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845A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845A
KR20150030845A KR20130110064A KR20130110064A KR20150030845A KR 20150030845 A KR20150030845 A KR 20150030845A KR 20130110064 A KR20130110064 A KR 20130110064A KR 20130110064 A KR20130110064 A KR 20130110064A KR 20150030845 A KR20150030845 A KR 20150030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radiating
substrate
pipes
radiating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566B1 (ko
Inventor
이병석
Original Assignee
이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석 filed Critical 이병석
Priority to KR102013011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5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하측에 하나 이상의 LED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며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 복수의 방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방열부; 및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 용이하고 방열 성능이 우수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명용 램프는 백열전구, 형광등, PL등 등이 있다.
종래의 램프류는 전력 소모가 많고 수명이 짧으며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력 소모가 적고 충격에 강하며 수명이 길고 친환경적인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LED는 광도가 높고 크기가 작아 복수의 LED를 배치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명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가정용 또는 산업용 조명장치나 상업용 조명장치 등 그 적용분야가 매우 넓다.
통상적으로 LED 조명 램프는 다수의 LED 소자를 직렬 및/또는 병렬로 동일 평면상에 집적 배열함으로써, LED 조명 램프의 광도 또는 휘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데, LED의 집적 밀도가 증대될수록 구동 발생열도 현저히 증가하게 되므로 그에 따른 LED의 광학적 출력 특성의 저하 및 수명 단축과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된다.
따라서 고출력 및 고효율 LED의 광학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LED로부터의 충분한 방열이 필수적이다.
상기한 LED의 방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방열체를 사용하여 LED 램프의 반도체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대기 중으로 방열시키는 방식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열 방식을 대별하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제작되고 다수의 핀 구조를 형성하여 표면적을 증대시킨 방열체를 이용한 통상의 수동형 공랭식 방열 방식과,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열체를 이용하되 팬 등을 이용한 강제 송풍에 의하여 방열성능을 높인 능동형 공랭식 방열 방식과, 물의 온도에 따른 밀도 차이에 의한 자연 대류에 의하여 냉각시키는 수동형 수냉식 방열 방식과, 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능동형 수냉식 방열 방식과, 방열체 내에 열전달 냉매를 저장하여 열전달 냉매가 기화와 액화를 반복하여 순환하면서 방열시키는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방열 방식이 있다.
그러나, LED 조명기기에 별도의 물 순환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수냉식 방열 방식이나 팬을 이용하는 능동형 공랭식 방열 방식을 취할 경우, 조명기기의 중량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작비 및 유지 보수비가 증가하게 되므로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LED 조명기기에서는 대부분 수동형 공랭식 방열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종래에 복수의 LED가 장착된 LED모듈에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방열핀을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히트싱크를 결합한 구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기기는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와 자연 대류에 의해서 방열시키는데, 그 효율이 좋지 않고 효율을 높이고자 방열핀 또는 히트싱크를 크고 복잡하게 만들 경우 제작이 어렵고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도와 자연 대류에 방열하는 방열부에서 강제 대류에 필적할 정도로 원활한 공기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적인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하측에 하나 이상의 LED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며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 복수의 방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방열부; 및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하측에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수평관부와 상기 수평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의 개수는 중심에서 외측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의 크기는 외측에서 중심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장착리브에 하단부 내측면이 접착되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에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반사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반사갓 사이의 체결 부위는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는 원형 또는 상하로 긴 장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면 중앙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지지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의하면, 방열부가 LED 소자의 발열에 의해 상승 기류가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여 원활한 공기 대류를 유도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효율적이다.
또한, 우수한 방열 성능에 비해 방열부를 구비하는 조명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각 부품의 결합부위를 열전도도가 높은 에폭시 수지로 접착 또는 밀봉함으로써 열전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방열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2방열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3방열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4방열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5방열파이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LED 조명장치에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의 실험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하측에 하나 이상의 LED 소자(260)가 장착되는 기판(200); 상기 기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며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 복수의 방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방열부(100); 및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구(115, 125, 135, 145, 155)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200)은 하면에 하나 이상의 LED 소자(26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ED 소자(260)는 작으므로 복수의 LED 소자를 소정 형태로 배열한다.
