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65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655A
KR20150033655A KR1020157001209A KR20157001209A KR20150033655A KR 20150033655 A KR20150033655 A KR 20150033655A KR 1020157001209 A KR1020157001209 A KR 1020157001209A KR 20157001209 A KR20157001209 A KR 20157001209A KR 20150033655 A KR20150033655 A KR 20150033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station
radiation beam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188B1 (ko
Inventor
올리버 스텐즈
올리버 스텐즈
볼커 브라운
크리스티안 젤라흐
안드레아스 베버
보조 세사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3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7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access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과 관련된다. 방법(MET1)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이 제1 기지국(BS1)에 소속될 때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BS1)과 제2 기지국(BS2)의 제1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의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을 만족하거나 초과하는 방사 빔들(B1, B2, B3, B4)에 대한 표시들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으로부터 처리 유닛(PU)에서 수신하는 단계(M1/6);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가진 제2 기지국(BS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2)을 서빙하기 위해, 수신된 표시들에 기초하여,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제한된 전송 전력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처리 유닛(PU)에서 결정하는 단계(M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처리 유닛(PU) 및 처리 유닛(PU)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CESSING UNIT,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interference reduction)에 관한 것인데 이것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heterogeneous radio communication system)에서 몇몇 유형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들이 이동국들을 서빙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개방된 야외 환경에서부터 사무용 빌딩, 가정 집, 및 지하 공간까지의 범위를 갖는 상이한 환경들에 대해 무선 커버리지 구역들의 사이즈에 있어서의 다양성을 갖는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소위 매크로 셀들, 소위 마이크로 셀들, 소위 피코 셀들, 및/또는 소위 펨토 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최고 출력 전력으로 가장 넓은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또한 예를 들어 농촌 지역에서 또는 고속도로를 따라 로케이팅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셀이다. 매크로 셀은 GSM/GPRS(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PRS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와 같은 2G 또는 3G 무선 통신 시스템(2G/3G = Second/Third Generation)의 기지국에 필적하는 것이다. 매크로 셀들을 위한 안테나들은 주변 빌딩과 지형 너머로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하는 높이에서, 지상 기둥, 지붕 및 다른 기존 구조상에 장착된다.
매크로 셀보다 더 작은 커버리지 지역을 가진 마이크로 셀은 인구 밀집된 도시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 피코 셀들은 마이크로 셀들에 대한 지역들보다 더욱 작은 지역들에 배치된다. 피코 셀을 사용하는 예로는 대형 사무실, 쇼핑 몰, 또는 기차역이 있을 것이다. 현재, 최소 커버리지 지역은 가정 또는 소규모 사무실에 배치될 수 있는 펨토 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더 작은 셀(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에게 소속(attach)되고 이것에 의해 서빙되는 이동국까지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다운링크 방향에 있어서, 더 작은 셀 내에서의 간섭 상황은 더 작은 셀을 커버하거나 또는 더 작은 셀과 교차(intersect)하는 매크로 셀에 의해 보통은 지배된다.
더 작은 셀들 중 하나에 의해 서빙되는 이동국들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을 개선하기 위해, 매크로 셀로부터의 지배적 간섭이 감소되거나 심지어 제거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더 작은 셀들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또한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1 기지국에 소속될 때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제1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의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을 만족하거나 초과하는 방사 빔들에 대한 표시들을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처리 유닛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가진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을 서빙하기 위해, 수신된 표시들에 기초하여, 방사 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1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차이만큼 작은 최대 전송 전력(a predefined difference below a maximum transmission power)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처리 유닛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목적은 처리 유닛에 의해 그리고 이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
제1 기지국은 예를 들어 소위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고, 제2 기지국은 예를 들어 소위 마이크로 기지국, 소위 피코 기지국 또는 소위 펨토 기지국일 수 있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의 마이크로 셀 또는 피코 기지국의 피코 셀 또는 펨토 기지국의 펨토 셀은,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의 매크로 셀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거나 또는 매크로 기지국의 매크로 셀과 교차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수신되는 방사 빔들 중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NR(Signal to Noise Ratio),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수신되는 방사 빔들 중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INR(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수신되는 방사 빔들 중 하나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일 수 있다.
양호하게는,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최대 수신 신호 품질을 가진 방사 빔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수신 신호 품질을 넘는 수신 신호 품질을 가진 적어도 2개의 방사 빔의 그룹에 속하는 방사 빔(radiation beam)이다. 3GPP LTE(3GPP =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 Long Term Evolution)에 관하여,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3GPP TS 36.213 V10.0.1(2010-12) 섹션 7.2.4에서 정의되고 "LTE -The UMTS Long Term Evolution: From Theory to Practice", Stefania Sesia, Issam Toufik, Matthew Baker, John Wiley & Sons, Second Edition, 2011, 섹션 11.2.2.4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최상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일 수 있다. 최상의 PMI는, 최상의 PMI를 보고한 이동국을 서빙하기 위한 최상의 방사 빔일 수 있는 방사 빔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주요 장점을 제공한다. 그에 의해, 제2 기지국에 소속되는 이동국들에 대한 QoS가 최적화될 수 있고, 제2 기지국에 대한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체 처리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표시들이, 제1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또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전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후에 수신되었는지를 처리 유닛에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신 표시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은, 수신 표시들 중 하나가 핸드오버 전이나 후에 수신된 경우에,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제1 실시예의 장점은 하기 사실들에 기초한다: 3GPP LTE 릴리스 8에 관하여, 제1 기지국은 eNodeB(evolved Node B)일 수 있고, 2개 이상의 안테나 소자를 가진 제1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둘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가진 이동국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한다면 MIMO 다운링크 전송(MIMO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단일 안테나 소자를 가진 이동국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한다면 MISO 다운링크 전송(MISO = Multiple Input Singe Output)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은 제1 기지국에게 3개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3GPP TS 36.213 V10.0.1(2010-12) 섹션 7.2를 참조):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PMI, 및 RI(rank indication)를 포함할 수 있는 피드백 정보를 보고한다. CQI는 최대 평균 수신 변조된 반송파 전력으로 다운링크 방사 빔의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파라미터이다. LTE 릴리스 8, 9 및 10에 대해, CQI 파라미터는 다운링크 채널의 전송 포맷에 대한 인덱스 파라미터이다. PMI는 CQI 파라미터가 보고되는 다운링크 방사 빔을 표시하는 추가적 인덱스 파라미터이다. PMI는 모든 허용된 전송 안테나 가중 조합들을 가진 프리 코딩 벡터들을 포함하는 코드북의 엔트리에 속한다. RI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추정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수신기에 의해 충분히 분리될 수 있는 스트림들의 수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이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2 기지국에게 소속되거나 연결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은 제2 기지국의 다운링크 방사 빔들에 대해 대응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지만 제1 기지국의 다운링크 방사 빔들에 대해서는 어떤 피드백 정보도 보고하지 않는다. 이것은 3GPP LTE의 현재 릴리스들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2 기지국에 의해 서빙된다면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의 간섭 방사 빔에 대한 지식을 얻도록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함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제1 핸드오버 절차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직전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보고될 수 있는 제1 기지국의 제1 PMI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게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과 간섭하는 제1 기지국의 제1 방사 빔을 표시한다고 가정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이 결함은 또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제2 핸드오버 절차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보고될 수 있는, 제1 기지국의 제2 PMI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게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과 간섭하는 제1 기지국의 제2 방사 빔을 표시한다고 가정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제1 PMI와 제2 PMI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응하여, 제1 방사 빔과 제2 방사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1 기지국에게 연결되고 또한 그에 의해 서빙되는 동안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범위 내에 로케팅되는 동안 보고된 제1 PMI 또는 제2 PMI는 최상의 PMI이다. 그에 의해, 최상의 PMI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이 제2 기지국에 연결되고 또한 그에 의해 서빙되는 동안 최악의 PMI(worst PMI)로서 취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3GPP LTE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이동국들 사이에 새로운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도입하기 위한 표준 수정을 요구하지 않는 추가적 장점을 제공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방법은,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둘 다 동일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고 또한 독점적 시그널링 메시지들이 3GPP LTE에 의해 정의되는,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의 소위 X2 인터페이스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3GPP LTE 릴리스 8, 9 및 10에 기초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바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3GPP LTE 릴리스 8, 9 또는 10 중 하나를 준수하는 어떠한 이동국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선택 사항에 따르면, 제어 단계는, 표시들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전의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후의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검증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 표시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은, 수신 표시들 중 하나가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된 경우에,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과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의 사이즈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제1 기지국에게 PMI를 보고하는 주기성에 의존할 수 있다. 3GPP LTE의 경우에는, 주기성은 큰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광대역 CQI 및 PMI를 보고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20ms의 피드백 주기가 PMI들을 보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PMI가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집될 것이라면,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은 예를 들어 70ms로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주파수 선택적 CQI가 보고되는 추가적 보고 모드가 적용된다면, 20ms의 배수일 수 있는 추가적 피드백 주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은 그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된 하나 또는 몇 개의 표시들이 결정 단계에서 고려될 수 있다.