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973A -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973A
KR20150032973A KR20130112361A KR20130112361A KR20150032973A KR 20150032973 A KR20150032973 A KR 20150032973A KR 20130112361 A KR20130112361 A KR 20130112361A KR 20130112361 A KR20130112361 A KR 20130112361A KR 20150032973 A KR20150032973 A KR 2015003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
image acquisition
main storage
message
ba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5357B1 (ko
Inventor
김용성
조형준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3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영상 관제 장치 내의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백업 저장 장치가 메인 저장 장치의 역할을 대체할 때 메인 저장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 간의 연결을 끊도록 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 장애로 인한 영상 손실이 없도록 장애 발생 시점 이후의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Failover}
본 실시예는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영상 관제 시스템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고 영상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화 솔루션을 이용한다. 이중화 솔루션 이란 영상 관제 시스템에서 두 대의 저장 서버를 이용하여 한 번에 하나의 서버로만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다가 장애 발생시 또 다른 서버에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다시 말해, 메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시 백업 서버가 이를 대체하는 솔루션이다.
종래의 영상 관제 시스템에서는 메인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백업 서버가 메인 서버의 역할을 대체한다고 하지만, 메인 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는 백업 서버뿐 아니라 여전히 메인 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어 네트워크 대역폭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영상 관제 장치 내의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백업 저장 장치가 메인 저장 장치의 역할을 대체할 때 메인 저장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 간의 연결을 끊도록 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 장애로 인한 영상 손실이 없도록 장애 발생 시점 이후의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판별부; 상기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 해제부; 및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에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백업 저장 장치가 장애극복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판별 과정; 상기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 해제 과정; 및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관제 장치 내의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백업 저장 장치가 메인 저장 장치의 역할을 대체할 때 메인 저장 장치와 영상 획득 장치 간의 연결을 끊도록 하여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 장애로 인한 영상 손실이 없도록 장애 발생 시점 이후의 영상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관제 장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영상 획득 장치와 메인 저장 장치 간의 연결을 명시적으로 해제함으로써,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장치 내의 카메라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업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시스템은 영상 획득 장치(110), 네트워크(120) 및 영상 관제 장치(130)를 포함한다. 효율적인 장애 극복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영상 획득 장치(110)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 장치(110)는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메인 저장 장치(132) 또는 백업 저장 장치(134)로 전송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일차적으로 메인 저장 장치(132)와 연결 설정 과정을 거쳐 촬영된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을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한다.
만약,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는 백업 저장 장치(134)로부터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하는 연결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연결을 해제한 후 해제 완료 메시지를 백업 저장 장치(134)로 전송한다. 동시에, 영상 획득 장치(110)는 이차적으로 백업 저장 장치(134)와 연결 설정 과정을 거친 후 네트워크(120)를 경유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백업 저장 장치(134)로 전송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등을 구비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네트워크(12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영상 관제 장치(13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로서, 메인 저장 장치(132)와 백업 저장 장치(134)를 포함하는 이중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영상 관제 장치(130)는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 장치(110)와 메인 저장 장치(132) 및 백업 저장 장치(134)는 네트워크(120)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신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생성된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여기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기 저장된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메시지(Heart Beat Message)를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하트비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OK Message)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미수신되는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메인 저장 장치(132)에 대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의 연결 해제를 위해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해제 메시지(Tear Down)를 전송한다. 이후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해제 메시지에 대응하는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에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와 연결된 영상 획득 장치(110)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설정 메시지(Connection Setup)를 전송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재생 요청 메시지(Play Request)를 전송한 후 재생 요청 메시지로부터 재생 응답 메시지(Play Response)가 수신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이하, 메인 저장 장치(132)와 백업 저장 장치(134)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할 시 백업 저장 장치(134)에서 메인 저장 장치(132)가 관리하고 있는 영상 획득 장치(110) 내의 카메라와의 연결을 수행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로 보내는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림 전송을 중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비디오 스트림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새로운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여 백업 저장 장치(134)로 전송하게 된다.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되는 기존 비디오 스트림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의 타임아웃(TimeOut)에 의해 자동으로 만기가 되면 영상 획득 장치(110)에서 메인 저장 장치(132)로 영상 데이터를 더 이상 전달하지 않는다.
