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041A -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041A
KR20150034041A KR20130114106A KR20130114106A KR20150034041A KR 20150034041 A KR20150034041 A KR 20150034041A KR 20130114106 A KR20130114106 A KR 20130114106A KR 20130114106 A KR20130114106 A KR 20130114106A KR 20150034041 A KR20150034041 A KR 20150034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ayment
settlement
request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심충섭
고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to KR2013011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4041A/ko
Publication of KR20150034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카드결제 인증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방법은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Method for authenticating card-payment and systems thereof}
본 발명은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칙적으로 또는 특정 조건에서는 카드결제가 차단되어 있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카드 결제를 오픈(결제가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결제하는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 카드결제 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이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 또는 기능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 특히 중요한 서비스가 결제 서비스일 수 있다.
결제 서비스 중에서 카드 결제는 결제를 요청하는 자(장치)와 결제를 승인하는 자(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이루어지는 비대면 서비스이다. 따라서 결제수단인 카드를 소지하고 있거나 카드 정보를 알기만 하면 실제로 카드 소유주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결제가 승인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또는 인증절차가 공지된바 있다. 이러한 일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1-0124828,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46504, 신용카드 결제승인 방법 및 신용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 한국공개특허(출원번호 10-2003-0007670,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승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등에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은 부정결제 요청이라고 의심되는 경우(예컨대, 정당 사용자의 위치와 결제 요청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또는 결제가 요청되는 국가와 로밍된 국가가 서로 다른 경우), 아웃콜(out-call) 또는 메시징 등으로 카드 명의자에게 확인을 하는 절차가 수반되어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결제측 시스템(예컨대, 카드사 시스템)에서 일일이 메시징 또는 콜을 통해 사용자의 승인의사를 확인하는 과정이 존재하였는데, 이와 관련한 비용이 고비용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결제측 시스템만이 결제통제를 주도하고 결제를 승인할 사용자의 의사가 항상 수동적으로만 반영되는 수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이라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결제요청 건에 대해서는 스스로 해당 결제요청 건은 승인이 되도록 컨트롤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천적으로 결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능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이 보다 안전하며 노이즈성 메시지 또는 콜을 받지 않을 수 있는데, 종래의 방식은 그러하지 못하다.
또한 수동적으로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특정 결제 건(예컨대, 부정결제라고 의심되는 건)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의사 확인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콜을 받고 이에 응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이동 중이거나 회의 등의 경우에는 메시지 또는 콜에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특정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거나(예컨대, 해외에 위치하는 경우) 고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치비교를 통하거나 로밍 국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의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동일성이 있는 위치 또는 로밍 국가 내에서 부정한 결제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필터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결제인증 과정에 참여하고 결제의 승인여부를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소정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은 원천적으로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블라킹(blocking)을 해두고,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에만 예외적으로 결제를 허용(또는 블라킹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결제 승인의사를 확인하는데 소용되는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모바일 단말기가) 수행하여야 하는 행위(또는 이벤트)에 의해 사용자 명의의 카드 및 사용자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에(예컨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카드의 근거리 무선통신) 한정적으로 결제요청 건을 허용하거나 또는 블라킹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특정 카드가 불법적으로 복제되거나 또는 카드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이상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발생되어야 하는 특정 이벤트가 사용자의 특정 카드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상기 특정 카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점유 여부를 상기 특정 카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NFC 태깅 등) 수행 여부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 방법은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이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상기 카드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결제금액, 결제시간, 결제요청을 수행하는 매체, 또는 결제요청을 하는 가맹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카드의 사용자 명의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카드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었음이 확인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결제요청 건의 승인을 확인하기 위한 승인요청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방법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카드의 사용자 명의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결제측 시스템이 소정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됨-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예외적으로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결제측 시스템이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 중에서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을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신호에 기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에만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에 대응되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가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에만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밴타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의 승인을 확인하기 위한 승인요청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요청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전환모듈,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기 위한 승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며,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전환모듈,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상기 요청신호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됨-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기 위한 승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선택적으로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선택적으로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결제의사를 스스로 밝히는 경우에만(즉,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부정 결제의 