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179A - 오디오 접근성 - Google Patents

오디오 접근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179A
KR20150031179A KR20140117550A KR20140117550A KR20150031179A KR 20150031179 A KR20150031179 A KR 20150031179A KR 20140117550 A KR20140117550 A KR 20140117550A KR 20140117550 A KR20140117550 A KR 20140117550A KR 20150031179 A KR20150031179 A KR 2015003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listener
image
listening area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래 신타니
프레데릭 제이 저스탁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3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오디오 전달 방법. 청취 영역의 이미지가 캡처되고 처리되어 방 안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다. 청취자와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이 검색되고, 청취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오디오 특성이 설정된다.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되고, 방향 지향성 빔은 청취자의 이동을 따르도록 조정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 요약에 설명된 특징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이 요약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접근성{AUDIO ACCESSIBILITY}
저작권 및 상표 유의 사항
본 특허 문서의 개시의 일부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상표국의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는 대로의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개시의 팩시밀리 재현에는 이의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무엇이든지 모든 저작권 권리를 보유한다. 상표는 그 해당 소유자의 자산이다.
미국의 첨단 통신 서비스 법(Advanced Communications Services Act)은 다양한 장애들을 해결하기 위한 요구 사항들이 있는데, 그 장애들 중 하나가 청취이다. 이 법은 텔레비전 장비 공급 업체들이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오디오의 제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
구성 및 동작 방법을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나타내는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함께 보면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텔레비전 오디오 시스템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청취자 프로필의 예시적인 구현이다.
도 3의 (a), 도 3의 (b), 및 도 3의 (c)로 구성되는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 지향성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청취자의 머리 돌림의 영향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의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식으로 오디오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향 지향성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도 표현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방식으로 초음파 오디오 어레이들을 어떤 위치를 향해 지향시키기 위한 구성의 예이다.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실시예가 구현 가능하지만,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그러한 실시예들의 본 개시는 원리들의 예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도시되고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의 여러 도들에서 동일한, 유사한, 또는 대응하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a" 또는 "an"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복수"는 둘 또는 둘 초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다른"은 적어도 두 번째 이상의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 및/또는 "갖는"은 포괄적인 것(즉, 개방 언어)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된"은 반드시 직접적일 필요는 없지만, 그리고 반드시 기계적일 필요는 없지만, 연결된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유사 용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상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명령들의 시퀀스로서 정의된다.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브루틴, 함수, 프로시저, 앱(app), 오브젝트 메소드(object method), 오브젝트 구현,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애플릿(applet), 서블릿(servlet), 소스 코드, 오브젝트 코드, 스크립트, 프로그램 모듈, 공유 라이브러리/동적 로드 라이브러리(dynamic load library) 및/또는 컴퓨터 시스템상의 실행을 위해 설계된 명령들의 다른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은 텔레비전 세트, 셋-탑 박스(set-top box: STB),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장치를 포함한 임의의 텔레비전 수신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디스플레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텔레비전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른 장치들은 STB, 독립형 음향 바(standalone sound bar), 또는 외부 추가 오디오 장치, 또는 오디오 기능을 갖지만 튜너나 다른 구현을 갖지 않는 모니터로 인스턴트화될(instantiated) 수 있다.
본 문서에 걸쳐 "일 실시예", "특정 실시예들", "실시예", "구현", "예", 또는 유사 용어들의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소들에서의 그러한 어구들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제한 없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포괄적인 "또는"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A, B, 또는 C"는 "다음의 A; B; C; A와 B; A와 C; B와 C; A, B, 및 C"를 의미한다. 이 정의에 대한 예외는 요소들, 기능들, 단계들, 또는 작용들의 조합이 어떤 방식으로 본질적으로 상호 배타적인 경우에만 발생할 것이다.
용어 "오디오 특성"은 볼륨, 등화(equalization), 압축, 룸 시뮬레이션(room simulations), 채널 믹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조절될 수 있는 속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의 첨단 통신 서비스 법은 다양한 장애들을 해결하기 위한 요구 사항들이 있는데, 그 장애들 중 하나가 청취이다. 이 법은 텔레비전 장비 공급 업체들이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오디오의 제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
청각 장애는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고 종종 비대칭적이라는 것을 유의한다. 청력 상실은 한쪽 귀에 국한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쪽 귀보다 한쪽 귀에서 더 또는 덜 심각할 수 있다. 또한, 영향을 받는 주파수는 사람마다, 그리고 심지어 같은 사람이라도 귀마다 다르다. 상이한 청각 능력을 가진 여러 사람이 동일한 텔레비전 시청 영역에 있을 때 그러한 청각 장애들로 인해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이것은 텔레비전 오디오가 주로 가장 열악한 청력을 가진 사람의 청취를 해결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청취자들에게는 불편할 정도로 시끄러울 수 있다.
