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002A -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002A
KR20150033002A KR20130112421A KR20130112421A KR20150033002A KR 20150033002 A KR20150033002 A KR 20150033002A KR 20130112421 A KR20130112421 A KR 20130112421A KR 20130112421 A KR20130112421 A KR 20130112421A KR 20150033002 A KR20150033002 A KR 2015003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xt
image
image information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002A/ko
Publication of KR2015003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teletext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정보 및 썸네일과 함께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와 함께 텍스트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IMAGE PROVIDING SYSTEM AND IMAGE PROVIDING MEHT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와 함께 텍스트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인터넷 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웹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장치는 일반 데스크탑에 비해 화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 기존의 웹페이지 내에 포함된 각종 영상은 원본 이미지와 그것의 크기가 줄여서 표시하는 썸네일(thumbnail)등의 이미지로 구성된다.
그런데, 썸네일 이미지로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는 왜곡이 심하게 발생하여 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처음부터 해당크기의 이미지로 영상을 제작할 시에는 이미지가 왜곡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최근 유통되는 웹 컨텐츠의 경우 개인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업로드한 컨텐츠의 비중도 크다.
이에, 각 개별 사용자가 업로드한 영상의 경우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서 각 영상의 크기를 일괄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의 경우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장치에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3-0095868호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웹 컨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와 함께 텍스트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정보 추출부;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텍스트정보 DB;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영상 DB;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정보 추출부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의 텍스트 표시 선택을 위한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영상정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널, 키패드, 전자팬, 사용자 동작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정보 및 썸네일과 함께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단계; (B) 텍스트정보 추출부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C)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C)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단계; 텍스트정보 추출부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은,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와 함께 텍스트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은, 각 개별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양한 크기의 영상을 서비스 서버에서 일괄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경우에도 원본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다양한 영상을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화면 표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영상제공장치(200)와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영상제공장치(200)는 근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과 같은 문자 판독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영상 내 좌표를 판독하여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200)는 영상정보와,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영상제공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기 저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텍스트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해당 영상의 특정 위치를 클릭하거나, 이와 유사한 동작으로 텍스트를 보고자 하는 의도를 제공할 경우 표시중인 영상정보에 텍스트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2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제공장치(200)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정보 추출부(250),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텍스트정보 DB(220), 영상정보와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영상 DB(210)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영상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밑 텍스트 위치정보를 송신한다.
영상 등록부(240)는 영상제공장치(200)에 저장할 영상정보를 등록 받는다. 영상정보는 외부의 영상 서비스서버로부터 등록 받거나,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업로드 받을 수 있으며, 혹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직접 생성한 영상정보를 등록받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등록부(240)는 원본영상(212)을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하는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한 썸네일(214)을 생성하여 원본영상(212)과 함께 영상 DB(210)에 저장한다.
텍스트정보 추출부(250)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정보(222)와 텍스트 위치정보(224)를 추출하여 텍스트정보 DB(220)에 저장한다. 텍스트정보 추출부(250)는 OCR 등과 같은 문자 판독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정보(222)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영상 내 좌표를 판독하여 텍스트 위치정보(224)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영상 DB(210) 및 텍스트정보 DB(22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영상정보 또는 썸네일을 송신할 수 있다. 썸네일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최적화된 크기로 제공되므로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수신된 썸네일이 바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원본 영상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자체적으로 크기 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200)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제공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310), 사용자의 텍스트 표시 선택을 위한 입력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고 입력부(320)를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저장된 텍스트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31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영상제공장치(200)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제공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선택을 제어부(350)에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320)는 터치패널이나 버튼, 키패드, 전자팬, 사용자 동작 감지를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영상처리부(360)는 영상정보에 텍스트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또한, 영상처리부(360)는 텍스트 위치정보에 따라 영상정보 상에서의 텍스트정보의 위치를 인식하여 텍스트정보를 오버레이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340)에는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제공장치(200)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영상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메모리(340)에 저장한다. 제어부(350)는 저장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영상정보는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20)를 통해 텍스트 보기 기능이 선택된 경우 영상처리부(360)를 제어하여 선택된 텍스트정보의 위치를 인식한 후,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텍스트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200)의 제어 흐름도이다.
영상제공장치(200)의 영상 등록부(240)는 영상제공장치(200)에 저장할 영상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한다(S110). 여기서, 영상정보는 외부의 영상 서비스서버로부터 등록 받거나,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업로드 받을 수 있으며, 혹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직접 생성한 영상정보를 등록받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등록부(240)는 원본영상의 썸네일을 생성하여 원본영상과 함께 영상 DB(210)에 저장한다(S112).
영상제공장치(200)의 텍스트정보 추출부(250)는 OCR 등과 같은 문자 판독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정보를 인식하고(S114), 인식된 텍스트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116).
영상제공장치(200)의 제어부(260)는 통신부(23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부터 영상정보가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하고(S118),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영상 DB(210) 및 텍스트정보 DB(22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제공한다(S120).
영상제공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영상정보 또는 썸네일을 송신할 수 있다. 썸네일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최적화된 크기로 제공되므로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수신된 썸네일이 바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원본 영상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자체적으로 크기 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제어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200)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S210), 영상제공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212). 여기서, 영상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적합하도록 사이즈가 조정된 썸네일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제어부(350)는 수신된 썸네일을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S214). 여기서, 썸네일이 아닌 원본 영상정보의 형태로 영상정보가 제공된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자체적으로 크기 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의 제어부(350)는 입력부(320)를 통해 텍스트 표시 기능을 선택 받는다(S216). 여기서, 사용자는 터치패널이나 버튼, 키패드, 전자팬, 사용자 동작 감지를 위한 센서 등의 입력부(320)를 통해 기설정된 텍스트 표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영상처리부(360)를 제어하여 선택된 텍스트정보의 위치를 인식한 후(S218),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텍스트정보를 영상정보와 함께 표시한다(S220). 여기서, 영상처리부(360)는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중인 영상정보에 텍스트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각각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텍스트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텍스트 표시를 선택한 위치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제공한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화면 표시 상태도이다.
사용자 단말장치(300)에 영상정보가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영상의 크기가 원본에 비해 축소되므로 텍스트가 왜곡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텍스트가 표시된 위치를 터치하거나, 기타, 텍스트 표시 기능을 선택하는 동작을 취하면,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해당 텍스트에 대해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제공한 텍스트정보를 표시한다.
썸네일 상에 텍스트가 여러 위치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와 영상제공장치(200)에서 제공한 텍스트 위치정보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텍스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단계; 텍스트정보 추출부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영상 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영상과 함께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요청 시 영상정보와 함께 텍스트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원본 영상이 축소되어 표시되더라도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200 : 영상제공장치 210 : 영상 DB
212 : 원본영상 214 : 썸네일
220 : 텍스트정보 DB 222 : 텍스트정보
224 : 텍스트 위치정보 230 : 통신부
240 : 영상 등록부 250 : 텍스트정보 추출부
260 : 제어부 300 : 사용자 단말장치
310 : 송수신부 320 : 입력부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메모리
350 : 제어부 360 : 영상처리부