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및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을 변경함으로써, 결정 단계를 위해 수집될 표시들의 수가 적응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또는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동안 가장 빈번하게 수신된 그런 표시들만이 결정 단계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전의 최후 보고된 최상의 PMI 또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후의 최초 보고된 최상의 PMI가 수집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예를 들어, 두 개의 방사 빔이 중첩하고 또한 이동국이 단일 전송으로 최상의 PMI를 보고하도록 단지 허용되는 경우에, 2개 이상의 표시들을 수집하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표시들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직전에 또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직후에 수집된다면, 이동국은 예를 들어 제1 전송에서 핸드오버 전이나 후에 2개의 방사 빔 중 제1 빔에 대한 표시를 보고하고, 다음 전송에서 2개의 방사 빔 중 제2 빔에 대한 표시를 보고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제2 선택 사항에 따르면, 결정 단계는, 표시들 중 어느 것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전에 수신되는 최후 표시인지 또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후에 수신되는 최초 표시인지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 표시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은, 수신 표시들 중 하나가 최후 표시 또는 최초 표시인 경우에,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제1 선택 사항과 비교하여, 제2 선택 사항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 직전이나 직후에 보고된 그런 표시들만을 고려한다. 이로써, 더 적은 처리 및 메모리 리소스가 요구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또는 갈릴레오와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방법은 GNSS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위치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위치의 로케이션 정보를 처리 유닛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로케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로케이팅되는 지를 처리 유닛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처리 유닛에 의해 매핑 테이블에 제2 기지국의 표시 및 표시들을 저장하는 단계 및 결정 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처리 유닛에 의해 매핑 테이블에 질의(query)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매크로 셀들의 모든 간섭 방사 빔들에 대한 중앙 집중식 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이점과, 적어도 여러 번 보고된 표시들 또는 제2 기지국에 관하여 가장 많이 보고된 그런 표시들만을 선택하고 매핑 테이블 내에 유지하는 것과 같은 통계적 평가를 허용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빔들의 그룹 중 제1 방사 빔이 방사 빔들의 제2 방사 빔에 인접하거나 이것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방사 빔은 방사 빔들의 제3 방사 빔에 인접하거나 이것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방사 빔은, 제1 방사 빔과 제3 방사 빔에 대한 표시들이 처리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에,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그에 의해,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중심 지역과 중첩하지만 가장 빈번하게 이동국들에 의해 트래버스되는 제2 기지국의 커버러지 지역의 경계 지역과는 중첩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중첩하는 방사 빔들에 대한 표시들도 매핑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고 결정 단계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방사 빔들 중 하나가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frequency of occurrence)로 표시되는 경우에, 수신 표시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이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는, 예를 들어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의 핸드오버와 관련하여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에 대해 보고된 모든 표시들 중 30%일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대하여,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1 미리 정의된 크기만큼 크지 않은 한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최대 제1 미리 정의된 크기만큼 작은 경우에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에 대해 범위 확장을 적용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2 미리 정의된 크기만큼 작은 경우에 제2 기지국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의 신호 강도보다 적어도 제2 미리 정의된 크기만큼 큰 한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함으로써, 및 제2 미리 정의된 크기보다 제1 미리 정의된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함으로써,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또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대해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에 대한 어떠한 범위 확장도 적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어떤 범위 확장도 적용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때때로 존재할 것이다. 그런 이동국은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의 핸드오버가 실행되기 전에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중심 영역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동국이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속력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는 속력으로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을 트래버스(traverse)하고 있을 때, 방사 빔들 중 하나에 대한 표시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처리 유닛에서 검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신 표시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이 미리 정의된 속력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는 속력으로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을 트래버스하고 있는 경우에, 결정 단계에서 고려된다. 이것은, 단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매크로 셀들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또한 마이크로 셀들, 피코 셀들, 또는 펨토 셀들의 커버리지 지역들 내에서의 매크로 셀들의 간섭 방사 빔들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 매크로 셀들로부터 마이크로 셀들, 피코 셀들 또는 펨토 셀들로의 핸드오버 절차들을 수행하지는 않는 고속 이동국들의 표시들의 보고를 이용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7 실시예에 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은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제2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가진 제2 기지국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을 서빙하기 위해, 수신 표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방사 빔에 대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제한된 전송 전력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처리 유닛에서 결정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위한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들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위한 제2 표시 또는 몇 개의 제2 표시들을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2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간섭 상황에 대한 더 나은 지식을 제2 기지국에서 제공할 수 있고, 제2 기지국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제8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처리 유닛으로부터 제2 기지국에게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을 위한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을 위한 식별자,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는 표시,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의 두 개 이상의 방사 빔들이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과 중첩한다면, 제2 기지국에 연결되는 제1 이동국이 제1 기지국의 제1 방사 빔과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제1 중첩 지역 내에 국지화된다면, 및 제2 기지국에 또한 연결되는 적어도 제2 이동국이 제1 기지국의 제2 방사 빔과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제2 중첩 지역 내에 국지화된다면, 이것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에 대한 간섭 상황의 더욱 더 나은 지식을 제2 기지국에서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2 기지국이, 제1 기지국의 어느 방사 빔이 제2 기지국에 연결되는 어느 이동국에게 간섭을 제공하는지를 알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되고 기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고, 또한 비제한적 도해들에 의해 주어지는 첨부 도면들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리소스 블록들의 두 가지 상이한 할당을 가진 2개의 주파수 그리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의 블록도, 및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의 중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두 개의 무선 셀 C1, C2를 포함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 RCS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RCS의 추가적 무선 셀들 및 두 개의 무선 셀 C1, C2의 2개의 기지국 BS1, BS2에 연결되는 코어 네트워크는 간단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용어 "기지국(base station)"은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Node B, 향상된 Node B, 액세스 포인트 등과 동의어인 것으로 및/또는 이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 RCS와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 MS1, MS2 사이에 무선 링크를 통한 연결을 제공하는 장비를 기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RCS는,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는 3GPP LTE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추가적 대안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 RCS는, 예를 들어 IEEE 802.16d 표준(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기초한 WiMAX 무선 통신 시스템(WiMAX =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예를 들어 IEEE 802.11g 표준에 기초한 WLAN일 수 있다.
2개의 무선 셀 C1, C2 중 제1 무선 셀 C1은, 예를 들어 예로서 10 MHz 반송파에 대해 46 dBm의 제1 최대 출력 전력을 갖는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는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제공된다. 육각형 경계부에 의해 도 1에 표시되는 제1 무선 셀 C1의 최대 사이즈는 제1 최대 출력 전력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무선 셀 C1은, 예를 들어 제1 섹터 SEC1, 제2 섹터 SEC2 및 제3 섹터 SEC3으로 섹터화될 수 있다. 제1 섹터 SEC1에 대한 방사 빔 커버리지만이 간단화를 위해 도시된다. 예시적으로, 제1 섹터 SEC1은 예를 들어 자북 N에 대해 상이한 방사각들을 가진 4개의 방사 빔 B1, B2, B3 및 B4의 그룹에 의해 커버된다. 추가적 대안들에서, 제1 섹터 SEC1은 2개의 방사 빔의 그룹에 의해 또는 네 개보다 많은 방사 빔의 그룹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방사 빔들 B1, B2, B3 및 B4는, 소위 전송 코드북에 의해 미리 정의되고 또한 예를 들어 3GPP TS 36.213 V10.0.1(2010-12) 섹션 7.2.4에서 기술되는 소위 프리 코딩 벡터(pre-coding vector)들에 기초한다. 이것은 제1 프리 코딩 벡터가 제1 방사 빔 B1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프리 코딩 벡터가 제2 방사 빔 B2를 나타낼 수 있고, 제3 프리 코딩 벡터가 제3 방사 빔을 나타낼 수 있고, 제4 프리 코딩 벡터가 제4 방사 빔 B4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프리 코딩 벡터는 제1 기지국 BS1의 안테나 시스템 중 둘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에 대해 전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진폭과 위상에 관한 안테나 가중(weight)들을 포함한다.
비슷한 방사 빔 커버리지가 제2 섹터 SEC2와 제3 섹터 SEC3에 대해 제1 기지국 BS1의 두 개의 추가적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지국 BS2는 제1 섹터 SEC1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되고, 제2 무선 셀 C2를 제공한다. 제2 기지국 BS2는, 예를 들어 10 MHz 반송파에 대해 30dBm이고 따라서 제1 최대 출력 전력보다 인수 40만큼 더 작은 제2 최대 출력 전력을 공급한다. 더 작은 제2 최대 출력 전력 때문에, 제2 기지국 BS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일 수 있다. 제2 무선 셀 C2의 경계부에 의해 도 1에 또한 표시되는 제2 무선 셀 C2의 최대 사이즈는 제2 최대 출력 전력에 의해 결정된다. 제2 기지국 BS2는 예시적으로 전방향성 안테나를 포함하여서, 제2 무선 셀 C2가 섹터화되지 않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기지국 BS2는 두 개 이상의 방사 빔들을 제공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가진 단일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섹터화된 제2 무선 셀에 두 개 이상의 방사 빔들을 제공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제1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무선 셀 C1의 제1 섹터 SEC1과 제2 무선 셀 C2는 교차하지만 제2 무선 셀 C2는 제1 섹터 SEC1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제2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 BS1 및 제2 기지국 BS2는 동일한 최대 전송 출력 전력을 가진 2개의 기지국일 수 있고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의 방사 빔들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은 제1 섹터 SEC1 내에 및 제2 무선 셀 C2의 셀 에지에 로케이팅된다. 제2 이동국 MS2는 제1 섹터 SEC1 내에 및 제2 무선 셀 C2 내에 로케이팅된다.
