자 신호로 변환될 수 있는 임의의 표지 또는 RF 칩과 같은 전자소자에 저장된 ID 코드가 될 수 있다. 고유 식별 코드는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물품에 대한 식별 정보는 하나의 물품을 다른 물품과 구별되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정보는 제조사, 제조 일자, 유통기간, 가격, 규격 또는 사용방법과 같은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선택된 물품을 다른 물품과 구별이 되도록 하는 최소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식별 코드는 일련의 숫자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전자기기(M)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 폰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품으로부터 고유 식별 코드를 읽을 수 있고 그리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M)는 예를 들어 광학 카메라, QR 코드 스캐너, 바코드 스캐너 또는 RF 리더와 같은 고유 식별 코드를 읽을 수 있는 리더기를 가질 수 있다. 리더기는 예를 들어 QR 코드 스캔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기기(M) 자체에 설치된 광학 카메라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전자기기(M)에 의하여 읽혀진 고유 식별 코드는 전자기기(M)의 디스플레이(14a)에 표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구매를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고유 식별 코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기기(M)로 전달될 수 있고 또한 고유 식별 코드가 반드시 물품(11a 내지 12m)에 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유 식별 코드는 진열 랙(11, 12)에 비치될 수 있다.
물품은 전열 랙(11, 12)에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진열 랙(11, 12)의 앞쪽에 접근 블록(13a, 13b)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유형의 제품은 진열 랙(11, 12)에 설치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력 또는 프로그램 콘텐츠와 같은 무형의 제품은 진열 랙(11, 12)을 대신하여 또는 진열 랙(11, 12)에 무형의 제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또는 공급 포스트에 의하여 공급이 될 수 있다. 접근 블록(13a, 13b)은 구매 결정에 의하여 공급이 허용된 경우 물품이 배출되거나, 물품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는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접근 블록(13a, 13b)은 예를 들어 각각의 물품(11a 내지 12m)에 설치된 개폐 도어가 되거나, 물품(11a 내지 12m)이 배출되어 외부에서 인출시키도록 하는 배출구가 되거나 또는 콘텐츠 다운로드를 위한 연결 잭, 전력 충전을 위한 연결 플러그에 설치된 슬라이드 도어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접근 블록(13a, 13b)은 물품(11a 내지 12m)에 직접 접근하여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허용 수단이 된다. 다양한 형태의 접근 블록(13a, 13b)이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기기(M)에 의하여 물품(11a 내지 12m)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4a)에 고유 식별 코드에 따른 물품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단지 고유 식별 코드만이 전자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물품 정보는 예를 들어 물품 명칭, 용도 또는 제조사와 같은 간단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 디스플레이(14a)에 단지 선택된 상품명 및 상품 번호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만약 선택된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하여 구매 의사를 가진다면 전자기기(M)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물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은 구매 서버(16)로 전송될 수 있다. 구매 서버(16)로 전송되는 것은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가 되고 구매 서버(16)는 전송된 고유 식별 코드에 따른 물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구매 서버(16)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가지거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서버(16)는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전자기기(M)의 가입 정보, 계좌 정보 또는 기타 물품(11a 내지 12m)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전자기기(M)와 구매 서버(16) 사이에 구매와 관련된 요청, 물품 정보 및 승인 코드가 송수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서버(16)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물품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사용자의 전자기기(M)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송된 물품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물품(11a 내지 12m)의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게 되면 구매 서버(16)는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 또는 전자기기(M)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에 대한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17)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결제에 대한 승인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서버(16)는 물품(11a 내지 12m)에 대한 다양한 정보 또는 전자기기(M)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결제 서버(17)를 경유하지 않고 구매 서버(16)에서 자체적으로 결제의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M)를 통하여 구매/결제 선택을 하여 전송하면 구매 서버(16)는 승인 여부를 결정하여 금융권 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결제를 실행하고 결과를 휴대용 전자기기(M)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M)로 전송되는 최종 구매 승인 정보는 보안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식별 코드는 휴대용 전자기기(M)에 의하여 판독이 되지 않지만 제어 장치(15) 또는 접근 제어 모듈(15a)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보안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승인 정보는 휴대용 전자기기(M)를 통하여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유닛(15a)으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 장치(15)와 물품 제어 유닛(15a)은 분리된 장치로 설명이 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장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자 기기(M)의 디스플레이(14a)에 예를 들어 승인 및 지불된 금액이 표시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물품 제어 유닛(15a)에 의하여 접근 블록(13a, 13b)이 개방될 수 있다. 물품 제어 유닛(15a)은 진열 랙(11, 12)의 배치에 따라 적절한 수로 설치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어 장치(15) 일체가 될 수 있다. 물품 제어 유닛(15a)에 의하여 물품(11a 내지 12m)이 배출되거나 또는 콘텐츠의 제공과 같이 물품(11a 내지 12m)을 위한 포스트를 통한 공급이 허용되면 구매 절차가 완료되고 관련 정보는 제어 장치(15)에 저장이 될 수 있다.
