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542A -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542A
KR20150031542A KR20130110855A KR20130110855A KR20150031542A KR 20150031542 A KR20150031542 A KR 20150031542A KR 20130110855 A KR20130110855 A KR 20130110855A KR 20130110855 A KR20130110855 A KR 20130110855A KR 20150031542 A KR20150031542 A KR 2015003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algae
reactor
fram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529B1 (ko
Inventor
김형주
강준호
전현진
김한수
송학진
이상현
양영헌
정희훈
최용근
김현경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5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12M3/02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with means provid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페트병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를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폐자원을 재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조류의 배양과 수확이 간편하고 좁은 용적에서 다량의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수성 수지로 미세조류 반응기 내부를 코팅함으로써, 조류의 부착을 억제하여 바이오필름 형성으로 인한 수율의 감소를 예방하며, 석분을 첨가하고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함으로써, 조류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DEVICE FOR CULTIVATING, HARVESTING MICROALGAE AND CAPTURING OF CARBON DIOXIDE, PURIFICATION OF AIR OR WASTE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합성 미생물인 미세조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광합성 작용에 의해 비타민류, 아미노산, 색소류, 단백질, 다당류, 지방산 등 다양한 유용성분을 제조하기 때문에 양식의 사료용 등으로 이용되고, 지구 온난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되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최근 미세조류를 대량으로 배양하는 배양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물질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고정화 공정에 광합성 미생물의 고농도 대량 배양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배양효율이 높은 광생물반응기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조류를 효과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수광량이 많고, 영양분과 이산화탄소를 균일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미세조류의 벽면 부착에 의한 광투과의 저하나 콜로니의 형성에 의한 침전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미세조류 배양장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9989호(접종물 배양조가 내부에 설치된 수로식 미세조류 옥외배양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4387호(미세조류 대량배양을 위한 광생물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방법) 등이 있으나, 종래 수로형 연못(raceway pond) 배양시스템, 광생물 반응기(photobioreactor)는 넓은 용적과 고가의 초기 설치비용이 필요하고, 조류의 바이오필름 형성으로 인해 수율이 감소하고 조류의 수확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조류의 벽면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교반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더욱이, 대한민국은 국토가 좁아 폐수처리 등에 이용되는 대규모의 조류 배양을 위한 부지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2010년도 PET협회지를 보면 '09년 페트병 연간 생산량은 14만 3772톤(41억 6100만개)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 중 회수되는 페트병 양은 12만 2983톤 정도로 회수율이 약 86% 정도로 높은 편이나, 재활용하는 방법은 한정적으로 주로 분쇄 후 재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병의 종류나 재질에 따라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현재 새로운 재활용법 및 폐자원 절감을 위해 국가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용적에서 다량의 미세조류를 효과적으로 배양하고 수확할 수 있는 미세조류 배양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기 및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개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미세조류 반응기 내에 배치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탈부착 가능한 마개; 상기 마개가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가 소수성 수지로 코팅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 및 상기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Chlorella sp.), 클로로코쿰(chlorococcum sp.), 스피루리나(Spirulina sp.),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sp.), 네오스폰지오코쿰(Neospongiococcum sp.),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 또는 두날리엘라(Dunaliella s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는 연결관을 통해 하나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수성 수지는 불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불소 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미세조류 반응기는 페트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구에 의해 프레임에 안착되거나, 걸이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걸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A"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에 석분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분을 첨가하고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석분은 크기가 0.6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페트병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를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함으로써, 폐자원을 재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조류의 배양과 수확이 간편하고 좁은 용적에서 다량의 미세조류를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수성 수지로 미세조류 반응기 내부를 코팅함으로써, 조류의 부착을 억제하여 바이오필름 형성으로 인한 수율의 감소를 예방하며, 석분을 첨가하고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함으로써, 조류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조류의 배양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산소를 배출하며 수질 내 인과 질소 화합물을 제거함으로써, 공기 및 수질을 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배양장치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라미드 구조의 미세조류 배양장치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형 구조의 미세조류 배양장치의 모식도.