소형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의 어레이들이 상당히 방향 지향적인 초음파 빔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초음파 기술들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들은 고도로 방향 지향성을 갖게 될 수 있다. 이 높은 레벨의 방향 지향성은 주로, 트랜스듀서들이 송신되는 초음파 신호들의 파장에 근접하도록 만들어지는 결과이다. 청취자의 귀를 향해 두 개의 초음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오디오는 그 두 개의 신호 간의 주파수 차이들로 인코딩될 수 있다. 공기와 귀에서의 비선형성들의 결과로서, 두 개의 초음파 신호의 믹싱이 발생하여 합과 차분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차분 신호들은 원래 인코딩된 오디오를 나타내고 청취자에게 들릴 수 있다. 청취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를 향해 그러한 두 세트의 빔들을 지향시킴으로써, 스테레오 오디오 프로그래밍(stereo audio programming)이 달성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은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오디오 청취의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TV)을 볼 때, 청각 장애자는 텔레비전 프로그래밍을 즐길 수 있기 위해 높은 볼륨 레벨을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타깝게도, 이것은 청각 장애가 없고 낮은 볼륨 레벨을 선호할 다른 청취자들의 희생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취자에게의 오디오의 전달은 개인의 청각 특성에 맞추어질 수 있고, 초음파 전달과 함께, 개별화된 오디오가 개인별로 지향될 수 있다. 또한, 개인은 화상 인식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식별될 수 있고, 그 후 식별된 개인에게 맞춤형 음향이 지향될 수 있다. 음향의 겨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들의 페이즈드 어레이(phased array of transducers)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방향 지향성의 입상성(granularly)(각도의), 및 또한 동시에 타겟팅될 수 청취자의 수 등의 제한들이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개별화된 음향의 초음파 전달을 이용하는 것이다. 음향은 약 40KHz 등의 초음파 범위로 주파수가 편이된다. 초음파 음향은 그 후 다른 초음파 음향으로 때려져서, 결과적으로 합, 차분, 기본 주파수들(fundamentals)을 유발한다. 차분 신호만이 청취자에게 들린다. 초음파 음향의 파장이 트랜스듀서의 치수의 상당 부분이기 때문에, 이것은 음향의 매우 방향 지향적인 전달이란 결과를 낳는다. 이것은 개인 수신자에게 음향을 지향시킬 수 있게 해준다.
음향을 겨냥하기 위해, 한가지 기술은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설정될 수 있는 몇몇의 조정 가능한 구역들을 구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취자는 방 안의 의자나 소파의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의해 전형적으로 결정된 별개의 고정 위치들에 앉는다. 그러므로 일단 설정되면, 청취자만 식별될 필요가 있을 것이고, 미리 설정된 위치들 중 그의 위치가 결정될 필요가 있다. 청취자의 신원 파악은, 유저가 수동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경우에는 단순화될 수 있거나, 또는 RFID, 블루투스(Bluetooth),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또는 많은 리모트 컨트롤 중 하나의 소지, 식별 가능한 셀룰러 폰(cellular phone)의 소지 등의 기술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에서, 카메라 또는 다른 이미지 캡처 장치(image capture device)는 얼굴 인식 및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들(profiles)을 이용하여 청취자들을 식별하고, 그 위치를 찾고, 각각의 청취자를 공간적으로 특징짓기 위해 이용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초음파 오디오가 여러 청취자들 간의 오디오를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비-제한적인 예시의 텔레비전 시스템 구현을 고려한다. 이 예시에서, 디스플레이(20),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STB, 외부 오디오 처리 장치 등) 등의 다른 장치는 청취 영역(28)을 촬상하는, 통합된 카메라(24)를 갖는다. 디스플레이(20)와 연관된 또는 그에 통합된 오디오 시스템은, 전술한 초음파 기술들을 이용하여 타켓팅된 방향 지향성 오디오 빔들을 청취자(36) 및 청취자(40) 등 하나 이상의 청취자에게 지향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의 어레이(32)를 이용한다. 특정 구현들에서, 이 청취자들(36, 40)은 텔레비전 세트의 빈번한 시청자들일 수 있으므로, 청취 영역(28)에 자주 존재한다.
