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154A -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154A
KR20150040154A KR20130118787A KR20130118787A KR20150040154A KR 20150040154 A KR20150040154 A KR 20150040154A KR 20130118787 A KR20130118787 A KR 20130118787A KR 20130118787 A KR20130118787 A KR 20130118787A KR 20150040154 A KR20150040154 A KR 2015004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ing
packet
terminal
trip time
tim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594B1 (ko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서버 간의 패킷의 왕복 시간을 측정하여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이용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기와 연결된 테더링 연결 단말에서 사용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thering Service by Using Round Trip Time of Packet}
본 실시예는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통신사업자 및 제조사들은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을 연계하는 휴대용 모바일 중계장치를 출시하고 있다. 휴대용 모바일 중계장치는 기존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터에서 백홀로 사용하던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동 통신망 또는 WiMax망으로 대체한 것으로, 복수의 무선랜 단말로부터 전달되어온 인터넷 접속요청 및 데이터 전송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모바일 중계장치를 휴대하는 것은 대단히 불편하고 또한 휴대용 모바일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별도의 통신 서비스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이에, 휴대용 모바일 중계장치의 기능을 이동 통신단말기에 내장한 테더링(Tethering) 서비스가 존재한다. 테더링 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다양한 근거리 통신기기들의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통신 코어망을 중계 링크로 활용하여, 다양한 근거리 통신기기들이 전달하거나 다양한 근거리 통신기기들로 전달되는 모든 트래픽을 중계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이는 기존의 모바일 중계장치와 동일한 개념이나 별도의 장비가 아닌 이동통신단말기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휴대성과 편리성을 개선한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무선랜용 모바일 라우터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다른 근거리 통신기기를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 시 발생하는 테더링 트래픽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서버 간의 패킷의 왕복 시간을 측정하여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이용 여부를 판단하고, 단말기와 연결된 테더링 연결 단말에서 사용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Flow)에 대한 각각의 왕복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왕복 시간 측정부;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테더링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Flow)에 대한 각각의 왕복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왕복 시간 측정과정;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과정; 및 상기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테더링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와 콘텐츠 제공서버 간의 패킷의 왕복 시간을 측정하여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이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테더링 트래픽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더링 트래픽을 인지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고, 과부하 기지국 내에 접속한 단말의 테더링 트래픽을 우선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의 패킷 왕복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시스템은 단말기(110),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 무선 기지국(eNB: Evolved Node B)(120), 서빙 게이트웨이(SGW: Serving Gateway)(130),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32),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134),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140),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 정책 제공 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160),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SPR: Subscriber Profile Repository)(162),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PDN: Public Data Network)(170) 및 콘텐츠 제공장치(CP Server: Contents Provider Server)(18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테더링 서비스 제어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10)는 LTE(Long Term Evolution) 뿐 아니라 LTE-A(LTE-Advanced)를 지원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LTE 또는 LTE-A를 경유하여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170)에 연결된 콘텐츠 제공장치(180)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17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는 LTE 및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17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연결하고,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말기(11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3 웨이 핸드쉐이킹(3-Way Handshaking)을 통해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연결 세션을 형성한 후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단말기(110)는 'LTE-Uu'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 기지국(120)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활성화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복수 개의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10)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라우터, 중계 AP(Access Point)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단말기(11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는 태블릿 PC, 랩톱,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 및 이동단말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는 무선랜, 블루투스, USB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10)와 연결되어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패킷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어떤 통신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는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서버(180)와 연결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는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를 통해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3 웨이 핸드쉐이킹(3-Way Handshaking)을 통해 콘텐츠 제공서버(180)와 연결 세션을 형성한 후 콘텐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기지국(120)은 LTE를 지원하는 장비로서, 전송 신호의 RF화, 송수신, 신호세기,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및 채널 카드(Channel Card)(채널 카드 자원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과 EPC(Evolved Packet Core) 즉,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패킷 게이트웨이(140))를 합쳐서 EPS(Evolved Packet System)라고 칭할 수 있다. 즉, 무선 기지국(120)는 LTE 네트워크 내의 전송기를 말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위치 등록, 무선 채널 할당, 핸드오프 등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제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는 LTE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무선 기지국(120)은 단말기(110)에게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무선 베어러(Bearer)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분산(Load Balancing) 및 셀 간 간섭제어(ICIC)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RM)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120)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호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설정된 세션에 따라 페이로드 트래픽(Payload Traffic)을 처리하는 세션 컨트롤(Session Control) 및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노드로서 무선 기지국(120)와 연동하며 인터(Inter)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서빙 게이트웨이(130)는 패킷 게이트웨이(140)와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Context)를 설정하고 터널링(Tunneling)을 이용하여 PDU(Packet Data Unit)를 전달한다. 또한, 서빙 게이트웨이(130)와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의 분리 구현을 통해 트래픽 증가 또는 제어 신호 증가에 따른 확장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패킷 게이트웨이(140)를 포함하여 패킷 코어라 칭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 코어는 EPC를 말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는 기본적으로 단말기(110)에 대한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한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는 위치등록 및 페이징(Paging), 인증 등의 호 제어를 담당하고, 호 트래픽에 대한 데이터 호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1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노드로서 세션(Session) 관리, 아이들(Idle) 가입자 관리, 페이징(Paging), 가입자 인증 기능 등을 담당한다.