물품(11a 내지 12m)의 고유 식별 코드가 전자기기(M)에 읽혀지는 경우 읽혀진 고유 식별 코드는 물품 제어 유닛(15a)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품 제어 유닛(15a)은 예를 들어 물품(11a 내지 12m)이 진열 랙(11, 12)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 특정 물품(11a 내지 12m)의 고유 식별 코드가 전자 기기(M)에 의하여 판독되었는지 여부 또는 접근 블록(13a, 13b)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품 제어 유닛(15a)은 또한 제어 장치(15)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5)는 물품(11a 내지 12m)과 관련된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물품(11a, 12m)이 건물 내에 비치된 경우라면 제어 장치(15)는 건물 내의 모든 물품(11a, 12m)의 배치, 구매, 감시 또는 공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중앙 통제 서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5)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물품 구매를 위한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구매 서버(16)에서 최종 구매 승인은 전자기기(M)로 전송되면서 이와 동시에 제어 장치(15)로 전송될 수 있고 대안으로 제어 장치(15)로 전송이 되고 다시 전자기기(M)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최종 승인 결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 장치(15) 또는 전자기기(M)로 전송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매 절차를 위한 정보의 전달 과정은 암호화가 된 신호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M)와 구매 서버(16) 사이의 통신은 암호화가 된 신호로 전송이 될 수 있고 암호화가 된 신호 의 디코딩 프로그램은 구매 서버(16)로부터 미리 전송이 되거나 또는 전자기기(M)로부터 최초로 고유 식별 코드가 구매 서버(16)로 전송이 되고 그리고 물품(11a 내지 12m)이 전송이 되면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프로세스의 암호화가 가능하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고유 식별 코드는 물품(11a 내지 12m)으로부터 전자 기기(M)로 전달되고 다시 전자 기기(M)로부터 구매 서버(16)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서버(16)로부터 구매의 허용 여부와 관련된 정보는 구매 서버(16)로부터 휴대용 전자 기기(M)로 전달이 되고 그리고 전자 기기(M)를 통하여 제어 장치(15)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구매 서버(16)로 전달된 고유 식별 코드와 구매 서버(16)에서 판단이 된 고유 식별 코드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확인이 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매 서버(16)가 미리 결정된 구매 서버(16)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 장치는 전송된 고유 식별 코드와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고유 식별 코드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필요가 있다. 추가로 전자 기기(M)를 통하여 전달된 정보가 미리 결정된 구매 서버(16)로부터 전송된 정보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 이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서 물품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송신 및 수신이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열 랙(11)과 연결된 물품 제어 모듈(21)은 일정 공간에 설치된 전체 물품(11a 내지 11k)을 관리하면서 이와 동시에 구매 설비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하는 제어 장치(1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물품 제어 유닛(21)은 도 1의 물품 제어 유닛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물품 제어 모듈(21)은 고유 식별 코드를 읽을 수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기기(M)와 직접적으로 또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M)는 구매 서버(16)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 물품 제어 모듈(21)이 전자기기(M)와 통신을 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지만 예를 들어 고유 식별 코드는 물품(11a 내지 11k)에 직접 부착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전자기기(M)에 의하여 직접 판독이 될 수 있다.
