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563A -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563A
KR20150040563A KR20130119227A KR20130119227A KR20150040563A KR 20150040563 A KR20150040563 A KR 20150040563A KR 20130119227 A KR20130119227 A KR 20130119227A KR 20130119227 A KR20130119227 A KR 20130119227A KR 20150040563 A KR20150040563 A KR 2015004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area
function
searched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세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0563A/ko
Priority to EP20140159276 priority patent/EP2857954A1/en
Priority to US14/320,753 priority patent/US20150098109A1/en
Publication of KR2015004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8Printing driverless or using generic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G06F3/1271Job submission at the printing node, e.g. creating a job from a data stored locally or remote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6Customising to the data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고, 수신된 웹 페이지 중 검색된 영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웹 브라우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웹 페이지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웹 페이지의 주요 영역을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여,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를 다운받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표시장치와 다르게 작고 낮은 해상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웹 페이지 상에 필요한 영역을 찾기 위하여 작은 화면상에서 웹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웹 페이지의 표시가 필요한 경우에 웹 페이지의 주요 영역을 스크롤하여 표시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웹 브라우저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서 아이디 입력 영역 및 패스워드 입력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부, 및,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의 기설정된 태그 아이디의 영역을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복수개 검색되면, 검색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클라우드 투 인쇄 기능을 선택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클라우드-투-프린팅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서 아이디 입력 영역 및 패스워드 입력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본 구동 제어 방법은,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의 기설정된 태그 아이디의 영역을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복수개 검색되면, 검색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구동 제어 방법은, 클라우드 투 인쇄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투-프린팅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웹 브라우저부(140), 기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일 수 있으며, 스캔 기능이 구비된 경우 화상독취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서버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될 인쇄 데이터를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웹 페이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특정 기능 수행에 필요한 웹 페이지를 수신을 위하여, 웹 서버(web server)로 HTTP request를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계정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수신된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계정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명령 및 스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스캔 명령 또는 인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의 수행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인 스캔-투-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투-프린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은 스캔-투-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투-프린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캔-투-클라우드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클라우드-투-프린팅은 클라우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문서를 인쇄하는 기능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웹 페이지의 수신이 필요한 기능이라면 상기 두 기능 이외의 기능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후술할 웹 브라우저부(140)에서 생성한 웹 페이지에 대한 출력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수신된 웹 페이지 중 후술할 웹 브라우저부(140)에서 검색된 주요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수신된 웹 페이지의 해상도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축소하여 표시하거나, 확대하여 표시함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즉, 현재 표시되는 영역이 웹 페이지의 어떠한 위치인지에 대한 정보)(이한 정보는 그래픽 형태일 수 있으며, 문자 정보(ex : 1/3)일 수도 있다)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되는 키보드 영역은 qwerty 좌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서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화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특정 정보(예를 들어, 계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클라우드 서버 접속에 필요한 아이디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선택받은 기능과 관련된 처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스캔-투-클라우드 기능 수행을 요청받은 경우, 로그인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파일의 전송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스캔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프리-스캔 작업에 의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스캔 작업에 의하여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웹 페이지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기능부(150)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 또는 랜더링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의 기설정된 태그 아이디의 영역을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웹 페이지가 클라우드 서버의 로그인을 위한 웹 페이지인 경우, 로그인과 관련된 주요한 영역은 ID 입력 영역과 패스워드 입력 영역이다. 