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071A -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 - Google Patents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071A
KR20150038071A KR20157003855A KR20157003855A KR20150038071A KR 20150038071 A KR20150038071 A KR 20150038071A KR 20157003855 A KR20157003855 A KR 20157003855A KR 20157003855 A KR20157003855 A KR 20157003855A KR 20150038071 A KR20150038071 A KR 20150038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de
message
power profil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리레카 크리쉬나무르티
캔 에르킨 아카
제 왕
인드라닐 바너지
드미트리 베랜스키
딥티 마니
니디쉬 알. 카마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1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available power or ener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6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hybrid routing by combining proactive and reactiv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영역 내에 로케이팅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메시 통신 양상들이 개시된다. 메시 네트워크에 포함된 각각의 디바이스 노드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들에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한다. 노드들에 의한 메시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해 메시 메시지들이 생성될 때, 적응형 라우팅 메커니즘은 제안된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송신 루트를 결정한다. 선택적이고 적응적인 라우팅 결정은 메시 네트워크 내에서 전력이 효율적으로 보존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POWER OPTIMIZED BEHAVIOR IN MESH NETWORKS}
[0001]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시(mesh)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에 관한 것이다.
[0002] 최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증가된 기능에 따라,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배터리 또는 휴대용 에너지원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 보존 메커니즘들의 구현에 많은 시간을 들이고 있다. 허리케인들, 지진들, 테러리스트의 공격들 등과 같은 위급 상황들 동안, 셀룰러 인프라구조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너무 많은 사용자들로 압도된다. 액세스 시도들의 과잉은 실패한 사용자 접속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비상 대응 요원 또는 공공 안전 기관들이 통신들도 개시하고 응급 피해자들로부터의 통신들 및 정보도 수신하기 위한, 통신들에 대한 중대한 액세스를 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0003] 이러한 상황들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완화하거나 받아들이기 위해 다양한 해결책들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급 상황 통신 해결책들에 대한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개선들을 구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0004]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선택된 통신 영역 내에 로케이팅된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메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각각의 디바이스 노드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노드들에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제공한다. 노드들에 의한 메시 네트워크로의 송신을 위해 메시 메시지들이 생성될 때, 적응형 라우팅 메커니즘은 제안된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송신 루트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적응적으로 송신 라우팅을 결정함으로써, 메시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 각각이 전력 사용량을 지능적으로 보존하여 네트워크의 건전성(health) 및 듀레이션을 최대화할 수 있다.
[0005] 메시 네트워크의 유지시에, 더 강한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노드가 통신 영역에 진입한다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은 새로운 노드를 고려하도록 송신 라우팅 결정들을 적응적으로 그리고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대로, 임의의 특정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이 떨어진다면, 메시 내의 다른 노드들은 그에 따라 송신 라우팅 결정들을 조정할 것이다. 전력 프로파일들을 변경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또는 비슷한 전력 프로파일들을 갖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잠재적 메시 네트워크 노드들과 접하게 되면, 디바이스는 분배의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 루트 선택들에 랜덤 선택 프로시저들을 사용할 수 있다. 메시의 적응 특성은 새로운 노드들 또는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기존의 노드들뿐만 아니라 메시 노드들의 전력 프로파일들의 변화를 기초로 멤버 노드들이 자신의 송신 루트 선택들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0006]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은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코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0008] 본 개시의 또 추가 양상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9] 도 1a - 도 1c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0010] 도 2는 도 1a - 도 1c의 기지국들 중 하나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계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0011] 도 3은 본 개시의 한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0012] 도 4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3]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 의도되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이 모든 경우에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들에는 제시의 명확함을 위해,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는 점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0014]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 중 하나의 실질적인 응용에서, 위급 상황들 동안의 통신이 해결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심지어는, 예컨대 COLT(cell-on-light-truck)들 및 COW(cell-on-wheel)들과 같은 비상 관련 신속 대응 모바일 통신 장치들을 통해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 자원들을 임시로 가져옴으로써, 위급 상황들에서 발생하는 통신 문제들을 최소화하거나 줄이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시도되었다. 사용자 측에서는, 비상 구역 내에 로케이팅된 개인들 간의 통신을 보장하도록 비상 구역에 애드 혹 비상 메시 네트워크들을 형성할 해결책들이 제안되었다.
[0015] 도 1a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시점(t1)에서 최근 위급 상황의 위치를 식별하는 비상 구역(100)을 나타낸다. 위급 상황은 지진, 테러리스트의 공격, 토네이도, 허리케인 등일 수 있다. 비상 구역(100)은 위급 상황이 통신들에 영향을 준 영역을 나타낸다. 기지국(101)은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다양한 호환 가능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WWAN 통신들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기술들을 포함한다. 위급 상황의 결과, 기지국(101)은 작동 불가능하게 된다. 기지국(101)은 물리적 파괴 또는 손상, 정전, 또는 단순히 극단적인 오버로드 용량을 비롯하여 수많은 이유들로 작동 불가능할 수 있다. 기지국(101)의 작동 불능 결과, 그 커버리지 영역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도 WWAN 통신들을 구축할 수 없다.