청취자들 각각의 오디오 경험을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기 위해, 각 청취자에 대해 프로필이 설정될 수 있고, 인식되지 않은 청취자들에 대해 디폴트 또는 게스트 프로필(default or guest profile)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24)는 청취 영역을 촬상함으로써, 분석시에 1) 각각의 청취자의 위치, 2) 각각의 청취자의 머리와 귀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3) 각각의 등록된 프로필된 청취자를 인식할 수 있거나, 또는 청취자를 게스트라고 할당할 수 있고, 4) 청취자들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고, 5) 청취자들의 청취 경험에 중요한 움직임을 주목할 수 있고, 6) 청취자의 프로필에 명시된 청취자의 선호 또는 청취 능력에 맞게 오디오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취자(36)가 정상적인 청력을 갖고 청취자(40)가 저하된 청취 능력을 갖는다면, 그 각각은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자신들의 필요와 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호되는 언어가 프로필에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 언어들이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오디오 채널에서 제공되는 것 또는 셋업 중에 지시된 디폴트 언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선호하는 청취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오디오 언어 서브-채널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워드 대체 엔진은 부모 통제 제한 또는 제약에 의해 식별되고 그와 연관된 특정 청취자들에 대해 불쾌한 단어들 또는 어구들을 선택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로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의 구현 및 도 2에 도시된 "조지(George)"라는 이름의 청취자의 프로필 화면(50)을 고려한다. 이 예의 프로필 화면(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메뉴 시스템으로부터 호출됨)에서, 청취자는 참조용 이미지(52)를 제공할 수 있고, 가능한 경우, 사용 가능한 오디오 언어 서브-채널들 중에서 선택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56에서 선호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청취자 프로필은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선호들, 특성들 및/또는 제약들을 포함하는 더 큰 유저 프로필의 일부일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한다. 텔레비전의 카메라(24)는,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때, 프로필(50)로부터 조지의 오디오 특성을 검색하기 위해 얼굴 인식을 위한 기준으로서 이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조지의 오른쪽 귀의 청각은 왼쪽 귀에 비해 안 좋고, 이것은 볼륨 설정(60)에 반영되어 오른쪽 귀의 볼륨은 최대로 되고 왼쪽 귀의 볼륨은 약 절반으로 된다. 또한,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주파수의 청취에 어려움이 있는 오른쪽 귀에 비해, 64에서는 왼쪽 귀가 낮은 주파수, 중간 주파수, 및 높은 주파수를 듣기 위한 균형 잡힌 능력을 가진 것이 나타난다. 이 예에서,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은 낮은 레벨(예를 들면, 약 25 %)의 볼륨으로 거의 고른 주파수 등화를 갖는다고 추정될 수 있다.
이 프로필을 템플릿(template)으로서 이용하여, 오디오 시스템은 오른쪽 채널 볼륨이 매우 높고, 왼쪽 볼륨이 정상보다 높은 특수화된 오디오 신호를 조지에게 조사(beam)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채널의 오디오는, 낮은 주파수보다 중간 및 높은 주파수에서 더 큰 볼륨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것이다. 이 프로필은 오디오 시스템의 도움으로 실험적으로 확립될 수 있거나 또는 청취자의 선호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셋업은, 청취자의 청력 테스트를 진행하고 오디오 셋업 프로토콜에 대한 청취자의 응답에 따라 오디오 특성을 수정함으로써 개인 프로필을 셋업할 때 유저를 안내할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현들에 있어서, 테스트 톤들이 생성될 수 있고 유저가 응답할 수 있어서, 특정 유저가 특정 주파수 범위를 어느 레벨에서 들을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유저는 그의 또는 그녀의 청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등화를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오디오 시스템이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등화를 프로필에서 추론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에서, 단어들 또는 어구들이 (예를 들어, 각 채널에서 한 번) 청각적으로 재생되면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될 수 있고, 유저는 표시되는, 말한 단어들 또는 어구들을 이해하는 능력에 대해 질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 청각 문제는 고주파수 성분을 들을 수 있는 능력의 저하로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스푼(spoon)", "쉽(ship: 배)", "띠킷(thicket: 덤불)" 등 상당히 높은 주파수 콘텐츠를 갖는 단어들이 재생될 수 있고, 유저는 최선의 양해도(intelligibility) 및/또는 우측 및 좌측에 있어서의 청력의 동일성을 결과적으로 제공하는 특정 Q, 등화, 필터링, 및 밸런스(balance)를 지시할 수 있다. 시스템은 각각의 유저에 대해 훈련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데, 그러한 프로세스에서 필터 특성들이 체계적으로 변화되고 각각의 유저는 최대의 양해도로 음성을 듣기 위한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도울 수 있다. 프로필을 위한 데이터가 확립되면, 프로필은 버튼(74)을 이용하여, 또는 프로필을 나가고 저장하기 위한 자동화된 셋업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청취자가 버튼(78)을 이용하여 저장하지 않고 나갈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로필을 이전의 설정으로 환원시키거나 또는 이전에 확립된 것이 없다면 프로필이 없게 된다.