영상 관제 장치(130)는 영상 획득 장치(110)인 CCTV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추후 증거용 영상 확보를 위해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영상 데이터를 저장을 위해 영상 관제 장치(130)는 영상 획득 장치(110) 내의 카메라 모듈과의 연결을 맺고 지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는 추후 범죄 발생 시 증거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범죄 수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영상 관제 장치(130)는 끊김없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중요하여 서버 이중화 기법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 영상 관제 장치(130) 내의 특정 저장 장치인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여분의 다른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가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신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는 자신에게 할당된 메인 저장 장치(132)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을 받지 못할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에서 관리하던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RTS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연결을 수행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RTSP 연결을 통해 해당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지속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장애 상황 시점은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가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통신 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약 '5 초' 내에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는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빠르게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체할 수 있다.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는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 판단 시점을 메시지 응답 시간에 따라 판단할 수 있지만,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에게 영상 데이터를 전송 중이었던 영상 획득 장치(110)의 다수의 카메라들은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영상 관제 장치(130)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진행되는데, RTSP 프로토콜의 경우 RTSP 클라이언트(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약 '1 분' 이내에 RTSP 명령(Command)이 오지 않을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RTSP 서버)는 해당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를 둔다고 하더라도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영상 획득 장치(110)의 경우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메인 저장 장치(132)로 1분 동안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물론 약 '5 초' 내에 여분의 저장 장치인 백업 저장 장치(134)가 기 운용 중이었던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경우 약 '5 초' 간의 영상 데이터의 끊김이 발생하겠지만,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 및 백업 저장 장치(134) 모두에게 복수 개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 획득 장치(110)의 성능 저하 및 네트워크(120)의 대역폭을 낭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주기적인 하트 비트 메시지 교환을 통해 메인 저장 장치(132)의 상태를 체크한다. 메인 저장 장치(132)가 하트 비트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가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가 관리하고 있는 영상 획득 장치(110)의 리스트를 바탕으로 해당 영상 획득 장치(110)에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기존 영상 획득 장치(110)와 메인 저장 장치(132)의 RTSP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신하여 기존 연결을 해제하는 RTSP 명령어를 메인 저장 장치(132)와 연결되었던 영상 획득 장치(110)로 전송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용량이 큰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여러 곳으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업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업 저장 장치(134)는 장애 판별부(210), 연결 해제부(220), 백업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애 판별부(21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장애 판별부(210)는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하고,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하트비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미수신되는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에 대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연결 해제부(220)는 장애 판별부(210)로부터 수신된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결 해제부(22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연결 해제부(22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해제 메시지에 대응하는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에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 연결 해제부(220)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와 연결된 영상 획득 장치(110)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백업부(230)는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백업부(23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백업부(23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백업부(23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재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백업부(230)는 재생 요청 메시지로부터 재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백업부(230)는 메인 저장 장치(132)에 기 저장된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한다.
데이터베이스(24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백업 저장 장치(134)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연결을 설정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을 수행한다(S310). 단계 S310에서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와 성공적으로 연결된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도록 재생 명령을 영상 획득 장치(110)로 전달한다(S320). 단계 320에서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재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재생 요청 메시지로부터 재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해당 메인 저장 장치(132)로 비디오 스트리밍(영상 데이터)을 전송한다(S330). 예컨대,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RTCP 리포트 또는 RTSP 명령을 지정된 시간(기본값 '60 초') 내에 받는 경우 지속적으로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한다. 단계 S330에서 메인 저장 장치(132)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단계 S310 내지 S330을 수행하는 동시에,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와의 하트 비트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메인 저장 장치(132)의 상태를 체크한다(S340). 단계 S340에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메시지를 메인 저장 장치(132)로 전송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하트비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미수신되는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메인 저장 장치(132)에 대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가 장애 발생 시(S350), 예컨대, 하트 비트 메시지에 대해 응답을 하지 않을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의 역할을 대신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백업 저장 장치(134)는 연결 해제 메시지를 메인 저장 장치(132)를 대신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에게 전송하여(S360), 기존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의 수행되던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끊게 된다(S370). 단계 S370에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의 연결 해제를 위해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해제 메시지에 대응하는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인 저장 장치(132)와 영상 획득 장치(110) 간에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한다.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와의 연결을 설정하여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을 수행한다(S380). 단계 S380에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 후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와 성공적으로 연결된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하도록 재생 명령을 영상 획득 장치(110)로 전달한다(S390). 단계 S390에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 재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재생 요청 메시지로부터 재생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해당 백업 저장 장치(134)로 비디오 스트리밍(영상 데이터)을 전송한다(S392). 예컨대, 영상 획득 장치(110)는 메인 저장 장치(132)로부터 RTCP 리포트 또는 RTSP 명령을 지정된 시간(기본값 '60 초') 내에 받는 경우 지속적으로 영상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리밍을 백업 저장 장치(134)로 전송한다. 단계 S392에서 백업 저장 장치(134)는 메인 저장 장치(132)의 장애 발생 시점 이후의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한다.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9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영상 관제 시스템의 효율적인 장애 극복 분야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를 줄이고, 연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110: 영상 획득 장치 120: 네트워크
130: 영상 관제 장치 132: 메인 저장 장치
134: 백업 저장 장치 210: 장애 판별부
220: 연결 해제부 230: 백업부
240: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Video Streaming)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판별부;
    상기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 해제부; 및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판별부는,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메시지(Heart Beat Message)를 상기 메인 저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하트비트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OK Message)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미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저장 장치에 대한 장애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부는,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연결 해제 메시지(Tear Down)를 전송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해제 메시지에 대응하는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 상기 영상 획득 장치 간에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해제부는,
    상기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 연결된 영상 획득 장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연결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는,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연결 설정 메시지(Connection Setup)를 전송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연결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는,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재생 요청 메시지(Play Request)를 전송한 후 상기 재생 요청 메시지로부터 재생 응답 메시지(Play Response)가 수신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는,
    상기 메인 저장 장치에 기 저장된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저장 장치.