또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는 E-UTRAN 제어 엔터티로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프로파일 다운로드를 위하여 홈 가입자 서버(134)와 통신하고, NAS(Non- Access Stratum)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110)에게 EPS 이동성 관리(EMM) 및 EPS 세션 관리(ESM)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는 NAS 시그널링(EMM, ESM, 보안)을 수행하며, 홈 가입자 서버(134)와 'S6a'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인증 및 로밍 기능 제공, ECM 및 EMM 상태 관리, EPS 베어러 관리 등을 수행한다.
홈 가입자 서버(134)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갖는 중앙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132)에게 사용자 인증 정보와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패킷 게이트웨이(14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등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 Non-3GPP망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며, 정책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유해 패킷 차단 등을 담당한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40)는 단말기(110)의 IP를 할당하고 외부 인터넷망 및 Non-3GPP망과 연동하는 세션 컨트롤 및 사용자 플레인으로서 패킷 서비스를 위해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외부망과 라우팅(Routing) 정보를 유지하며 터널링 및 IP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40)는 서빙 게이트웨이(130) 및 외부망으로 PDU를 전달한다. 또한, 패킷 게이트웨이(140)는 단말기(110)를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170)를 경유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80)와 연결해주며 패킷 필터링(Filtering)을 제공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 및 콘텐츠 제공장치(180)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의 왕복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 제공 여부 및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고,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TCP 패킷의 헤더 내의 제어 플래그를 확인하여 3 웨이 핸드쉐이킹(3-Way Handshaking)에 해당하는 플로우(Flow)의 패킷만을 추출한다. 예컨대,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TCP 패킷의 헤더 내의 제어 플래그가 요청 패킷(SYN: Synchronize), 응답/요청 패킷(ACK/SYN) 및 응답 패킷(ACK: Acknowledgement)를 포함하는 플로우인 경우에만 해당 플로우의 패킷 왕복 시간을 측정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a) 및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 및 응답 패킷의 측정시간(Tc)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며,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 및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합산하여 하나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복수의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플로우마다 패킷 왕복 시간값을 추출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복수 개의 플로우 중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하인 플로우만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한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플로우에 대응하는 트래픽을 테더링 데이터로 판단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테더링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말기(110)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에 근거하여 허용 트래픽량을 결정하고, 허용 트래픽량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테더링 데이터를 차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접속된 무선 기지국(120)이 과부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더라도 허용 트래픽량에 근거한 테더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차단하도록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생성된 제어정보를 정책 제공장치(160)로 전송하여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정책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한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패킷 게이트웨이(140)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을 확인하기 위해 패킷 정밀 분석 장치(DPI: Deep Packet Inspection)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 정밀 분석 장치는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까지(L7 까지) 확인하여 SAE-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Gateway)를 경유하는 패킷이 웹(Web)인지, 음성(Voice)인지, 영상(Video)인지, P2P(Peer to Peer)인지 등의 트래픽의 응용을 모두 구분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도 1에 기재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패킷 게이트웨이(140)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기능 또는 모듈로서 패킷 게이트웨이(140)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정책 제공 장치(160)는 기 설정된 룰(Rule)을 이용하여 서비스 데이터에 포함된 패킷을 감지하고, 인가된 QoS(Quality of Service)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제공 장치(160)는 결정된 정책과 과금 게이트웨이(미도시)에 의한 과금 제어 기능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즉, 정책 제공 장치(160)는 과금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데이터를 감지하고, QoS 등의 네트워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제공 장치(160)는 정책 및 과금 제어 엔터티로 정책 제어 결정과 과금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정책 제공 장치(160)는 생성한 정책 정보를 패킷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책 제공 장치(160)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기(110)에 대한 정책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정책 제공 장치(160)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를 가입한 단말에 대한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정보에 포함된 가입정보에 근거하여 허용 테더링 데이터량을 결정하여 정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책 제공 장치(160)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로부터 테더링 서비스를 가입하지 않은 단말에 대한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정보에 포함된 테더링 데이터 사용량에 근거하여 차단 테더링 데이터량을 결정하고, 추가 과금 정보를 반영하여 정책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정책 제공 장치(160)는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정책 정보를 패킷 게이트웨이(140)로 전송하여 단말기(110)에 적용되도록 한다.