물품 제어 모듈(21) 또는 물품(11a 내지 11k)에 부착된 고유 식별 코드(ID-Code)가 전자기기(M)에 의하여 읽혀지면 사용자는 전자기기(M)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물품(11a 내지 11k)의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M)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고유 식별 코드(ID-Code)가 구매 서버(16)로 전송이 될 수 있다. 만약 구매가 결정되거나 또는 물품(11a 내지 11k)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하면 전자기기(M)는 구매 서버(16)로 고유 식별 코드(ID-code)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고유 식별 코드와 관련된 물품(11a 내지 11k)에 관련된 정보가 전자기기(M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전자기기(M)로부터 구매 결정 및 결제 요청이 전달되면 구매 서버(16)는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의 결제 서버(17)에 결제 요청(RE)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결제 서버(17)는 승인 여부에 대한 결과(RE)를 전달한다. 대안으로 구매 서버(16)에서 자체적으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품 공급자와 대금 결제와 관련하여 미리 계약이 되어 있다면 구매 서버(16)에서 결제 승인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추후 대금이 별도로 결제가 될 수 있다. 결제 승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면 구매 서버(16)는 승인 코드(AC-Code)를 전자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승인 코드(AC-Code)는 예를 들어 물품 명칭, 지불 금액 또는 지불 방법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기(M)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최종 결정에 의하여 승인 코드(AC-Code)는 전자기기(M)를 통하여 물품 제어 모듈(21)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물품(11a 내지 11k)이 배출될 수 있다.
구매 서버(16)는 승인 코드(AC-Code)를 보안 식별 코드(TI-code)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식별 코드(TI-Code)는 암호화가 된 형태가 될 수 있고 숨은 코드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M)는 보안 식별 코드(TI)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거나 적어도 판독을 할 수 없다. 보안 식별 코드(TI-code)는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에 의해서만 판독이 가능하다. 보안 식별 코드(TI)는 이와 같이 적어도 암호화가 된 형태로 전자 기기(M)로 전송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에 의해서만 판독이 될 수 있다. 보안 식별 코드(TI)는 제어 장치(15)에 고유하게 생성이 되는 한편 물품과 관련된 고유 식별 코드(ID-code)에 고유하게 생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은 최초로 전송이 된 고유 식별 코드(ID-code)와 전자 기기(M)를 통하여 수신된 승인 코드(AC-code)가 동일한 물품에 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은 전송된 고유 식별 코드(ID-code)에 관련된 물품과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물품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승인 코드(AC-code)가 전자기기(M)에 수신이 되면 전자기기(M)에 의하여 승인 코드(AC-code)가 물품 제어 모듈(21)로 전송이 되거나 또는 별도로 인증 코드(AU-code)가 추출이 되어 물품 제어 모듈(21)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인증 코드(AU-code)는 제어 장치(15)로 직접 전송이 될 수 있다. 인증 코드(AU-code)가 직접 제어 장치(15)로 전달이 되는 경우 고유 식별 코드(ID-code) 및 인증 코드(AU-code)만 전송될 수 있고 별도로 물품에 대한 정보는 전송이 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기기(M)에 의하여 고유 식별 코드(ID-code)가 읽혀지는 경우 물품 제어 모듈(21)은 읽혀진 고유 식별 코드(ID-code)를 제어 장치(15)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서버(16)로부터 수신된 승인 코드(AC-code) 또는 인증 코드(AU-code)는 제어 장치(15)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은 승인 코드(AC-code) 또는 인증 코드(AU-code)를 각각 확인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물품을 공급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승인 코드(AC-code) 또는 인증 코드(AU-code)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오류 코드를 발생시키고 그리고 그에 따라 물품 구매가 취소될 수 있다. 