용어 "이동국(mobile station)"은 모바일 유닛, 이동국, 모바일 사용자,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 가입자, 사용자, 원격 스테이션 등과 동의어로 간주될 수 있고 또한 이후에 때때로 이런 이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동국들 MS1, MS2는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들, 휴대용 컴퓨터들, 포켓 컴퓨터들, 핸드헬드 컴퓨터들, PDA들,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진 USB 플래시 드라이브들 또는 자동차 탑재 모바일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는, 예를 들어 3GPP LTE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소위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또한 고정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일 수 있는 제1 데이터 연결 DC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1 데이터 연결 DC1은 활성 모드 모빌리티(예를 들어, 핸드오버 동안의 패킷 포워딩) 및 다중 셀 RRM 기능들(RRM = Radio Resource Management)을 지원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제1 섹터 SEC1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있는 제2 기지국 BS2의 로케이션 때문에, 방사 빔들 B1, B2, B3 및 B4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커버리지 지역들은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과 중첩한다. 1의 주파수 재사용이 무선 통신 시스템 RCS 내에서 적용되면(즉,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가 이동국들 MS1, MS2에 대한 다운링크 전송들을 위하여 동일 주파수 부 반송파를 적용하면), 커버리지 지역들의 중첩은,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이동국들 MS1, MS2에게 전송되는 제1 다운링크 무선 주파수 신호들과,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다운링크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간섭을 야기한다.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이동국들 MS1, MS2로의 다운링크 전송들이 조정되지 않으면, 이 간섭은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이동국들 MS1, MS2로의 다운링크 무선 통신을 교란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 RCS 내에서의 전체적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경우에 대해, 시간 영역 ICIC(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가 소위 ABS(almost blank subframe)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기지국 BS1은 10ms 길이의 프레임으로 하나 또는 몇 개의 1ms 길이의 서브프레임들을 미리 정의하는데, 이는 제1 기지국 BS1이 제1 기지국 BS1에게 연결되는 이동국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상이한 주파수의 부 반송파들이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에서 적용되면,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이동국들 MS1, MS2에게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 사이의 간섭들을 회피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 ICIC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간 영역 ICIC에 의한 동일 채널 배치(co-channel deployment)에 초점을 맞출 것인데, 여기서 제1 기지국 BS1은 다운링크 방향으로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하고 및 제2 기지국 BS2는 하나 또는 몇 개의 동일 주파수 부 반송파들상에서 다운링크 방향으로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또한 전송한다.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운링크 전송들의 조정은 하기 일반적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에서, 제1 이동국 MS1은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에게 상당한 간섭을 제공하는, 4개의 방사 빔 B1, B2, B3 및 B4의 그룹으로부터의 간섭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을 검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간섭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의 검출은, 예를 들어 3GPP TS 36.213 V10.0.1(2010-12) 섹션 7.2에서의 3GPP LTE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제1 기지국 BS1과 제1 이동국 MS1 사이의 공통 시그널링 절차(common signalling procedure)들에 기초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은 제1 이동국 MS1에게 및 제2 이동국 MS2에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간 주파수 그리드에서의 미리 정의된 리소스 블록들에 의해 방사 빔들 B1, B2, B3, 및 B4의 각각을 통해 파일럿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도 1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제1 이동국 MS1은 제1 기지국 BS1에 연결되고 제2 이동국 MS2는 제2 기지국 BS2에 연결된다. 3GPP LTE의 미래 진보들에서, 제1 이동국 MS1과 제2 이동국 MS2는 동시에 두 개 이상의 기지국들에게 두 개 이상의 무선 연결들을 통해 또한 연결될 수 있다.
파일럿들을 수신한 후, 제1 이동국 MS1은 주기적으로 수신된 파일럿들의 신호 품질들을 결정하고, 최대 신호 품질을 가진 방사 빔 또는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과 동등한 또는 이를 넘는 신호 품질을 가진 몇 개의 방사 빔을 결정하고, 최대 신호 품질을 가진 방사 빔에 대한 표시 또는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과 동등한 또는 이를 넘는 신호 품질을 가진 몇 개의 방사 빔에 대한 몇 개의 표시를 제1 기지국 BS1에게 전송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제1 이동국 MS1은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표시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은, 표시 또는 몇 개의 표시가 제1 이동국 MS1가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의 경계부에 또는 그 내에 로케이팅된다는 조건으로 수신되었을 때, 수신 표시 또는 몇 개의 수신 표시에 기초하여 간섭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을 식별한다.
제2 단계에서, 검출된 단일 간섭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무선 리소스는 단일 간섭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에 대해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이용되지 않을 것이다. 그 대신에, 제1 기지국 BS1은 제1 기지국 BS1에 연결되고 또한 단일 간섭 방사 빔 내에 또는 몇 개의 간섭 방사 빔 중 하나 내에 로케이팅되는 이동국들을, 최상의 PMI로서 표시되지 않지만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에게 어떤 간섭도 제공하지 않거나 거의 간섭을 제공하지 않는 추가적 비 간섭 방사 빔으로 서빙할 것이다. 하나 또는 몇 개의 무선 리소스는, 단일 방사 빔 또는 몇 개의 방사 빔 중 하나 내에 로케이팅되고 또한 제2 기지국 BS2에게 연결되는 이동국들을 서빙하기 위해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적용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 RCS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기지국들 BS1, BS2로부터의 다운링크 전송들의 조정은 도 2 및 도 4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방법 MET1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제1 방법 MET1을 실행하는 단계들의 수는 중요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단계들의 수 및 단계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이동국 MS1은 제1 기지국 BS1에게 연결되고 그에 의해 서빙될 수 있고, 제2 이동국 MS2는 제2 기지국 BS2에게 연결되고 그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제1 주기적 단계 M1/1(도 2에서 제1 화살표 A1에 의해 표시됨)에서, 제1 기지국 BS1은 시간 주파수 그리드 내에서 공통 파일럿들 P에 대하여 미리 정의된 무선 리소스 로케이션들을 적용함으로써 제1 이동국 MS1에게 미리 정의된 소위 공통 파일럿들 P를 무 지향성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한 파일럿 전송은, 예를 들어 3GPP TS 36.211 V10.0.0(2010-12) 섹션 6.10에서의 3GPP LTE의 경우에 기술되는데, 여기서 공통 파일럿들은 셀 특정적 기준 신호들로 불린다.
추가적 단계 M1/3에서, 제1 이동국 MS1은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방사 빔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 공통 파일럿들 P에 대한 평가를 실행한다. 그러한 평가는 예를 들어 EP 2 166 807 B1에 기술된다. 그에 의해, 제1 이동국 MS1은 평균화를 이용하여 수신 공통 파일럿들 중 하나를 위한 또는 수신 공통 파일럿들 중 여러 개를 위한 제1 SNR, SINR 또는 SIR 값을 계산하기 위해 전송 코드북으로부터 제1 프리 코딩 벡터를 적용하고, 평균화를 이용하여 수신 공통 파일럿들 중 하나를 위한 또는 수신 공통 파일럿들 중 여러 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SNR, SINR 또는 SIR 값을 계산하기 위해 전송 코드북으로부터 적어도 제2 프리 코딩 벡터를 적용한다.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예를 들어 최대 SNR, 최대 SINR 또는 계산된 제1 및 제2 SNR, SINR 또는 SIR 값들 중 최대의 것일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이 하나보다 많은 PMI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면,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대안적으로 최대 SNR, 최대 SINR 또는 최대 SIR을 가진 두 개 이상의 방사 빔의 그룹일 수 있다. 보고된 PMI들의 수는 미리 정의된 수신 신호 품질 임계값, 및 미리 정의된 신호 품질 임계값에 도달하는 또는 이를 초과하는 다양한 방사 빔 B1, B2, B3, 및 B4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 값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도 1에 관하여, 제1 이동국 MS1은 제2 방사 빔 B2를 제1 이동국 MS1을 위한 최상의 PMI로서 표시하는 제1의 PMI PMI1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은 바람직하게는 단계 M1/3에 의해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제1의 CQI CQI1 및 제1의 RI RI1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 단계 M1/4에서, 제1 이동국 MS1은 제1의 PMI PMI1, 제1의 CQI CQI1 및 제1의 RI RI1을 제1 기지국 BS1에게 전송하는데, 이것은 다음 단계 M1/5에서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들 M1/3, M1/4 및 M1/5에 의해 실행되는 평가 및 전송은 공통 파일럿들 P의 전송과 동일한 주기성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수신 공통 파일럿들 P 중 두 개 이상의 것의 신호 품질을 평균화하는 것에 기초하여 반복될 수 있다(단계들 M1/3, M1/4 및 M1/5의 반복은 도 2의 제2 화살표 A2에 의해 표시된다).
추가적 단계들 M1/6 내지 M1/11은 도 3에 도식적으로 묘사되는, 제1 기지국 BS1의 처리 유닛 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은 제1 섹터 SEC1에 대한 안테나 시스템 AS1을 포함한다. 안테나 시스템 AS1은 안테나 시스템 AS1에서의 빔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4개의 안테나 소자를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제1 기지국 BS1은 처리 유닛 PU 및 제어 유닛 보드 CU를 추가로 포함한다. 처리 유닛 PU는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 또는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의 RRH(remote radio head) 또는 몇 개의 RRH가 안테나 시스템 AS1 대신에 적용되면, 처리 유닛 PU는 소위 모뎀 유닛 보드일 수 있다.
