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658A -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658A
KR20150039658A KR20130118203A KR20130118203A KR20150039658A KR 20150039658 A KR20150039658 A KR 20150039658A KR 20130118203 A KR20130118203 A KR 20130118203A KR 20130118203 A KR20130118203 A KR 20130118203A KR 20150039658 A KR20150039658 A KR 2015003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xt
content
original
original content
c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701B1 (ko
Inventor
고경환
고영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에이엔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3011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7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관련성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정보 저장 장치,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큐레이션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URATION SERVICE BASED ON CONTEXT}
본 발명은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 폰,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컨텍스트와 함께 수집하고 수집한 콘텐츠를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의 보급이 늘어나고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콘텐츠를 촬영하여 업로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서로 공유함으로써 자신과 관련된 수많은 자료들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단순히 추억의 기록으로서만 저장하고 있을 뿐 이들을 분류하여 정리하고 특정 목적이나 주제에 맞추어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재구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느낀다. 그리고,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과 관련된 자료들이 더욱 방대해짐에 따라 이와 같은 작업에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기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은 대개 촬영한 디바이스 안에서의 재생 또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폴더로 옮겨진 상태에서의 재생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시점에서의 가치를 넘어서는 추가적인 생산은 종료되게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추억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가 여전히 강하며, 특히 유년기, 학창시절, 졸업, 연애, 직장생활, 결혼, 육아, 환갑잔치 등과 같은 인생 전반에 걸친 라이프 이벤트에서 추억의 재생에 대한 니즈(needs)는 매우 강하기 때문에,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특별한 추억으로 재생산하려는 요구는 항상 존재하여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추억으로 쉽게 재구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수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쉽게 재구성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텍스트 항목을 선택하면 이에 기초하여 콘텐츠들을 필터링 및 소팅하고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적절한 추억의 콘텐츠들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추억을 담은 큐레이션 콘텐츠를 OSMU(One Source Multi Use)로 가공하여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관련성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정보 저장 장치,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큐레이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소스는 소셜 미디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되,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현 시점 이전의 모든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모든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되,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상기 가장 최근 주의 동안의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상기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원본 콘텐츠가 동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 모두에 대한 컨텍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원본 콘텐츠를 수집된 상기 소스를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질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자동으로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관련성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소스는 소셜 미디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현 시점 이전의 모든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모든 원본 컨텍스트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상기 가장 최근 주의 동안의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가 수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원본 콘텐츠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 모두에 대한 컨텍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가 수집된 콘텐츠 소스를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 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과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소셜 미디어,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부터 자동으로 수집하여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재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컨텍스트 항목에 기초하여 콘텐츠들을 자동으로 필터링 및 소팅할 수 있으며, 또한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콘텐츠들을 재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적절한 콘텐츠들을 재구성하고 사용자에게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잊고 있었던 추억을 재발견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추억을 담은 큐레이션 콘텐츠를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사진, 앨범,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등의 형태로 퍼블리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집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분석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큐레이션(curation)은 콘텐츠를 수집하여 소정 기준에 따라 선별하여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100)은 콘텐츠 수집 장치(110),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 큐레이션 장치(130), 콘텐츠 제공 장치(140), 정보 저장 장치(150) 등을 포함한다. 