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162)는 정책 제공 장치(160)로 가입자 및 가입자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정책 제공 장치(160)는 가입자 및 가입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 기반 정책 정보를 생성하거나 과금 규칙을 생성할 수 있다.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170)는 사업자 외부 또는 내부 IP 망으로서 인터넷이나 IMS와 같은 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단말기(110)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고,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일종의 서버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단말기(110)와 연결 세션을 형성한 후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3 웨이 핸드쉐이킹을 이용하여 연결 세션이 형성되면 단말기(110)로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패킷 확인부(210), 왕복 시간 측정부(220),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 제어정보 생성부(240) 및 제어정보 전송부(2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테더링 서비스 제어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패킷 확인부(210)는 패킷 게이트웨이(140)와 연결되어 단말기(110)와 콘텐츠 제공장치(180)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킷 확인부(21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TCP 패킷의 헤더 내의 제어 플래그를 확인하여 3 웨이 핸드쉐이킹(3-Way Handshaking)에 해당하는 패킷만을 추출한다. 즉, 패킷 확인부(210)는 TCP 패킷의 헤더 내의 제어 플래그가 SYN(Synchronize), ACK/SYN, ACK(Acknowledgement)인 경우에만 해당 패킷을 추출하여 왕복 시간이 측정되도록 한다. 예컨대, 패킷 확인부(210)는 단말기(110)에서 콘텐츠 제공장치(180)로 송신하는 요청 패킷(SYN 패킷)과 요청 패킷에 대응하여 수신된 응답/요청 패킷(ACK/SYN 패킷)을 상향 패킷 그룹으로 추출하고, 단말기(110)가 콘텐츠 제공장치(180)로부터 수신된 응답/요청 패킷(ACK/SYN 패킷)과 응답/요청 패킷에 대응하여 송신한 응답 패킷(ACK 패킷)을 하향 패킷 그룹으로 추출할 수 있다.
왕복 시간 측정부(220)는 패킷 게이트웨이(140)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에 대한 왕복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왕복 시간 측정부(220)는 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a) 및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향 패킷 그룹에 대한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 및 응답 패킷의 측정시간(Tc)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향 패킷 그룹에 대한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왕복 시간 측정부(220)는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 및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합산하여 TCP 프로토콜의 3 웨이 핸드쉐이킹을 수행하는 하나의 플로우(Flow)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 시간 측정부(220)는 하나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할 수 있으나 추가로 3 웨이 핸드쉐이킹을 수행에 대한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는 왕복 시간 측정부(220)에서 산출된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는 왕복 시간 측정부(220)에서 산출된 복수 개의 플로우 중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해당 플로우에 대응하는 트래픽을 테더링 데이터로 판단한다. 또한,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는 왕복 시간 측정부(220)에서 산출된 복수 개의 플로우 중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하인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예컨대,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3 웨이 핸드쉐이킹을 수행하는 2 개의 플로우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플로우에 대해 3 초 및 6 초에 해당하는 패킷 왕복 시간값을 왕복 시간 측정부(220)로부터 수신한 것으로 가정하면, 4 초에 해당하는 임계 시간값을 기준으로 3 초에 해당하는 플로우는 단말기(110)의 일반 데이터로 판단하고, 6 초에 해당하는 플로우는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의 테더링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는 무선 기지국(120)이 과부하 기지국으로 확인되는 경우, 무선 기지국(120)에 접속된 복수 개의 단말기(110) 중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고, 송수신되는 트패릭량이 평균 이상인 단말기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240)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에 판단된 결과정보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생성부(240)는 단말기(110)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어정보 생성부(240)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230)에서 단말기(110)가 테더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한 결과정보를 수신하면, 단말기(110)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가입 단말기(110)인 경우 가입정보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비가입 단말기(110)인 경우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플로우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차단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도 1에 기재된 제어정보 생성부(240)는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만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더링 데이터 사용량, 테더링 데이터 송수신 횟수 등을 기준으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정보 전송부(250)는 제어정보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정책 제공장치(160)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어정보 전송부(250)는 제어정보를 정책 제공장치(160)로 전송하여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정책 정보가 생성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 및 콘텐츠 제공장치(180) 간에 연결 세션에 대한 송수신 패킷을 확인한다(S310). 예컨대,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3 웨이 핸드쉐이킹에 해당하는 요청 패킷, 응답/요청 패킷 및 응답 패킷을 하나의 플로우로 확인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송수신 패킷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에 대한 왕복 시간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S320).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a) 및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Tb) 및 응답 패킷의 측정시간(Tc)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며,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 및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합산하여 하나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패킷 왕복 시간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패킷 왕복 시간값이 존재하면,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110)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S340).