[0016]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은 위급 상황 동안 이들의 사용자들과 함께 비상 구역(100) 내에 로케이팅되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 각각에는 WWAN 통신들을 위한 WWAN 라디오들 및 컴포넌트들이 장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인터넷, 네트워크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등에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WLAN 라디오들 및 컴포넌트들도 장착되어 있다. WLAN 통신들은 BLUETOOTH®, BLUETOOTH® LE(Low Energy), (IEEE 802.11을 통해 표준화된) WIFI™, WIFI DIRECT™, ZIGBEE™ 등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에 의해 위급 상황이 결정되면, 각각의 디바이스는 범위 내의 다른 WLAN 가능 디바이스들과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를 구축하기 위한 시도를 하는 비상 동작 모드를 시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a)는 자신의 WLAN 라디오 범위 내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102c, 102d)과 애드 혹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해 신호들을 전송하기 시작한다. 각각의 다른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2b-e)는 또한 신호들을 전송하여 다른 가까운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애드 혹 통신 링크들을 구축한다.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를 형성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 간의 다양한 접속들이 사용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104) 및 WIFI™ 액세스 포인트(103)와 같은 WLAN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통신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은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로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상 비컨들을 라우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17]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가 구축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은 비상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타입들의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컨들을 전송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비상 비컨들은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비상 비컨은 고유 사용자 식별자(ID: identifier), 타임스탬프, 위치, (많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이미 장착된 다양한 기존 센서들을 통해 획득된) 사용자 상태 등과 같은 필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구역(100)에 로케이팅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통해 사용자 정의 메시지들이 또한 비상 메시지들로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은 또한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어, 어떤 이유로 통신이 제한될 때, 더 높은 우선순위의 메시지들에 우선권이 주어질 것이다.
[0018] 위급 상황의 동적 특성 때문에, 다양한 양상들의 애드 혹 비상 메시 네트워크들에서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개방형 최단 경로 우선(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등과 같은 적응형 라우팅 프로토콜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들에 대한 라우팅 방식들과는 달리, 비상 메시 네트워크는 라우팅 방식의 결정시 고려되어야 하는 고유한 상황들을 제공한다. 위급 상황에서는, 일부 사용자들이 갇히거나 다칠 수 있다. 이러한 갇히거나 다친 사용자들은 비상 요원으로부터 고립될 수 있으며, 비상 요원이 갇히거나 다친 사용자들에게 몇 시간 또는 심지어 며칠 동안이나 닿을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립된 사용자들의 비상 비컨들 또는 메시지들에 정보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전력 소모는 이러한 정보가 얼마나 오래 보존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중요한 파라미터들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라우팅 결정들을 할 때 비상 메시 네트워크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 노드들의 전력 프로파일을 고려하는 적응형 라우팅 방식들을 제공한다.
[0019] 주어진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프로파일은 모바일 디바이스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다수의 변수들 및 요소들의 고려를 통해 계산되거나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프로파일은 잔여 배터리 수명, 단일 메시지의 라우팅시 소모되는 평균 전력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 그러한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대역폭 및 전력 특징들, 다음 메시지 홉(hop) 또는 레그(leg)까지의 근접성, 전송될 데이터의 크기 등과 같은 추가 요소들이 계산에 또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은 이러한 요소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결합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0020]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의 애드 혹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라우팅 방식은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했던 에지 가중치들을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2b)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의 메시지의 라우팅을 고려할 때, 에지(모바일 디바이스(102a), 모바일 디바이스(102b))와 연관된 가중치는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전력 프로파일(P)의 어떤 함수일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전력 프로파일은 잔여 배터리 전력, 단일 메시지의 라우팅시 소모되는 평균 전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b)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2e)로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도 있다. 메시지를 어느 모바일 디바이스로 라우팅할지의 결정시, 모바일 디바이스(102b)는 에지(모바일 디바이스(102a), 모바일 디바이스(102b))의 에지 가중치를 에지(모바일 디바이스(102e), 모바일 디바이스(102b))의 에지 가중치와 비교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e)의 전력 프로파일이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전력 프로파일에 비해 낮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b)는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2e)로의 라우팅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 라우팅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선택된 양상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2e, 102a)이 동등한 또는 비슷한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공평한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 랜덤 선택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다.