처리 유닛 PU는 안테나 연결 AC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 AS1에게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 IF1을 포함한다. 하나의 RRH 또는 몇 개의 RRH를 이용하는 경우에, 안테나 연결은 예를 들어 소위 CIPRI 인터페이스(CIPRI =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기초할 수 있다. 처리 유닛 PU는 제어 유닛 보드 CU에의 연결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 IF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유닛 보드 CU는 계층 3상에서의, 즉 소위 RRC 계층(RRC = Radio Resource Control)상에서의 작업들, 예를 들어 측정들, 셀 재선택, 핸드오버, RRC 보안 처리 및 무결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유닛 보드 CU는 코어 네트워크의 하나 또는 몇 개의 네트워크 노드에게 연결되고,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IP 데이터를 추가적 처리를 위해 처리 유닛 PU에게 전송한다. 제어 유닛 보드 CU는 제1 데이터 연결 DC1을 통해 제2 기지국 BS2에서의 추가적 제어 유닛 보드에게 추가로 연결된다.
처리 유닛 PU는 스케줄러 SCHED, 평가 유닛 EVAL-U 및 메모리 MEM과 같은 몇 개의 기능 블록을 포함한다. 메모리 MEM은 임시 저장소 TS 및 매핑 테이블 MT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유닛 PU는 계층 2, 즉 헤더 압축 및 암호화를 담당하는 소위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예를 들어 세그먼트화 및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담당하는 소위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MAC(Media Access Control) 다중화 및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담당하는 소위 MAC 계층 상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일반적으로 실행한다. 처리 유닛 PU는 코딩, 변조 및 안테나와 리소스 블록 매핑과 같은, 물리적 계층 상에서의 다운링크 방향의 데이터 처리를 일반적으로 추가로 실행한다. 제1 기지국 BS1과 처리 유닛 PU의 기능 블록들의 수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능 블록들의 수는 개별 구현 선호들에 의존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할 수 있다.
추가적 단계 M1/6에서, 처리 유닛 PU는 제1의 PMI PMI1을 수신하고, 제1의 PMI PMI1,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를 메모리 MEM의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하게는 제1의 PMI PMI1이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었을 때 시점(point of time)의 타임 스탬프를 또한 저장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는 예를 들어 스케줄러 SCHED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삭제될 수 있거나 또는 임시 저장소 TS가 완전히 데이터로 채워지면 가장 새로운 데이터가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덮어 쓸 수 있다.
다음 단계 M1/7에서, 평가 유닛 EVAL-U는 수신된 제1의 PMI PMI1이 추가적 단계 M1/8에서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될 것인지를 판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몇 개의 평가를 실행한다. 평가 유닛 EVAL-U는 주로, 제1 이동국 MS1이 제2 방사 빔과 제2 무선 셀 C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한 시점에 제1의 PMI PMI1이 수신되는지를 평가한다. 그러한 평가는 상이한 방식들로 실행될 수 있다:
제1 대안에 따르면, 제2 방사 빔 B2와 제2 무선 셀 C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과 같은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들의 차원(dimension)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RCS를 계획하기 위해 이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알려질 수 있고, 차원들은 예를 들어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의 경계부의 지리적 좌표들의 형태로 메모리 MEM의 커버리지 지역 데이터베이스 CAD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이 제1의 PMI PMI1을 전송했을 때 그 시점에 제1 이동국 MS1의 현재 지리적 좌표들은, 예를 들어 제1 이동국 MS1로부터 무선 통신 시스템 RCS의 두 개 이상의 안테나 시스템들에게 전송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전파 시간 측정 또는 삼각 측량법과 같은 공지된 로케이션 방법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로케이션 방법들은 예를 들어, "Wireless Position Location: Fundamentals,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Sources of Error", Kevin J. Krizman et al., IEEE 47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Proceedings, 919 (1997)에, 또는 "Satellite and Terrestrial Radio Positioning Techniques, A signal processing perspective", Dardari, Luise, Falletti, Academic Press, 2011에 기술된다. 평가 유닛 EVAL-U는 커버리지 지역 데이터베이스 CAD에게 질의하고, 제1 이동국 MS1의 결정된 좌표들이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의 지리적 경계부 좌표들 내에 있는지를 검증한다.
제2 대안에 따르면, 제1 이동국 MS1이 제1의 PMI PMI1을 전송했을 때 그 시점에 제1 이동국 MS1의 현재 지리적 좌표들은, 예를 들어 GPS, 갈릴레오 또는 글로나스와 같은 공간 기반 위성 항법 시스템으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에 대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은 제1 기지국 BS1에게 예를 들어 제1의 PMI PMI1과 함께 현재 지리적 좌표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대안에 대하여 적용된 것과 동일 방식으로, 평가 유닛 EVAL-U는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수신되는 제1 이동국 MS1의 현재 좌표들이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의 지리적 경계부 좌표들 내에 있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다양한 제3 대안들에 따르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이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 사이의 제1 이동국 MS1의 핸드오버 직전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직후 수신되었는지를 제어한다. 이 제어는 제어 유닛 보드 CU로부터의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들의 수신을 평가 유닛 EVAL-U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의 수신은 간단화를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국의 식별자, 및 핸드오버가 그에 대해 또는 그로부터 실행되는 무선 셀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관하여,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2 무선 셀 C2로의 핸드오버의 경우에, 평가 유닛 EVAL-U는, 추가의 제1의 PMI PMI1이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수신되기 전에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2 무선 셀 C2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제1 이동국 MS1에 대해 어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메모리 MEM에서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 및 제1의 PMI PMI1을 삭제하거나, 또는 평가 유닛 EVAL-U는 이후의 시점에 하나 또는 몇 개의 통계 수학적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임시 저장소 TS에 제1의 PMI PMI1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제1 이동국들의 핸드오버와 상관 관계로 수신된 단일 PMI가 제1 기지국 BS1의 방사 빔을 제2 기지국 BS2에 대한 간섭 방사 빔으로서 정의하거나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제1 이동국 MS1의 핸드오버의 경우에, 평가 유닛 EVAL-U는 단계 M1/7에서, 제1 이동국 MS1로부터의 제1의 PMI PMI1이 단계 M1/6에서 수신되기 전에 제어 유닛 보드 CU로부터의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가 처리 유닛 PU에서 수신되었는지를 평가한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가 바람직하게는 단계 M1/6 전에 70ms과 같은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또는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었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을 임시 저장소 TS에 유지하고 또한 제1의 PMI PMI1에 대한 제2 무선 셀 C2 또는 제2 기지국 BS2의 표시를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할 수 있다. 어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도 단계 M1/6 전에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내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임시 저장소 TS에서 제1의 PMI PMI1을 삭제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과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가 메모리 MEM의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될 때 그 시점에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으로 타이머를 시작하고, 평가 유닛 EVAL-U는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이 만료되기 전에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2 무선 셀 C2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제1 이동국 MS1에 대해 어떤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임시 저장소 TS에서 제1의 PMI PMI1 및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를 삭제하거나, 또는 평가 유닛 EVAL-U는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이 만료되기 전에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제1 이동국 MS1에 대한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의 PMI PMI1을 임시 저장소 TS에 유지한다. 타이머가 이용되고 또한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면, 특히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제1 기지국 BS1에게 PMI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기간이 길고 또한 제1 이동국 MS1의 속력이 큰 경우에, 제1 섹터 SEC1과 제2 무선 셀 C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에 제1 이동국 MS1이 로케이팅되는 것을 더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제1 이동국 MS1의 핸드오버와 비슷한 방식으로, 평가 유닛 EVAL-U는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제1 이동국 MS1에 대해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제1 이동국 MS1의 식별자 및 제2 무선 셀 C2의 표시를 메모리 MEM의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할 수 있다(간단화를 위해 도 2에 도시되지 않음). 제1의 PMI PMI1이 핸드오버 후에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수신된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을 임시 저장소 TS에 유지한다.
다음 하위 단계에서, 평가 유닛 EVAL-U는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는 PMI들의 수가 PMI들의 미리 정의된 수와 동일한지 또는 이를 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는 PMI들의 수가 PMI들의 미리 정의된 수 미만이면, 다음 단계는 단계 M1/5일 수 있다.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는 PMI들의 수가 PMI들의 미리 정의된 수와 동일하거나 이를 넘으면, 평가 유닛 EVAL-U는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몇 개의 통계적 평가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통계적 평가 방법들은, 제1 기지국 BS1의 방사 빔들이 더 장 기간에 걸쳐서 안정적이고 또한 밀리 초 또는 초와 같은 짧은 시간 규모상에서 변화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서 실행될 수 있다
평가 유닛 EVAL-U는, 예를 들어 제2 방사 빔 B2가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로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 T1 내에 이동국들에 의해 보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 T1는, 예를 들어 일분이나 몇 분 또는 한 시간이나 몇 시간일 수 있다. 그러므로, 평가 유닛 EVAL-U는, 제1 PMI가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처리 유닛 PU에서 수신되었을 때, t0를 타임 스탬프로 하여 예를 들어 TW = (t0-Δ T1, t0)에 의해 주어지는 시간 윈도 TW 내에서의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이동국들의 핸드오버에 관하여 제1의 PMI PMI1에 의해 제1 기지국 BS1에게 보고된 제2 방사 빔 B2의 출현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가 임시 저장소 TS에 저장되는 모든 PMI들의 시간 윈도 TW 내에서 최대 출현 빈도를 갖는 경우에, 평가 유닛 EVAL-U는, 각각의 보고된 방사 빔에 대한 주파수들을 계산한 것에 기초하여,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가 유닛 EVAL-U는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
Figure pct00001
에 기초하여, 제2 방사빔 B2에 대한 PMI가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국들에 의해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T 내에 제1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와 동등하거나 또는 이것을 넘는다고 보고되었다면,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를 신뢰할만한 간섭 방사 빔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비슷한 수학식이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N B2 = 제2 방사 빔 B2가 최후 또는 최초 PMI로서 보고된 핸드오버들의 수
N TOTAL = 제1 기지국 BS1의 방사 빔들이 최후 또는 최초 PMI로서 보고된 핸드오버들의 총 수
RT = 제1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의 백분율. 제1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는 예를 들어 30%일 수 있다.
