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48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485A
KR20150037485A KR20140064259A KR20140064259A KR20150037485A KR 20150037485 A KR20150037485 A KR 20150037485A KR 20140064259 A KR20140064259 A KR 20140064259A KR 20140064259 A KR20140064259 A KR 20140064259A KR 20150037485 A KR20150037485 A KR 2015003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area
reg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유용찬
전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02,35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91796A1/en
Publication of KR2015003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이 표시되게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에 따라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영역 및 이 제1영역과 상이한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소정의 곡률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구조에서 이 벤딩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의 표시 상태를 개선하여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로컬/네트워크로 접속된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곡률이 실질적으로 0인 직사각형의 평면을 형성하며, 이 평면 상에 영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디스플레이 패널에도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제안되고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후방향에서 사용자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구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소정 값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며 이 벤딩면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구조 등이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에, 평상시에는 평탄면을 형성하다가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에만 소정 곡률로 벤딩면을 형성하는 구조와,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최초부터 기 설정된 곡률의 벤딩면을 유지하는 구조가 있다. 전자의 경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는 태블릿, 전자책, 전자신문 등이 가능하며, 후자의 경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원형기둥에 설치되는 광고 패널 등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벤딩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평탄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달리 사용자가 영상을 왜곡하여 인지할 수 있으므로, 벤딩면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지하도록 제공하는 구조 또는 영상처리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이 표시되게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이한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가 벤딩된 상태라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왜곡이 적게 인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1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이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 중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을 업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각각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상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의 휘도가 상기 제2영역의 휘도보다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벤딩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면 상태로 복원된 것으로 감지되면, 조정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원래대로 회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 중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이 특정되면,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픽셀면적 범위의 영역을 상기 제1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 중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이 특정되면,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의 곡률값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산출된 곡률값의 기 설정된 수치범위 내에 있는 픽셀영역을 상기 제1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이한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1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이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 중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을 업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각각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휘도가 상기 제2영역의 휘도보다 높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벤딩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면 상태로 복원된 것으로 감지되면, 조정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원래대로 회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볼록하게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오목하게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 내 신호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된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외부 카메라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벤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제6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지는 태블릿(tablet) 장치로 구현된다. 다만, 이러한 예시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구현 예시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본 실시예와 같은 구현 예시나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태블릿 장치만으로 한정할 수 없으며, 예를 들면 TV, 모니터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도 1에 나타난 각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X, Y, Z 방향은 기본적으로 도면 상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가로, 세로, 법선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도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은 X 방향의 축 및 Y 방향의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인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Z 방향 축선은 X-Y 평면에 수직하므로, 공간 상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배치 상태에 따라서는 중력방향과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X, Y, Z 방향의 반대방향은 각각 -X, -Y, -Z 방향으로 나타낸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일면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 상에 표시된 영상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3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이 적용되는 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디스플레이(13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벤딩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볼록하게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오목하게 구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X 방향 축선 또는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외력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30) 뿐만 아니라 하우징(미도시)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타 구성들 또한 플렉시블한 구조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세로방향을 따라서 상하를 파지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이 위로 볼록해지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중앙영역이 위로 볼록해지도록 벤딩되는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각 영역 별 곡률값은 각기 상이한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체영역 중에서 중앙영역을 가로지르는 X1-X2 라인에서의 곡률값이 최대치를 나타낸다고 하면, 그 이외의 영역,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하 모서리 영역을 가로지르는 X3-X4 라인에서의 곡률값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낼 것이다. 즉, 본 도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은 벤딩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하 모서리 영역은 벤딩된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이 아래로 볼록해지도록, 즉 위를 향해서는 오목해지도록 벤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X1-X2 라인에서의 곡률값의 절대값은 최대치를 나타내며, X3-X4 라인에서의 곡률값의 절대값은 낮은 수치를 나타낸다. 다만, 도 2의 경우의 벤딩방향은 도 3의 경우의 벤딩방향과 반대이므로, 전자의 곡률값을 (+)라고 한다면 후자의 곡률값은 (-)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곡률값은 소정 영역이 벤딩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되지 않은 평탄면 상태의 소정 영역의 곡률값을 0이라고 하면, 해당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서 곡률값을 2, 3, 4 등의 수치로 나타내고, 해당 영역이 -Z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서 곡률값을 -2, -3, -4 등의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곡률값의 이러한 예시에서 (+) 또는 (-)는 벤딩 방향을 나타내고, 수치는 벤딩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인 바, 곡률값의 표현 방법을 어느 한 실시예로 한정할 수 없다.