가능성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이므로, 종래의 결제측 시스템의 수동적 결제인증 방식에 비해 본인 인증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이고 원천적으로 결제요청 건(또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을 블라킹(허용하지 않음)함으로써 노이즈성 메시지 또는 콜을 받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측에서 사용자에게 승인의사를 요청하고 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결제가 빨리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간단히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의사를 결제측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절차적으로 훨씬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결제의사가 있음에도 결제측으로부터 승인요청을 받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가 특정 카드와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특정 카드 및 사용자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를 모두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에만 한정적으로 결제가 승인되거나 결제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므로, 보안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을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을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드결제를 승인할 수 있는 결제측 시스템(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결제측 시스템(200)은 카드결제를 직접 승인 또는 불승인하는 카드사의 시스템일 수도 있고, 상기 카드사 시스템과 연동하여 카드결제에 관여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금융기관의 결제와 관련한 금융결제원의 시스템, VAN사 시스템, PG(Payement Gateway) 시스템, 또는 해외결제 시스템 등 카드결제를 승인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주체의 시스템이기만 하면, 본 발명에서의 결제측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카드(20)를 이용하여 소정의 가맹점 시스템(30, 40)(가맹점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30) 또는 온라인 사이트에 연계된 온라인 페이먼트 시스템(40)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됨)을 통해 결제를 시도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결제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결제 승인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으로 결제 승인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결제요청을 하거나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으로 결제 승인을 할 때,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결제망(미도시)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모든 결제요청 건은 원천적으로 결제가 허용되지 않도록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사용자의 특정 카드 또는 상기 사용자의 모든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원천적으로 결제가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즉,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행위를 수행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상기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거나, 또는 상기 결제요청 건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결제인증 방식이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결제인증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카드가 일시적으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 동안 사용가능한 카드 또는 사용불가한 카드로 손쉽게 전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소정의 카드를 이용한 모든 결제요청 건에 대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지만,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에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에 대해서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에 대해서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경우를 주요 실시 예로써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결제요청 건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특정 조건 역시 사용자(또는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요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이하,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라 함)은 원천적으로 결제가 허용되지 않도록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결제를 요청하는 자가 누구인지와 무관하게 결제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외적으로 상기 카드(20)의 정당 명의자가 특정 행위를 수행한 경우 즉, 상기 정당 명의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이 허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당 명의자가 특정 행위를 수행한 경우(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이 허용될 수 있는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잘 이용하지 않는 결제 패턴 또는 이용하더라도 자신이 상기 특정 행위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결제가 허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결제 패턴 즉,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일예는 도2에 도시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할 수 있는 조건은 예컨대, 결제금액 및 결제시간일 수 있다. 예컨대, 카드1의 명의자는 일정 금액(예컨대, 10만원) 이상의 결제요청 건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필터링 결제요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카드2의 명의자는 일정 금액(예컨대, 20만원) 이상의 결제요청 건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필터링 결제요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결제를 잘 수행하지 않는 시간을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하는 조건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카드1의 명의자는 21시부터 06시까지에서 수행되는 결제요청을 필터링 결제요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카드2의 명의자는 결제시간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결제금액 및/또는 결제시간에 따라 필터링 결제요청이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원천적으로 결제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결제종류가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하는 조건으로 더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결제종류를 통해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계획대로의 카드사용을 간접적으로나마 강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필터링 결제요청으로 설정된 결제요청 건은 실제로 사용자가 결제를 할 확률을 낮추고, 카드결제를 통한 소비를 한 번 더 숙고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계획적인 카드사용을 위해서는 결제종류를 통해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상기 결제종류는 카드결제에 참여하는 매체의 종류 및/또는 가맹점의 종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예컨대, 상기 카드를 이용해서는 인터넷 결제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거나, 해외결제망을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는 등 결제를 요청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종류는 예컨대, 유선 인터넷을 통한 결제, 모바일 결제, 또는 오프라인 결제, 해외결제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카드1의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결제 및 해외결제를 필터링 결제요청으로 정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가맹점의 종류는 특정 가맹점(예컨대, 특정 사이트)을 의미할 수도 있고, 가맹점의 업종(예컨대, 유흥업종, 식당업종 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처럼 결제종류에 따라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건을 설정할 수 있음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카드사용을 계획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가 허락한 타인의 카드사용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되는 결제요청에는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할 수 있는 요건들(예컨대, 결제금액, 결제시간, 결제종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을 정의하는 요건들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미리 일률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으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행위가 수행되었는지 즉,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일 수 있다.