단계 M1/7에서, 평가 유닛 EVAL-U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1의 PMI PMI1에 대하여 및 제2 무선 셀 C2에 대하여 비 인접 방사 빔에 대한 추가 PMI가 매핑 테이블 MT에 이미 저장됐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국지적 구조 조건들에 의존하여, 이동국들 MS1, MS2가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 방향으로 또는 정반대 방향들 MOV1, MOV2로 제2 무선 셀 C2를 항상 가로지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길거리 ST 및 길거리 ST를 따라 있는 빌딩들 BUI1, BUI2, BUI3은 이동국들 MS1, MS2가 길거리 ST를 따라서만 움직이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이동국들이 제1 방사 빔 B1 또는 제3 방사 빔 B3의 커버리지 지역에 로케이팅될 때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들 또는 이동국들이 제1 방사 빔 B1 또는 제3 방사 빔 B3의 커버리지 지역에 로케이팅될 때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들이 일어날 수 있지만, 이동국들이 제2 방사 빔 B2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어떤 핸드오버들도 일어날 수 없고, 이동국들이 제2 방사 빔 B2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어떤 핸드오버들도 일어날 수 없다. 이런 경우에,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는, 제2 방사 빔 B2가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강한 간섭 방사 빔일 수 있다 하더라도, 이동국들 MS1, MS2의 핸드오버 전이나 후에 이동국들 MS1, M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에게 결코 보고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이동국 MS2가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1 방사 빔 B1을 경유해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 내로 이미 움직였고 또한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가 실행되었다면, 제1 방사 빔 B1에 대한 PMI는 매핑 테이블 MT에서 제2 무선 셀 C2에 대하여 이미 저장될 수 있다. 이제 제1 이동국 MS1이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3 방사 빔 B3을 경유해 또한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 내로 움직이고 및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를 또한 실행한다면, 핸드오버 전에 제1 기지국 BS1에게 제3 방사 빔 B3에 대한 PMI를 최후 PMI로서 전송할 수 있다. 평가 유닛 EVAL-U는 매핑 테이블 MT에게 제3 방사 빔 B3에 인접하지 않은 방사 빔을 표시하는,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방사 빔의 PMI를 질의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 관하여, 질의는 제1 방사 빔 B1의 PMI를 제공할 것이다. 평가 유닛 EVAL-U는, 제1 방사 빔 B1과 제3 방사 빔 B3의 커버리지 지역들 사이에 로케이팅되는 제2 방사 빔 B2가 한 지역에 대한 커버리지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둘 모두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것인 제1 방사 빔 B1에 대해 이미 저장된 PMI 및 제3 방사 빔 B3에 대해 신규 수신된 PMI는, 제2 방사 빔 B2도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간섭 방사 빔이 틀림없다는 신뢰성 있는 표시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평가 유닛 EVAL-U는 매핑 테이블 MT에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간섭 방사 빔들로서 제1 방사 빔 B1 및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들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계 M1/7에서, 평가 유닛 EVAL-U는 제1 이동국 MS1이 고속 이동국인지 또는 저속 이동국인지를 추가로 평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RCS는 30 km/h와 같은 미리 정의된 속력 값들과 동등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속력으로 움직이는 이동국들은 매크로 기지국들에 의해 서빙될 것이고, 마이크로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또는 펨토 기지국들에 의해 서빙되지 않을 것이라는 그런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ABS에 의한 ICIC는 제1 이동국 MS1이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또한 제2 무선 셀 C2를 통과해 나아가는 동안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적용될 수 있어서,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이동국들에게 전송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이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1 이동국 MS1에게 전송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에게 간섭을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그와 같은 이동국들에 대해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 사이의 핸드오버가 방지되고 또한 실행되지 않고 그러므로 PMI가 결코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 사이의 핸드오버와 상관 관계로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에, 속력과 미리 정의된 속력 값을 넘는 속력으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국의 로케이션 및 속력은 전술한 바와 같은 로케이션 방법들(GNSS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이용하는 삼각 측량법, 전파 시간 측정) 중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무선 셀 C2 내에서의 고속으로 움직이는 이동국의 로케이션에 대한 표시는, 제1 섹터 SEC1에 대해 제1 RSRP를 측정하는 것으로부터 얻는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을 가진,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제2 RSRP(RSRP= 3GPP LTE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3GPP TS 36.214 VI10.1.0 섹션 5.1.1 참조)를 제1 이동국 MS1에서 측정하고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보고하는 것으로부터 또한 획득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은, 예를 들어 시간 프레임 Δt당 핸드오버들의 수 N으로 핸드오버 레이트를 측정하고 또한 핸드오버 레이트가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
Figure pct00002
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핸드오버 레이트 임계값 N thres 를 초과하는지를 결정함으로서 미리 정의된 속력 값을 넘는 속력을 가진 고속 이동국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유닛 EVAL-U가 제1 이동국 MS1(도 5 참조)이 미리 정의된 속력 값을 넘는 속력으로 움직인다고 결정했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 이동국 MS1의 로케이션을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PMI가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제1 이동국 MS1이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평가 유닛 EVAL-U는 제2 방사 빔 B2를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간섭 방사 빔으로서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 단계 M1/8에서, 앞서 설명된 통계적 평가 방법들 중 하나가 제2 복사 B2를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간섭 방사 빔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PMI로서 제1의 PMI PMI1을 결정했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을 저장한다.
게다가,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들이 제1 섹터 SEC1 내에 로케이팅되거나 또는 제1 섹터 SEC1과 교차한다면 및 제2 기지국 BS2에 대한 또는 제2 무선 셀 C2의 PMI가 아직 매핑 테이블 MT에 아직 저장되지 않았다면, 평가 유닛 EVAL-U는 제1의 PMI PMI1에 대한 제2 무선 셀 C2의 또는 제2 기지국 BS2의 표시를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매핑 테이블 MT는 하기 2개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될 것이다:
Figure pct00003
예를 들어, 제2 이동국 MS2가 제1 섹터 SEC1로부터 제2 무선 셀 C2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한 직후에 제2 이동국 MS2가 제1 방사 빔 B1에 대한 제2 PMI를 이미 전송했고 또한 이제 핸드오버 이벤트 메시지가 제1 이동국 MS1로부터 제2 무선 셀 C2로의 핸드오버를 표시한다면, 매핑 테이블은 하기 2개의 추가적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경될 것이다:
Figure pct00004
아직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되지 않은 그런 PMI들만이 특정한 무선 셀에 대해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추가로 제1의 PMI PMI1이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될 때 한 시점에 대한 타임 스탬프가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는,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후에, 제1의 PMI PMI1이 여전히 신뢰성 있는 표시인지, 즉, 제2 방사 빔 B2가 여전히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간섭 방사 빔인지에 대해 추가적 통계 분석을 실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제1의 PMI PMI1은 매핑 테이블 MT에서 삭제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제2 방사 빔 B2의 제1의 PMI PMI1에 대한 단계 M1/8의 실행은,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이동국들에 의해 미리 정의된 타임 프레임 ΔT 내에 제2 방사 빔 B2을 보고하기 위한 제2 출현 빈도에 의존할 수 있다. 추가적 대안에서, 제2 방사 빔 B2의 제1의 PMI PMI1에 대한 단계 M1/8의 실행은,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 방향 및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 방향 중 하나로 핸드오버들을 실행하는 이동국들에 의해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T 내에 제2 방사 빔 B2를 보고하기 위한 제3 출현 빈도에 의존할 수 있다.
단계 M1/8 후의 다음 단계는 단계 M1/5일 수 있다(도 1의 제4 화살표 A4에 의해 표시됨).
예를 들어 주기적 타이머의 만료에 의해 주기적으로 트리거링될 수 있거나 또는 매핑 테이블 MT가 변경되었다면 트리거링될 수 있는 추가적 단계 M1/9에서, 스케줄러 SCHED는 제2 무선 셀 C2에 대한 및 최후 질의에 대한 저장된 PMI들의 임의의 변경들에 대해 매핑 테이블 MT에게 질의한다.