이 예에서, 오디오 프로그램은 스테레오로 청취자에게 조사될 것이라고 가정되지만, 이것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오디오 빔의 방향 지향성 및 정확도에 대한 낮은 요건들로 오디오가 균등하게 모노포닉 형태(monophonic form)로 조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디오가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조사될 수 있지만, 초음파 오디오 빔들에 있어서 중첩이 없어야 한다는 요건은 없다.
종래의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에서 서라운드 음향(surround sound)이 스테레오로 전달될 때, 스테레오 믹스는 종종,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에서 더 다수의 채널로부터 유도되는 믹스임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5.1 채널 오디오 시스템은 중앙 채널, 좌측 전방 채널, 우측 전방 채널, 좌측 후방 채널, 우측 후방 채널, 및 서브우퍼 채널(subwoofer channel)을 구비한다. 그러한 멀티-채널 오디오 믹스들에 있어서, 중앙 채널은 시청중인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영화의 대화(음성)의 대부분을 반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사하게, 낮은 주파수들은 서브우퍼 채널 등에서 처리된다. 이것이 스테레오로 믹스될 때, 중앙 채널 대화는 일반적으로 좌측 및 우측 채널들 간에 분할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및 다른 오디오 재생을 위해 한 개 또는 두 개의 채널만이 이용되기 때문에, 멀티-채널 오디오로부터 더 소수의 채널들로 오디오 신호들의 믹스-다운(mix-down)은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더 바람직한 청취 경험을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자가 다른 음향들의 존재하에 음성을 인식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 청취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그 청취자에게 높은 레벨의 중앙 채널 믹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전달 방법(audio delivery method)은,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청취자와 연관된 오디오 특성 설정들을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고 판독하고, 오디오 믹서에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여러 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채널들을 같거나 감소된 개수의 채널로 믹싱하는 것을 조정하여 청취자의 청취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의 (a), 도 3의 (b), 및 도 3의 (c)로 구성되는 도 3을 이제 참조하여, 본 교시를 고려하면, 오디오가 방향 지향성 빔으로 청취자에게 전송될 때, 다른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청취자(90)가 왼쪽과 오른쪽 오디오 빔들(L과 R로서 도시됨)에 의해 양쪽 귀가 용이하게 직접 타겟팅되도록 위치할 때, 청취자는 의도된 방식으로 스테레오 오디오를 들을 것이다. 그러나, 청취자(90)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머리를 돌리면, 왼쪽 귀에 대한 오디오 프로그램이 오른쪽 귀의 것보다 더 현저해질 것이다. 더 예를 들어, 왼쪽 귀는 왼쪽 귀 빔에 의해 용이하게 타겟팅되는 데 반해 오른쪽 귀는 머리에 의해 완전히 가로막히는 (오른쪽 귀 빔을 나타내는 점선으로 도시된) 도 3의 (c)를 고려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빔들의 방향 지향성, 및 왼쪽과 오른쪽 오디오의 스테레오 분리는 청취자(90)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청취자의 머리의 동작에 의해 오디오가 손실되거나 감소될 때,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대화가 손실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으로 최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교시를 따른 방식으로, 타겟 청취자가 움직일 때(특히 그의 머리를 움직일 때), 이 움직임들은 청취자를 연속 촬상하는 카메라(24)에 의해 추적된다. 움직임이 청취자의 청력 경험을 방해할 것임을 시스템이 검출하면, 원래의 멀티-채널 프로그램 자료의 믹스-다운이 적응될 수 있거나, 또는 스테레오 오디오의 믹스가 조정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머리 위치가 도 3의 (a)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도 3의 (c)에 도시된 것으로 이동하는 것이 검출될 때, 오른쪽 채널 오디오를 왼쪽 채널로 시프트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믹스가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머리의 움직임에 의해, 중앙 채널 믹스를 왼쪽 채널로 이동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서 믹스가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음으로써, 청취자가 대화를 잃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높아진다. 각각의 경우에, 오디오 믹스가 프로세서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상기의 예에서 청취자(90)가 조지이면, 오른쪽 채널 정보가 왼쪽 채널로 시프트되는 경우, 왼쪽 귀와 오른쪽 귀 간에 전체적인 청력의 차이에 따라 볼륨이 감소될 수 있고, 정상적으로는 오른쪽 귀에 대한 것일, 왼쪽 귀에 전송된 오디오의 주파수 등화가, 예를 들어, 높은 주파수 콘텐츠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사하게 조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채널들의 믹스가 청취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의 청력에 있어서 음성 요해성이 왼쪽 귀에서 불량하고 오른쪽 귀에서 양호하면,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는 오른쪽 귀에 주로 믹스될 수 있다. 