[0021] 모바일 디바이스들(102e, 102a)이 동등한 또는 비슷한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상황들의 경우, 메시지에 대한 루트를 선택하기 위해 수많은 서로 다른 방법들 또는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랜덤 선택 프로세스는 단지 일례일 뿐이다. 다른 예들은 라운드 로빈 방식, 모바일 디바이스들(102e, 102a) 주위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전력 프로파일들을 기초로 한 가중 선택, 디바이스의 타입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동등한 또는 비슷한 전력 프로파일들을 갖는 루트들 사이에서의 선택을 위한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22] 더 높은 에지 가중치를 갖는 루트의 선택은 모바일 디바이스(102e)의 전력을 보존할 수 있다. 전력의 보존은 모바일 디바이스(102e)가 더 오래 동작할 수 있게 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e)로부터의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이 더 오래 브로드캐스트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일부 양상들에서는, 적응형 라우팅 방식이 더 낮은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2a)가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에서 가장 높은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를 고려해본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102c, 102d), WIFI™ 액세스 포인트(104) 및 액세스 포인트(103)와 같은 다른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비상 구역(100) 밖에 있는 디바이스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전달 또는 전달 시도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전송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전력은 빠르게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는 너무나 빠르게 소모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적응형 라우팅 방식은 라우팅 결정에 있어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의 멤버들의 전력 프로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를 둔다. 그러나 결정은 단순히 가장 높은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루트를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0023] 비상 구역(100) 내에서 고립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외에도, 비상 사고 이후에 추가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비상 구역(100)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f)와 같은 이러한 일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들이 비상 구역(100)에 진입하여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수신하기 시작할 때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에 일시적으로 합류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f)의 도착 전에,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 각각에 의해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이 생성되어 전달된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들의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 전력 프로파일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2a)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자신의 비상 비컨을 주어진 주기적 레이트로 전송할 수 있는 한편, 저 전력 프로파일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102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지, 모바일 디바이스(102a)가 그의 비상 비컨을 전송하는 레이트의 몇 분의 1인 레이트로 자신의 비상 비컨을 전송할 수도 있다. 추가로,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전력 프로파일이 떨어져야 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a)는 자신의 송신 레이트를 더 낮은 레이트로 조정하여, 감소된 전력 특징을 받아들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 각각으로부터의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컨들은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각각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되고 전달된다. 따라서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의 각각의 멤버 노드는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모든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비상 메시지 또는 비컨의 레코드를 가질 것이다.
[0024]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는, 임의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력 프로파일이 낮아지기 시작할 때,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에서 동작하는 적응형 라우팅 방식이 또한 전력 프로파일의 함수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중계" 행위를 변경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중계 행위는 수신된 비상 비컨들 또는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것, 수신된 비상 비컨들 또는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것, 메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 중간 노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통보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그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신의 전력 프로파일이 어떤 더 낮은 임계치에 도달한다면, 임의의 낮은 우선순위의 비상 비컨들을 폐기함으로써 자가 보존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0025]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 메시지들을 서로 다른 레이트들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정규 메시 메시지는 비상 메시지와 같은 높은 우선순위의 메시지보다 더 낮은 레이트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로, 매우 혼잡한 상황들에서, 더 낮은 우선순위의 메시지들은 심지어 완전히 누락될 수도 있다.
[0026] 모바일 디바이스(102f)가 비상 구역(100)에 진입하면, 이는 모바일 디바이스(102f)의 범위 내에서 현재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에 있는 유일한 모바일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부터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수신하기 시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f)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2f)로 하여금, 그 자신의 비상 비컨 또는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02a)를 통해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에 합류하게 한다.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의 일부가 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2f)는 비상 구역(100) 밖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2j)의 WLAN 범위 내에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j) 그 자체는 모바일 디바이스(102k)의 WLAN 범위 내에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k)는 기지국(105)의 커버리지 영역(108)에 로케이팅된다. 기지국(105)은 완전히 작동 가능하다. 모바일 디바이스(102f)는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로부터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수신한 후, WLAN을 통해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2j)에 전송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2j)는 그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2k)에 전송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k)가 이러한 메시지들을 수신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k)는 기지국(105)을 통한 WWAN 통신들을 통해, 메시지들을 그 메시지들이 지시되는 비상 서비스로 전달할 수 있다.
[0027]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에서,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는 디바이스들의 다수의 도메인들로 분할될 수 있다. 임의의 개개의 도메인의 형성은 디바이스 타입, 디바이스들의 집단적 건전성, 전력 프로파일 등과 같은 다수의 서로 다른 기준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도메인의 건전성은 다수의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한 메트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전성 메트릭은 도메인 내 디바이스들의 평균 잔여 전력,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도메인 내 디바이스들에 의해 소모되는 평균 전력, 도메인 내 접속성, 도메인 간 접속성, 그리고 도메인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WIFI™, BLUETOOTH™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메인 내 접속성은 어떤 충분히 큰 값인 k에 대해, 도메인 내 노드들의 세트의 k-접속성을 기초로 측정된다. 이러한 도메인 내 접속성은 메시 안정성의 표시일 수 있다. 더욱이, 특정 도메인이 인터넷 또는 다른 WAN과 같은 외부 액세스 가능 네트워크에 대해 많은 송신 루트들을 갖는다면, 도메인의 건전성이 고립된 도메인의 건전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0028] 도메인 간 접속성은 서로 다른 도메인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통신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도메인 간 통신의 이행시 도메인 간 라우팅 정책들이 사용된다.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를 다수의 도메인들로 분할하는 양상에 대해 구성된 적응형 라우팅 방식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건전성을 갖는 도메인들을 통해 높은 우선순위의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컨들을 라우팅하는 것에 대한 제한과 같은 도메인 간 라우팅 정책들을 고려할 수 있다.