도 4는 걸이구와 미세조류 반응기의 결합 모식도.
도 5는 미세조류 반응기에 공급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와 배출구의 모식도.
도 6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로 코팅한 미세조류 반응기와 코팅하지 않은 미세조류 반응기의 배양 시간에 따른 광학밀도(optical density) 변화 그래프.
도 7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로 코팅한 미세조류 반응기와 코팅하지 않은 미세조류 반응기의 배양 시간에 따른 엽록소-a(chlorophyll-a) 농도 변화 그래프.
도 8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수지 코팅 여부에 따른 배지내 부유하는 조류와 벽면에 부착된 조류의 건조균체량와 바이오필름(biofilm)의 측정 결과.
도 9는 석분을 이용한 조류의 수확 전과 후의 사진. 좌부터 증류수, 2 내지 8 mm 석분, 0.6 내지 1 mm 석분, 0.2 내지 0.6 mm 석분으로 처리한 사진.
도 10은 석분의 크기에 따른 부착 조류의 제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미세조류 반응기의 주입구 및 배출구에서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농도 변화 그래프(D: day, N: night, 서울 남향 일사량: 2 ~ 3.2 MJ/m2).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들에 대한 통칭으로서,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갖는 수중 생물로 태양광 등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시키고 광합성을 하여 성장한다.
본 발명은 마개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미세조류 반응기 내에 배치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탈부착 가능한 마개와; 상기 마개가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가 소수성 수지로 코팅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와; 및 상기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제공한다.
미세조류가 배양용기의 벽면에 부착되거나 응집하여 침전하게 되면, 미세조류의 수광이 방해되어 고밀도의 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세조류 반응기 내부를 소수성 수지로 코팅하여 미세조류의 부착 현상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주입구의 일단부는 미세조류 반응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미세조류 반응기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어 미세조류 반응기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구의 일단부는 미세조류 배양에 의해 발생된 산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조류 반응기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이산화탄소는 미세조류 반응기 내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미세조류의 배양에 의해 발생된 산소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미세조류로 클로렐라(Chlorella sp.), 클로로코쿰(chlorococcum sp.), 스피루리나(Spirulina sp.),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sp.), 네오스폰지오코쿰(Neospongiococcum sp.),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 또는 두날리엘라(Dunaliella sp.)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의 미세조류 배양장치로 배양 가능한 미세조류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 조류는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는 연결관을 통해 하나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10 내지 20 개 단위로 묶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구를 실리콘 튜브와 같은 연결관을 통해 하나로 연결하고 배출구도 실리콘 튜브와 같은 연결관을 통해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펌핑 장치와 같은 기 공지된 순환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된 주입구에 기체 또는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구를 통해 기체 또는 액체를 배출시킨다.
상기 소수성 수지는 불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불소 수지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있다.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페트병을 미세조류 반응기로 활용할 경우 재사용이 가능하고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 효과가 있다.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구에 의해 프레임에 안착되어 고정되거나, 걸이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걸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구는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어 미세조류 반응기를 받쳐 고정하거나 반응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이구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 개의 미세조류 반응기를 프레임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세조류 반응기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 프레임에 나란히 배열(도 1)되거나,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다단으로 배열(도 2 및 3)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 배양장치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다단 배열 가능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미세조류 반응기를 설치할 경우, 단위면적당 많은 수의 미세조류 반응기를 설치하여 단위면적당 배양 용량을 증가시켜 수확량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걸이구(1)를 통해 미세조류 반응기(3)를 프레임의 철골봉(2)에 걸어 설치하는 모식도를 나타내고, 도 3은 폐타이어 휠(5)을 받침대로 활용하고 분리가 가능한 프레임(4)으로 미세조류 반응기를 나무형상으로 설치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은 "A" 형상 또는 "⊥"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형상 프레임의 경우, 도 2와 같이 프레임의 사면 모두 "A" 형상을 갖는 피라미드 구조 또는 도 1과 같이 사면이 아닌 일부 면에서 "A" 형상을 갖는 구조가 있고, "⊥" 형상 프레임의 경우, 도 3과 같은 나무형 구조가 있다. 프레임의 구조는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가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배양장치는 미세조류 반응기에 석분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배양장치는 석분을 첨가하고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석분은 배양을 마치거나 배양 시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석분은 크기가 0.6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石粉, stone flour)이란 통상적으로 석산에서 채석시 발생되는 돌가루를 의미한다. 수확된 고형분은 석분과 조류가 혼합되어 있으며, 유기용매, 산, 염기 용액 등으로 조류를 용해시켜 석분과 조류를 분리할 수 있다.
