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077A -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077A
KR20150039077A KR20140081375A KR20140081375A KR20150039077A KR 20150039077 A KR20150039077 A KR 20150039077A KR 20140081375 A KR20140081375 A KR 20140081375A KR 20140081375 A KR20140081375 A KR 20140081375A KR 20150039077 A KR20150039077 A KR 20150039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multilingual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224B1 (ko
Inventor
김창기
김재호
김태정
전주일
유정주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502,2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95941A1/en
Publication of KR2015003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플랫폼 기반에서의 다양한 나라의 언어를 사용하는 시청자들이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한 다국어 음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주변의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를 통해 메인 콘텐츠의 영상과 시간적 동기가 맞는 다양한 언어의 음성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방송 연계형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audio broadca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플랫폼을 사용하는 콘텐츠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나라의 언어를 사용하는 시청자들이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한 멀티오디오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 IPTV의 등장으로 방송과 인터넷의 융합을 통해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부가 콘텐츠 및 양방향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홈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콘텐츠 및 서비스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멀티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멀티스크린 서비스가 발달 함과 동시에 기존의 하나의 TV 화면 내에서의 방송과 인터넷의 융합인 하이브리드 방송도 멀티스크린 서비스와 융합하여 멀티플랫폼 기반 멀티스크린 방송 서비스가 차세대 하이브리드 방송(HBBTV2.0, OHTV2.0)등을 통해 표준화 되면서 시범 서비스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영상 출력장치에서 한가지의 음성의 제공만이 가능하던 것을 영상 출력장치 주변의 음성 출력장치를 통해 메인 콘텐츠의 영상과 시간적 동기가 맞는 다양한 언어의 음성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방송 연계형 멀티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음성 데이터 획득부,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동의정보 획득부,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제공 수락부,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수신한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확정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상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연결 가능한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는 제공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공할 콘텐츠의 영상 재생정보, 음성 재생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시간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하는 다중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음성 데이터 획득부,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동의정보 획득부,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은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는 단계, 수신한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확정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상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연결 가능한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공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공할 콘텐츠의 영상 재생정보, 음성 재생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단계,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정보 획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국어 음성 지원 시스템(1000)은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100),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200),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300),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100)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200)는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300)에서 인식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의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요청을 받아, 상기 요청에 따라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200)는 확정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300)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300)는 수신한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콘텐츠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확정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연결 가능한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300)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는 도 6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100)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 생성부(110), 콘텐츠 시간정보 생성부(120), 다중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메타 데이터 생성부(110)는 제공할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는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콘텐츠 시간정보 생성부(120)는 제공할 콘텐츠의 영상 재생정보, 음성 재생정보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는 영상과 음성이 각 시간대 별로 영상 출력작업 및 음성 출력 작업들 사이의 수행 시기를 맞추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기화 정보는 상술한 것과 같은 동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의 수행시기를 맞추기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중화부(130)는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메타 데이타 및 콘텐츠 시간정보의 형식을 나타내고 있다.
멀티 오디오 제공서버(200)의 URL, 그리고 제공 가능한 멀티오디오의 개수와 제공 가능한 각 나라의 국가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콘텐츠의 재현시점을 점을 기준으로 하는 PTS(Presentation Time Stamp) 타임이 콘텐츠 시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300)는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310), 사용자 정보 획득부(320), 다국어 음성 데이터 획득부(330),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310)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획득부(320)는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국어 음성 데이터 획득부(330)는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부(340)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를 탐색하기 위하여 유무선 기반의 UPnP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정보 획득부(32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획득부(320)는 사용자 동의 정보 획득부(321), 세부정보 획득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동의 정보 획득부(321)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세부정보 획득부(322)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세부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 제공될 다국어 음성 데이터의 세부 설정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다국어 음성 데이터의 세부 설정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필요한 다국어 음성 데이터의 구간에 대한 정보, 제공될 멀티 오디오 음향의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400)는 서비스 제공 수락부(410),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수락부(410)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420)는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420)는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300)의 영상과 정확한 동기를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는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두 장치간의 스트리밍은 http 기반의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 및 RTSP/RTP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생성한다(7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하여,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생성한 데이터 및 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에 멀티 플렉싱하여 전송한다(720).
수신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를 추출한다(7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시간정보 및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인식한다(740).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를 판단한다(7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식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를 포함하는 정보 및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세부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의 동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요청한다(76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다국어 음성 서비스 서버에 존재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한다(770).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를 탐색하고, 탐색된 장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78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한다(790).
연결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로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제공한다(8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하고, 연결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로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종류를 가진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시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다(810).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를 판단한다(8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될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출력한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고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여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한다(8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종류를 가진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여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 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 110 : 콘텐츠 메타 데이터 생성부
120 : 콘텐츠 시간정보 생성부 130 : 다중화부
200 :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 300 :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310 :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320 : 사용자 정보 획득부
321 : 세부정보 획득부 322 : 세부정보 획득부
330 : 음성 데이터 획득부 340 : 다국어 음성 데이터 송신부
400 :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410 : 서비스 제공 수락부
420 :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