[0029]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비상 구역(100) 내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2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102c) 각각은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낮은 잔여 전력 및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더 높은 평균 전력 소모를 기초로 낮은 건전성 메트릭을 갖는다. 따라서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를 형성할 때, 도메인(109)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102c)을 포함하는 분할이 생성된다. 나머지 디바이스들인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 d, e, f)과 WIFI™ 액세스 포인트(103)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104)가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에 다른 도메인을 구성한다.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를 다수의 도메인들로 분할하지 않으면서 설명된 양상과 유사하게, 도메인 간 라우팅을 위한 적응형 라우팅 방식이 수신 도메인의 건전성의 함수로써 가중된다. 예를 들어, 이동국(102a)을 포함하는 제 1 도메인으로부터 도메인(109)으로의 메시지의 라우팅을 고려할 때, 이동국(102a)은 도메인(109)의 전체적인 건전성을 고려할 것이다.
[0030] 도 1b는 비상 사고 이후, 시점(t2)에서의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2f)를 가진 사용자가 비상 구역(100) 밖으로 이동하였고,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 d, e)과 WIFI™ 액세스 포인트(103)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104)의 도메인이 남았다. 각기 모바일 디바이스들(102g, h)을 가진 2명의 새로운 사용자들이 이제 비상 구역(100)에 진입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102g, h) 각각이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로부터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수신하기 시작할 때, 이들 각각이 평가되어 각각의 도메인에 추가된다. 더 높은 잔여 배터리 전력 및 효율적인 송신기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2g)가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 d, e)과 WIFI™ 액세스 포인트(103) 및 액세스 포인트(104)의 도메인에 추가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2h)는 훨씬 더 낮은 잔여 배터리 전력을 갖고,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c)을 가진 도메인(109)에 추가된다.
[0031]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들인 모바일 디바이스들(102g, h) 둘 다, 비상 구역(100) 밖에 로케이팅되며 기지국(105)의 커버리지 영역(108) 내에 로케이팅된 모바일 디바이스(102k)를 통해 기지국(105)의 WWAN 통신에 액세스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102j)의 WLAN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2g, h)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신되는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컨들은 최종 수신인인 비상 서비스로 전달될 수 있다.
[0032] 본 개시의 한 양상에서,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각각의 노드가 비상 비컨을 전송하는 레이트는 잔여 배터리 전력과 같은 그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이 t2를 지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a)가 배터리 전력을 잃기 시작한다. 레벨은 여전히 모바일 디바이스(102a)를 그 도메인 내에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하강하고 있는 배터리 전력으로 그 비상 비컨을 전송하는 데 있어 검토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시점(t2)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a)는 자신의 잔여 배터리 전력이 최대치의 60% 미만으로 줄어들 때, 자신의 비상 비컨 송신 레이트를 분당 20회에서 분당 10회로 떨어뜨린다. 송신 레이트들의 결정은 아래 공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R A 는 비상 비컨 송신 레이트이고, P는 잔여 배터리 전력이다.
[0033] 상기 비컨 송신 레이트들의 특정 예는 단지 한 예시적인 구현일 뿐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실제 송신 레이트는 각각의 개별 전력 상태에 대해 구성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상태를 기초로 수많은 서로 다른 구성의 송신 레이트들을 구현할 수 있다.
[0034] 모바일 디바이스(102a)가 비상 비컨들에 대한 자신의 송신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액세스 포인트(104)는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로부터의 다양한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전달하는 동일한 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는 비-배터리 전원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과 동일한 전력 보존 고려사항들을 겪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04)는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에서 트래픽에 대해 선호되는 중계 노드일 수 있다.
[0035] 도 1c는 비상 사고 이후, 시점(t3)에서의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점(t3)에서, COLT 또는 COW와 같은 비상 관련 신속 대응 모바일 통신 장치(106)가 비상 구역(100) 근처의 위치에 도착하였다. 모바일 통신 장치(106)는 추가 용량을 제공할 것이며, 때에 따라서는 기지국(101)의 작동 불능으로 인해 상실된 용량을 만회할 것이다.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는 비상 사고 시점에서부터 시점(t3)까지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e)로부터의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 시기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102c)는 배터리 전력이 다 떨어졌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2c)로부터의 통신들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가 전송된 메시지들 및 비컨들의 저장 및 전달을 제공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102c)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들 및 비컨들이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의 나머지 노드들 내에서 여전히 순환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102g, j, k)을 통한 WLAN을 통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02a, b, g, j, 또는 k)의 접속을 통한 WWAN을 통해 비상 메시지들이 전송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c)와 연관된 정보가 여전히 적절한 비상 서비스들로 중계될 수 있다.
