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913A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4913A KR20150034913A KR20130114863A KR20130114863A KR20150034913A KR 20150034913 A KR20150034913 A KR 20150034913A KR 20130114863 A KR20130114863 A KR 20130114863A KR 20130114863 A KR20130114863 A KR 20130114863A KR 20150034913 A KR20150034913 A KR 201500349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input
- pen
- touch
- input device
- input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전자장치에 삽입 시 오삽을 방지하고, 파지 시 그립감을 개선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입력 장치를 전자장치에 삽입 시 오삽을 방지하고, 파지 시 그립감을 개선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 입출력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최근 스마트 폰, 전자 패드와 같은 휴대단말의 경우, 데이터 입력장치로서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주로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기구로써 대체로 필기구 형상의 터치 입력 장치, 예컨대 터치 펜(touch pen)이 휴대 단말기본체에 내장되거나, 휴대 단말기와 별도로 분리되는 외장형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터치 펜 및 터치 펜을 내장하는 휴대단말장치를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펜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터치 펜을 펜촉에 대면하여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휴대단말장치(10)는 터치 펜(13)이 삽입 및 인출되는 펜 수납 홈(11)을 포함한다. 터치 펜(13)은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펜촉부(14), 사용자가 터치 펜(13)을 사용 시 파지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펜대부(15) 및 펜대부(15)의 말단에 돌출된 펜 홀더(16)를 포함한다.
휴대단말장치(10)의 내장용 터치 펜(13)은 휴대단말장치(10)에 구비된 펜 수납 홈(11)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종래의 터치 펜(13)은 대부분 몸체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펜촉부(14)의 외곽 둘레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터치 펜(13)의 외곽 둘레의 단면이 도 2a에 도시된 타원형, 도 2b에 도시된 원형, 도 2c에 도시된 다각형 등을 포함하는 대칭도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펜 수납 홈(11)은 터치 펜(13)의 수납 및 인출을 위해, 터치 펜(13)의 단면의 형상에 따라서, 내벽 둘레의 단면이 터치 펜(13)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휴대단말장치(10)의 표면에 노출된 펜 수납 홈(11)의 단면이 대칭 구조의 원, 타원, 삼각형, 다각형 등을 포함하는 대칭도형 중 하나로 형성된다.
한편, 터치 펜(13)은 예를 들어 터치 펜(1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이드 버튼을 중단에 구비하거나, 펜 홀더(16)를 말단에 구비하는 등의 여러 기능을 위한 부품들을 터치 펜(13)에 장착해야 한다.
이러한 부품들이 터치 펜(13)에 장착되기 위해서 펜대부(15)의 표면이 돌출될 수 있고, 터치 펜(13)의 기능 및 부품이 증가할수록 터치 펜(13)의 표면이 돌출되는 구조는 거의 불가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펜(13)과 펜 수납 홈(11)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펜촉부(14) 주위의 외곽 둘레가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삽입 시, 어느 방향으로 터치 펜(13)을 삽입해야 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터치 펜(13)뿐만 아니라 펜 수납 홈(11)의 내벽 둘레의 단면도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삽입하는 올바른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다.
즉, 사용자가 올바른 방향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삽입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삽입할 때, 펜촉부(14)가 먼저 삽입되더라도 터치 펜(13)의 중단이나 말단의 돌출된 부분이 끼워져야 될 홈(12)에 삽입되지 못하는 오삽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삽이 발생되면, 터치 펜(13)이 제대로 삽입될 때까지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인출 및 삽입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터치 펜(13)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구조는, 사용자의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터치 펜(13)의 오삽이 반복되면, 펜 수납 홈(11)과 터치 펜(13)이 긁히거나, 파손되는 등의 손상 또는 분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펜(13)을 펜 수납 홈(11)에 삽입 시 올바른 삽입 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파지 시 그립감이 향상된 터치 펜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의 개시가 필요하다.
종래의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구조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를 전자장치에 삽입 시 오삽이 반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와 전자장치가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전자장치에 삽입 시 오삽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키는 터치 이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장치는, 본체;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상기 몸체부의 단면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펜 수납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의 오삽으로 인한 파손, 스크래치에 의한 손상 및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펜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터치 펜을 펜촉에 대면하여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터치 펜을 펜촉에 대면하여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단말장치로서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EDGE(Enhanced Data GSM Envisonment)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및 ATM(Automated Teller Machi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터치 입력 장치 및 단말본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말본체에는 표면에서 내부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를 내장하는 펜 수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터치 입력 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터치 펜을 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a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30)은 단면이 상하를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터치 펜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의 구조를 형성하면서 모서리가 소정 반지름으로 원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상단부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반지름(r1)과 하단부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반지름(r2)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터치 펜(30)은 펜촉부(310)와 펜촉부(310)로부터 연장되는 펜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펜촉부(310)는 실제로 단말본체의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터치 입력부에 해당한다. 펜대부(320)는 펜촉부(31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터치 펜(3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에 해당한다.