Claims (13)

  1.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음성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동의정보 획득부;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3.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제공 수락부; 및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제공장치; 및
    수신한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확정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상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연결 가능한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 제공장치는,
    제공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공할 콘텐츠의 영상 재생정보, 음성 재생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콘텐츠 시간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하는 다중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영상 출력장치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콘텐츠 데이터 추출부;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음성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동의정보 획득부;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세부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8.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콘텐츠 영상 제공장치로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수신한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콘텐츠 메타 데이터, 콘텐츠 시간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콘텐츠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출력하며 상기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대응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확정하여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하고, 상기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된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연결 가능한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공할 콘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공할 콘텐츠의 영상 재생정보, 음성 재생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상과 음성의 동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시간정보를 콘텐츠 데이터와 멀티 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국어 음성 출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콘텐츠 메타 데이터와 콘텐츠 시간정보가 멀티 플렉싱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확정된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의 동의여부 및 상기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에 동의한 경우, 상기 추출된 콘텐츠 메타 데이터를 통해 해당하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혹은 스트리밍하는 단계;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다국어 출력 장치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다국어 음성 출력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다국어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동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받을 다국어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하고 콘텐츠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다국어 음성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다국어 음성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다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되고 있는 콘텐츠 영상과 동기화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음성 출력방법.
KR1020140081375A 2013-10-01 2014-06-30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02,290 US20150095941A1 (en) 2013-10-01 2014-09-30 Multilingual audio servic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544 2013-10-01
KR20130117544 201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77A true KR20150039077A (ko) 2015-04-09
KR102126224B1 KR102126224B1 (ko) 2020-06-24

Family

ID=5302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375A KR102126224B1 (ko) 2013-10-01 2014-06-30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751A (ja) * 2002-06-28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KR20060095335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티브이 시스템의 채널변경 제어방법
KR2007005886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저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8751A (ja) * 2002-06-28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再生装置
KR20060095335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티브이 시스템의 채널변경 제어방법
KR20070058863A (ko) * 2005-12-05 2007-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저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224B1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subtitle data, subtitl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US11785289B2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6247309B2 (ja) 双方向サービス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EP29100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US8850475B2 (en) Provisioning an enhanced television (ETV) application
CN106034262B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EP2852168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aption server
KR102499231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Boronat et al. HbbTV-compliant platform for hybrid media delivery and synchronization on single-and multi-device scenarios
Van Deventer et al. Standards for multi-stream and multi-device media synchronization
MX2015001908A (es)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r un servicio interactivo.
KR102085192B1 (ko) 렌더링 시간 제어
CA2996275C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JP2012244286A (ja) 情報処理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型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及びロケーション解決サーバ
KR20130050464A (ko) 증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 증강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증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6107192A1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US9338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 multimedia content
JP6519580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102126224B1 (ko) 다국어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Segundo et al. Second screen event flow synchronization
US20150095941A1 (en) Multilingual audio servic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van Deventer et al. Media synchronisation for television services through HbbTV
Joskowicz et al. Integrating ISDB-T broadcast signals with HbbTV internet broadban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