한편, 단계 S330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패킷 왕복 시간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한다(S332).
단계 S340의 확인 결과,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42). 즉,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에 근거하여 허용 트래픽량을 결정하고, 허용 트래픽량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40의 확인 결과, 단말기(110)가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패킷 왕복 시간값에 대응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차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50).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의 패킷 왕복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와 콘텐츠 제공장치(180) 간에 연결 세션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왕복 시간을 측정한다. 예컨대, 단말기(110)는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가 '100'을 갖는 동기 요청신호(410)를 콘텐츠 제공장치(180)로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수신된 동기 요청신호(410)에 대응하는 확인 응답번호(Acknowledgement Number)가 '101', 시퀀스 번호가 '300'인 응답/요청 신호(420)를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동기 요청신호(410)의 측정시간 및 응답/요청 신호(420)의 측정시간에 대한 차이값에 근거하여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440)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0)는 콘텐츠 제공장치(180)로부터 수신된 응답/요청 신호(420)에 대응하는 확인 응답번호가 '301', 시퀀스 번호가 '101'인 응답 신호(430)를 콘텐츠 제공장치(180)로 전송한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응답/요청 신호(420)의 측정시간 및 응답 신호(430)의 측정시간에 대한 차이값에 근거하여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450)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제공장치(180)는 단말기(110)로부터 응답 신호(430)을 수신하면 연결 세션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440) 및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450)을 합산하여 하나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하이면,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면, 단말기(110)가 테더링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0)의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 및 콘텐츠 제공장치(180) 간에 연결 세션을 형성하기 위한 플로우 각각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시퀀스 번호가 '100'인 제1 요청신호의 측정시간 및 제1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확인 응답번호가'101', 시퀀스 번호가 '300'인 제1 응답/요청 신호의 측정시간에 대한 차이값을 이용하여 제1 상향 왕복 시간값(510)을 산출한다. 또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제1 응답/요청 신호의 측정시간 및 제1 응답/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확인 응답번호가'301', 시퀀스 번호가 '101'인 제1 응답신호의 측정시간에 대한 차이값을 이용하여 제1 하향 왕복 시간값(520)을 산출한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제1 상향 왕복 시간값(510) 및 제1 하향 왕복 시간값(520)을 합산하여 제1 플로우(500)에 대한 제1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복수 개의 플로우가 확인되는 경우, 각각의 플로우에 대한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예컨대,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제1 플로우(500)에 대한 제1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 후, 제2 플로우(502)에 대한 제2 상향 왕복 시간값(530) 및 제2 하향 왕복 시간값(540)을 산출하고, 제2 상향 왕복 시간값(530) 및 제2 하향 왕복 시간값(540)을 합산하여 제2 플로우(502)에 대한 제2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한다.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제1 패킷 왕복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보다 미만이고, 제2 패킷 왕복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제1 패킷 왕복 시간에 해당하는 제1 플로우(500)에서 송수신되는 트래픽은 단말기(110)에서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로 판단하고, 제2 패킷 왕복 시간에 해당하는 제2 플로우(502)에서 송수신되는 트래픽은 근거리 통신 단말기(112)가 단말기(110)의 테더링 서비스에 접속한 테더링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150)는 단말기(110)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근거하여 테더링 데이터 허용 또는 차단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정책 제공 장치(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테더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테더링 트래픽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과부하 기지국 내에서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단말기 112: 근거리 통신 단말기
120: 무선 기지국 130: 서빙 게이트웨이
132: 이동성 관리 엔티티 134: 홈 가입자 서버
140: 패킷 게이트웨이 150: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60: 정책 제공 장치 162: 가입자 프로파일 저장 장치
170: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180: 콘텐츠 제공장치
210: 패킷 확인부 220: 왕복시간 측정부
230: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 240: 제어정보 생성부
250: 제어정보 전송부

Claims (16)

  1.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Flow)에 대한 각각의 왕복 시간(RTT: 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왕복 시간 측정부;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Tethering)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 및
    상기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테더링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는,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상기 플로우에 대한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을 비교하여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는,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대응하는 플로우를 통해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는,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를 중계하는 기지국이 과부하 기지국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고 데이터 사용량이 상기 기지국의 평균 트래픽량을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부에서 상기 단말기가 테더링 데이터를 확인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 부가서비스 가입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테더링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가입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트래픽량에 대응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가 접속된 기지국이 과부하 기지국으로 확인된 경우, 허용된 상기 트래픽량에 대응하는 테더링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차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책 정보를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에 적용되도록 하는 제어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패킷의 패킷헤더 내에 설정된 제어 플래그를 확인하여 요청 패킷, 응답/요청 패킷 및 응답 패킷만을 상기 플로우 내에 해당하는 패킷으로 추출하는 패킷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시간 측정부는,