[0036]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추가로, 비상 메시 네트워크(107) 내의 노드들이 전력을 더 보존하기 위해 자신의 송신들에 어떤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시점(t3)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자신의 메시지들을 WIFI™를 통해 WIFI™ 액세스 포인트(103)에, BLUETOOTH™ 또는 WIFI™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 d)에,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WWLAN을 통해 모바일 통신 장치(106)에 전송할 수 있다. 라우팅 결정들을 정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자신의 메시지들의 전송시에 어떤 무선 기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지를 고려할 수 있다. 더 낮은 전력 도메인(109)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2b)로 비상 메시지들 또는 비컨들의 전송시,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WIFI™ 또는 BLUETOOTH™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BLUETOOTH™는 일반적으로 WIFI™보다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자신의 BLUETOOTH™ 라디오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b)에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디바이스(102e)가 그 자신의 전력도 역시 보존하기를 원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또한 자신의 BLUETOOTH™ 라디오들을 사용하여 비상 메시지들 및 비컨들을 전송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e)에 대한 잔여 전력 공급이 더 낮은 상태에 이르고 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02e)는 BLUETOOTH™ 송신들만을 하도록 선택하여, WIFI™ 액세스 포인트(103)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메시지들도 중단시킬 수 있다.
[0037] 본 개시의 다양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양상들은 사용자 입력이 송신 루트 선택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게 할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시점(t3)에서, 비상 관련 신속 대응 모바일 통신 장치(106)가 도착했고 다른 비상 관련 대응자들이 또한 비상 구역(100) 내의 피해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도착하고 있다. 피해자들은 비상 대응자들이 도착하고 있는 곳 근처에 있을 때, 피해자/사용자는 더 많은 비상 메시지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되거나 라우팅되도록 지시하는 입력을 그의 또는 그녀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사용자가 비상 대응자들이 근처에 있음을 알고 있다면, 그 또는 그녀는 가능한 한 많은 비상 메시지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 라우팅하기 위해 라우팅 무효화(override) 메시지들을 식별하여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e), WIFI™ 액세스 포인트(103) 및 액세스 포인트(104)로 전송하는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102a)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대응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02a)의 피해자/사용자에게 도착할 때, 다른 피해자들에 대한 정보가 비상 대응자들에게 쉽게 입수될 수 있다.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들은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라우팅 메커니즘들 중 임의의 라우팅 메커니즘을 일시적으로 무효화하고, 대신에 단순히, 전송 모바일 디바이스인 모바일 디바이스(102a)로 가능한 한 직접 라우팅한다. 무효화 클록 또는 다른 그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추적될 수 있는 일정 기간의 시간 후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102b-e)이 전력 프로파일 기반 라우팅 방식으로 되돌아가 전력을 보존할 것이다.
[0038] 도 2는 도 1a - 도 1c의 기지국들 중 하나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200)과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설계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기지국(200)은 안테나들(234a-234t)을 구비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안테나들(252a-252r)을 구비할 수 있다.
[0039] 기지국(200)에서, 송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24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벌 맵핑)하여 데이터 심벌들 및 제어 심벌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 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로세서(230)는, 적용 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벌들, 제어 심벌들 및/또는 기준 심벌들에 대한 공간 처리(예를 들어, 프리코딩)를 수행할 수 있고, 변조기들(MOD들; 232a-232t)에 출력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232)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벌 스트림을 처리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232a-2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234a-234t)을 통해 각각 전송될 수 있다.
[0040] 모바일 디바이스(102)에서, 안테나들(252a-252r)은 기지국(20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들; 254a-2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예를 들어, OFDM 등에 대한) 입력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256)는 모든 복조기들(254a-254r)로부터 수신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고, 적용 가능하다면 수신 심벌들에 MIMO 검출을 수행하여, 검출된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58)는 검출된 심벌들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80)에 제공할 수 있다.
[0041] 업링크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2)에서는 송신 프로세서(264)가 데이터 소스(26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28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로부터의 심벌들은 적용 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266)에 의해 프리코딩될 수 있고, 복조기들(254a-254r)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기지국(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200)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2)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이 안테나들(234)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232)에 의해 처리되며, 적용 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2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238)에 의해 추가 처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2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39)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 있다.