펜대부(320)의 상하가 모서리의 둥글기가 다른 비대칭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말본체의 펜 수납 홈에 터치 펜(30)을 삽입하는 경우, 터치 펜의 단면 모양 및 펜 수납 홈의 단면 모양을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올바른 삽입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터치 펜(30)을 180도 회전하여 역삽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펜대부(320)의 단면이 비대칭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완전한 삽입이 발생할 수는 없으나, 소정 경사를 이루는 펜촉부(310)에서부터 펜대부(320)의 일부 영역은 사용자의 과압에 의하여 펜 수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본체 및 터치 펜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할 수 있고, 터치 펜 끼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일예로서 터치 펜(40)일 수 있다. 터치 펜(40)은 펜촉부(410) 및 펜대부(42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고, 펜촉부(410)와 펜대부(420) 사이에는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펜촉부(410)는, 터치 펜(40)이 단말본체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피 패드에 접촉되는 터치 입력 부분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 및 명령을 터치 입력을 통해 휴대단말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펜촉부(410)는 금속 재질 도는 사출 성형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잇고, 터치 펜(40) 내부에 실장된 회로 또는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펜촉부(410)는 터치 펜(40)의 일단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에 정교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펜촉부(410)의 외곽 표면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부위 외에는 단말본체 내부의 다른 부품과 전기적인 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체가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는 합성수지, 고무 재질, 실리콘, 목재 등으로 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펜대부(420)는 펜촉부(4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터치 펜(4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터치 펜(40)을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펜대부(420)는, 내벽의 둘레가 펜대부(420)의 외곽둘레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 단말본체의 펜 수납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펜대부(420)의 외곽 표면은 터치스크린과 접촉하는 부위 외에는 단말본체 내부의 다른 부품과 전기적인 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체가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는 합성수지, 고무 재질, 실리콘, 목재 등으로 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펜촉부(410)와 펜대부(420) 사이에는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촉부(410)와 펜대부(420)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펜대부(420) 상에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펜대부(420)와 펜촉부(410)의 각각 접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달라서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펜대부(4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모서리 둥글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펜대부(420)의 상부와 하부가 비대칭을 이루고, 펜대부(420)와 접하는 펜촉부(410)의 단면은 대칭을 이루는 경우, 펜대부(420) 상부의 양 모서리가 펜촉부(410)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터치 펜(40)을 펜 수납 홈에 역삽하는 경우 삽입을 방해하는 걸림턱(A)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펜촉부(410) 및 펜대부(420)의 단면의 구조는 일 예일 뿐으로, 이 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펜대부(420)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펜촉부(410)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40)은 그 단면의 구조가 사용자의 그립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이루면서도, 역삽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터치 입력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터치 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40)은, 펜촉부(410), 펜대부(420) 및 말단부(43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펜촉부(410)는 단말본체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 및 명령을 터치 입력을 통해 휴대 단말 본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펜촉부(410)는 터치 펜(40)의 일단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에 정교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 및 특징은 도 4a 및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펜대부(420)는 펜촉부(4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터치 펜(40)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펜대부(420)에는 부수적으로 터치 펜(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이드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펜촉부(410)와 펜대부(420) 사이에는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펜촉부(410)와 펜대부(420) 사이의 단차에 의하여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펜촉부(410)에는, 외곽 둘레를 따라 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홈(411)은 터치 펜(40)이 펜 수납 홈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경우, 펜 수납 홈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터치 펜(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홈(411)은 걸림턱(A)과 연결되어 펜촉부(410)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펜(40)이 펜 수납 홈에 고정시키는 홈은, 실시예에 따라 펜촉부(410) 뿐만 아니라 펜대부(4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430)는, 펜촉부(410)의 반대방향인 터치 펜(40)의 말단으로서, 예를 들면 펜 홀더와 같은 악세사리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의 단면도 및 요부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터치 펜을 구성하는 단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터치 펜은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펜대부의 외곽 둘레의 일부, 예컨대 펜대부의 외곽 둘레 중 상부가 펜촉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과 연결되어, 펜촉부에는 외곽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와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터치 펜은 삼각형 내지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각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가 펜촉부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과 연결되어, 펜촉부에는 외곽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생성된 걸림턱 구조는 터치 펜을 펜 수납 홈에 역삽하는 경우 삽입을 방해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검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펜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펜대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펜촉부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40)은 