상기 특정 행위는 상기 특정 행위가 정당한 사용자(카드(20) 명의자 또는 모바일 단말기(10)의 명의자)에 의해 수행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는 행위이면 족하다.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행위를 수행하면, 결과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는 상기 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행위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 또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미리 등록된 인증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비밀패턴, 생체정보 등)가 사용자에 의해(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본인인증행위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특정 행위는 미리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 또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일회용 인증정보(예컨대, OTP, 보안카드를 이용한 비밀번호 등)가 사용자에 의해(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인인증행위가 상기 특정 행위인 경우에는,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예외적으로 필터링 결제요청 건도 승인될 또는 상태가 전환될 카드(20)가 식별되기 위해, 별도로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미리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에 등록된 카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는 예컨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인증이 성공되었다고 판단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인증이 성공되었음으로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이벤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행위는 상기 카드(20)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NFC 통신)이 수행되는 행위일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카드(2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행위를 수행한 사용자가 상기 카드(2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모두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되므로,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상기 카드(20)의 명의자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행위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카드(20)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카드로 특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카드를 특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단순히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NFC 태깅)하는 행위만 수행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절차적으로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특정 행위(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행위(또는 이벤트)인 경우를 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양한 본인인증행위(예컨대, 비밀번호, 비밀패턴, 생체정보, 보안카드 OTP 등)가 수행되는 경우 또는 상기 본인인증행위에 상응하는 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발생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상기 카드(20)가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20)의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거나 상태(결제가능 상태 또는 결제불가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특정 행위를 수행한 경우라도, 상기 특정 행위의 수행에 참여한 모바일 단말기(10)(즉,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카드(20) 명의자의 소유인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상기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허용되거나, 상기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이벤트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에는 결제를 요청한 자가 실제로 상기 카드(20)를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됨과 더불어, 상기 결제를 요청한 자가 자신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음 역시 인증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방식에도 사용자가 자신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된다고도 할 수 있다. 즉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적극적으로 부정결제가 의심되는 건을 추출하거나 사용자의 결제 승인의사를 확인하며 이때에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상기 사용자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본인인증을 하면 사용자가 자신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된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승인의사를 확인하는 승인요청(예컨대, 메시지, 콜백 URL 메시지, 또는 콜)을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차이가 있고, 사용자가 스스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를 승인할지 여부(또는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컨트롤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후술할 바와 같은 요청신호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카드(20) 명의자의 모바일 단말기(10)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과 달리, 상기 특정 행위가 근거리 무선통신에는 어느 한 사용자가 상기 카드(20) 및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의 모바일 단말기(10)를 모두 소지하고 있음이 인증되므로 보다 향상된 보안성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해 어느 한 사용자가 카드(20) 및 모바일 단말기(10)를 모두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 반면, 종래의 방식은 실제 카드(20)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모바일 단말기(10)만 소지하고 있으면 결제를 인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모바일 단말기(10)의 명의자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요청신호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세션이 연결되면, 상기 세션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식별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는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의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사용자 명의의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 행위가 수행되었는지(즉, 모바일 단말기(1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거나 카드(20)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정당한 사용자가 실제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원칙적으로 결제가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카드(20) 또는 카드(20) 정보(예컨대, 카드번호 및/또는 유효기간 등)가 복제되어 불법적으로 도용되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자신의 카드(2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초에 설정한 조건에 따라 한 번 더 카드 사용에 대한 스스로의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명의의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원칙적으로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특정 행위가 수행되어야(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여야),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제한적으로(또는 예외적으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에 대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결제요청 건 중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승인요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제의 승인요건으로서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특정 행위를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정의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간편하게 상기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NFC 태깅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일정 거리 내로 근접시키는 행위만 수행함으로써 상기 카드(20)를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 가능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근거리 무선통신 시킨 후, 미리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는 더 이상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근거리 무선통신 시키는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승인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다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불가능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근거리 무선통신 시키는 상기 특정 행위를 수행하도록 요청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가맹점 시스템(30, 40)을 통해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행위를 하여야 할 수 있다. 