다만 전자 기기(M)에 의한 승인 코드(AC-code) 또는 인증 코드(AU-code)의 전송은 제어 장치(15)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 중 어느 하나로만 전송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품의 공급 또는 배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결과가 제어 장치(15)에 저장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기기(M)와 구매 서버(16) 사이의 정보 교환 또는 물품 제어 모듈(21)과 전자기기 사이의 정보 교환은 모두 암호화가 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보안 식별 코드(TI-code)은 자체적으로 암호화가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암호화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2의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진열 랙(11k)에 진열된 물품(11a 내지 11k)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는 물품 접촉 유닛(25)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물품(11a 내지 11k)에 대하여 하나의 고유 식별 코드가 물품 접촉 유닛(25)에 부착될 수 있고 그리고 물품 접촉 유닛(25)은 물품 제어 모듈(2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유 식별 코드(ID-code), 승인 코드(AC-code), 인증 코드(AU-code) 또는 보안 식별 코드(TI-Code)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코드에 의하여 물품의 구매 여부가 승인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자동 판매 과정에서 진열 랙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물품(11a)이 설치되는 진열 랙(11) 또는 무형의 물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스트(31)에 센서(32)가 설치될 수 있다. 센서(32)는 예를 들어 로드 셀, 접촉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스트리밍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센서(32)는 진열 랙(11) 또는 공급 포스트(31)를 통하여 물품 공급 모듈(36)과 연결이 될 수 있고 물품 제어 모듈은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물품(11)의 존재 여부를 탐지할 수 있다. 공급 포스트(31)는 공급 루트(33)를 가질 수 있고 공급 루트(33)는 예를 들어 충전 케이블 또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전송 케이블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공급 루트(33)는 저장 매체 또는 충전 모듈과 연결이 될 수 있고 센서(32)에 의하여 공급 가능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충전 포스트(31)에 커넥터(11b)가 설치될 수 있고 커넥터(11b)를 통하여 물품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배출 루트(34a, 34b)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 루트(34a, 34b)를 설치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물품(11a)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 루트(34a, 34b)를 통하여 물품(11a)은 사용자(35)에게 공급될 수 있다.
진열 랙(11)에 센서(32)를 설치하는 것은 물품(11)이 구매와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특정 물품(11a)이 진열 랙(11)에서 소진이 되었다면 센서(32)에 의하여 탐지되어 물품 공급 모듈(36)로 전송이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물품 공급 모듈(36)은 필요한 물품(11)이 진열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물품(11)의 진열 여부가 탐지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물품(11a)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 공급 모듈(36)과 진열 랙(11)을 분리시키는 것은 물품(11)의 공급이 간단해지도록 하면서 물품(11)의 관리가 용이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물품 판매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하여 먼저 각각의 물품 또는 각각의 물품 종류에 따라 고유 식별 코드가 부여되어야 한다(S41). 그리고 고유 식별 코드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기기에 프로그램 형태로 내장이 된 QR 코드 스캐너와 같은 것에 의하여 판독이 될 수 있다. 대안으로 고유 식별 코드는 RF 칩에 의하여 전송이 되고 전자기기에 의하여 수신이 될 수 있다(S42). 사용자가 전자 기기를 사용하여 고유 식별 코드를 판독하면 물품 정보가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물품에 대한 정보 요청이 전자기기에 의하여 구매 서버로 전송이 될 수 있다(S421). 그리고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구매 서버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에 결과에 따라 사용자는 구매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S43). 만약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지 않는다면(NO) 다시 다른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를 읽거나 또는 물품 구매를 취소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물품 구매를 원한다면(YES) 물품 구매의 승인이 전자 기기를 통하여 예를 들어 결제 서버와 같은 서버를 통하여 결제 승인을 확인하고 그리고 승인 코드가 전자기기로 전송이 될 수 있다(S44). 그리고 전자기기에 의하여 제어 모듈로 승인 여부가 전송될 수 있다(S45). 그리고 이와 동시에 암호 코드가 포함된 인증 코드가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이 되고 다시 제어 모듈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승인 코드 또는 인증 코드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461).