그런데, 이와 같이 벤딩된 디스플레이(130)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에게 왜곡된 형태로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line of sight)이 X1-X2 라인을 향하고 있는 상태라면, X3-X4 라인은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멀어지며 나아가서는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게 된다. 만일 벤딩되지 않고 평탄한 면의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영상의 경우라면, 사용자의 시선은 디스플레이(130) 전체 면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2 또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면, 사용자의 시선이 어느 곳을 향하는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30) 전체 면 중에서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기에 곤란한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벤딩 시에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왜곡이 최소화된 영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태블릿 형태의 장치에만이 아닌, 일반적인 스탠드 형태의 TV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자의 외력으로 디스플레이(230)를 벤딩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0)는 디스플레이(230)를 벤딩시키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 및 모터 구조(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해 해당 모터 구조(미도시)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230)가 벤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제1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110)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process)에 따라서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20)와, 신호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신호가 영상 관련인 경우에 해당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와, 디스플레이(130)의 벤딩을 감지하는 감지부(detector)(15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환경을 촬영/촬상하는 카메라(16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장치(미도시)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서, 유선/무선을 통한 광역/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로컬 접속 방식으로 외부장치(미도시)에 접속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각 장치 별 접속 포트(port) 또는 접속 모듈(module)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 또는 접속 대상이 되는 외부장치(미도시)는 하나의 종류 또는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전체 또는 일부의 구성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애드-온(add-on) 형태로 추가 설치되는 형식도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접속된 각 장치 별로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바, 접속된 각 장치에 대해 개별적인 접속 프로토콜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의 경우를 예로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RF(radio frequency)신호,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등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신호처리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신호처리부(120)는 영상데이터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30)에 해당 영상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신호가 방송신호이면, 신호처리부(120)는 특정 채널로 튜닝된 방송신호로부터 영상, 음성 및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영상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데이터의 종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바, 신호처리부(120)가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영상처리에 관련된 것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또한, 신호처리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가 반드시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것만으로도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부(1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음성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발화 데이터를 처리하며, 카메라(160)에 의해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제스쳐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감지 결과를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가,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칩셋(chip-set)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다.
디스플레이(130)는 신호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외력에 의해 벤딩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가 적용된다. 디스플레이(130)는 벤딩이 가능해야 하므로 LCD와 같이 별도의 백라이트(backlight)를 필요로 하는 비자발광 구조보다는, 자발광 구조의 패널이 적용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command) 또는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event)를 정보화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키/버튼 조작, 발화 등이 있다.
감지부(150)는 디스플레이(130)의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벤딩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 결과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50)에 의한 감지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30)가 어느 축선을 따라서 벤딩되는지, 또한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의 곡률값이 어느 정도인지 산출 및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감지부(15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감지부(150)는 디스플레이(130)의 가로축 및 세로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서 연장된 바 형태의 센서로서, 벤딩에 따라서 발생하는 센서의 일 영역의 스트레스를 수치화하여 출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부 환경, 특히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그 촬영 결과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아이 트랙킹(eye-tracking) 구조가 적용된다. 즉,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30) 상의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 제어부(170)가 판단하도록 감지할 수 있다. 아이 트랙킹의 구조 및 방법에 관해서는 다양한 실시예 및 방법이 적용되어 구현 가능한 사항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70)는 CPU로 구현되며,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신호처리부(120)의 동작을 비롯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루는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소정 컨텐츠의 영상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신호처리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영상데이터가 처리되어 디스플레이(130) 상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동작이 실행되도록 신호처리부(120)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신호처리부(120)의 구성에 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신호처리부(1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실시예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만을 표현하고 있는 바, 신호처리부(120)는 실제 장치로 구현될 때에 이하 설명되는 구성들 이외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120)는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121)와, 영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scaler)(122)와, 신호처리부(120)에서 처리되기 위한 영상데이터가 임시 저장되는 버퍼(buffer)(123)와, 감지부(150)에 의한 디스플레이(130)의 벤딩 감지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에서의 곡률을 판단하는 곡률검출기(124)와, 카메라(150)의 촬영/감지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디스플레이(130) 상의 영역을 판단하는 시선검출기(125)를 포함한다.
디코더(121)는 수신되는 영상데이터가 인코딩된 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영상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스케일러(122)에 전달한다. 여기서, 영상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있지 않은 무압축 데이터이므로 디코딩이 불필요한 경우에, 디코더(121)가 해당 영상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스케일러(122)에 전달하거나, 또는 영상데이터가 디코더(121)를 바이패스하여 스케일러(122)로 전달될 수 있다.