  8.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부; 및
    상기 메인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제 장치.
  9. 백업 저장 장치가 장애극복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비디오 스트리밍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인 저장 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장애 판별 과정;
    상기 결과 정보를 확인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 상기 메인 저장 장치와의 연결 해제를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연결 해제 과정; 및
    상기 영상 획득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영상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리밍을 저장하는 백업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KR1020130112361A 2013-09-23 2013-09-23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KR10208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361A KR102085357B1 (ko) 2013-09-23 2013-09-23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361A KR102085357B1 (ko) 2013-09-23 2013-09-23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73A true KR20150032973A (ko) 2015-04-01
KR102085357B1 KR102085357B1 (ko) 2020-03-05

Family

ID=5303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361A KR102085357B1 (ko) 2013-09-23 2013-09-23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3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646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에스원 페일오버 데이터 백업 QoS 전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
KR20180028282A (ko) * 2016-09-08 2018-03-16 주식회사 부림 Ip 카메라의 실시간 이중화 중계시스템
KR20210067216A (ko) * 2019-11-29 2021-06-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영상 분배 장치의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83A (ko) * 2001-01-22 2002-07-26 주식회사 로커스 내 고장성 시스템 및 이중화 방법
KR20090037741A (ko) * 2007-10-12 2009-04-16 엘지노텔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를 채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969816B1 (ko) * 2007-10-31 2010-07-14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장애 대처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KR20130065069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83A (ko) * 2001-01-22 2002-07-26 주식회사 로커스 내 고장성 시스템 및 이중화 방법
KR20090037741A (ko) * 2007-10-12 2009-04-16 엘지노텔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를 채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969816B1 (ko) * 2007-10-31 2010-07-14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장애 대처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KR20130065069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카메라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646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에스원 페일오버 데이터 백업 QoS 전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방법
KR20180028282A (ko) * 2016-09-08 2018-03-16 주식회사 부림 Ip 카메라의 실시간 이중화 중계시스템
KR20210067216A (ko) * 2019-11-29 2021-06-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레이더 영상 분배 장치의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357B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25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loud storage of video, and method and system for previewing cloud—stored video
CN109889762B (zh) 一种会议控制方法和装置
US11039126B2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network video recorder (NVR), and video server
WO2015188579A1 (zh) 分布式虚拟防火墙装置、方法及防火墙控制器
CN103856760B (zh) 一种视频监控设备间纵向虚拟化装置
EP2200000A1 (en) Real-time image monitoring and recording system and method
WO2012174893A1 (zh) 一种iptv系统中基于双中心容灾的切换方法及装置
CN110620889B (zh) 视频监控系统、网络硬盘录像机及数据传送方法
WO2017198144A1 (zh) 一种iptv系统容灾方法及iptv容灾系统
CN105429799A (zh) 服务器备份方法及装置
CN107276839A (zh) 一种云平台的自监控方法和系统
CN109729388B (zh) 视联网服务器切换方法和装置
CN102333206A (zh) 一种监控存储系统和一种提高监控存储可靠性的方法
KR102085357B1 (ko) 효율적인 장애 극복 방법 및 장치
CN108933692A (zh) 物联网网关的数据传输方法、第一网关和双机热备系统
CN111371625A (zh) 一种双机热备的实现方法
CN111614953A (zh) 一种故障ip摄像机的重启控制方法及系统
CN102215378B (zh) 一种动态组网的多媒体传感网络系统
US10721135B1 (en) Edge computing system for monitoring and maintaining data center operations
WO2020078355A1 (zh) 设备状态监控方法及装置
CN105847723B (zh) 视频信息的备份方法及装置
KR102065092B1 (ko)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CN113489601A (zh) 基于视联网自治云网络架构的抗毁方法和装置
CN101854253A (zh) 一种自动恢复监控和存储的方法及其监控系统
JP2015056788A (ja)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