만약 승인 코드 또는 인증 코드가 미리 결정된 코드에 해당되지 않거나 구매 서버로부터 전송이 된 것으로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NO), 오류 코드를 발생시키게 되고(S471) 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고(S472) 그리고 다시 제어 모듈로 전송하게 된다(S473). 이에 비하여 인증 코드가 진정한 것으로 확인이 된다면(YES) 제어 모듈로 전송이 되고(S473) 그리고 물품에 대한 공급이 개시될 수 있다. 이후 물품 공급이 완료되면 관련 정보가 저장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절차에서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와 물품이 진열이 된 자동판매기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 또는 지그비 통신과 같은 근거리 RF 통신이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전자기기와 구매 서버 사이에 일반 무선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과 같은 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 절차에서 자동판매기와 전자기기 또는 전자기기와 구매 서버 사이에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통신 방법을 포함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통신 수단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는 물품의 고유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사용되는 것에 의하여 물품 구매가 편리하도록 하는 한편 물품 구매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판매 방식은 예를 들어 양으로 판매되는 어류 또는 곡물류, 개수 단위로 판매되는 공산품 또는 무형의 전기와 같이 물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물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구매 방식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하여 구매 과정이 결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구매를 위한 설비가 단순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구체적 구매 장소에 제어 장치만이 설치되고 그리고 휴대용 전자 기기와 구매 서버 사이에 물품 구매와 관련된 모든 정보가 송수신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무인 판매 설비가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물품과 관련되는 제어 장치가 구매 서버와 별도로 통신회선의 연결이 필요가 없도록 하면서 장소에 상관없이 무인 판매 시설의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달리 말하면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하여 자동 판매 관련 장치에 결제를 위한 입력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공지의 시스템과 달리 결제를 위한 통신 회선이나 화폐인식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시스템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 유지 및 관리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12: 진열 랙 11a 내지 12m : 물품
13a, 13b: 접근 블록 14a: 디스플레이
15: 제어 장치 16: 구매 서버
21: 물품 제어 유닛 25:물품 접촉 유닛
31: 공급 포스트 32: 센서
33: 공급 루트 34a, 34b: 배출 루트
36: 물품 공급 모듈

Claims (2)

  1. 물품에 부여된 고유 식별 코드;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전자기기에 판독이 가능하도록 전송하는 수단; 및
    각각의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에 의하여 판독이 된 고유 식별 코드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물품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로 전송이 되고, 상기 구매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에 따른 물품 정보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물품의 구매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매 서버에 의하여 상기 구매 선택에 따라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되어 상기 전자기기를 통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이 되거나 또는 물품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물품 제어 모듈로 전송이 되고, 그에 따른 물품에 대한 접근 또는 물품의 공급이 가능해지고, 상기 구매 서버는 접근의 허용 여부를 위한 결정을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로 암호화가 된 보안 식별 코드를 함께 전송하고, 상기 보안 식별 코드는 상기 제어 장치 또는 물품 제어 모듈에 의해서 판독이 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최초로 전송이 된 고유 식별 코드와 상기 전자기기를 통하여 수신된 승인 코드가 동일한 물품에 해당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2.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
    상기 물품의 고유 식별 코드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구매를 위한 프로세서를 진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수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고유 식별 코드를 가진 물품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구매 서버;
    상기 물품이 진열된 진열 랙;
    상기 진열 랙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물품이 배출되거나, 물품의 획득이 하도록 하거나 또는 공급이 개시되도록 하는 접근 블록(13a, 13b); 및
    상기 물품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고유 식별 코드의 전송과 함께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고유 식별 코드의 전송에 따라 구매 서버로부터 상기 물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통하여 구매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에 대한 접근의 허용 여부 또는 공급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KR1020150042343A 2015-03-26 2015-03-26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KR101586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43A KR101586445B1 (ko) 2015-03-26 2015-03-26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343A KR101586445B1 (ko) 2015-03-26 2015-03-26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805A Division KR20150008207A (ko) 2013-07-10 2013-07-10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828A true KR20150040828A (ko) 2015-04-15