그래야 상기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인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이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수신된 시점(또는 결제요청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행위가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지 못한다면, 상기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승인이 거부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특정 행위가 수행된 시점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상기 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전에 먼저 특정 행위를 수행한 후, 특정 행위가 수행된 시점(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요청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는 별개의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 코드)이 설치되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 코드)이 서버 형태로 구현된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의 일예는 도2에 도시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또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가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상기 특정 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요청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이미 수신된 소정의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 또는 수신될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에 대해 결제 승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 및/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가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이러한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도2b에 도시된다.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는 별개의 서버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되며,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 사이의 네트워크 경로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 내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의 결제 프로세스를 중개하는 소정의 VAN(Value Added Network)사 시스템이나 기타 결제 관련 시스템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는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상기 특정 행위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3에 도시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및 판단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 각각 일부가 구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소정의 서버로 그 구성이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판단모듈(120) 등)의 리소스 및/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듈(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이벤트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상기 판단모듈(12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예컨대, NFC 칩 등)과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 통신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사용자가 상기 카드(2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를 모두 점유하고 있는지를 추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어떠한 종류의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IrDA, 블루투스 등)이어도 무방함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때에는 상기 카드(20)에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수단(예컨대, IC 칩, 전원장치 등)이 구비되어야 할 수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판단모듈(120)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단모듈(12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예컨대, 카드번호, 또는 카드의 IC 칩 등의 시리얼 넘버 등)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는 필요에 따라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가 수행하는 특정 행위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아닌 다른 본인인증행위인 경우, 상기 판단모듈(130)은 사용자가 정당한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임을 인증하는 소정의 본인인증행위에 상응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소정의 인증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판단모듈(13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가 저장된 상기 인증정보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인증이 성공했다고 판단하는 이벤트가 상기 특정 이벤트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통신가능하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예컨대, 공인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예컨대, 비밀번호, 패턴, OTP, 보안카드, 생체정보,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등)가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정보임이 인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수신하는 이벤트가 상기 특정 이벤트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판단모듈(120)에 의해 특정 이벤트(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요청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는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가능한 상태로 전환해달라는 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소정의 시간 내에 이미 수신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또는 수신될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승인해달라는 요청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판단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모듈(120)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어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카드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소정의 기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자동으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로딩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할 기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소정의 UI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UI를 통해 기간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상기 기간정보는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간 동안에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수신되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은 승인될 수 있다. 상기 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은 승인되지 않도록 다시 결제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번의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를 수행한 후, 자신이 예외적으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할 기간정보를 입력하면 차후에는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간 동안 사용자는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를 재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를 할 수 있는 편의성은 있다. 하지만 상기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부정결제에 대해서는 취약한 문제점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러한 보안상의 취약점을 증대시키면서 다소 사용자의 편의성은 감소되는 기술적 사상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에게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시에 매번 상기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를 수행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을 통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기 전 일정 시간 내에 특정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수행하고 일정 시간 내에 상기 특정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전 또는 후 일정 시간 내에 특정 행위가 수행되어야만,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제한적으로 승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은 항상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가, 특정 행위가 수행된 전 후(또는 특정 이벤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발생된 전후) 일정 시간 내에만 제한적으로 결제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훨씬 보안성이 높을 수 있다. 