고형분을 수확한 후, 석분의 직경보다 좁은 0.6 mm 이하의 mesh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여액에 Hexane, Chloroform, methanol 등의 유기용매를 첨가하면 미세조류 세포가 용해된다(유기용매 : 시료 = 7 : 3). 이때, 유기용매를 사용할 경우 지질은 유기용매 층으로 이동하여 유기용매를 분액깔때기 등으로 분리하여 증발시키면 원하는 조류 유래 지방이 조정제된다. 이온성액체(Ionic liquid)의 경우 친수성 물질이 유기용매로 이동하고 지질은 별도의 층으로 생성되어 이때 생성된 지질층을 분리할 수 있다. 산이나 알칼리 용액은 모래에 부착된 조류의 세척을 진행할 때 사용한다. 0.5 N HCl 용액을 조류가 부착된 모래에 5 : 5(v/w)의 비율로 첨가하고 24 내지 48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면 대부분의 부착 조류가 분리되며, 분리된 조류는 10 배 이상 희석하여 상기 유기용매 추출법으로 조류의 지방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용매 혹은 이온성액체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분리하는 경우, 미세조류로부터 지질, 단백질 등의 유용물질을 직접 얻을 수 있어, 공정 축소를 통한 개선, 비용 감소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배양에 의해 공기 중의 부유물이나 먼지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거나 액체 내 함유된 인과 질소 화합물을 제거하여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페트병에 오염수를 투입하고 미세조류 등을 접종한 후 공기를 투여하여 미세조류 및 미생물의 배양을 유도하여 오염수를 정화하거나, 오염수를 연속적으로 투여하면서 페트병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조류 및 미생물에 의해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트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반응기를 철골 구조물로 된 프레임에 설치하여 미세조류를 배양하였다.
도 1의 미세조류 배양장치로 1회 동시 처리 가능한 양은 0.1t 규모이며, 각각의 페트병에 구비된 기체 또는 액체가 주입되는 주입구는 연결관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연결하였다. 배출구도 또 다른 연결관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연결하였다.
또한, 페트병 내부는 소수성 수지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테프론 스프레이(Nabakem Co.)를 사용하여 페트병 내부에 1 회 5 초간 분사한 후, 2 일 동안 건조시키고 흐르는 수도수로 1 분간 세척하여 코팅하였다.
각 페트병에 조류 배양용 배지(BG-11, 표 1, R. Rippka, Photoheterotrophy and chemoheterotrophy among unicellular blue-green algae, Archiv for Mikrobiologie, 1972, Volume 87, pp 93-98)를 1 L씩 첨가한 후, 15 일간 실험실에서 BG-11 배지를 사용하여 전배양한 Chlorella vulgaris 배양액 0.1 L를 접종하여 배양을 개시하였다. 배양은 일광 하에서 분당 100 ml의 공기를 페트병에 직렬로 공급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때의 외기 온도는 25 ~ 34 ℃(2013년 8월, 서울)였다. 배양 3 일 후부터 조류의 활발한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배양 10 일 후 각 페트병에서의 균체 농도는 2.1 g/L(건조무게)였다. 상기 장치에 공급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의 분석은 휴대용 기체분석기(Model 98516, MIC Co., Taiwa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도 11).