[0042] 제어기들/프로세서들(240, 280)은 각각 기지국(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2)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200)에서 제어기/프로세서(2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2)에서 제어기/프로세서(28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또한 도 3에 예시된 기능 블록들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관한 다른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242, 282)은 각각 기지국(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2)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2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0043]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한 양상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예시적인 블록들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가 예시된다. 비상 통신 상황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한 예시적인 구현을 제공하지만, 비상이 아닌 상황들에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전력 보존 목적들은 그러한 메시 네트워크들의 형성,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가진 세입자들이나 방문자들을 위해 사무실 건물이나 쇼핑 센터와 같은 특정 통신 구역에서 메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오프로딩 기술들을 위해 또는 게임들,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 추천 애플리케이션들 등과 같은 근접성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에 추가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블록(300)에서,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가 구축된다. 무선 통신 엔티티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액세스 포인트들, 중계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301)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가 생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록(302)에서, 메시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고, 여기서 송신 루트는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된다. 블록(303)에서는,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타깃 노드로 메시 메시지가 전송된다.
[0044] 도 4는 본 개시의 한 양상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제어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기능 및 특징들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하는 제어기/프로세서(280)를 포함한다. 메시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시설이 검출되면, 제어기/프로세서(280)는 메모리(282)에 액세스하여 통신 네트워킹 방식(400)을 실행한다. 제어기/프로세서(28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네트워킹 방식은 WWAN 라디오(401), WIFI™ 라디오(402) 및 BLUETOOTH™(BT) 라디오(403) 중 임의의 라디오를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웃 디바이스들에 피어 투 피어 접속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접속 메시지들은 또한 이러한 라디오들을 통해 수신되며, 이용 가능한 이웃 디바이스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의 결합은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0045] 메시 통신 모드인 동안에, 메시 메시지들 및 비컨들은 제어기/프로세서(280)의 제어에 따라, 메시 메시지 생성기(406)에 의해, 메모리(282)에 저장된 또는 제어기/프로세서(280)의 제어에 따라 도출 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의 결합은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0046] 제어기/프로세서(280)는 메모리(282)에 액세스하여 적응형 라우팅 방식(404)을 실행한다. 적응형 라우팅 방식(404)은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전송할 루트를 결정한다. 메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들의 일부로서,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이 포함된다. 전력 프로파일은 노드의 가용 전력 또는 전력 효율을 반영하는 수많은 서로 다른 측정들 또는 메트릭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프로파일은 잔여 배터리 전력,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력 등, 또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임의의 결합일 수 있다. 적응형 라우팅 방식(404)은 송신에 대해 고려되는 다양한 타깃 노드들에 대한 전력 프로파일을 사용하며 이 전력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에지 루트를 결정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의 결합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여기서 송신 루트는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된다.
[0047] 송신 루트가 선택되었다면, 제어기/프로세서(280)는 WWAN 라디오(401), WIFI™ 라디오(402) 및 BT 라디오(403) 중 선택된 라디오를 통해 메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및 동작들의 결합은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타깃 노드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0048]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또한 메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 전송될, 그리고 또한 메시 비컨 송신 주파수, 라디오 선택, 저장 및 전달 행위 등과 같은 다른 송신 특징들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들에 대해 그 자신의 전력 프로파일을 평가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80)의 제어에 따라, 전력 관리 코드(405)가 실행되어, 배터리(407)에 남은 전력 그리고 또한 WWAN 라디오(401), WIFI™ 라디오(402) 및 BT 라디오(403) 중 임의의 라디오를 통한 송신에 필요한 전력을 분석한다.
[0049]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0050] 도 3의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51]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52]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0053]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0054]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55] 본 개시의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50)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mesh)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하는 단계에 따라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데 실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순위가 우선순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하는 단계 및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가 상기 우선순위 임계치를 초과하는데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누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변경된 송신 레이트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송신 레이트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변경된 송신 레이트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송신 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위해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송신 루트 무효화(override) 메시지를 식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각각으로 상기 송신 루트 무효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식별된 송신 루트 무효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결정된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무효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는 단계 및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 각각에 대한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송신 루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 각각에 대한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송신 루트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노드의 이용 가능성에 추가로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력 특징들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에만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의 전력 프로파일이 동등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동등한 전력 프로파일들을 갖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라운드 로빈 선택 방식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의 각각의 이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깃 노드에서의 메시지 트래픽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새로운 타깃 노드를 사용하는 새로운 송신 루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오버로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위해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을 복수의 도메인들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도메인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전력 프로파일들의 범위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노드가 존재하는 타깃 도메인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은 상기 타깃 도메인의 도메인 건전성(health)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건전성은,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평균 전력 프로파일;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평균 잔여 전력;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에 의해 소모되는 평균 전력;