    상기 요청 패킷 및 상기 응답/요청 패킷의 측정시간의 차이값에 근거하여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고, 상기 응답/요청 패킷 및 상기 응답 패킷의 측정시간의 차이값에 근거하여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며, 상기 상향 패킷 왕복 시간값 및 상기 하향 패킷 왕복 시간값을 합산하여 상기 플로우에 대한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확인부는,
    TC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3 웨이 핸드쉐이킹(3-Way Handshaking)에 해당하는 연결 세션 패킷만을 상기 플로우 내에 해당하는 패킷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14. 단말기 및 콘텐츠 제공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패킷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 개의 플로우에 대한 각각의 왕복 시간을 측정하여 패킷 왕복 시간값을 산출하는 왕복 시간 측정과정;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상기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테더링 데이터를 판단하는 테더링 데이터 판단과정; 및
    상기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테더링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데이터 판단과정은,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에 대응하는 플로우를 통해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패킷 왕복 시간값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테더링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테더링 부가 서비스 가입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테더링 데이터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130118787A 2013-10-04 2013-10-04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4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87A KR102049594B1 (ko) 2013-10-04 2013-10-04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787A KR102049594B1 (ko) 2013-10-04 2013-10-04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154A true KR20150040154A (ko) 2015-04-14
KR102049594B1 KR102049594B1 (ko) 2019-11-27

Family

ID=530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787A KR102049594B1 (ko) 2013-10-04 2013-10-04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78A (ko) * 2019-05-20 2022-01-06 구글 엘엘씨 전송 제어 프로토콜에 대한 트립 시간 추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16A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케이티 정책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책 관리 방법
KR20100070807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 부하에 따른 트래픽의 동적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3919A (ko) *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테더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853A (ko) * 2011-11-28 2013-06-05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식별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016A (ko) *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케이티 정책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책 관리 방법
KR20100070807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망 부하에 따른 트래픽의 동적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43919A (ko) * 2010-10-27 2012-05-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테더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8853A (ko) * 2011-11-28 2013-06-05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단말의 접속 네트워크 식별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678A (ko) * 2019-05-20 2022-01-06 구글 엘엘씨 전송 제어 프로토콜에 대한 트립 시간 추정
JP2022533737A (ja) * 2019-05-20 2022-07-25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トランスポート制御プロトコルのトリップタイムの推定
US11849012B2 (en) 2019-05-20 2023-12-19 Google Llc Trip time estimation for transport control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94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5011B (zh) 数据处理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EP3425939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node apparatus
KR101324251B1 (ko) 유저장치와 기지국과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 및 중계방법
WO2016094805A1 (en) Charging in the integrated small cell/wi-fi networks (iswn)
KR20180070710A (ko) 서비스 계층 사우스바운드 인터페이스 및 서비스 품질
US11057954B2 (en) Network assistance via a local breakout function-gateway in RAN
JP5982690B2 (ja) ネットワークコンバージェンス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14828204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US10231242B2 (en) Traffic management in the mobile network
CN114667746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psa-upf重定位的装置和方法
CN113747479B (zh) 获取网络资源的方法、设备及系统
KR20150035143A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065916B2 (ja) 通信挙動の解析が可能な情報処理装置、移動端末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580425B (zh) 为UE到3GPP数据接入网的数据连接提供按需QoS的方法和装置
CN110890967B (zh) 一种计费处理方法、网元及网络系统
KR102084038B1 (ko) 중요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9594B1 (ko) 패킷 왕복 시간을 이용한 테더링 서비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694403B1 (ko)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72734A (ko) 테더링 트래픽 분석장치 및 방법
US10448452B2 (en) Mobile body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body communication method
KR101711074B1 (ko) 4g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sip 터널링 패킷 탐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063311B1 (ko) 무선 네트워크상에서의 과금 시스템
US20230276391A1 (en) End-to-end latency measurement
KR20140093167A (ko) 무선망 인입 트래픽에 차등적인 QoS 적용이 가능한 서비스 품질 제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 트래픽 전송 방법
US1093210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re network nodes for policy and charg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