믹스는, 더 다수의 채널들로부터의 믹스-다운을 변경함으로써, 또는 스테레오 분리의 감소(모노럴(monaural)로 근사하거나 모노럴로 됨)를 달성하기 위해 왼쪽과 오른쪽 간의 믹스를 단순히 시프팅시킴으로써, 또는 원하는 임의의 다른 방식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교시를 고려하여 많은 다른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사람이 청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 청각 장애를 가진 청취자가 가장 좋은 귀를 오디오의 소스를 향하게 하도록 그의 머리를 회전시키는 접근 자동 동작(near automatic action)이 빈번하다는 것을 유의한다. 따라서, 믹싱 또는 다른 오디오 특성들의 본 변경은 이러한 일반적인 인간의 반응을 이용하는 개선과 일관되는 것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일 구현 예의 흐름도(100)가 104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108에서, 오디오 시스템은 시스템이 청취자 프로필들과 연관된 방향 지향성 오디오 빔의 조사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렇게 구성되지 않은 경우, 시스템은 112에서 종래의 스피커들을 갖는 보다 통상적인 오디오 시스템으로 돌아갈 수 있다. 그렇게 구성된 경우, 116에서 청취 영역의 하나 이상의 이미지가 촬상되고, 120에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청취자들 및 그들의 위치들을 식별하도록 시도하기 위해 그 이미지가 분석된다. 이미지 분석에서, 사람들이 식별된 후, 청취자들의 오디오 특성들을 갖는 프로필들을 저장한 사람들을 식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이 개시된다. 124에서, 인식된 청취자들에 대해, 그들의 프로필들이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고, 인식되지 않은 청취자들에 대해, 디폴트 또는 게스트 프로필이 검색된다. 그 후 128에서 오디오 특성들이 청취자의 프로필 및 그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믹스 및 기타 오디오 특성들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들의 귀 배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오디오 프로필들이 로드되면, 132에서 청취 영역 내의 그들의 물리적 위치에서 인식된 청취자들에게 오디오가 방향 지향적으로 조사된다. 유사하게, 136에서, 인식되지 않은 청취자들은 디폴트 또는 게스트 프로필을 이용하여 청취 영역 내의 그들의 물리적 위치에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을 동시에 수신한다. 청취자들의 물리적 위치의 지속적인 추적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그들의 머리 위치가 앞서 논의된 방식으로 이용된다면, 그들의 머리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프로세스는 다시 108로 진행하는 140에서 프로세스의 반복을 개시함으로써, 프로세스가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이 예시적인 프로세스(100)에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청취자가 청취 영역에 들어오지 않으면, 블록 124는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스(100)의 기능(128)은 도 5의 128로서 도시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프로세스 구현에 있어서, 150에서 멀티-채널 오디오(예를 들면, 스테레오, 5.1 서라운드, 7.1 서라운드 등)가 수신된다. 154에서 각 청취자의 왼쪽 및 오른쪽 귀 위치들이 찾아진다. 158에서 도 3과 같이 왼쪽 귀 및 오른쪽 귀가 둘 다 용이하게 타겟팅(밸런싱)된다면, 162에서 특정 청취자의 프로필에 따른 채널들의 정상적인 믹스가 오디오 채널들의 청취자의 빔에 제시되고 할당된다. 그러나 시스템이 하나의 귀 또는 다른 귀에의 빔의 조사가 열화될 것이라고 판단하도록 청취자의 머리가 위치된다면, 166에서 시스템은 어느 귀가 방향 지향성 오디오 소스에 가장 가까운지를 판정한다. 그 후 170에서 오디오가 리믹스된다(remixed). 이 예에서, 리믹스는 방향 지향성 오디오 소스에 가장 가까운 귀에 대화를 포함하는 채널(예를 들면, 중앙 채널)의 가중화를 더 높인다. 다른 구현들에서, 두 귀가 모두 여전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음향 빔을 수신할 수 있다면, 방향 지향성 음향 소스로부터 가장 먼 귀에의 빔의 조사가 적절히 음향 빔을 수신하기 위해 신뢰될 수 없다고 시스템이 판단할 때까지는, 계속적인 스테레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방향 지향성 음향 소스로부터 가장 먼 귀에 대한 오디오의 볼륨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믹스는 모노럴로 변환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대화 채널이 방향 지향성 음향 소스에 가장 가까운 귀로 시프트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믹싱 및 재등화(re-equalizing)가 구현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162 및 170 둘 다로부터, 프로세스는 각 청취자에 대해 174에서 리턴하여 프로세스(128)를 완료한다. 다른 많은 변형들이 본 교시를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정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이 도 6의 시스템(200)으로서 도시된다. 초음파 트랜스듀서들(202) 등 방향 지향성 오디오 트랜스듀서들의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청취 영역(206)을 향해 지향되고, 트랜스듀서 드라이버 및 방향 지향성 제어(210)에 의해 구동된다. 블록 210은 앞서 논의된 방식으로 청취자를 향해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202)를 구동하기 위해 기능 한다.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로부터의 프로그램 제어 하에, 앞서 논의되고 222에 도시된, 위치 식별 및 얼굴 인식을 위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218)의 제어하에 카메라(214)를 이용하여 청취자들이 식별되고 그 위치가 찾아진다.
