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720A -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720A
KR20150029720A KR20157001927A KR20157001927A KR20150029720A KR 20150029720 A KR20150029720 A KR 20150029720A KR 20157001927 A KR20157001927 A KR 20157001927A KR 20157001927 A KR20157001927 A KR 20157001927A KR 20150029720 A KR20150029720 A KR 20150029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actuator
control module
drum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046B1 (ko
Inventor
푸-라이 유
친-티엔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tilting bar and separate raising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7Details of tilting bars and thei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coaxial tilting bar and raising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창문 차양은, 헤드 레일, 복수 개의 슬랫들, 상기 슬랫들 아래에 배열된 하측 부분, 적어도 한 개의 코드 와인딩 유닛, 적어도 한 개의 서스펜션 코드, 래더 코드 조립체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은 제 1 구동 액슬과 제 2 구동액슬, 상기 제 1 구동액슬에 고정된 슬리브,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연결된 변속기 부분, 상기 제 1 구동액슬 주위에 조립된 어레스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릴리스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하측 부분의 수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복수의 슬랫들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변위를 차단하여 상기 하측 부분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구속 상태 및,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운동이 허용되어 상기 하측 부분이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구속해제 상태를 가진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종 방향 축을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레스터를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구동 액슬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PCT 출원은, 2012년 6월 25일에 출원된 대만 특허출원 제 101122682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창문 차양(window shade) 및 상기 창문 차양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 롤러 차양 및 허니콤(honeycomb) 차양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창문 차양들이 시장에서 시판된다. 상기 창문 차양은 하강될 때 창문 면적을 덮어서, 창을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광선 량을 감소시키고 프라이버시(privacy)를 지켜줄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창문 차양은,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코드를 가진다. 특히, 작동 코드는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해 아래로 끌어 당겨지고 창문 차양을 하강시키기 위해 구속해제될 수 있다.
종래기술을 따르는 창문 차양의 구조에 의하면, 작동 코드가 구동 액슬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가 아래로 끌어 당겨질 때, 상기 구동 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한 서스펜션 코드(suspension cord)를 감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가 구속해제될 때, 상기 구동 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을 하강시키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따르는 상기 구조는, 상대적으로 긴 수직 길이를 가진 창문 차양을 위해 작동 코드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작동 코드의 증가된 길이는 창문 차양의 외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에 감겨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사고에 의한 손상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린 아이들이 쉽게 작동 코드에 닿을 수 없도록 작동 코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작동코드가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해 아래로 끌어 당겨질 때, 작동 코드는 아직까지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이동하고 아이들이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정상적인 이용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를 조정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덜 편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작동 코드는 꼬이게 되어 작동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하기 편리하고 더욱 안전하게 이용하며 적어도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는 창문 차양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창문 차양, 창문 차양과 이용하기 적합한 제어 모듈 및 창문 차양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 모듈의 구성은 상기 창문 차양에 구성된 복수 개의 슬랫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의 작동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창문 차양의 하측 부분을 하강시키기 위해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제어 모듈을 전환시키고 상기 슬랫들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은 제 1 구동액슬과 제 2 구동액슬, 상기 제 1 구동액슬에 고정된 슬리브,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연결된 변속기 부분, 상기 제 1 구동액슬 주위에 조립된 어레스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릴리스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하측 부분의 수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복수의 슬랫들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변위를 차단하여 상기 하측 부분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구속 상태 및,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운동이 허용되어 상기 하측 부분이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구속해제 상태를 가진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어레스터와 작동하게 연결되고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레스터를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변속기 부분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 액슬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창문 차양이 설명된다. 상기 창문 차양은, 헤드 레일, 복수 개의 슬랫들, 상기 슬랫들 아래에 배열된 하측 부분, 적어도 한 개의 코드 와인딩 유닛, 적어도 한 개의 서스펜션 코드, 래더 코드 조립체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피봇운동하게 각각 조립된 와인딩 드럼 및 회전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 코드는 상기 와인딩 드럼과 하측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는 회전 부분, 슬랫들 및 하측 부분과 연결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헤드 레일내에 조립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제 1 구동액슬이 상기 와인딩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 2 구동액슬은 상기 회전 부분과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창문 차양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구동 액슬의 회전운동을 차단하는 구속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구속해제 상태로 상기 어레스터를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하향으로 끌어 당겨서 하측 부분이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부분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위치로 회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랫들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종방향 축주위에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코드를 끌어당겨 하측 부분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창문 차양이 가지는 적어도 한 개의 장점은, 작동 코드 및 액추에이터를 각각 작동시켜서 상기 차양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작동 코드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져서 아이들의 목을 조르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다수의 방법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를 아래로 끌어당겨서 창문 차양이 하강되고, 액추에이터의 종방향 축 주위에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켜서 상기 슬랫들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어 모듈을 가진 창문 차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창문 차양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창문 차양 내에 배열된 제어 모듈, 코드 와인딩 드럼 및 두 개의 구동액슬로 구성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어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
도 5는 제어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제어 모듈내에서 이용되는 클러치의 제 1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제어 모듈내에서 이용되는 클러치의 제 2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제어 모듈내에서 제 1 구동 액슬에 고정된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슬리브를 도시한 전방도면.