    도메인 내 접속성;
    도메인 간 접속성; 및
    상기 메시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위 레벨 통신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및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프로파일은,
    잔여 배터리 전력;
    상기 메시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소모되는 평균 전력;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
    상기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대역폭;
    상기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특징들;
    상기 타깃 노드의 근접성; 및
    상기 메시 메시지의 크기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기초로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한 상기 결정을 무효화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루트를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는,
    사용자;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발생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코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 루트를 결정하고 전송하기 위한 코드에 따라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실행 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데 실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가 우선순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하기 위한 코드 및 전달하기 위한 코드를 실행하고; 그리고
    상기 우선순위가 상기 우선순위 임계치를 초과하는데 실패하는 경우에 상기 외부 메시 메시지를 누락시키도록 실행 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변경된 송신 레이트로 재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송신 레이트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변경된 송신 레이트로 재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된 송신 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의 우선순위에 따라 달라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위해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송신 루트 무효화 메시지를 식별하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메시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각각으로 상기 송신 루트 무효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및
    식별된 송신 루트 무효화 메시지에 응답하여, 결정된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무효화하도록 실행 가능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하기 위한 코드 및 전달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에 상관없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 각각에 대한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송신 루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새로운 타깃 노드들 각각에 대한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새로운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상기 송신 루트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타깃 노드의 이용 가능성에 추가로 기초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전력 특징들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코드; 및
    검출된 변화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전력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액티브 모드인 경우에만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의 전력 프로파일이 동등하다고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동등한 전력 프로파일들을 갖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기 위한 코드;
    라운드 로빈 선택 방식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의 각각의 이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잠재적 타깃 노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타깃 노드에서의 메시지 트래픽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메시지 트래픽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새로운 타깃 노드를 사용하는 새로운 송신 루트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타깃 노드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오버로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을 위해 복수의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을 복수의 도메인들로 그룹화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도메인은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연관된 전력 프로파일들의 범위에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타깃 노드가 존재하는 타깃 도메인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은 상기 타깃 도메인의 도메인 건전성을 기초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메인 건전성은,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평균 전력 프로파일;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평균 잔여 전력;
    단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타깃 도메인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에 의해 소모되는 평균 전력;
    도메인 내 접속성;
    도메인 간 접속성; 및
    상기 메시 네트워크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위 레벨 통신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및
    광역 네트워크(WAN)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프로파일은,
    잔여 배터리 전력;
    상기 메시 메시지를 라우팅하는데 소모되는 평균 전력;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
    상기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대역폭;
    상기 송신을 위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의 전력 특징들;
    상기 타깃 노드의 근접성; 및
    상기 메시 메시지의 크기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기초로 결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제 46 항에 있어서,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한 상기 결정을 무효화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 루트를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무효화 메시지는,
    사용자;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로부터 발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및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구역 내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과 메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통신 엔티티들 중 타깃 노드에 대한 송신 루트를 결정하고 ― 상기 송신 루트는 상기 타깃 노드의 전력 프로파일을 기초로 결정됨 ―; 그리고
    결정된 송신 루트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타깃 노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20157003855A 2012-08-01 2013-07-30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 KR20150038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64,648 US9025461B2 (en) 2012-08-01 2012-08-01 Power optimized behavior in mesh networks
US13/564,648 2012-08-01
PCT/US2013/052731 WO2014022398A1 (en) 2012-08-01 2013-07-30 Power optimized behavior in mesh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071A true KR20150038071A (ko) 2015-04-08

Family

ID=4898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3855A KR20150038071A (ko) 2012-08-01 2013-07-30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5461B2 (ko)
EP (1) EP2880916A1 (ko)
KR (1) KR20150038071A (ko)
CN (1) CN104509168A (ko)
WO (1) WO2014022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4701A (en) * 2012-08-06 2014-02-12 Nec Corp Determining current state of a mobile device
US10033798B2 (en) * 2013-02-15 2018-07-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mart grid portal election
US9215570B2 (en) * 2013-11-07 2015-12-15 Paypal, Inc. Beacon content propagation
EP3138328B1 (en) 2014-05-01 2021-04-2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a node of a mesh network