다음 단계 M1/10에서, 제2 방사 빔 B2에 대한 제1의 PMI PMI1과 같은 PMI가 제2 무선 셀 C2에 대해 매핑 테이블 MT에 새롭게 저장되었다면, 스케줄러 SCHED는,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그리드에서, 제2 방사 빔 B2를 통한 제1 기지국 BS2에 의한 후속 전송들을 위해 제1 기지국 BS1에서 차단될 제1 무선 리소스들을 결정한다. 그러한 시간 주파수 그리드 TFG에 대한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리소스 분포는 미리 정의된 시간 길이 FRAME에 대해 도 4의 a)에 도시되는데, 이는 3GPP LTE에서 적용되는 것처럼 예를 들어 10ms의 프레임일 수 있다. 주파수 대역폭 FB는 3GPP LTE의 경우에, 예를 들어 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또는 20 MHz일 수 있다. 시간 주파수 그리드는 3GPP LTE의 경우에 180 kHz의 주파수 폭과 1 ms의 시간 길이를 가진 PRB들(PRB = Physical Resource Block)로 나누어진다. 도 4의 a)에서, 10개의 인접한 PRB인 PRB1, PRB2, PRB3, PRB4, PRB5, PRB6, PRB7, PRB8, PRB9, PRB10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프레임은 1ms의 시간 길이를 가진 10개의 서브프레임 SF0, SF1, SF2, SF3, SF4, SF5, SF6, SF7, SF8, SF9로 나누어진다. 도 4의 a)과 관련하여, 스케줄러 SCHED에 의해 예시적으로 결정되는 제1 무선 리소스들은 PRB10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이다. 대안적으로, 스케줄러 SCHED는 제1 무선 리소스들로서, 예를 들어 PRB6의 모든 서브프레임들 및 PRB7의 서브프레임들 SF0 내지 SF4를 결정할 수 있다(도 4의 b)에 도시됨).
추가적 대안에서, 제1 무선 리소스들은 제1 기지국 BS2에 의한 후속 전송들을 위해 제1 기지국 BS1에서 차단되지 않지만, 제2 방사 빔 B2의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해 제1 기지국 BS1에서 적용되는 전송 전력은 후속 전송들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최대 출력 전력의 1/40일 수 있는 미리 정의된 전송 전력으로 제한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 제1 기지국 BS1의 제1 최대 출력 전력은 제2 기지국 BS2의 제2 최대 출력 전력으로 제한된다.
양호하게는,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한들(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전송 전력과 동등하거나 이것 미만의 전송 전력을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해 적용함; 제1 무선 리소스들을 차단함)은 제2 무선 셀 C2와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을 갖는 제2 방사 빔 B2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제2 무선 셀 C2과 어떤 중첩하는 커버리지도 갖지 않는 제3 방사 빔 B3 또는 제4 방사 빔 B4와 같은 제1 기지국 BS1의 다른 방사 빔들을 대해서는, 어떠한 그런 제한들도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서빙되는 이동국들로의 다운링크 전송들은 너무 큰 영향을 받지는 않으며, 제1 기지국 BS1에서의 전체적 데이터 처리량의 감소는 낮게 유지된다.
이미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된 방사 빔에 대해, 어떤 추가적 표시들도 제2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T2 내에 어떤 이동국들로부터도 수신되지 않을 것이거나, 또는 추가적 표시는 제1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보다 낮을 수 있는 제2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로 제2 미리 정의된 시간 프레임 ΔT2 내에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2가 단계 M1/9를 실행하는 시점일 때 t1 = t2T2로 주어질 수 있는, 어떤 추가적 표시들도 수신하지 않기 위한 시점 t1이 제1의 PMI PMI1이 매핑 테이블 MT에 저장되었을 때 그 시점 이후라면, 방사 빔에 대한 PMI는 단계 M1/10에서 매핑 테이블 MT에서 삭제될 수 있다.
다음 단계 M1/11에서, 스케줄러 SCHED가 제1 데이터 연결 DC1을 경유해 제2 기지국 BS2에게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 RRI1을 전송하고, 제2 기지국 BS2는 추가 단계 M1/12에서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 RRI1을 수신한다.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 RRI1은 예를 들어 X2 인터페이스상의 독점적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될 수 있다. PRB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케줄러 SCHED에 의해 선택된다면, PRB10에 대한 표시만이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4의 b)의 경우에 PRB6을 위한 표시 및 SF0 및 번호 4에 대한 표시가 따라오는 PRB7의 표시는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PRB7, SF0 및 번호 4는 PRB7의 서브프레임 SF0 및 후속하는 4개의 서브프레임 SF1 내지 SF4가 PRB6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에 더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제1 기지국 BS1은, 제1 무선 리소스들의 사용이 제1 기지국 BS1에서 차단되는지 또는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전송 전력만이 제1 기지국 BS1에서 제한되는지에 대한 표시를 제2 기지국 BS2에게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 또한 도시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사 빔 B1의 커버리지 지역 및 제2 방사 빔 B2의 커버리지 지역은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은 제2 방사 빔 B2와 제2 무선 셀 C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고, 제2 이동국 MS2는 제1 방사 빔 B1과 제2 무선 셀 C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과 제2 이동국 MS2의 로케이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예를 들어,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삼각 측량법, 전파 시간 측정)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동국들이 제1 기지국 BS1의 방사 빔들과 제2 무선 셀 C2의 커버리지 지역의 상이한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들 내에 로케이팅된다면, 스케줄러 SCHED는 단계 M1/10에서 제2 무선 빔 B2에 대한 제1 무선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제1 방사 빔 B1에 대한 제2 무선 리소스들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제2 무선 리소스들은 제1 무선 리소스들과 중첩하지 않으며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전송 전력과 동일하거나 그 미만인 전송 전력으로 제1 방사 빔 B1에 대해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전송될 것이다. 도 4의 a)와 관련하여, 제2 무선 리소스들은 예를 들어 PRB6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일 수 있다. 단계 M1/11에서, 스케줄러 SCHED는 제1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들 RRI1 및 제2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2 표시 또는 몇 개의 제2 표시 RRI2를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동국 MS1과 제2 이동국 MS2가 제1 방사 빔 B1과 제2 방사 빔 B2의 커버리지 지역들 내에서 분, 시간 또는 날과 같은 더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상주할 수 있다면, 스케줄러 SCHED는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제2 기지국 BS2에게, 제1 이동국 MS1을 위한 식별자 MS1-IND, 제2 이동국 MS2를 위한 식별자 MS2-IND, 제1 무선 리소스들이 제1 이동국 MS1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는 표시 RRI1-MS1, 및 제2 무선 리소스들이 제2 이동국 MS2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추가 표시 RRI2-MS2를 전송할 수 있다.
추가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빔에 대한 PMI가 단계 M1/9에서 매핑 테이블 MT로부터 삭제되었을 때 및 방사 빔의 제2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2 표시 또는 몇 개의 제2 표시 RRI2가 이전 방법의 주기들 중 하나에서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되었을 때, 단계 M1/11에서, 스케줄러 SCHED는 제2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제2 표시 또는 몇 개의 제2 표시 RRI2, 제2 무선 리소스들이 미래의 시간 슬롯들 또는 프레임들에서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전송 전력 감소 없이 이용되거나 전송된다는 추가의 표시 RRI2-STOP를 제2 기지국 BS2에게 전송한다. 그에 의해, 제2 기지국 BS2는 제2 무선 리소스들이 간섭 없이 또는 감소된 간섭 없이 더 이상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지식을 얻는다.
다음 단계 M1/13에서, 제2 기지국 BS2는 제1 무선 리소스들 중 하나 또는 몇 개를 적용함으로써 제2 이동국 MS2에 대해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DATA를 스케줄링한다.
추가적 단계 M1/14에서, 제2 기지국 BS2는 사용자 데이터 DATA를 제2 이동국 MS2에게 전송하고, 이것은 다음 단계 M1/15에서 사용자 데이터 DATA를 수신한다.