특정 행위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가 모두 도용되지 않는 이상 실질적으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부정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승인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되는 요청신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20)의 식별정보, 기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가 수행된 시점(즉,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가 수행된 시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여부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신호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또는 IMSI 등)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의 것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되어야 상기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10)가 위변조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또는 카드(20)가 도용된 후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승인되거나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요청신호를 출력한 모바일 단말기(10)가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의 것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더 거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에는 상기 카드(20)의 명의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결제측 시스템(200)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4에 도시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측 시스템(200)은 수신모듈(210), 승인모듈(220) 및 상태 전환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210)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으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승인모듈(220)은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승인모듈(220)은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에 상응하는 카드(20)가 결제가능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은 상기 카드(20)의 상태 즉, 모든 결제요청 건 또는 모든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결제가능 상태 또는 결제불가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은 원천적으로 상기 사용자 명의의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특정 조건이 달성되면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해외에 출국했거나, 누적 사용금액이 특정 금액이 되는 경우에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자동으로 결제불가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해외에 출국한 경우에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자동으로 결제불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은 상기 사용자 명의의 모바일 단말기(10)에 상응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출국했음을 나타내는 출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20)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입출국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출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을 통해 출력되는 출국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실행되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출국했음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출국신호를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로 전송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버로 구현되어 소정의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출국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출국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카드(20)가 사용자의 해외 출국여부와 무관하게 원칙적으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은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인 경우에는, 이러한 출국신호가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되는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은 상기 수신모듈(210)이 수신한 요청신호에 카드(20)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카드(20)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신호에 기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간정보 동안 상기 카드(20)의 상태(즉,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여부)를 결제불가 상태에서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간이 만료되면 다시 상기 카드(20)의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상태를 결제불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승인모듈(220)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인모듈(220)은 요청신호에 포함된 카드(20) 식별정보를 이용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카드(20)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요청신호에 기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기간 동안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승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인모듈(220)은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카드(20)의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카드(20)의 상태가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결제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시점(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전 후로 일정 시간 내(예컨대, 수초에서 수 십초)에 요청되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 일시적으로 승인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전환모듈(230)에 의해 상기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카드(20)의 상태가 전환될 수도 있고, 상기 카드(20)의 상태는 결제불가 상태로 유지된 채 상기 승인모듈(220)에 의해 예외적으로 결제요청이 승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 및 결제측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은 도5 및 도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5 및 도6은 특정 행위가 근거리 무선통신인 경우를 일예로 도시하고 있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와 카드(20)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시킬 수 있다(S100). 그러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는 자동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10). 물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실행한 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시킬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할 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UI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UI를 통해 기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120). 그러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상기 기간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신호를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0). 물론, 상기 요청신호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카드(20)의 식별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 근거리 무선통신 수행 시점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된 요청신호를 수신하고(S200),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기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210).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요청신호에 상응하는 카드(20)를 특정하고, 특정된 카드(20)의 상태를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가능 상태에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수신되면(S220),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시점이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지 여부 즉,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 시점에서 상기 카드(20)의 상태가 결제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230),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결제요청을 승인하거나 또는 거부할 수 있다(S240, S250).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10)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모바일 단말기(10)가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것으로 판단되어야 상기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승인하거나, 필터링 결제요청의 상태를 전환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10)와 상기 카드(20)를 근거리 무선통신 시킬 수 있다(S310). 그러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은 요청신호를 결제측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20). 사용자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기 전 또는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제1결제요청(또는 제1필터링 결제요청) 또는 제2결제요청(또는 제2필터링 결제요청)을 소정의 가맹점 시스템(30, 4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S300, S330).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가맹점 시스템(30, 40)을 통해 상기 제1결제요청(또는 제1필터링 결제요청) 또는 상기 제2결제요청(또는 제2필터링 결제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00, S420). 물론,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으로부터 출력된 요청신호도 소정의 시점에서 수신할 수 있다(S410).