상기 기판(200)에는 상기 복수의 LED 소자 외에도 전기 회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200)의 상측에는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가 결합된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의 측면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115, 125, 135, 145, 155)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115, 125, 135, 145, 155)의 개수와 크기 및 배열 형태는 조명장치 및 방열파이프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조명장치의 발열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상기 기판(200)의 상면에 결합되는데,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200)은 LED 소자와 회로 부품들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그 위의 공기를 가열하므로, 가열되어 가벼워진 공기가 상승 기류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에 전도된 열을 식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그 단면적이 계속적으로 커지는 확관일 수도 있으나, 일정한 단면을 가진 부분인 수평관부가 하부에 마련되고 단면적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확관부가 수평관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관부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데, 수평관부가 아니라면 공기유입구를 정확하게 형성하여 제작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상기 기판(200)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장착리브(210, 220, 230, 240, 250)에 하단부 내측면이 접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는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210, 220, 230, 240, 250)에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의 단면은 동심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210, 220, 230, 240, 250)도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5방열파이프(150)의 하단부 내경은 제5장착리브(25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270)를 도포하여 접착한다.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에폭시 수지는 내열성, 접착성, 전기 절연성, 내약품성, 내수성 등이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지만,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경화제와 충전제, 보강제 등과 함께 사용된다.
상기 경화제와 충전제, 보강제에 따라 전기 절연성은 그대로 유지하되 열전도도가 높은 에폭시 수지가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리브와 방열파이프 사이에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여 접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도 열전도가 매우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습기 등이 침투하여 회로 소자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파이프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에폭시 수지에 의해 절연됨으로써 기판(200)의 전류가 방열파이프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는 광원의 효율적인 조사를 위해 반사갓(300)을 구비하는데, 상기 반사갓(300)은 기판(200)의 하면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3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200)과 상기 반사갓(300) 사이의 체결 부위도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200)과 상기 반사갓(300) 사이를 나사로만 체결할 경우 그 사이의 틈으로 수분이 침투할 우려가 있는바, 열전도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로 밀봉함으로써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200)의 상면 중앙에는 내부에 전선(450)이 통과하는 지지파이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400)는 LED 조명장치를 매달아 설치할 경우에 조명장치 전체를 지지하고 내부에 통과하는 전선(4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파이프(400)는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가 형성하는 상부 윤곽면보다 더 높게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ED 조명장치가 천정에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의 상단이 천정에 밀착될 경우 상승된 공기가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파이프(400)의 길이를 방열파이프의 상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방열파이프 위로 올라오는 공기가 반경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방열파이프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는 각각 제5방열파이프 내지 제1방열파이프가 각각 결합된 LED 조명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115, 125, 135, 145, 155)의 개수는 중심에서 외측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115, 125, 135, 145, 155)의 크기는 외측에서 중심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 있다.
제5방열파이프(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외곽에 배치되고 가장 큰 방열파이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방열파이프(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관부(152)와 확관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부(152)에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장공형의 공기유입구(155)가 2열로 15개씩 총 30개의 공기유입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55)는 상부 반원부의 지름이 4mm, 하부 반원부의 지름이 8mm, 전체의 상하 길이가 20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방열파이프(1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관부(142)와 확관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부(142)에 하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장공형의 공기유입구(145) 12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45)는 상부 반원부의 지름이 5mm, 하부 반원부의 지름이 10mm, 전체의 상하 길이가 25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방열파이프(130)는 마찬가지로 수평관부(132)와 확관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부(132)에 원형의 공기유입구(135) 9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35)는 지름 16mm인 원형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열파이프(120)는 마찬가지로 수평관부(122)와 확관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부(122)에 원형의 공기유입구(125) 6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25)는 지름 20mm인 원형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열파이프(110)는 마찬가지로 수평관부(112)와 확관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관부(112)에 원형의 공기유입구(115) 3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구(115)는 지름 24mm인 원형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유입구의 개수는 중심에서 외측에서 갈수록 점점 많아지지만 공기유입구의 크기는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형 또는 장공형의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엄밀하게 그 크기를 비교하지는 않았지만, 대체로 공기유입구가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방열부에서 공기의 대류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의 방열 작용 및 그 효과를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복수의 LED 소자(260)와 전기 회로가 배치된 기판(200)에서 발생되는 열은 장착리브(210, 220, 230, 240, 250)와 방열파이프(110, 120, 130, 140, 150)로 주로 전도에 의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장착리브와 방열파이프 사이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270)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장착리브로부터 방열파이프로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0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기판(200) 위의 공기는 가열되면서 가벼워지므로 상승된다.
그러면, 상승된 부위의 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므로 상기 제5방열파이프(150)의 공기유입구(155)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155)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5방열파이프(150)와 제4방열파이프(140) 사이의 공기 유로를 통해 상승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4방열파이프(140)의 공기유입구(145)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방열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승하고 나머지 일부는 더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상기 제1방열파이프(110)의 내측까지 유입되어 상승한다.
이때, 각 방열파이프는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어 그 단면적이 커지므로 상승되는 공기의 상승 속도가 더욱 커지게 되어 대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승되는 공기는 각각 인접하는 방열파이프와 열교환을 하여 열을 전달받고 가열된 공기가 방열부의 상부 및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래서,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기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고 활발하게 대류하는 공기가 방열파이프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를 작동하였을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판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예를 비교예와 함께 도시한 그래프이다.