단계들 M1/9 내지 M1/12는 제1 기지국 BS1로부터의 어느 간섭 빔 또는 간섭 빔들이 사용에 있어서 제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서브프레임당 판정들에 의해 서브프레임을 요구하지 않고서 반정적 행동을 허용한다. 제1 기지국 BS1로부터의 어느 간섭 빔(들)이 제한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판정은 반복적으로, 그러나 3GPP LTE의 경우에는 1ms인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보다 훨씬 클 수 있는 시간 규모로 행해진다. 시간 규모는, 예를 들어 일 분이나 몇 분 또는 한 시간이나 몇 시간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지국 BS2는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를 갖기 위한 범위 확장으로 제2 무선 셀을 작동시킬 수 있다. 범위 확장의 원리는 예를 들어 3GPP TR 36.814 V9.0.0(2010-03) 섹션 31.2장에서 기술된다. 그에 의해, 이동국들은,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수신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제1 신호 강도가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수신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제2 신호 강도보다 미리 정의된 양만큼 크다 하더라도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서빙된다. 제2 무선 셀 C2 및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중심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제2 무선 셀 C2 및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경계 지역들로의 방향 R에 대해, 제1 신호 강도 S-BS1 및 제2 신호 강도 S-BS2에 대한 신호 강도들 S는 제2 무선 셀 C2와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6의 b)에 도시된다. 제2 무선 셀 C2와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경계 지역들은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 사이의 이동국들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하는, 이동국들 MS1, MS2의 로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국 MS1에 대해 어떤 범위 확장도 적용되지 않는다면, 제1 이동국 MS1가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서빙되는 경우, 및 제1 이동국 MS1이 제2 무선 셀 C2의 중심으로부터 제2 무선 셀 C2의 경계 지역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는 제1 신호 강도 S-BS1이 제1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NO-R만큼 제2 신호 강도 S-BS2를 초과한다면 실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이동국 MS2에 대해 범위 확장이 적용된다면, 제2 이동국 MS2가 또한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서빙되는 경우, 및 제2 이동국 MS2가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중심으로부터 확장된 제2 무선 셀 C2-EXT의 경계 영역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는 제1 신호 강도 S-BS1이 제1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NO-R보다 큰 제2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R만큼 제2 신호 강도 BS2를 초과한다면 실행될 것이다.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제2 이동국 MS2를 서빙하는 것은, 특히 제2 기지국 BS2의 범위 확장 기능성을 위해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비워지는 서브프레임들(도 4와 비교)에서 적용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이동국 MS1은 비워진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범위 확장이 모든 이동국들 MS1, MS2에 대하여 적용될 것이라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대해, 이동국들 MS1, MS2가 제2 방사 빔 B2와 같은 방사 빔들 중 하나의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또는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가 결코 발생하지 않는 것이 예시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은, 이동국들 MS1, MS2의 핸드오버가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 사이에 실행될 때, 확장된 무선 셀 C2-EXT의 중심과 중첩하는 제2 방사 빔 B2의 PMI가 이동국들 MS1, MS2 중 하나로부터 제1 기지국 BS1에게 결코 전송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할 것이다. 이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및 확장된 무선 셀 C2-EXT의 중심에 대하여 제1 기지국 BS1의 간섭 방사 빔들에 대한 지식을 때때로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 기지국 BS1은, 제2 기지국 BS2에서의 범위 확장 기능성이 스위칭 온 된다면,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분 또는 시간 주기성으로 추가적 단계들을 실행한다. 제2 기지국 BS2의 커버리지 지역에 대해, 범위 확장은, 제1 기지국 BS1에 의해 전송되고 및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제2 기지국 BS2에 의해 전송되고 및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2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R만큼 크지 않는 한(도 6의 b) 참조)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거나, 또는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최대로 되어도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2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R만큼 작은 경우에,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제1 기지국 BS1은 바람직하게는 일 분이나 몇 분 또는 한 시간이나 몇 시간과 같은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에 제1 이동국 MS1 및/또는 제2 이동국 MS2를, 제1 기지국 BS1의 간섭 방사 빔들에 대하여 확장된 무선 셀 C2-EXT의 중심 부분을 조사하기 위한 단일 테스트 이동국 또는 몇 개의 테스트 이동국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지국 BS1은,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1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NO-R만큼 작은 경우에 제2 기지국 BS2로부터 제1 기지국 BS1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또는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제1 이동국 MS1에 의해 또는 제2 이동국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적어도 제1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NO-R만큼 큰 한 제1 기지국 BS1로부터 제2 기지국 BS2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함으로써, 제1 이동국 MS1 및/또는 제2 이동국 MS2에 대해 제2 기지국 BS2의 커버리지 지역 C2에 대한 어떤 범위 확장도 적용하지 않는다.
확장된 무선 셀 C2-EXT에 대하여 추가 실시예를 이용함으로써, 제1 기지국 BS1, 제2 기지국 BS2 또는 양쪽 기지국들 BS1, BS2는 제1 기지국 BS1과 제2 기지국 BS2 사이의 핸드오버 판정을 결정하기 위해 제1 미리 정의된 차이 값 DS-NO-R가 그에 대해 적용될 하나 또는 몇 개의 이동국의 하나 또는 몇 개의 식별자에 의해 갱신된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 명시적으로 설명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들을 고안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모든 예들은, 주로 명백히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 및 본 기술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에 본 발명자(들)가 기여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시 목적으로만 의도되었으며, 그러한 구체적으로 기재된 예시들 및 조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양태 및 실시예들을 기재한 모든 진술과 그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그들의 등가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 유닛" 또는 "…을 위한 수단"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들은 제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데에 적응된 회로를 포함하는 기능 블록들로서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을 위한 수단"은 마찬가지로 "무엇에 대해 적응된 또는 그에 맞추어진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적응되는 수단은, 이러한 수단이 반드시 (주어진 순간에)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중이라는 것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되는 처리 유닛 PU의 여러 요소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 중 몇몇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라는 용어의 명시적 사용은 오로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말아야 하고, 암묵적으로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ASIC, 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 RAM, 및 비 휘발성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및/또는 관행적인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개념적일 뿐이다. 그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고, 특정 기술은 문맥상 더 구체적으로 이해됨에 따라 구현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여기서의 임의의 블록도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망의 개념도를 나타냄을 알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RCS)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MET1)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제1 기지국(BS1)에 소속될 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RCS)의 상기 제1 기지국(BS1)과 제2 기지국(BS2)의 제1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RCS)의 상기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서의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을 만족하거나 초과하는 방사 빔들(B1, B2, B3, B4)에 대한 표시들(PMI1)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으로부터 처리 유닛(PU)에서 수신하는 단계(M1/6);
    상기 표시들(PMI1)이, 상기 제1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전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후에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제어하는 단계(M1/7);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가진 상기 제2 기지국(BS2)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을 서빙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표시들(PMI1)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최대 전송 전력보다 미리 정의된 차이만큼 작은 전력(a predefined difference below a maximum transmission power)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결정하는 단계(M1/10) -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은,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가 상기 핸드오버 전이나 후에 수신된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됨-
    를 포함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들은 프리 코딩 행렬 표시자들이고, 상기 프리 코딩 행렬 표시자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상기 제1 기지국(BS1)에게 연결되고 또한 그에 의해 서빙될 때 최상의 프리 코딩 행렬 표시자들로서 취급되고, 상기 프로 코딩 행렬 표시자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이 상기 제2 기지국(BS2)에게 연결되고 또한 그에 의해 서빙될 때 최악의 프리 코딩 행렬 표시자들로서 취급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M1/7)는, 상기 표시들(PMI1)이,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전의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후의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되었는지를 검증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방사 빔은,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가 상기 제1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또는 상기 제2 미리 정의된 시 구간 내에 수신된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M1/7)는 상기 표시들(PMI1) 중 어느 것이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전에 수신되는 최후 표시인지 또는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후에 수신되는 최초 표시인지를 결정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방사 빔은,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가 최후 표시이거나 최초 표시인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제1 방사 빔(B1)은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제2 방사 빔(B2)에 인접하거나 이것과 중첩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사 빔(B2)은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제3 방사 빔(B3)에 인접하거나 이것과 중첩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사 빔(B2)은, 상기 제1 방사 빔(B1)과 상기 제3 방사 빔(B3)에 대한 표시들이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가 미리 정의된 출현 빈도로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이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서 수신되는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의 빔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NR(signal to noise ratio),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서 수신되는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의 빔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INR(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1, M2)에서 수신되는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의 빔의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최대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중 어느 하나인 간섭 감소 방법(MET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은 최대 수신 신호 품질을 가진 방사 빔이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수신 신호 품질을 넘는 수신 신호 품질을 가진 적어도 2개의 방사 빔의 그룹에 속하는 방사 빔인 간섭 감소 방법(MET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BS1)은 매크로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BS2)은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펨토 기지국이고, 상기 마이크로 기지국, 상기 피코 기지국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C2, C2-EXT)은 상기 매크로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SEC1) 내에 로케이팅되거나 또는 그와 교차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상기 제2 기지국(BS2)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1 미리 정의된 크기(DS-R)만큼 크지 않은 한,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최대 상기 제1 미리 정의된 크기(DS-R)만큼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BS2)의 상기 커버리지 지역(C2-EXT)에 대해 범위 확장을 적용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제2 미리 정의된 크기(DS-NO-R)만큼 작은 경우에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핸드오버를 트리거링함으로써,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에 의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신호들의 신호 강도보다 적어도 상기 제2 미리 정의된 크기(DS-NO-R)만큼 큰 한,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핸드오버를 방지함으로써 - 상기 제1 미리 정의된 크기(DS-R)는 상기 제2 미리 정의된 크기(DS-NO-R)보다 큼 -,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 및/또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BS2)의 커버리지 지역(C2)을 위한 어떠한 범위 확장도 적용하지 않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MET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를 방지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속력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는 속력으로 상기 제2 기지국(BS2)의 커버리지 지역을 트래버스하고 있을 때,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에 대한 표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검증하는 단계(M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방사 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상기 미리 정의된 속력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를 초과하는 상기 속력으로 상기 제2 기지국(BS2)의 커버리지 지역을 트래버스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결정 단계(M1/10) 동안 고려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2)은 상기 제1 기지국(BS1)과 상기 제2 기지국(BS2)의 제2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되고, 상기 방법(MET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가진 상기 제2 기지국(BS2)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2)을 서빙하기 위해, 상기 수신 표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방사 빔(B1)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상기 제한된 전송 전력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결정하는 단계(M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위한 제1 표시 또는 몇 개의 제1 표시(RRI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무선 리소스를 위한 제2 표시 또는 몇 개의 제2 표시(RRI2)를 상기 처리 유닛(PU)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에게 전송하는 단계(M1/11)
    를 더 포함하는 간섭 감소 방법(MET1).