그러면, 상기 결제측 시스템(200)은 상기 제1결제요청(또는 제1필터링 결제요청) 또는 상기 제2결제요청(또는 제2필터링 결제요청)이 상기 요청신호가 수신된 시점(또는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시점)으로부터 전 또는 후로 일정 시간 내에 요청된 것인지를 판단하고(S430), 판단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결제요청(또는 제1필터링 결제요청) 또는 상기 제2결제요청(또는 제2필터링 결제요청)을 승인하거나 또는 거부할 수 있다(S440, S450).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소정의 특정 행위를 수행한 자는 정당한 명의자로 추정이 되고, 상기 명의자의 행위(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행위)에 의해 제한적으로 상기 카드(20)를 이용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승인되므로, 종래의 기술적 사상과 같이 카드결제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정당 명의자에게 전화 또는 메시징을 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면에서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이 있을 때마다 결제측 시스템(200) 또는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예컨대, 본 발명의 카드결제 인증시스템(100))이 외부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의 위치를 요청하거나 현재 로밍되어 있는 로밍국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저한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더구나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비교적 간단한 행위만으로 안전하게 결제요청(또는 필터링 결제요청)을 수행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카드복제 또는 불법적인 사용 등을 예방할 수 있어서 신뢰성과 안전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드결제 인증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이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상기 카드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은,
    결제금액, 결제시간, 결제요청을 수행하는 매체, 또는 결제요청을 하는 가맹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결제요청 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카드의 사용자 명의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카드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소정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었음이 확인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결제요청 건의 승인을 확인하기 위한 승인요청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8.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이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결제 인증방법은,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기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한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카드의 사용자 명의에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2. 결제측 시스템이 소정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됨-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예외적으로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이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수신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예외적으로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4. 결제측 시스템이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은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카드를 이용한 카드결제 건 중에서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을 결제불가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신호에 기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이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에만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8.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에 대응되는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를 이용한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 식별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간정보를 상기 요청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청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카드가 상기 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에만 상기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21. 사용자-상기 사용자의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은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임-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판단모듈;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측 시스템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만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도록 설정된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송된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측 시스템에 의해, 상기 특정 이밴타가 발생된 시점 또는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예외적으로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의 승인을 확인하기 위한 승인요청이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아도, 상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요청신호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24.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전환모듈;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기 위한 승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며,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결제가능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26. 사용자의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전환모듈;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요청신호-상기 요청신호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어야 상기 카드결제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됨-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기 위한 승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결제요청 건을 선택적으로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환모듈은,
    상기 결제요청 건 중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필터링 결제요청 건의 허용여부를 나타내는 결제불가 상태 또는 결제가능 상태를 설정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이 결제가능 상태인 경우, 상기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승인하며,
    상기 승인모듈은,
    수신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신호가 전송된 시점 또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 또는 후 일정시간 이내에 요청된 상기 카드를 이용한 필터링 결제요청 건을 선택적으로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측 시스템.
KR20130114106A 2013-09-25 2013-09-25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20150034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106A KR20150034041A (ko) 2013-09-25 2013-09-25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106A KR20150034041A (ko) 2013-09-25 2013-09-25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041A true KR20150034041A (ko) 2015-04-02

Family

ID=5303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106A KR20150034041A (ko) 2013-09-25 2013-09-25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40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608B1 (ko) 모바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카드결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42111B1 (ko) 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101467242B1 (ko) 페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576075B1 (ko) 모바일 결제 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결제방법
KR20160110704A (ko)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20140020337A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본인인증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20150060631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KR20150034041A (ko)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20150034042A (ko)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20150077379A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본인인증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101491515B1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본인인증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KR20130005635A (ko) 보안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281606B1 (ko) 금융 결제 보안 서비스 방법
KR20160110706A (ko) 타인의 결제를 위한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20130065749A (ko)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2565B1 (ko) 능동적 서비스 제어방법, 능동적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
KR20140096016A (ko) 모바일 전화번호를 이용한 카드결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17079A (ko) 모바일 결제 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결제방법
KR101603683B1 (ko)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본인인증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사용자 장치, 및 인증시스템
KR20150020897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KR20160110705A (ko) 제3자 결제를 위한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20150056951A (ko) 능동적 서비스 제어방법, 능동적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클라이언트 시스템
KR101672504B1 (ko)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7569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KR20150056753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