캡처된 이미지들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청취 영역(206) 내의 사람들을 식별하고 그 위치를 찾기 위해 처리된다. 그 후 222의 얼굴 인식 알고리즘이 실행되어 발견된 얼굴들과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26) 내의 얼굴들을 비교한다. 프로필 데이터베이스(226)에서 청취자가 식별될 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218)는 프로필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디오 프로세서(230) 내에서 믹싱 및 등화 기능을 수행하여, 오디오 소스(234)로부터의 오디오가 청취자의 프로필에 따라 청취자의 청력을 보상하도록 조정된다.
이 프로세스는 다양한 청취자들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앞서 논의된 방식으로 각각의 청취자에게 적절한 오디오의 빔 또는 빔들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업데이트된다.
오디오의 빔들의 지향은 임의의 조작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어레이들은, 적어도 수평적인 회전을 허용하지만,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250)가 청취 영역(206) 내의 광범위한 위치들을 타겟팅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수평 및 수직의 양 방향 회전의 2차원 운동을 바람직하게 허용하는, 짐벌 마운팅 구조상(gimbal mounting arrangement)에 탑재될 수 있다. 짐벌 마운트들은, 서보 제어 알고리즘들(servo control algorithms)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프로세서(218)의 제어하에, 서보 제어기들(254)을 이용하여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250)을 구동함으로써 청취자(들)를 적절히 타겟팅하기 위해 조정된다. 청취 영역(206) 내의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다수의 청취자를 타겟팅할 수 있도록 그러한 여러 구성들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본 교시를 고려하면 방향 지향성 오디오 빔들로 청취자들을 타겟팅하기 위해 다른 구성들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구현들에 따르면, 오디오 전달 방법은,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여러 채널들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스-다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고, 여러 채널들의 믹싱은,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귀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오디오 전달 방법은,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프로세스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채널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을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를 향해 각각 지향시키는 단계에 의해 진행되며, 이 방법은,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에 의해 반송되는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스테레오 믹스-다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는,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오디오 전달 시스템의 다른 예에서,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장치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또한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여러 채널들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스-다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고, 여러 채널들의 믹싱은,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귀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는 단계 및 조정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오디오 전달 시스템은,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장치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채널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을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를 향해 각각 지향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또한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에 의해 반송되는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스테레오 믹스-다운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는,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을 제어하는 단계 및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따른, 오디오 전달 방법은,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청취자와 연관된 오디오 특성 설정들을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고 판독하는 단계, 및 오디오 믹서에서, 상기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가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여러 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채널들을 같거나 감소된 개수의 채널로 믹싱하는 것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같거나 감소된 개수의 채널을 청취자에게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구현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청취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채널들의 믹싱을 조정한다.
오디오 전달 방법에 있어서, 청취 영역의 이미지가 캡처되고 처리되어 방 안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다. 청취자와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이 검색되고, 청취자의 프로필에 기초하여 오디오 특성이 설정된다.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되고, 방향 지향성 빔은 청취자의 이동을 따르도록 조정된다.
당업자는 상기의 교시를 고려하면, 상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어떤 것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된 프로세서의 이용에 기초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이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 및/또는 전용 프로세서들 등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가물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범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컴퓨터, 마이크로-콘트롤러, 광학 컴퓨터, 아날로그 컴퓨터, 전용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회로들, 및/또는 전용 하드 와이어드 로직(hard wired logic)이 대안적인 등가의 실시예들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합한 전자적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흐름도 형태로 앞서 대략적으로 설명된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18) 등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또는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일시적"은 전파들을 배제하는 것만을 의도하고, 전력이 제거될 때 정보를 상실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재기록가능한 메모리 등의 디바이스들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교시를 고려하면, 전술한 프로세스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개수의 변형들로 그리고 많은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행될 특정 동작들의 순서가 종종 변경될 수 있고, 추가의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거나 또는 동작들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에러 트랩핑(Error trapping), 타임 아웃(time outs) 등이 추가 및/또는 강화될 수 있고, 유저 인터페이스 및 정보 제시에 있어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변형들은 등가물로서 고려되고 간주된다.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안들, 변경들, 치환들, 및 변형들이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임이 분명하다.