비교예의 경우 일반적인 냉각핀을 구비하여 자연 대류에 의해 방열하는 종래의 LED 조명장치를 작동하여 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실험은 산업용 100W DC48V LED 투광등을 실내온도 25℃에서 1시간 동안은 열이 전도되는 상황을 실험한 후 그 후부터는 실내온도를 30℃로 설정한 후 1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의 기판의 온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조명장치 작동 초기인 60분 이내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조명장치를 작동하였을 때 정상 상태의 온도도 90℃로서 상당히 높은 온도를 유지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를 작동한 경우인 실험예의 경우 작동 초기의 온도 상승이 완만할 뿐만 아니라, 정상 상태 온도가 60℃로서 비교예보다 훨씬 낮은 온도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의하면, LED 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와 대류가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방열부
110, 120, 130, 140, 150: 방열파이프
115, 125, 135, 145, 155: 공기유입구
200: 기판
210, 220, 230, 240, 250: 장착리브
270: 에폭시 수지
300: 반사갓
320: 체결부재
370: 에폭시 수지
400: 지지파이프

Claims (10)

  1. 하측에 하나 이상의 LED 소자가 장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확관되며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 복수의 방열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방열부; 및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공기유입구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하측에 일정한 단면적을 가진 수평관부와 상기 수평관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의 개수는 중심에서 외측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유입구의 크기는 외측에서 중심의 방열파이프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장착리브에 하단부 내측면이 접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장착리브에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반사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과 상기 반사갓 사이의 체결 부위는 열전도성 에폭시 수지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열파이프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는 원형 또는 상하로 긴 장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장치는 상기 기판의 상면 중앙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지지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KR1020130110064A 2013-09-13 2013-09-13 Led 조명장치 KR101595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64A KR101595566B1 (ko) 2013-09-13 2013-09-13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64A KR101595566B1 (ko) 2013-09-13 2013-09-13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45A true KR20150030845A (ko) 2015-03-23
KR101595566B1 KR101595566B1 (ko) 2016-02-19

Family

ID=530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064A KR101595566B1 (ko) 2013-09-13 2013-09-13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5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2588A1 (en) * 2010-08-06 2012-02-09 Cheer Shine Lighting Enterprises Ltd. Light source device
KR20120090690A (ko) * 2011-02-08 2012-08-17 아이스파이프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로등 장치
KR20130046710A (ko) * 2011-10-28 2013-05-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유로가 있는 핀과 평판구조의 하이브리드 휜으로 구성된 스마트 히트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2588A1 (en) * 2010-08-06 2012-02-09 Cheer Shine Lighting Enterprises Ltd. Light source device
KR20120090690A (ko) * 2011-02-08 2012-08-17 아이스파이프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로등 장치
KR20130046710A (ko) * 2011-10-28 2013-05-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유로가 있는 핀과 평판구조의 하이브리드 휜으로 구성된 스마트 히트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566B1 (ko)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964B1 (en) LED lamp with a heat sink assembly
US7513653B1 (en) LED lamp having heat sink
US8334640B2 (en) Turbulent flow cooling for electronic ballast
US7654699B2 (en) LED lamp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US7568817B2 (en) LED lamp
US7581856B2 (en) High power LED lighting assembly incorporated with a heat dissipation module with heat pipe
US8459846B2 (en) Heat-dissipating downlight lamp holder
JP6325685B2 (ja) 照明器具
US20080316755A1 (en) Led lamp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KR101300013B1 (ko)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645154B1 (ko) Led 터널등기구
KR100923435B1 (ko) 적층 방열판의 공냉식 방열 통기공간부가 형성된 led 조명등
US20120186798A1 (en) Cooling module for led lamp
KR101799732B1 (ko) 엘이디용 공랭식 방열블록
KR20130044275A (ko) 엘이디 조명 램프용 히트싱크
KR101149795B1 (ko) 엘이디 등기구 구조체
KR101075952B1 (ko) 형광등 대체용 led 조명등
US20170051908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led and led lighting lamp including the same
KR101439286B1 (ko) Led 조명 등기구용 히트싱크
KR200473384Y1 (ko) 공냉식 수직방열판 모듈이 형성된 led 조명등
KR101257283B1 (ko) Led 조명등의 방열체
KR200462430Y1 (ko) 엘이디 조명등
KR101595566B1 (ko) Led 조명장치
US20160201892A1 (en) Lamp Base with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Lamp Thereof, and Illumination Device
KR101043911B1 (ko) 발광다이오드램프의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