Claims (11)

  1.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정보 추출부;
    상기 텍스트 정보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가 저장되는 텍스트정보 DB;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영상 DB; 및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정보 추출부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방식으로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제공장치.
  3.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의 텍스트 표시 선택을 위한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영상정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영상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패널, 키패드, 전자팬, 사용자 동작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7.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정보 및 썸네일과 함께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텍스트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8. (A)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단계;
    (B) 텍스트정보 추출부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C)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
  9. (A)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C)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D)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10.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생성된 썸네일이 저장되는 단계; 텍스트정보 추출부가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와 텍스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통신부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영상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영상정보 및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텍스트정보 및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제공장치에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영상정보, 텍스트정보 및 텍스트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방식으로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와 상기 텍스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텍스트 표시 선택이 입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썸네일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12421A 2013-09-23 2013-09-23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KR20150033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421A KR20150033002A (ko) 2013-09-23 2013-09-23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421A KR20150033002A (ko) 2013-09-23 2013-09-23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002A true KR20150033002A (ko) 2015-04-01

Family

ID=530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421A KR20150033002A (ko) 2013-09-23 2013-09-23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0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3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by using user editing image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CN102722517B (zh) 用于观看者选择的视频对象的增强信息
WO2017087568A1 (en) A digital image cap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5426035B (zh) 用于提供信息的方法和电子装置
US20140111542A1 (en) Platform for recognising text using mobile devices with a built-in device video camera and automatically retrieving associated content based on the recognised text
US20110157215A1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output system and image output method
US20130111360A1 (en) Accessed Location of User Interface
US20120133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ctionary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US100131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6030578B (zh) 搜索系统以及搜索系统的控制方法
US2014032462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20160080298A1 (en) Method for generating emot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29705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image, and recording medium for changing an order or image layers based on detected user activity
WO2024088291A1 (zh) 表单填充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9262689B1 (en) Optimizing pre-processing times for faster response
JP20102051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102133718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138077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l device
US10733491B2 (en) Fingerprint-based experience generation
KR20150033002A (ko)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영상 제공 방법
US10915753B2 (en)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00124952A (ko) 문자인식을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증강현실 기반 실시간 ar컨텐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87232A (ko) 증강 현실 기반의 콘텐츠 표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287131A (zh) 信息交互方法、信息交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