Claims (33)

  1. 오디오 전달 방법으로서,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시키는 단계,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여러 채널들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스-다운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고, 여러 채널들의 믹싱은,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귀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9. 오디오 전달 방법으로서,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채널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을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를 향해 각각 지향시키는 단계,
    이미지 캡처 장치를 이용하여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에 의해 반송되는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스테레오 믹스-다운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는,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16. 오디오 전달 시스템으로서,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청취자의 귀들을 향해 지향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또한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오디오 전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은 여러 채널들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스-다운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조정하는 단계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믹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고, 여러 채널들의 믹싱은,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귀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는 단계 및 조정하는 단계는,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를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4. 오디오 전달 시스템으로서,
    청취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캡처 장치,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 상기 프로세서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위치를 찾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얼굴을 식별하는 단계,
    이미지를 처리하여 청취자의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위치를 찾는 단계,
    식별된 얼굴과 연관된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채널 방향 지향성 빔을 제어하여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을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를 향해 각각 지향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또한 청취자의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를 캡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이미지들의 후속의 시퀀스의 분석에 의해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귀들의 위치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의 이동에 따라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에 의해 반송되는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오디오 전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왼쪽 및 오른쪽 방향 지향성 빔들은 중앙 채널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스테레오 믹스-다운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믹싱을 조정하는 단계는,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의 소스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청취자의 오른쪽 귀 또는 왼쪽 귀 중 하나에 대해 중앙 채널 프로그램의 진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은 초음파 오디오 빔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캡처 장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합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30.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의 방향 지향성 빔들을 제어하는 단계 및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짐벌 마운트형 초음파 트랜스듀서 어레이들을 위치결정하는 서보 모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시스템.
  31. 오디오 전달 방법으로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에서, 청취자와 연관된 오디오 특성 설정들을 확인하기 위해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을 검색하고 판독하는 단계, 및
    오디오 믹서에서, 상기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가 저장된 청취자 프로필에 기초하여 여러 채널 오디오 프로그램의 채널들을 같거나 감소된 개수의 채널로 믹싱하는 것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같거나 감소된 개수의 채널을 청취자에게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는 또한 청취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채널들의 믹싱을 조정하는, 오디오 전달 방법.
KR20140117550A 2013-09-13 2014-09-04 오디오 접근성 KR20150031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26,154 US20150078595A1 (en) 2013-09-13 2013-09-13 Audio accessibility
US14/026,154 2013-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179A true KR20150031179A (ko) 2015-03-23

Family

ID=52668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7550A KR20150031179A (ko) 2013-09-13 2014-09-04 오디오 접근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78595A1 (ko)
JP (1) JP2015056905A (ko)
KR (1) KR20150031179A (ko)
CN (1) CN1044694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866A1 (ko) * 2015-10-01 2017-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US9686625B2 (en) 2015-07-21 2017-06-2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personalized audio
US10880638B2 (en) 2016-07-05 2020-12-29 Sony Corporation Sound field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0449B2 (en) 2014-01-17 2017-01-31 Sony Corporatio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US9866986B2 (en) 2014-01-24 2018-01-09 Sony Corporation Audio speaker system with virtual music performance
US9232335B2 (en) 2014-03-06 2016-01-05 Sony Corporatio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follow me
US9971319B2 (en) 2014-04-22 2018-05-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audio and alternate audio simultaneously during a shared multimedia presentation
US9544679B2 (en) 2014-12-08 2017-01-1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Adjusting speakers using facial recognition
CN105827931B (zh) * 2015-06-19 2019-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拍照的音频输出方法和装置
GB2540224A (en) * 2015-07-08 2017-01-11 Nokia Technologies Oy Multi-apparatus distributed media capture for playback control
CN105007553A (zh) * 2015-07-23 2015-10-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声音定向传输方法及移动终端
JP6646967B2 (ja) * 2015-07-31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再生システム、補正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042602B2 (en) * 2015-09-30 2018-08-07 Sonos, Inc. Activity reset