  13. 무선 통신 시스템(RCS)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처리 유닛(PU)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제1 기지국(BS1)에 소속될 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RCS)의 상기 제1 기지국(BS1)과 제2 기지국(BS2)의 중첩하는 커버리지 지역 내에 로케이팅될 때,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RCS)의 상기 제1 기지국(BS1)에 의해 전송되고 또한 미리 정의된 품질 기준을 만족하거나 초과하는 방사 빔들에 대한 표시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F1);
    표시들(PMI1)이, 상기 제1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BS1)으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의 핸드오버 전에 수신되었는지 또는 후에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처리 유닛(PU)에서 제어(M1/7)하기 위한 평가 유닛(EVAL-U); 및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가진 상기 제2 기지국(BS2)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MS1, MS2) 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이동국(MS1, MS2)을 서빙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표시들에 기초하여, 상기 방사 빔들(B1, B2, B3, B4) 중 하나에 대해, 상기 1 기지국(BS1)에 의해 제한된 전송 전력으로 전송되거나 미사용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리소스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가 상기 핸드오버 전이나 후에 수신된 경우에, 상기 수신 표시들(PMI1)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방사 빔을 상기 결정 동안 고려하기 위한 스케줄러(SCHED)
    를 포함하는 처리 유닛(PU).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무선 송신기, 무선 송수신기 또는 모뎀 유닛 보드인 처리 유닛(PU).
  15.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BS1)로서,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처리 유닛(PU)
    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BS1).
KR1020157001209A 2012-07-17 2013-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KR101660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865.3A EP2688330B1 (en) 2012-07-17 2012-07-17 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cessing unit,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thereof
EP12305865.3 2012-07-17
PCT/EP2013/059249 WO2014012689A1 (en) 2012-07-17 2013-05-03 Method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cessing unit,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655A true KR20150033655A (ko) 2015-04-01
KR101660188B1 KR101660188B1 (ko) 2016-10-10

Family

ID=4843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209A KR101660188B1 (ko) 2012-07-17 2013-05-0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83020B2 (ko)
EP (1) EP2688330B1 (ko)
JP (1) JP5908173B2 (ko)
KR (1) KR101660188B1 (ko)
CN (1) CN104429115B (ko)
BR (1) BR112015000992A2 (ko)
TW (1) TWI486070B (ko)
WO (1) WO2014012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0310B2 (en) 2010-10-15 2016-09-2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urface scattering antennas
US9385435B2 (en) 2013-03-15 2016-07-0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urface scattering antenna improvements
KR102087663B1 (ko) * 2013-04-17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성형장치 및 방법
US9900819B2 (en) * 2013-05-10 2018-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user equipments according to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379332B (zh) * 2013-07-23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150049672A1 (en) * 2013-08-14 2015-02-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voiding or escaping cell range expansion (cre)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10236574B2 (en) 2013-12-17 2019-03-19 Elwha Llc Holographic aperture antenna configured to define selectable, arbitrary complex electromagnetic fields
US10446903B2 (en) 2014-05-02 2019-10-1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urved surface scattering antennas
US9711852B2 (en) 2014-06-20 2017-07-1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odulation patterns for surface scattering antennas
US10298354B2 (en) * 2014-08-21 2019-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fining cell coordination group to which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comp can be applied
KR20160075995A (ko) * 2014-12-19 2016-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물리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BR112017015913A2 (pt) * 2015-01-29 2018-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étodo para facilitar a medição em um dispositivo de terminal, estação base de rádio, e, dispositivo de terminal.
US10050752B1 (en) * 2015-02-06 2018-08-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adial antenna for small cell with a null feature
US9980270B2 (en) * 2015-03-13 2018-05-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2012257B1 (ko) 2015-06-04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간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205396A1 (en) 2015-06-15 2016-12-22 Black Eric J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with beamforming antennas
US10708841B2 (en) * 2015-06-17 2020-07-07 Tongyu Communication Inc. Device and method for network selection and network switching
US9838290B2 (en) 2015-06-30 2017-12-05 Ciena Corporation Flexible ethernet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systems and methods
KR102201502B1 (ko) * 2015-10-05 2021-01-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채널 할당 시스템, 기지국장치 및 단말, 그리고 무선 채널 할당 방법
CN108141802B (zh) 2015-10-06 2021-01-0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户设备、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WO2017075771A1 (en) 2015-11-04 2017-05-11 Orange Improved method for selecting elemen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7075772A1 (en) * 2015-11-04 2017-05-11 Orange Improved method for selecting elemen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43099B1 (ko) * 2015-12-08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간섭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동작 방법
DE112016006138B4 (de) 2016-02-03 2019-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uervorrichtung, endgerätevorrichtung und drahtlose basisstation
US10904784B2 (en) * 2016-06-1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porting and scheduling in multicarrier beamformed communications
EP3472944A1 (en) * 2016-06-15 2019-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atial separation as beam reporting condition
US20180084105A1 (en) * 2016-09-22 2018-03-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region of a user equipment using directional receive antenna arrays
CN107888323B (zh) * 2016-09-29 2020-01-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US10361481B2 (en) 2016-10-31 2019-07-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urface scattering antennas with frequency shifting for mutual coupling mitigation
GB2563932B (en) * 2017-06-30 2021-04-14 First Rail Holdings Ltd Communicating with a mobile device
JP6852597B2 (ja) * 2017-06-30 2021-03-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833381B2 (en) 2017-11-08 2020-11-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Metamaterial phase shifters
US10554470B2 (en) * 2017-12-21 2020-02-04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monitoring and power control for multi-link deployments
CN108683466A (zh) * 2018-04-26 2018-10-19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及射频干扰检测方法
CN110536231B (zh) * 2019-05-27 2023-06-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反馈方法及装置
CN114503639B (zh) * 2019-07-19 2024-03-12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4666852A (zh) * 2020-12-23 2022-06-24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跨区域通信方法、系统、无线设备及基站
CN112929960B (zh) * 2021-02-04 2022-07-12 重庆邮电大学 一种支持IPv6且提高无线传感网络确定性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116A (ko) * 2008-05-15 2011-01-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을 위한 공간 간섭 완화
KR20110035807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CoMP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KR20120056836A (ko) * 2009-08-26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계층 네트워크에서 조정된 간섭 완화를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0239B2 (ja) 2002-10-03 2008-09-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セル制御方法
US7251491B2 (en) 2003-07-31 2007-07-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of and method for using position, velocity, or direction of motion estimates to support handover decisions
US20060084474A1 (en) 2004-10-18 2006-04-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ell sectorized by both an angle in azimuth and a distance from a base station
WO2008123250A1 (ja) 2007-03-29 2008-10-16 Kyocera Corporation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
US20090028648A1 (en) * 2007-07-23 2009-01-29 Howell Terry 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re-Configuring New Structure Foundations For Soil Gas Mitigation Systems
EP2056628A1 (en) * 2007-10-30 2009-05-06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switching activity states
CN101274732B (zh) * 2008-05-19 2010-06-02 长沙楚天科技有限公司 大输液灌装加塞机
EP2166807B1 (en) 2008-09-19 2010-12-01 Alcatel Lucent 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SDMA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s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8873509B2 (en) 2009-04-30 2014-10-28 Lg Electronics Inc. Efficient handover method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5195655B2 (ja) 2009-06-11 2013-05-0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11130355A (ja) 2009-12-21 2011-06-30 Fujitsu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及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JP5068832B2 (ja) 2010-02-16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及び方法
EP2566266B1 (en) 2010-04-27 2018-07-11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34597A1 (en) * 2010-09-17 2012-03-22 Nokia Siemens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EP2549814B1 (en) 2011-07-22 2016-12-28 Alcatel Lucent A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beam coordination
EP2613588A1 (en) 2012-01-06 2013-07-10 Alcatel Lucent Improved handling of high-speed users within a heterogeneous mobile network by means of pico cell's Almost Blank Subfram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116A (ko) * 2008-05-15 2011-01-31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을 위한 공간 간섭 완화
KR20120056836A (ko) * 2009-08-26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계층 네트워크에서 조정된 간섭 완화를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35807A (ko) * 2009-09-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CoMP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9115A (zh) 2015-03-18
WO2014012689A1 (en) 2014-01-23
CN104429115B (zh) 2018-10-23
EP2688330A1 (en) 2014-01-22
US20150189568A1 (en) 2015-07-02
JP5908173B2 (ja) 2016-04-26
BR112015000992A2 (pt) 2017-06-27
KR101660188B1 (ko) 2016-10-10
EP2688330B1 (en) 2014-06-11
TW201406173A (zh) 2014-02-01
US10383020B2 (en) 2019-08-13
TWI486070B (zh) 2015-05-21
JP2015532026A (ja)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1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처리 유닛, 및 그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
US11910424B2 (en) Reducing interference from devices at extraordinary altitudes
US20230189382A1 (en) Devices for Measuring and/or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189315A1 (en) Interference detection and handling
EP3092842B1 (en) Method and evolved node-b for geographic bin data collection and reporting
KR101714334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감소시키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기간 설정
US20140011531A1 (en) Perform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885511A (zh) 涉及干扰减轻有效测量的方法和设备
EP3103277A1 (en) Autonomous determination of overlapping coverage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5393622B (zh) 用户设备的调度方法及设备
WO2014012803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mobile transceiver and a base station transceiver
Joud et al. User specific cell clustering to improve mobility robustness in 5G ultra-dense cellular networks
US9264919B2 (en) Method, node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a mobile network
US9769837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099888A (ko)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의 수신 전력을 보고하기 위한 방법
US8879492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handling a downlink transmission in a cellular network
US939847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ssisting a network management unit
US20170048769A1 (en) Cell swapping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further enhanced non ca-based icic for lte method and apparatus
강성준 A Dual-Connection based Handover Scheme in Ultra-Dense Millimeter-wave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