펜촉부(910) 및 펜대부(9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펜(40)은 펜대부(920)에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펜대부(920)는 펜촉부(910)와 인접한 제 1 영역(921) 및 말단부(미도시)에 인접한 제 2 영역(9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영역(921) 및 제 2 영역(923) 사이에 단차에 의한 걸림턱(A)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턱(A) 연결되어 제 1 영역(921)의 외곽 둘레를 따라 홈(9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9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921)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펜촉부(910) 또는 펜대부(920)의 어떠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터치 펜(40)의 단면이 삼각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 예컨대 터치 펜(40)을 포함하는 전자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단말장치(100)는 단말본체(10)를 포함하고, 단말본체(10)에는 일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터치 펜(40)의 단면에 상응하여 펜 수납 홈(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펜 수납 홈(20)은 터치 펜(40)을 수납하기 위하여 터치 펜(40)의 상보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펜(40)이 펜 수납 홈(20)에 오삽되는 경우에는, 터치 펜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삽입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펜(40)의 오삽을 인지하고 올바른 펜 수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펜(40)이 펜 수납 홈(20)에 완전히 삽입되면, 터치 펜(40)에 형성된 홈과 펜 수납 홈(20) 상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교합되어 안정적으로 터치 펜(40)이 펜 수납 홈(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단면적이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외곽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다각형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에, 상기 걸림턱과 연결되어 외곽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 외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터치 입력 장치. - 본체;
터치 입력부 및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및
상기 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상기 몸체부의 단면에 상응하여 형성되는 펜 수납 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단면적이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외곽 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다각형을 이루되,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터치 입력부의 일단의 외곽 둘레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상기 걸림턱과 연결되어 외곽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수납 홈은,
상기 터치 입력 장치가 완전 삽입되었을 때 상기 홈에 대응되도록 내벽둘레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터치 입력부와 접하는 곳 외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863A KR20150034913A (ko) | 2013-09-27 | 2013-09-27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US14/500,676 US20150091880A1 (en) | 2013-09-27 | 2014-09-29 | Touch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4863A KR20150034913A (ko) | 2013-09-27 | 2013-09-27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4913A true KR20150034913A (ko) | 2015-04-06 |
Family
ID=5273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4863A KR20150034913A (ko) | 2013-09-27 | 2013-09-27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91880A1 (ko) |
KR (1) | KR2015003491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7267A (ko) * | 2018-08-08 | 2020-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52512B (zh) * | 2020-03-04 | 2021-07-06 | 深圳市鸿合创新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 被动式电容笔及其笔头结构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01016A (ja) * | 1989-12-27 | 1991-09-02 | Sony Corp | 手書き入力装置 |
KR20000074397A (ko) * | 1999-05-20 | 2000-12-15 | 윤종용 | 스타일러스의 결합 분리로 전원 제어기능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
US6473076B1 (en) * | 2000-04-05 | 2002-10-29 | 3Com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ing a stylus |
US7969426B2 (en) * | 2006-10-31 | 2011-06-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Light sensitive display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
US20130194242A1 (en) * | 2012-01-27 | 2013-08-01 | Pineapple Electronics, Inc. | Multi-tip stylus pen for touch screen devices |
-
2013
- 2013-09-27 KR KR20130114863A patent/KR201500349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
- 2014-09-29 US US14/500,676 patent/US2015009188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7267A (ko) * | 2018-08-08 | 2020-0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91880A1 (en) | 2015-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0004B1 (en) | Multipurpose holder | |
US20150171386A1 (en) | Battery pack | |
US8360485B2 (en) |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20170205773A1 (en) | Charging assembly for wrist watch and wrist watch | |
US10931057B2 (en) | Waterproof ejection mechanism for a card connector | |
KR101967727B1 (ko) | 터치펜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장치 | |
KR101655371B1 (ko) |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 |
KR102415970B1 (ko) | 배터리 교체형 이어버드 및 그 전용장치 | |
JP2012109165A (ja) | Icカード装着ユニット、カードコネクタ、カードアダプタ | |
US8373681B2 (en) | Stylus having a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 | |
KR20150034913A (ko) |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 |
US8499183B2 (en) | Plug assembly adapted to an adapter and a computer device | |
US11507207B2 (en) | Multifunctional stylus and touch device | |
KR101512046B1 (ko) | 핸드폰 케이스 | |
US8405643B2 (en) | Stylus | |
US20110234547A1 (en) | Stylus | |
KR102126135B1 (ko) | 무선 충전기 | |
US20110234548A1 (en) | Stylus | |
KR20130142307A (ko) | 모바일폰 케이스 | |
US20100269308A1 (en) | Elastic structure and shell assembly using the same | |
CN213636366U (zh) | 电子装置 | |
KR102048202B1 (ko) | 무선 이어폰용 보관케이스 | |
JP3240474U (ja) | 携帯端末用カバー | |
JP7304474B1 (ja) | 携帯端末用カバー | |
US20150230017A1 (en) | Earphone receiving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