KR101586445B1 KR101586445B1 (ko) 2016-01-18

Family

ID=5303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43A KR101586445B1 (ko) 2015-03-26 2015-03-26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00A (ko) * 2018-09-27 2020-04-06 박진석 유무인 스토어 보안 및 자동 결제 시스템
KR20210059330A (ko) 2019-11-15 2021-05-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결제 및 환불 기능을 갖는 도난방지 캐비넷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5618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무인 결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141A (ja) * 2001-02-14 2002-08-30 Super Contents Distrubutions Ltd 商品情報配信方法、その商品自動販売機、商品コード読取装置、商品情報検索端末および商品情報配信サーバ
KR20050091636A (ko) 2005-08-03 2005-09-15 백상주 휴대폰을 이용한 구매가 가능한 자동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81991A (ko) * 2005-01-11 2006-07-14 주식회사데이콤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8815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캐시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카드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기를이용한 원타임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6480A (ko) 2007-02-16 2008-08-20 박명해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KR20100006802A (ko) * 2008-07-10 2010-01-22 박찬용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무인 점포 시스템
KR20130031752A (ko) 2011-09-21 2013-03-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차량의 배기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141A (ja) * 2001-02-14 2002-08-30 Super Contents Distrubutions Ltd 商品情報配信方法、その商品自動販売機、商品コード読取装置、商品情報検索端末および商品情報配信サーバ
KR20060081991A (ko) * 2005-01-11 2006-07-14 주식회사데이콤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1636A (ko) 2005-08-03 2005-09-15 백상주 휴대폰을 이용한 구매가 가능한 자동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8815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캐시 스마트카드 또는 스마트카드 칩이 내장된 휴대전화기를이용한 원타임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76480A (ko) 2007-02-16 2008-08-20 박명해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KR20100006802A (ko) * 2008-07-10 2010-01-22 박찬용 자동판매 기능을 갖는 무인 점포 시스템
KR20130031752A (ko) 2011-09-21 2013-03-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차량의 배기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00A (ko) * 2018-09-27 2020-04-06 박진석 유무인 스토어 보안 및 자동 결제 시스템
KR20210059330A (ko) 2019-11-15 2021-05-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결제 및 환불 기능을 갖는 도난방지 캐비넷을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5618A (ko) * 2021-07-23 2023-01-31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무인 결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445B1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US20150170298A1 (en) Fuel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200135012A1 (en) Mechanisms for securing goods at a point-of-sale
KR20110012237A (ko) 골드바 자판기
KR101958701B1 (ko)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657667B2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KR101586445B1 (ko)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EP4115380A1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070111740A (ko) 고객 정보 인식에 의한 쇼핑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그 시스템에 적용되는 카트
US20230322487A1 (en) Nfc validation bypass system and method
US201803656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JP2000268239A (ja) 商品選択装置
KR20150008207A (ko) 무인 물품 판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무인 물품 판매 시스템
KR100394375B1 (ko) 벤딩코인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KR100430035B1 (ko) 무선결제 단말기, 제품판매-무선결제 시스템, 및 이들을이용한 인터넷 기반 제품판매-무선결제 시스템
KR20170001787A (ko) 비콘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시스템
KR20180077617A (ko) 핀테크 결제 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KR102326900B1 (ko)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2532770B1 (ko) 암호화 키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6669A (ko) 물품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4562A (ko) Rfid / usn 기술 및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한 금융망연계 택배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66755A1 (en) Reconfigurable vending machin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nding machines
KR100377385B1 (ko) 통신망을 통한 자판기 판매관리 및 판매성향 분석방법
KR20180078643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자동판매기 상품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