도 10은, 제어 모듈의 조립된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제어 모듈 내에 배열된 코드 드럼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제어 모듈내에 배열된 어레스터와 릴리스 유닛으로 구성된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제어 모듈내에 배열된 어레스터와 릴리스 유닛으로 구성된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릴리스 유닛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릴리스 유닛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창문 차양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창문 차양이 하강될 때 클러치내에 제공된 안내 트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창문 차양이 목표 높이로 조정되면 초기 위치로 회복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제어 모듈의 액추에이터의 구속해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 1 위치에서 슬랫들의 경사 조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제 2 위치에서 슬랫들의 경사 조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1은,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창문 차양이 상승될 때 제어 모듈 내부에 배열된 코드 드럼과 제 1 커플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3은, 창문 차양이 상승될 때 제어 모듈 내부에 배열된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4는 창문 차양을 상승시키는 동안 제어 모듈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는, 창문 차양이 상승될 때 클러치내에 배열된 안내 트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6은, 작동 코드를 감는 동안 제어 모듈내에 배열된 코드 드럼과 제 1 커플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7은, 코드 드럼이 작동 코드를 감을 때 제어 모듈내에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8은, 코드 드럼이 작동 코드를 감을 때 제어 모듈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9는, 코드 드럼이 작동 코드를 감을 때 클러치 내에 제공된 안내 트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창문 차양(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창문 차양(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창문 차양(100)은 헤드 레일(head rail)(102), 복수 개의 슬랫(slat)(104)들로 구성된 차양 구조체 및 상기 슬랫(104) 세트의 하부에 배열된 하측 부분(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랫(104)과 하측 부분(106)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창문 차양(100)은 제어 모듈(114), 복수 개의 서스펜션 코드(suspension cord)(116), 다수 세트의 래더 코드(ladder cord) 조립체(118) 및 한 개이상의 코드 와인딩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14)은, (점선으로 도시된) 두 개의 구동 액슬(108,109), 작동 코드(110) 및 액추에이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스펜션 코드(116)는 헤드 레일(102)과 하측 부분(106)사이에 배열되고 하나의 관련 와인딩 유닛(120)의 와인딩 드럼(winding drum)(122)과 연결된 제 1 단부 및 상기 하측 부분(106)과 연결된 제 2 단부를 가진다. 하측 부분(106)은, 상기 하측 부분(106)과 헤드 레일(102)사이에서 상기 슬랫(104)들을 콤팩트하게 모으기 위해 상기 헤드 레일(10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부분(106)을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 코드(110)는 아래로 끌어 당겨져서 상기 제어 모듈(114)을 작동시키고 상기 구동 액슬(108)을 회전시키며 다음에 관련 서스펜션 코드(116)를 감기 위해 각 와인딩 유닛(120)의 와인딩 드럼(122)을 회전시킨다.
각각의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각각 슬랫(104)의 후방 및 전방 변부들과 근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코드 세그멘트(cord seg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회전 부분(124)과 연결된 상측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헤드 레일(102)과 하측 부분(106)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각 슬랫(104)의 후방 및 전방 변부들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상기 하측 부분(106)의 후방 및 전방 변부들과 연결된 하측 단부를 가진다.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수직 평면 또는 수평 평면에 대해 상기 슬랫(104)의 경사를 조절하여 슬랫(104)들사이의 간격을 개폐하고 슬랫(104)들을 통과하는 광선 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118)의 수직 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120)의 회전 부분(124)은 상기 구동 액슬(109)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액슬(109)은 제어 모듈(114)에 의해 액추에이터(112)와 작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회전운동은 상기 구동 액슬(109)을 통해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118)의 수직 변위운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또한 제어 모듈(114)을 구속 풀림(unlocking) 또는 구속해제 상태로 변화시켜서, 구동 액슬(108)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4)이 상기 구속해제 상태에 있을 때, 하측 부분(106)은 중력에 의해 자신을 하강시켜서 상기 서스펜션 코드(116)는 각각의 코드 와인딩 유닛(120)으로부터 풀리게 하고 슬랫(104)들을 확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114)은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회전 변위를 구동 액슬(109)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다음에 상기 회전 부분(124)을 회전 구동시켜서 상기 관련 래더 코드 조립체(118)의 수직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14)에 관한 예시적인 구조 및 작동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나중에 설명된다.