참고로, 이들 장치들은 각각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2이상의 장치가 모여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장치들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콘텐츠(contents)'란 사진이나 동영상, 텍스트 등과 같이 개인의 추억과 관련될 수 있는 모든 자료나 정보들을 포함하는 의미인데, 현재 소셜 미디어나 개인용 디바이스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형태가 사진(이미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진을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이 동영상이나 텍스트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콘텐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사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디바이스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집 장치(11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소스로부터 콘텐츠를 수집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네트워크는 전화망,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 등 여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망들이 서로 결합되어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소스는 페이스북, 트위터, 플리커, 피카사, 인스타그램, 포스퀘어 등과 같은 각종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이거나 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그리고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기존의 개인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를 상술하면, 소셜 미디어의 경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예컨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서비스로부터 온라인 상에서 해당 소셜 미디어의 사진들을 사진 소유자인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그대로 받아올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경우 iOS 또는 안드로이드, 윈도우 모바일용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진들을 자동으로 수집해서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 수집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의 경우에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사진들을 수집하여 콘텐츠 수집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각각의 사진을 수집할 때 해당 사진의 컨텍스트(context)도 함께 수집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컨텍스트(context)'는 콘텐츠(예, 사진, 동영상, 텍스트 등)와 관련된 소셜 그래프(social graph), 인터레스트 그래프(interest graph), 시간, 위치, 인물, 주제, 인터랙션(예, 인물간의 인터랙션, 인물과 콘텐츠간의 인터랙션, 인물과 본 서비스간의 인터랙션) 등과 같이 해당 콘텐츠와 관련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이와 같이 수집한 사진과 컨텍스트를 서로 연관시켜 각각 원본 콘텐츠 DB(151)와 원본 컨텍스트 DB(152)에 저장한다. 참고로,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사진과 연관하여 컨텍스트를 저장할 때 해당 사진을 어느 소스 채널에서 수집하였는지, 언제 어떠한 이유(예, 신규, 업데이트)로 수집했는지 등 콘텐츠 수집과 관련된 종합적인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업데이트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기는 하루, 일주일 또는 월 단위 등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시스템(100)의 운영의 효율성 높이기 위하여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기간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이 큰 원본 콘텐츠의 경우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만 수집하고, 용량이 작은 원본 컨텍스트의 경우 현 시점 이전의 모든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새로 추가된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선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의 수집기간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시스템(100)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가장 최근의 원본 콘텐츠 및 가장 최근의 원본 콘텐츠에 연관된 원본 컨텍스트에 관심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되,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상기 가장 최근 주의 동안의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가장 최근의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100)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텍스트 분석 장치(110)는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과의 관련성을 판단하여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추출한다.
예컨대, 컨텍스트 분석 장치(110)는 소정의 사진과 그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해당 사진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언제 어디서 찍은 사진인지, 누구와 찍은 사진인지, 사진의 배경이나 대상은 무엇인지, 해당 사진에 댓글은 누가 달았는지, 댓글의 내용은 무엇인지, 어느 채널을 통해 다운받았는지, ...)를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판단한다.
이를 상술하면, 시간 컨텍스트는 예컨대 사진 파일이 생성된 날짜, 사진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EXIF 메타 데이터에서의 촬영 날짜,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 디바이스에 업로드되거나 저장된 날짜, 사용자가 직접 언제 찍은 사진이라고 지정한 날짜 등 가능한 한 모든 정보를 수집한 다음에 수집한 날짜들 중에서 개연성(관련성)이 높은 것을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이를 적용한다. 참고로, EXIF 메타 데이터에서는 시간, 장소 정보 외에 촬영 조건, 촬영한 디바이스 등의 정보들도 모두 얻을 수 있다.