JP2017118375A (ja) * 2015-12-25 2017-06-2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音出力制御方法
IL243513B2 (en) 2016-01-07 2023-11-01 Noveto Systems Ltd A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US11388541B2 (en) 2016-01-07 2022-07-12 Noveto Systems Ltd.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898245B1 (en) 2016-01-15 2018-02-20 Sonos, Inc. System limits based on known triggers
CN105723326A (zh) * 2016-01-23 2016-06-29 张阳 剧院中音量控制方法及系统
US9693168B1 (en) 2016-02-08 2017-06-27 Sony Corporation Ultrasonic speaker assembly for audio spatial effect
US9826332B2 (en) 2016-02-09 2017-11-21 Sony Corporation Centralized wireless speaker system
US9924291B2 (en) 2016-02-16 2018-03-20 Sony Corporatio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US9826330B2 (en) 2016-03-14 2017-11-21 Sony Corporation Gimbal-mounted linear ultrasonic speaker assembly
US9693169B1 (en) 2016-03-16 2017-06-27 Sony Corporation Ultrasonic speaker assembly with ultrasonic room mapping
WO2017206193A1 (zh) * 2016-06-03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的语音信号传输系统及方法
US9794724B1 (en) 2016-07-20 2017-10-17 Sony Corporation Ultrasonic speaker assembly using variable carrier frequency to establish third dimension sound locating
US9854362B1 (en) 2016-10-20 2017-12-26 Sony Corporatio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LE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object detection
US10075791B2 (en) 2016-10-20 2018-09-11 Sony Corporatio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LE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room mapping
US9924286B1 (en) 2016-10-20 2018-03-20 Sony Corporatio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LE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ersonal identifier
US10952008B2 (en) * 2017-01-05 2021-03-16 Noveto Systems Ltd.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7100628A1 (de) * 2017-01-13 2018-07-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personenbezogenen Audiowiedergabe
US11243293B2 (en) 2017-02-07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Radar-based system for sensing touch and in-the-air interactions
US10397724B2 (en) 2017-03-27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ifying an apparent elevation of a sound source utilizing second-order filter sections
US10154346B2 (en) 2017-04-21 2018-12-11 DISH Technologies L.L.C. Dynamically adjust audio attributes based on individual speaking characteristics
US11601715B2 (en) 2017-07-06 2023-03-07 DISH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content playback based on viewer emotions
US11048329B1 (en) * 2017-07-27 2021-06-29 Emerge Now Inc. Mid-air ultrasonic haptic interface for immersive computing environments
JP6330098B1 (ja) * 2017-10-03 2018-05-23 ピクシーダスト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超音波スピーカ、音源装置
WO2019069743A1 (ja) * 2017-10-03 2019-04-11 ピクシーダスト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コントローラ、超音波スピーカ、及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6329679B1 (ja) * 2017-10-03 2018-05-23 ピクシーダスト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コントローラ、超音波スピーカ、オーディオ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171877B1 (en) 2017-10-30 2019-01-01 Dish Network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selecting supplemental content based on viewer emotions
CN108805086B (zh) * 2018-06-14 2021-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媒体控制方法及音频处理装置
US10623859B1 (en) 2018-10-23 2020-04-14 Sony Corporation Networked speaker system with combined power over Ethernet and audio delivery
US11443737B2 (en) 2020-01-14 2022-09-13 Sony Corporation Audio video translation into multiple languages for respective listeners
US11669295B2 (en) * 2020-06-18 2023-06-06 Sony Group Corporation Multiple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input
CN114915874B (zh) * 2021-02-10 2023-07-25 北京全景声信息科技有限公司 音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DE202022102864U1 (de) 2022-05-24 2023-09-05 Vierton-Audio AG Lautsprechereinheit mit Hörhilfefunk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9899B1 (en) * 1996-07-17 2001-05-08 America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veloping a virtual speaker distant from the sound source
GB0415625D0 (en) * 2004-07-13 2004-08-18 1 Ltd Miniature surround-sound loudspeaker
ES2381765T3 (es) * 2006-03-31 2012-05-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y método para procesar datos
JP2011223549A (ja) * 2010-03-23 2011-11-04 Panasonic Corp 音声出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6625B2 (en) 2015-07-21 2017-06-2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personalized audio
US9736615B2 (en) 2015-07-21 2017-08-15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personalized audio
WO2017057866A1 (ko) * 2015-10-01 2017-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US10880638B2 (en) 2016-07-05 2020-12-29 Sony Corporation Sound field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9491A (zh) 2015-03-25
US20150078595A1 (en) 2015-03-19
JP2015056905A (ja)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1179A (ko) 오디오 접근성
US11061643B2 (en) Devices with enhanced audio
CN106941645B (zh) 大量听众的声音再现的系统和方法
US10241741B2 (en) Audio processing based upon camera selection
KR102319880B1 (ko) 포커스 거리에 가까운 사운드 소스들을 강조하는 공간 오디오 처리
US8571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atching of auditory space to visual space in video teleconferencing applications using window-based displays
CN111654785B (zh) 具有可配置区的音频系统
US201603532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audio playback based on the position of a listener
US9883140B2 (en) Using the location of a near-end user in a video stream to adjust audio settings of a far-end system
JPWO2013042324A1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