따라서,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에서 <ID> 태그 아이디와 <PASSWORD> 태그 아이디를 검색하여, 검색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주요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 중 검색된 영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할 때, 웹 페이지의 좌측 상부 부분이 아닌, 검색된 영역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수신된 웹 페이지에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복수개 검색되면, 웹 브라우저부(140)는 검색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검색된 복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기능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작업이 가능한 경우, 기능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수신된 인쇄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스캔 작업이 가능한 경우, 기능부(15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기능부(150)의 기능으로 스캔 및 인쇄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기능부(150)는 팩스 동작 및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반적인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을 선택받으면,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가 수신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신된 웹 페이지 내의 주요 영역이 검색되고, 검색된 주요 영역이 표시되도록 웹 브라우저부(1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기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한 경우, 스캔 작업에 의한 스캔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기능부(150)를 제어하고, 생성된 스캔 이미지가 사용자가 선택한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수신된 웹 페이지의 주요한 영역을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별도의 스크롤 동작 없이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거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는 별도의 웹 브라우저부(1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가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가 수신된 웨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결과를 바로 표시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은 일반적인 웹 페이지에 대한 종래와 본 실시 예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웹 페이지는 PC나 모바일 기기 등 고해상도의 화면에 맞추어 제작되었으며, 그보다 작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는 도 2의 20 영역과 같이 웹 페이지의 일부만을 표시하게 된다. 도 2의 경우 서비스의 로고, 환영 메시지 등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인지하기 어렵게 되며,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모르는 실제 데이터를 찾기 위해서 웹브라우저 화면을 스크롤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하게 되는데, 해당 클라우드 서버의 로고 및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을 환영하는 메시지만을 표시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기능을 잘못 선택한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즉, 해당 웹 페이지의 표시 이유는 해당 웹 페이지를 통하여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나, 이러한 정보의 입력이 필요함이 바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당혹스러울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을 위한 영역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웹 페이지(10) 상에서 주요한 영역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검색하는 동작을 하고, 수신된 웹 페이지 중 검색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21)을 표시한다. 즉,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여, 유효한 정보가 위치한 영역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웹 페이지라면,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는 영역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영역이 주요한 영역이다. 한편, 웹 페이지 내에서 주요한 영역이 복수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검색된 주요한 영역 각각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웹 페이지가 세로로 길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수신된 웹 페이지(11)를 표시할 때, 제1 영역(22-1)을 표시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유효한 컨텐츠가 포함된 제2 영역(22-2)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한다.
도 5는 웹 페이지가 가로로 길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수신된 웹 페이지(12)를 표시할 때, 제3 영역(23-1)을 표시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유효한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을 검색하여 제4 영역(23-2)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한다.
도 6은 웹 페이지가 가로 및 세로로 길어 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수신된 웹 페이지(13)를 표시할 때, 제5 영역(24-1)을 표시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유효한 컨텐츠가 포함된 제6 영역(24-2)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웹 페이지에 복수의 주요한 영역이 존재하고, 검색된 주요한 영역을 한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로그인 기능을 실시하는 웹 페이지를 가정하면,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정보 입력 영역이 최우선 순위를 갖고, 로그인을 위한 비밀 번호 정보 입력 영역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지면, 입력받은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영역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갖는다. 도 7과 같이 이 정보들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웹 브라우저부(140)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을 우선하여 표시하되, 최대한 많은 항목이 표시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한 화면에 모든 정보가 표현이 불가능하여 일부 영역만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갖는 항목에 대해서 상호 작용을 완료하면, 도 8과 같이 다음 우선 순위를 가진 정보항목을 기준으로 화면의 표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로그인 웹 페이지가 수신된 경우의 웹 브라우저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15)는 아이디 입력받기 위한 영역, 패스워드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 및 입력받은 영역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영역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표시 가능한 화면(또는 해상도)의 크기가 26-1과 같은 경우, 종래에는 도 10의 좌측 도면과 같은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것이다. 그러나 도 10의 좌측과 같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지 알기 어려우며, 알더라도 아이디(ID)를 입력하기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부(140)는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에서 ID 태그 아이디와 패스워드 태그 아이디를 검색하여 두 태그 아이디에 대응되는 영역을 주요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부(140)는 해당 영역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0의 우측화면과 같은 화면을 바로 보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물리 버튼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웹 브라우저부(140)는 검색된 주요 영역과 함께 화면 키보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은 터치 스크린인 것이 바람직하나, 마우스와 같은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의 수행을 요청받는다(S1210).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인 스캔-투-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투-프린팅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캔-투-클라우드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클라우드-투-프린팅은 클라우드 서버의 사용자 계정에 저장된 문서를 인쇄하는 기능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가지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웹 페이지의 수신이 필요한 기능이라면 상기 두 기능 이외의 기능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웹 페이지 수신이 필요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한다(S1210). 구체적으로, 스캔-투-클라우드 또는 클라우드-투-프린팅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로그인 웹 페이지를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인증 서버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웹 페이지는 클라우드 서버와 다른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한다(S1230). 구체적으로, 로그인과 관련된 주요한 영역은 ID 입력 영역과 패스워드 입력 영역이다. 따라서,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에서 <ID> 태그 아이디와 <PASSWORD> 태그 아이디를 검색하여, 검색된 태그 아이디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주요한 영역으로 검색할 수 있다.