스케일러(122)는 영상데이터의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130)의 해상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30)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한다.
여기서, 스케일링 동작에는 업스케일링(up-scaling) 및 다운스케일링(down-scaling)의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의 원래 해상도를 제1해상도로,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해상도를 제2해상도로 편의상 지칭한다. 여기서, 업스케일링은 제1해상도가 제2해상도보다 작은 값일 때에 영상데이터를 제2해상도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하는 동작이며, 다운스케일링은 제1해상도가 제2해상도보다 큰 값일 때에 영상데이터를 제2해상도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가로 해상도가 1080픽셀일 때에, 영상데이터를 가로 해상도가 1280픽셀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하는 것은 업스케일링이고, 영상데이터를 가로 해상도가 860픽셀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게 스케일링하는 것은 다운스케일링이다.
곡률검출기(124)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별 또는 디스플레이(130)의 픽셀라인 별로 곡률값을 판단한다. 곡률검출기(124)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곡률값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Y 방향 축선에 대해 벤딩된 경우, 곡률검출기(124)는 디스플레이(130)의 X 방향 축선에 평행한 각 픽셀라인(X1-X2, X3-X4)에서의 곡률값을 판단한다. 도 2 및 도 3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의 X 방향 축선에 평행한 여러 픽셀라인들 중에서 X1-X2 픽셀라인에서의 곡률값이 최대치를 나타낼 것이다. 만일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달리 디스플레이(130)가 X 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된 경우라면, 곡률검출기(124)는 디스플레이(130)의 Y 방향 축선에 평행한 각 픽셀라인에서의 곡률값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벤딩된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이 사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시선이 이 중앙영역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 전체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을 인지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시선이 향하는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제1영역(131) 상의 영상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영역(131)에서 벗어난 디스플레이(130)의 상측 모서리의 제2영역(132) 및 디스플레이(130)의 하측 모서리의 제3영역(133)은 사용자의 시야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제1영역(131)에 비해 사용자의 시선에 대한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영역(132) 또는 제3영역(133) 상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왜곡되게 인지하거나, 또는 인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만일 영상이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는 제1영역(131) 상의 텍스트는 용이하게 읽을 수 있겠지만, 제2영역(132) 또는 제3영역(133) 상의 텍스트를 읽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이 사용자에게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이 중앙영역을 향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록 디스플레이(13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제1영역(134)은 도 7의 경우보다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제1영역(134)은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서 벗어난 디스플레이(130)의 상측 모서리인 제2영역(135) 및 디스플레이(130)의 하측 모서리인 제3영역(136)보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이 오목하게 벤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130)의 중앙영역을 포함하는 제1영역(137) 또는 디스플레이(130)의 상측 모서리인 제2영역(138)이 아닌, 디스플레이(130)의 하측 모서리인 제3영역(139)에 사용자의 시선이 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영역(137) 및 제2영역(138)이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3영역(139)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시선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선 범위 밖에 있는 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벤딩 시에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에서의 영상의 표시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감지부(150)에 의해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된 상태라면 카메라(16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표시영역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대상영역 및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지 않는 나머지 영역을 구분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서 대상영역 및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한다.
이하, 대상영역은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을 지칭하며, 나머지 영역은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 중에서 대상영역 이외의 영역, 즉 사용자의 시선 범위 밖의 영역을 지칭한다.
여기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한데, 예를 들면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방법과,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영상을 다운스케일링 또는 업스케일링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대상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상영역에 전체 영상을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왜곡이 최소화된 전체 영상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 영상을 대상영역에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 범위 밖인 나머지 영역에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자발광 패널인 경우에, 나머지 영역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나머지 영역 상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전체 영상에 대해, 대상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을 업스케일링하여 표시한다. 대상영역에서의 업스케일링에 의해 영상이 확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바, 사용자는 돋보기를 통해 대상영역 상의 영상을 보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나머지 영역 상의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은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대상영역의 휘도를 나머지 영역의 휘도에 비해 높게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상영역의 휘도만을 높이거나, 대상영역의 휘도는 그대로 두고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낮추거나, 대상영역의 휘도를 높이고 나머지 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영역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예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에 대한 외력이 해제됨으로써 디스플레이(130)가 벤딩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면 상태로 복원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의 표시상태를 원래대로 회귀시킨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평탄면 상태로 복원되면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에서 영상을 정상적으로 표시한다.