Figure pat00001
그 결과, 이산화탄소의 경우 측정상태에서의 평균 농도 0.84 %가 배양기를 통과하여 0.63 %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소의 경우 대기 중의 20.2 %에서 22.1 %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의 변화(주간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배양기가 장기적인 운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실험예 1.
페트병 내부를 테프론으로 코팅하였을 때와 코팅하지 않았을 때 미세조류 배양액의 흡광도와 엽록소-a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도 6 및 7). 미세조류 배양 후 흡광도는 658 nm에서 측정하였고, 엽록소-a(Chlorophyll-a)는 DMSO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그 결과, 코팅을 하였을 경우 배양액의 흡광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배양액 내 조류의 농도가 코팅하지 않았을 경우 배양액 내 조류의 농도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테프론으로 코팅하였을 경우 배양액의 chlorophyll-a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통해 배양액 내 조류의 농도가 높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테프론 코팅 여부에 따른 조류의 수확량을 비교하였다(도 8). 건체 중량을 이용하여 부착 조류와 부유 조류의 양을 나타내었다.
건조 중량은 배양액 20 mL를 필터지에 통과시킨 후 건조시켜 초기 필터지의 무게와 조류 여과 건조 후 무게의 차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또한, 부착 조류의 무게는 초기 페트병의 무게와 배양액 수확 후 건조시킨 페트병 사이의 무게 차이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테프론으로 코팅한 반응기에서 부착 조류는 감소하고 부유 조류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증류수와 다양한 크기의 석분(2 내지 8 mm, 0.6 내지 1 mm, 0.2 내지 0.6 mm)을 이용하여 페트병 표면에 부착된 조류를 제거하기 전과 후를 관찰하였다(도 9).
조류의 회수 및 제거는 석분이 함유된 페트병을 3 분간 vortexing하여 시행하였으며, 0.6 내지 1 mm 크기의 석분을 이용하였을 때 수확이 가장 용이하였다.
실험예 4.
테프론 코팅을 하지 않은 페트병에 다양한 크기의 석분을 반응기에 배양 초기부터 첨가하여 13 일간의 배양이 끝난 후, 3 분간 vortexing하여 석분의 타격에 의한 벽면 부착 조류의 회수율을 관찰하였다(도 10). 각각의 실험에서 증류수 150 mL를 첨가하여 실험하였고, 석분은 각각 20 g으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어떤 크기의 석분을 첨가하여도 수확시 증류수만을 사용한 결과에 비해 수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0.6 내지 1 mm의 크기를 가지는 석분을 이용할 경우 제거율이 97.94 % 정도로 거의 전량 수확이 가능하여 증류수만 이용할 경우의 수확률인 43.37 %에 비해 2 배 이상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0.6 내지 1 mm의 석분이 주위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크기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마개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미세조류 반응기 내에 배치되는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탈부착 가능한 마개와;
    상기 마개가 상부에 체결되며 내부가 소수성 수지로 코팅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와; 및
    상기 다수개의 미세조류 반응기가 설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Chlorella sp.), 클로로코쿰(chlorococcum sp.), 스피루리나(Spirulina sp.),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sp.), 네오스폰지오코쿰(Neospongiococcum sp.),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 또는 두날리엘라(Dunaliella s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또는 액체의 주입구는 연결관을 통해 하나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수지는 불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폴리에틸렌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페트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는 프레임에 형성된 걸림구에 의해 프레임에 안착되거나, 걸이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걸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A"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반응기에 석분을 첨가하여 배양한 후,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석분을 첨가하고 진탕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석분은 크기가 0.6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배양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공기 정화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조류 배양장치를 갖는 수질 정화장치.