US9295011B1 (en) 2014-11-06 2016-03-22 At&T Mobility Ii Llc Low power chaining
US10015041B2 (en) * 2015-09-17 2018-07-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for a service disruption
US9860782B2 (en) 2015-11-05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uting of signals in a mesh network to reduce burden on intermediary nodes
CN105515994A (zh) 2015-11-30 2016-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路由选择方法及装置
US10015772B2 (en) * 2015-12-03 2018-07-03 Dell Products L.P. Geo-tagged beacons for Wi-Fi performance optimization
DE102016208695A1 (de) * 2016-05-20 2017-11-23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sgabe von Warnmeldungen
US10348806B2 (en) 2016-06-30 2019-07-09 Paypal, Inc. Transferring data using mobile devices
US10420007B2 (en) * 2017-10-03 2019-09-17 Itron Networked Solutions, Inc. Energy aware routing for mesh networks
US10531412B2 (en) * 2017-11-06 2020-01-07 Sony Corporation On demand route synchronization and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EP3518587B1 (en) * 2018-01-26 2022-04-0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gulating transmission powers from nodes
CN110493758B (zh) 2018-05-14 2023-01-1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蓝牙Mesh网络及其配网方法、设备与存储介质
CN110505606B (zh) 2018-05-18 2022-12-0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蓝牙Mesh网络及其配网鉴权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0636478B (zh) 2018-06-22 2023-04-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蓝牙Mesh网络系统及其通信方法、设备与存储介质
US10701171B2 (en) 2018-09-17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Message caching for a node in a wireless mesh network
WO2022066630A2 (en) * 2020-09-28 2022-03-31 Arris Enterprises Llc Coordinated power control using a power conservation mode
FR3130494A1 (fr) * 2021-12-14 2023-06-1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édé et dispositif de gestion dynamique d’un réseau de communication maillé
US11870879B1 (en) * 2023-01-04 2024-01-09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Device communication during emergent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23956A1 (en) 1998-10-22 2000-04-27 University Of Maryl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dependent an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US7151769B2 (en) * 2001-03-22 2006-12-19 Meshnetworks, Inc. Prioritized-routing for an ad-hoc, peer-to-peer, mobile radio access system based on battery-power levels and type of service
GB0211286D0 (en) * 2002-05-16 2002-06-26 Nokia Corp Routing data packets through a wireless network
US7583602B2 (en) 2004-06-30 2009-09-01 Alcatel-Lucent Us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routing traffic using a configurable access wireless network
US7519351B2 (en) 2004-07-09 2009-04-14 Lucent Technologies Inc. Emergency mode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7830305B2 (en) 2004-09-03 2010-11-09 Procon, Inc. Locator beacon system having global communication capability
US10178522B2 (en) 2005-08-0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VoIP emergency call support
KR101213158B1 (ko) * 2006-09-26 2012-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기반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CN101083616B (zh) * 2007-07-05 2010-08-18 上海交通大学 基于蚁群算法的无线自组网络节能按需路由方法
US20090010189A1 (en) 2007-07-07 2009-01-08 Nagra Sundeep S Network with remaining battery life routing metric
US8274957B2 (en) * 2007-07-20 2012-09-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setting up and tearing down connections in mesh networks
US20100085948A1 (en) * 2008-01-31 2010-04-08 Noosphere Communications, Inc. Apparatuses for Hybrid Wired and Wireless Universal Access Networks
CN101335717B (zh) * 2008-07-18 2012-03-28 西安交通大学 Ad Hoc网络中能量均衡路由协议的实现方法
US8208891B2 (en) 2009-05-01 2012-06-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systems for relaying out of range emergency information
JP5560941B2 (ja) * 2009-11-17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8649493B2 (en) * 2010-12-27 2014-02-11 Avaya Inc. Latency compensation adjunct for teleconference voice switches
US8861390B2 (en) * 2011-07-27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Estimated transmission overhead (ETO) metrics for variable data rate communication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09168A (zh) 2015-04-08
US20140036683A1 (en) 2014-02-06
WO2014022398A1 (en) 2014-02-06
US9025461B2 (en) 2015-05-05
EP2880916A1 (en)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8071A (ko) 메시 네트워크들에서의 전력 최적화 행위
Long et al. Energy-aware real-time routing for large-scal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US11032874B2 (en) Shadow access point for hierarchical tree network using 802.11 infrastructure nodes in fire detection systems and other systems
EP3556137B1 (en) Ue communication handover between light fidelity access poi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262866B1 (en) Congestion avoidance in a network with base station and relay nodes
EP2878101B1 (en) Relaying information for an unreliably heard utility node
Chen et al. Routing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consisting of opportunistic links
ES2894043T3 (es) Un método de selección de roles para sistema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10045171B2 (en) Positional information manag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mobile device
CN109075929A (zh) 用户设备操作模式控制
Nawaz Jadoon et al. EEHRT: energy efficient technique for handling redundant traffic in zone‐based rou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1217813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의 우선순위 결정 방법
EP3459286B1 (en) Wireless service extension using d2d and method to determine communication path and emergency service
KR20100056364A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Lohith et al. Link peek: A link outage resilient ip packet forwarding mechanism for 6lowpan/rpl based low-power and lossy networks (llns)
Woo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Relay Selection on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in Rayleigh Fading
ES2911615T3 (es) Red de dispositivos inalámbrica configurable
Balakrishna et al. Device-to-device based path selection for post disaster communication using hybrid intelligence
Daabaj et al. Reliable routing for low-power smart space communications
KR102578914B1 (ko) D2d 기반 ptt 서비스에서 통화시간 및 서비스 커버리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릴레이 선택 방법 및 장치
EP3954156B1 (en) Wireless mesh network system
Daabaj et al. Trusted routing for resource-constrained wireless sensor networks
Sharma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of Routing Protocol in MANET by implementing Ant Colony Optimization
Krushnaji et al. A Survey on Event Detection and Transmission Protocols in Wireless Sensor Network
Madhavi et al. MAC protocol with energy efficient relay selection algorithm for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