수신된 웹 페이지 중 검색된 영역을 표시한다(S1240). 구체적으로,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할 때, 웹 페이지의 좌측 상부 부분이 아닌, 검색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수신된 웹 페이지의 주요한 영역을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별도의 스크롤 동작 없이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거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웹 브라우저부 150: 기능부
160: 제어부

Claims (19)

  1.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웹 브라우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서 아이디 입력 영역 및 패스워드 입력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부; 및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의 기설정된 태그 아이디의 영역을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복수개 검색되면, 검색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부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클라우드 투 인쇄 기능을 선택받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클라우드-투-프린팅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투-클라우드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서 아이디 입력 영역 및 패스워드 입력 영역을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웹 페이지 내의 기설정된 태그 아이디의 영역을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에 기능과 관련된 영역이 복수개 검색되면, 검색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검색된 복수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문자를 입력받기 위한 키보드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면서, 전체 웹 페이지 중 현재 표시되는 영역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클라우드 투 인쇄 기능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투-프린팅 기능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9. 인터넷 망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웹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내에서 상기 기능과 관련된 영역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웹 페이지 중 상기 검색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30119227A 2013-10-07 2013-10-0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40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227A KR20150040563A (ko) 2013-10-07 2013-10-0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20140159276 EP2857954A1 (en) 2013-10-07 2014-03-12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4/320,753 US20150098109A1 (en) 2013-10-07 2014-07-01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227A KR20150040563A (ko) 2013-10-07 2013-10-0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563A true KR20150040563A (ko) 2015-04-15

Family

ID=5038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227A KR20150040563A (ko) 2013-10-07 2013-10-07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98109A1 (ko)
EP (1) EP2857954A1 (ko)
KR (1) KR201500405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9480B1 (en) * 2016-03-31 2017-08-2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Method that performs from scanning to storing scan data using scan cloud tick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7074B2 (ja) * 2006-03-30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EP2096562A1 (en) * 2008-02-29 2009-09-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hanced browser navigation
JP2011182022A (ja) * 2010-02-26 2011-09-1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88212A1 (en) * 2012-01-23 2013-07-25 Salil Pardhan Data Server, Network System, and Uploa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8109A1 (en) 2015-04-09
EP2857954A1 (en)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193B2 (en) Image forming device creating a preview image
KR101425029B1 (ko) Ria를 이용하여 파일정보를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및그 정보처리방법
JP3960340B2 (ja) 画像読取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9068324A (ja) スキャン画像にファイル名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41150A (ja) スキャン画像にファイル名等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17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62388B2 (ja) スキャン画像にファイル名等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81521A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画面をカスタム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7479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system
JP2018120330A (ja) プログラム
KR20120039994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그 인쇄방법
KR20150040563A (ko) 화상형성장치, 구동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6192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document processing devices via a remote device interface
JP2019068323A (ja) スキャン画像にファイル名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73334B2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32249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6192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3079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036188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642693B2 (ja) 端末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900601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6434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39717A (ja) 情報処理装置、配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配信方法
JP2006148779A (ja) 文書閲覧システム
JP201116031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