한편, 카메라(16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대상영역을 어느 정도 범위로 설정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영상표시영역 중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 또는 픽셀라인이 특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특정된 픽셀영역 또는 픽셀라인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픽셀면적 범위의 영역을 대상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픽셀라인이 특정되면 해당 픽셀영역/픽셀라인의 곡률값을 산출하고, 해당 픽셀영역/픽셀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산출된 곡률값의 기 설정된 수치범위 내에 있는 픽셀영역/픽셀라인들을 모두 대상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상의 전체 영상표시영역 상에서 카메라(160)에 의한 아이 트랙킹의 시작점 및 끝점에 해당하는 두 점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영역을 대상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160)의 배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직사각형의 판상일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세로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되는 경우와 가로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되는 경우의 두 가지 벤딩 패턴이 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벤딩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상, 하, 좌, 우의 모서리의 중앙영역 각각에 총 4개의 카메라(160)가 설치된다(도 7 참조).
만일 어느 한 가지의 벤딩 패턴에 대응하는 구조라면, 카메라(160)는 벤딩 패턴에 따라서 상측/하측 모서리 쌍이나 좌측/우측 모서리 쌍에만 총 2개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세로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되는 패턴에 대응한다면, 카메라(160)는 상측 모서리 및 하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가로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되는 패턴에 대응한다면, 카메라(160)는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160)가 배치되는 이유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기 때문이다. 만일 디스플레이(130)가 평탄면을 유지한다면, 카메라(160)는 하나만 설치되더라도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자유롭게 벤딩 가능한 구조인데 카메라(160)가 하나만 설치된다면, 디스플레이(130)의 벤딩 형태에 따라서 카메라(160)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없는 경우가 나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200, 도 4 참조)가 TV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대형이며, 사용자가 대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보다 카메라(160)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카메라(160)가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된 상태에서 카메라(160)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도면에 관련된 이하 설명에서 "좌측" 및 "우측"의 표현은, 도면 상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는 것임을 밝힌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되었을 때에 카메라(160)는 벤딩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다. 카메라(160)는 실질적으로 180도 범위 내에 있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도면과 같이 2개의 카메라(160)가 배치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메라(160)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좌측에 있으면, 2개의 카메라(160) 중에서 우측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없지만 좌측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우측에 있으면, 2개의 카메라(160) 중에서 좌측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없지만 우측 카메라(160)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눈이 중앙에 있으면, 2개의 카메라(160) 모두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와 같은 카메라(160)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160)의 설치 구조가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카메라(251)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1)는 카메라(251)를 가진 외부장치(250)와 통신을 수행한다. 카메라(251)는 사용자의 시선과 디스플레이장치(101)의 형태를 촬영하며, 외부장치(250)는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1)가 벤딩된 상태인지 그리고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장치(101)의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 판단한다.
외부장치(250)는 판단 결과를 디스플레이장치(101)에 전송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1)는 외부장치(250)로부터 수신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어디를 향하는지 특정할 수 있다.
또는, 외부장치(250)는 카메라(251)의 감지 결과만 디스플레이장치(101)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1)가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디스플레이장치(101)의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01)에 카메라(251)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에 준한다. 또한, 본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되지 않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한다. S1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을 특정한다.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특정된 영역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한다.
한편,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에 준한다. 또한, 본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되지 않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한다.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을 특정한다.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특정된 영역에 대해 영상의 상대적 휘도를 조정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특정된 영역에서의 영상의 휘도가 그 이외의 영역에서의 영상의 휘도보다 높게 조정한다.
한편,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2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에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벤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기본적인 구조는 앞선 제1실시예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Y 방향 축선을 따라서 벤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Z 방향에 있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 상에 표시된 영상을 보고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중앙영역인 제1영역(310)이 사용자를 향해 볼록하게 벤딩된 상태(도 13 참조), 또는 제1영역(310)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오목하게 벤딩된 상태(도 14 참조)에서, 제1영역(310)은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대상영역이 되고, 제1영역(310)의 상하에 있는 제2영역(320) 및 제3영역(330)은 나머지 영역이 된다.
만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해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라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영상의 왜곡 정도는 영역(310, 320, 330) 별로 상이하게 발생한다. 대상영역인 제1영역(310) 상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정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것에 비해,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320) 및 제3영역(330)의 영상은 사용자에게 인지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왜곡 정도가 크다. 즉,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영상은 평면적이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여 대상영역 및 나머지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된 대상영역 및 나머지 영역 각각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상이하게 조정한다. 여기서, 영상의 스케일링은 업스케일링 및 다운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이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상영역 및 나머지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업스케일링 처리하면, 대상영역 및 나머지 영역 중 다른 하나에 대해 다운스케일링 처리한다.