한편, 시간 컨텍스트에는 촬영 날짜와 시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보 외에도 상기 촬영 날짜와 시각 정보로부터 계절, 아침/점심/저녁/밤과 같은 시간 컨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기념일, 생일 등과 같은 이벤트성 시간 컨텍스트들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로부터 이벤트성 기념일들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고, 사진에 붙은 캡션 텍스트들로부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시간 컨텍스트들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장소 컨텍스트는 스마트 폰으로 찍은 사진의 경우 EXIF 메타 데이터에 있는 위도 및 경도 값(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값)을 읽어서 저장하고, 이 값을 토대로 행정 지역상으로 분류(예컨대,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등)를 하여 장소 컨텍스트를 단계적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바다나 산, 공원 등이 있을 경우 장소 분류를 계층화하여 매칭시켜서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한 컨텍스트의 경우에는 특정 장소명까지 원본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명칭을 그대로 읽어들여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인물 컨텍스트의 경우 해당 사진에 사람이 관련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얼굴 이미지 인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지정하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미디어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사진에 사람들을 태그하고 그 사람의 얼굴이 무엇이며 그 사람과 어떤 관계(예, 친구, 연인, 가족)인지에 대하여 알 수도 있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관련성을 판단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서 가져온 사진과 디바이스에서 곧바로 저장된 사진을 함께 수집하여 상호 비교함으로써 사진 속의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사진에 나와 있지 않아도 누구와 관련된 사진인지 등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채널에 따라 컨텍스트의 형태가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함께 고려하여 컨텍스트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채널마다 얻을 수 있는 정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상이성을 통일화하고 비어 있는 정보는 채우고 확장시킴으로써 컨텍스트의 정확도와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주제 컨텍스트의 경우에는 주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주제를 지정함으로써 추출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 인식 등을 통해 얻어진 정보(예, 바다, 산), 사진이나 동영상에 붙어 있는 제목, 캡션, 댓글 등의 텍스트 정보를 마이닝하거나, 소셜 미디어에서의 내용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소셜 미디어 안에서 다른 사람들(예컨대, 친구들)과 인터랙션(interaction)한 정보들을 인터랙션 컨텍스트로 추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컨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필터링(filtering)이나 소팅(sorting) 등을 할 때에도 친구들의 인터랙션을 받은 사진들 중에서 가장 많은 호감을 얻은 사진이라든가 가장 많은 댓글이 달린 사진들을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 컨텍스트이든 장소 컨텍스트이든 모든 컨텍스트는 종속적인 계층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모두 가지는 데이터 구조체로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위 계층의 컨텍스트는 상위 계층의 컨텍스트를 같이 포함하게 된다. 예컨대, 날짜와 시간이 컨텍스트로 있다고 가정하면 그 날짜를 토대로 계절, 아침/점심/저녁 등과 같은 시간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미지 인식 기술(예컨대, 사람, 형태 등을 인식),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예컨대, 이미지 안의 글자를 인식), 텍스트 마이닝 기술(예컨대, 이미지에 들어 있는 문자, 소셜 미디어 등에 있는 이미지와 관련된 텍스트 등을 인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내부에서 직접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어떤 텍스트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어떤 컨텍스트를 태깅(tagging)하는 지는 해당 컨텍스트의 텍스트 마이닝 레퍼런스 DB를 통해 파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텍스트 컨텍스트 정보에 '갈비탕'이라는 단어가 있다면 레퍼런스 DB(153)에는 '갈비탕-한식'의 연결고리가 있어서 해당 컨텍스트가 붙어 있는 사진에는 '한식'이라는 컨텍스트 태그를 붙여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텍스트 분석 장치(110)는 원본 콘텐츠(예, 사진)와 이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해 낸 다음, 그 정제된 컨텍스트들을 원본 콘텐츠의 관련성과 함께 별도의 컨텍스트 DB에 각각 저장한다. 즉, 컨텍스트 분석 장치(110)는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2차적인 새로운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하고 이를 그 관련성과 함께 시간 컨텍스트 DB(154), 장소 컨텍스트 DB(155), 인물 컨텍스트 DB(156), 주제 컨텍스트 DB(157), 인터랙션 컨텍스트 DB(158) 등에 저장한다. 그러면, 각각의 컨텍스트는 해당하는 콘텐츠(예, 사진)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콘텐츠(예, 사진)가 어떠한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등)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원본 콘텐츠가 서로 다른 콘텐츠 소스에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콘텐츠 소스에 존재하는 원본 콘텐츠에 대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서로 공유하는 경우에 원본 콘텐츠에 대한 더욱 다양한 컨텍스트 추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집한 콘텐츠를 분석하여 제1 채널에서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와 제2 채널에서 수집한 제2 원본 콘텐츠가 동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는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 모두에 대한 컨텍스트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이미지가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경우에, 수집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동일한 이미지인 것이 확인되면 콘텐츠 수집 장치(110)는 상기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컨텍스트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집한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컨텍스트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제2 원본 컨텐츠 모두의 컨텍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 컨텍스트를 공유함으로써 원본 콘텐츠에 대한 더욱 다양한 컨텍스트 추출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레이션 장치(13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접속하면,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자신이 여러 채널을 통해 올리거나 저장해둔 사진들(콘텐츠들)을 보여 준다. 