KR1020130110855A 2013-09-16 2013-09-16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KR10165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55A KR101658529B1 (ko) 2013-09-16 2013-09-16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55A KR101658529B1 (ko) 2013-09-16 2013-09-16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542A true KR20150031542A (ko) 2015-03-25
KR101658529B1 KR101658529B1 (ko) 2016-09-21

Family

ID=5302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55A KR101658529B1 (ko) 2013-09-16 2013-09-16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7221A (zh) * 2019-06-24 2019-09-20 王晨 一种净化空气用的微藻生物反应器及基于该微藻生物反应器的遮阳板
CN110894126A (zh) * 2019-09-29 2020-03-20 临沂大学 一种用微藻去除矿泉水中氟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6977A (ja) * 2007-06-14 2008-12-25 Nitto Denko Corp 細胞培養基材
CN102816684A (zh) * 2012-08-10 2012-12-12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可密封的恒压式微藻培养装置
JP2013500735A (ja) * 2009-08-07 2013-01-10 ワッカー ケミ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シリコーン被覆を備えたバイオリアクター
CN103070106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海洋生物栖息场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6977A (ja) * 2007-06-14 2008-12-25 Nitto Denko Corp 細胞培養基材
JP2013500735A (ja) * 2009-08-07 2013-01-10 ワッカー ケミ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シリコーン被覆を備えたバイオリアクター
CN102816684A (zh) * 2012-08-10 2012-12-12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可密封的恒压式微藻培养装置
CN103070106A (zh) * 2012-12-13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海洋生物栖息场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7221A (zh) * 2019-06-24 2019-09-20 王晨 一种净化空气用的微藻生物反应器及基于该微藻生物反应器的遮阳板
CN110894126A (zh) * 2019-09-29 2020-03-20 临沂大学 一种用微藻去除矿泉水中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529B1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oba et al. Growth comparison of microalgae in tubular photobioreactor and open pond for treating anaerobic digestion piggery effluent
Chaumont Biotechnology of algal biomass production: a review of systems for outdoor mass culture
Gao et al. A novel algal biofilm membrane photobioreactor for attached microalgae growth and nutrients removal from secondary effluent
Pulz Photobioreactors: production systems for phototrophic microorganisms
CN103409321A (zh) 基于悬浮型载体的微藻悬浮—附着混合培养与分离收获方法
KR101235378B1 (ko) 미세조류 배양 장치
US9260685B2 (en) System and plant for cultivation of aquatic organisms
WO2017190504A1 (zh) 一种用于微藻规模化培养的转盘式光生物反应器
US201301647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minant removal from a microalgae culture
KR20120095826A (ko) 미세조류 고밀도 배양용 광생물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 방법
CN209463162U (zh) 一种利用养殖尾水生产滤食性贝类的系统
JP2013153744A (ja) 微生物培養システム及び微生物の培養方法
KR20110094830A (ko) 미세조류 고밀도 배양용 광생물 반응기와,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 방법
CN104232490A (zh) 一种筛选处理油田污水微藻的方法
WO2014088010A1 (ja) 液面上での微細藻類の培養方法において、液面上の微細藻類から種藻を採取し、別の培養容器で培養を行う方法
CN109844094B (zh) 具有凝集能的新微细藻类
CN103648987A (zh) 用于分解有机化合物的系统和其操作方法
KR101658529B1 (ko) 미세조류 배양 및 수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장치, 공기 또는 수질 정화장치
KR101670129B1 (ko) 광 반응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CN105695356B (zh) 利用两轮加菌共培养提高小球藻产量的方法和制备生物饲料的方法
JP2015192648A (ja) 吸水性高分子ゲルと基板間で形成される領域での新規付着培養方法、バイオマスの製造方法、及び新規微細藻類
WO2016000192A1 (zh) 一种内置光源生物反应器及微藻养殖方法
WO2014085869A1 (en) Bioreactor and method of use
Lebeau et al. A new photobioreactor for continuous marennin production with a marine diatom: influence of the light intensity and the immobilised-cell matrix (alginate beads or agar layer)
RU2471863C2 (ru) Биореактор и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фотосинтезирующи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