예를 들면, 도 14와 같이 대상영역(310)이 나머지 영역(320, 330)에 비해 사용자의 시선을 향해 보다 접근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상영역(310)의 영상을 다운스케일링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320, 330)의 영상을 업스케일링 처리한다. 또는, 도 15와 같이 대상영역(310)이 나머지 영역(320, 330)에 비해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보다 멀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상영역(310)의 영상을 업스케일링 처리하고 나머지 영역(320, 330)의 영상을 다운스케일링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인지하는 영상이 왜곡이 최소화된 평탄면에 가까운 영상이 되도록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0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S3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표시영역 전체에 대한 곡률값을 산출한다. S3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곡률값 산출에 따라서, 전체 영상표시영역을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 및 그 이외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것으로 감지된 일 픽셀영역을 기준으로, 해당 픽셀영역의 곡률값의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전체 영역을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S3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두 영역들 각각의 영상을 서로 상이하게 스케일링 처리한다.
한편,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130)가 벤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3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디스플레이가 외력에 의해 벤딩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평탄면으로 회귀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고정적으로 벤딩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한 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430) 및 카메라(351, 352, 35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원형 기둥과 같은 고정된 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바, 디스플레이(430)는 고정된 곡률을 가지며 벤딩 상태를 유지한다.
카메라(351, 352, 353)는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일정한 벤딩 상태를 유지하므로, 각 카메라(351, 352, 353)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장치(400)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면 상에서 좌측에 있을 경우, 우측의 카메라(352)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기 곤란하지만, 좌측의 카메라(351)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도면 상에서 우측에 있을 경우, 좌측의 카메라(351)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기 곤란하지만, 우측의 카메라(352)는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카메라(351, 352, 353)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430) 상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영역(431, 432)을 특정한다. 디스플레이장치(400)는 특정된 영역(431, 432)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시선이 좌측영역(431)을 향하면 좌측영역(431)에 대응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며, 사용자의 시선이 우측영역(432)을 향하면 우측영역(432)에 대응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에 발생하는 영상처리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설정을 제공하는 UI를 표시하며, 사용자는 UI를 통한 동작의 온/오프 설정을 통해 상기한 영상처리동작이 발생하도록 지정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도록 지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신호처리부
121 : 디코더
122 : 스케일러
123 : 버퍼
124 : 곡률검출기
125 : 시선검출기
130 : 디스플레이
140 :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150 : 감지부
160 : 카메라
170 : 제어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벤딩 가능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이 표시되게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이한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1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이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 중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을 업스케일링하여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각각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의 휘도가 상기 제2영역의 휘도보다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가 벤딩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면 상태로 복원된 것으로 감지되면, 조정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원래대로 회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 중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이 특정되면,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픽셀면적 범위의 영역을 상기 제1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 중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픽셀영역이 특정되면,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의 곡률값을 산출하고, 상기 특정된 픽셀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산출된 곡률값의 기 설정된 수치범위 내에 있는 픽셀영역을 상기 제1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벤딩 상태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이한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1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게 다운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스케일링된 영상이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동안에 상기 제2영역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전체 영상 중에서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영상을 업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스케일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각각에 대해 영상의 스케일링을 상이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휘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의 휘도가 상기 제2영역의 휘도보다 높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벤딩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면 상태로 복원된 것으로 감지되면, 조정된 상기 영상의 표시상태를 원래대로 회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64259A 2013-09-30 2014-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7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02,359 US20150091796A1 (en) 2013-09-30 2014-09-3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291 2013-09-30
KR20130116291 2013-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85A true KR20150037485A (ko) 2015-04-08

Family

ID=5303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4259A KR20150037485A (ko) 2013-09-30 2014-05-2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74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7306B2 (en) 2016-09-20 2019-12-0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1117954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49235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7306B2 (en) 2016-09-20 2019-12-03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21117954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49235A1 (ko) * 2022-06-23 2023-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282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U201530415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12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892716B2 (en) Image display program,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US20160267887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254540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10001762A1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ed fram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US20120235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US9851887B2 (en) Display device and image transforming method
US20150194135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EP2500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WO2020220956A1 (zh) 屏幕显示方法及终端
EP27285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15671B2 (en) Eye gaze control of magnification user interface
US2015026891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igning images viewed across multiple displays
US10755678B2 (en) Reformatting image data using device sensing
CN102736846B (zh) 检测区域扩大装置、显示装置以及检测区域扩大方法
KR20150037485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917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40709A (ko) 디스플레이의 화면 이동 보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820601B (zh)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系统及显示装置
EP298078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thereof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6003506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CN105321149B (zh) 自动缩放数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