이 사진들(콘텐츠들)에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120)의 자체 컨텍스트 분석 엔진을 통해서 추출된 2차적인 컨텍스트들이 일종의 태그 형태로 모두 붙어 있으며,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텍스트를 지정하면 그 컨텍스트가 태그 형태로 붙어 있는 사진들(콘텐츠들)을 필터링해서 보여 준다. 예컨대, 사용자가 '봄, 프랑스, 가족'이라는 3개의 컨텍스트를 AND 조건으로 선택하면, 큐레이션 장치(130)는 봄에 가족들과 프랑스에 여행갔을 때 찍은 사진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참고로, 이러한 사진들은 다시 컨텍스트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날짜 시간순으로 정렬되거나 사진에 포함된 사람의 이름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원본 콘텐츠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들(시간, 장소, 인물, 주제,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을 추출할 때 그 관련성을 함께 기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진들을 추출할 때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사진에 대한 2차적인 컨텍스트를 추출할 때 '봄'이라는 시간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30%, '프랑스'라는 장소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100%, '가족'이라는 인물 컨텍스트와의 관련성 80%를 함께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큐레이션 장치(130)는 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봄, 프랑스, 가족'이라는 세 개의 컨텍스트에 대해 그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전체적인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사진들을 추출하여 정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관련성(상관도)'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거나 소셜 미디어 등을 통해 얻어진 누적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사진 속의 꽃이 봄에 피는 꽃이라든가 해당 사진에 대해 봄과 관련된 댓글이 많으면 '봄'이라는 시간 컨텍스트와의 관련성을 높게 설정하는 등,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언급한 정보가 컨텍스트에 들어 있는지 아니면 레퍼런스 DB를 통해 추론한 정보가 컨텍스트에 들어 있는지 등에 따라 관련성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큐레이션 장치(130)는 이와 같이 필터링하여 최종 추출된 사진들에 대해 컨텍스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템플릿 중에서 어울리는 템플릿을 추천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디자인 템플릿 DB(159)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인, 여행, 봄'이라는 컨텍스트들이 사진들에 포함되어 있다면 이런 주제들에 어울리는 느낌의 디자인 템플릿을 큐레이션 장치(130)가 자동으로 추천해 줄 수 있다. 참고로, 템플릿에는 디자인 요소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원본 추억 사진들에 붙어 있는 친구들과의 대화나 자신이 남긴 메모 및 글들도 적절하게 활용하여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큐레이션 장치(130)는 디자인 템플릿뿐만 아니라 사진 필터링 이펙트나 각종 편집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편집 기능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들(예, 사진들)이 큐레이션되어 생성되는 결과물인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에는 새로운 제목과 설명을 붙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추억을 담고 있는 단순한 사진들에 컨텍스트를 추가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스토리텔링 추억 콘텐츠를 생성해 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장치(140)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는 구성 요소인 사진과 다양한 연출 조합들로 코드화되어 별도의 DB에 저장되며, 사용자는 자신이 만들어낸 앨범들을 콘텐츠 제공 장치(140)를 통해 손쉽게 조회하고 감상할 수 있다. 물론, 콘텐츠 제공 장치(140)는 이러한 앨범을 다른 이용자들에게 공개하거나 주위 지인들에게 배포하는 기능들도 제공하는데, 큐레이션 콘텐츠(예, 앨범)은 기본적으로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갖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소셜 미디어로도 배포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SMS를 통해 전달하여 지인들이 한 번의 터치로 웹 페이지에 접근하여 감상할 수도 있다. 또한, 앨범 하나의 대형 통 이미지로도 변환되어 인쇄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저장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인쇄 형태의 앨범이나 포스터, 엽서, 청첩장 등의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2차원적인 앨범 이미지를 넘어서, ebook, 동영상, 프레젠테이션 파일, 스마트폰/태블릿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인터랙션도 가능한 형태)로 손쉽게 퍼블리싱(publishing)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체적 기능이나 구현 방식 등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61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각각의 소셜 미디어 및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페이스북, 트위터, 플리커, 피카사, 인스타그램, 포스퀘어 등과 같은 각종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그리고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기존의 일반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사진들(원본 콘텐츠들) 및 이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집한 사진과 컨텐스트를 서로 연관시켜 각각 원본 콘텐츠 DB와 원본 컨텍스트 DB에 저장한다.
단계 S62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10에서 수집된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원본 콘텐츠와 원본 컨텍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하여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등과의 관련성을 판단하고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이와 같이 추출된 2차적인 컨텍스트들을 원본 콘텐츠의 관련성과 함께 별도의 컨텍스트 DB에 저장한다.
단계 S63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20에서 추출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한다. 예컨대,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텍스트를 기초로 그 컨텍스트가 태그 형태로 붙어 있는 콘텐츠들을 필터링해서 보여 주고 디자인 템플릿 등을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들을 재구성함으로써 큐레이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시스템 자체적으로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적절한 추억의 콘텐츠들을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경우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콘텐츠들을 추출할 때 그 관련성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정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640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단계 S630에서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웹 포맷(예, 소셜 미디어, 웹 페이지), 프린트 포맷(예, 사진, 앨범, 포스터), 인터랙티브 포맷(예, 애플리케이션, e-book), 파일 포맷(예, 이미지,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블루레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구현 방식, 소스코드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 장치;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컨텍스트 분석 장치;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관련성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정보 저장 장치;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큐레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소스는 소셜 미디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되,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현 시점 이전의 모든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모든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주기적으로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되, 상기 콘텐츠 수집 장치는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상기 가장 최근 주의 동안의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상기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원본 콘텐츠가 동일 콘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 모두에 대한 컨텍스트로 설정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콘텐츠는 고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원본 콘텐츠를 수집된 상기 소스를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분석 장치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종속적인 계층 구조와 비종속적인 독립 구조를 함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장치는 자동으로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14.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소스로부터 원본 콘텐츠 및 상기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본 콘텐츠 및 원본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컨텍스트를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관련성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소스는 소셜 미디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 하나인,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현 시점 이전의 모든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모든 원본 컨텍스트가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가장 최근 주기 동안의 원본 콘텐츠와 상기 가장 최근 주의 동안의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원본 컨텍스트가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소셜 미디어로부터 수집한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2 원본 콘텐츠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에 대한 상기 시간 컨텍스트, 상기 장소 컨텍스트, 상기 인물 컨텍스트, 상기 주제 컨텍스트, 상기 인터렉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원본 콘텐츠와 상기 제2 원본 콘텐츠 모두에 대한 컨텍스트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여 생성된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를 수집한 채널을 고려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이미지 인식 기술,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 및 텍스트 마이닝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로부터 직접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콘텐츠와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큐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컨텍스트, 장소 컨텍스트, 인물 컨텍스트, 주제 컨텍스트, 인터랙션 컨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원본 콘텐츠를 큐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25. 제14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18203A 2013-10-02 2013-10-02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8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203A KR101680701B1 (ko) 2013-10-02 2013-10-02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203A KR101680701B1 (ko) 2013-10-02 2013-10-02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658A true KR20150039658A (ko) 2015-04-13
KR101680701B1 KR101680701B1 (ko) 2016-11-29

Family

ID=5302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203A KR101680701B1 (ko) 2013-10-02 2013-10-02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7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6041S1 (en) * 2018-07-19 2021-04-13 Shenzhen Skyworth-Rgb Electronic Co., Ltd. Televi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13B1 (ko) * 2017-03-31 2019-11-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건 흐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대순 정보 기반 큐레이션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30070975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카카오 트렌드 오브젝트의 생성 및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6041S1 (en) * 2018-07-19 2021-04-13 Shenzhen Skyworth-Rgb Electronic Co., Ltd. Telev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701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00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files
US8433993B2 (en) Context aware image representation
US9549085B2 (en) Proactive creation of image-based products
JP2010118056A (ja) コンテンツアルバム化装置及びコンテンツアルバム化方法
US201400931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W201417575A (zh) 影像自動字幕
CN101755303A (zh) 采用语义分类器的自动题材创建
US201902082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human memory recollection and cataloging through an autogenerated video journal
CN106980696B (zh) 一种照片文件的分类方法及装置
US11935165B2 (en) Proactive creation of personalized products
KR101680701B1 (ko)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45691B1 (ko) 컨텍스트에 기반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3093784B (zh) 图像信息处理装置以及图像信息处理方法
Stuart Organizing photographs: past and present
KR101495839B1 (ko) 전자문서에서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방법 및 검색방법
WO2015168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and story telling
Greenhill et al. Geode: A Framework for Social and Context-Driven Browsing for Personal Multimedia
Lee et al. Interaction design for personal photo management on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