다양한 구조들이 상기 슬랫(104)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랫(104)들은 직물 재료, 강성 슬랫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일(102)은 모든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 레일(102)은 상기 창문 차양(100)의 상부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구동 액슬(108) 및 제어 모듈(1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측 부분(106)은 상기 창문 차양(100)의 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부분(106)은 기다란 레일(rail)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형태의 가중(weighing) 구조체가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부분(106)은 상기 슬랫(104)들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슬랫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액슬(108)은 제 1 구동축을 형성할 수 있고 각각 코드 와인딩 유닛(120) 및 제어 모듈(11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부분(106)의 수직 변위는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운동과 관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 코드 와인딩 유닛(120)의 와인딩 드럼(winding drum)(122)은 상기 구동액슬(108)에 고정될 수 있어서, 상기 구동 액슬(108)과 와인딩 드럼(122)은 상기 서스펜션 코드(116)를 감거나 풀기 위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액슬(108)은 상기 제어 모듈(114)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 액슬(108)은 또한, 상기 슬랫(104)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코드(110)를 사용자에 의해 작동시킴에 따라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부분(106)을 상승시키고 상기 슬랫(104)들을 위로 쌓아 올리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작동 코드(110)를 끌어당길 수 있도록 창문 차양(100)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코드(110)는, 상기 하측 부분(106)의 허용된 전체 길이(total course)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작동 코드(110)에 대해 반복적으로 끌어당김(pulling) 및 구속해제 작용의 연속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하측 부분(106)을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슬랫(104)들을 상향으로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코드(110)의 전체 길이는, 확대된 전체 슬랫(104)들이 가지는 높이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작동 코드(110)의 길이는 확대된 전체 슬랫(104)들이 가지는 높이의 삼분의 일일 수 있고, 상기 작동 코드(110)는 전체적으로 상기 슬랫(104)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약 세번 반복적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사용자가 상기 작동 코드(110)를 끌어당겨서 상기 슬랫(104)들을 어느 정도 상승시키고 작동 코드(110)가 되감기며 다음에 상기 작동 코드(110)를 다시 끌어당겨 계속해서 상기 슬랫(104)들을 상승시킬 수 있는 라쳇팅(ratcheting) 기술과 유사하다. 상기 과정은 상기 슬랫(104)들이 목표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제어 모듈(114)을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운동을 허용하여, 상기 하측 부분(106)은 자신의 중량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구속해제될 때, 상기 제어 모듈(114)은 구속해제 상태로부터 구속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액슬(109)은 상기 구동 액슬(108)과 평행한 제 2 구동축을 형성하고 각각 각 코드 와인딩 유닛(120) 및 제어 모듈(114)의 회전 부분(12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구동 액슬(108)과 독립적으로 상기 구동 액슬(109)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고 상기 회전 부분(24)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킨다.
도 2와 관련하여, 도 3은, 제어 모듈(114), 한 개의 코드 와인딩 유닛(120) 및 구동 액슬(108,109)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120)은 상기 제어 모듈(114)과 떨어져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120)은, 와인딩 드럼(122), 회전부분(124) 및 (도 2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하우징(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드럼(122) 및 회전 부분(124)은 각각 상기 하우징(125)내에서 피봇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와인딩 드럼(122)은 와인딩 드럼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점선으로 도시된) 축(122A)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회전 부분(124)은 상기 축(122A) 주위에 피봇 운동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액슬(108)은 상기 제어 모듈(114)과 조립되고 각각 코드 와인딩 유닛(120)의 회전 부분(124) 및 와인딩 드럼(122)를 통과한다. 상기 구동 액슬(108)은 상기 와인딩 드럼(122)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 액슬(108) 및 상기 와인딩 드럼(122)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서스펜션 코드(116)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상기 회전 부분(124)은, 상기 구동 액슬(108)에 대해 공축(coaxial)을 이루며 조립되지만 상기 구동 액슬(108)에 대해 회전구속(rotationally locked)되지 않는 풀리(pulley)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분(124)은 상기 구동 액슬(108) 및 와인딩 드럼(122)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액슬(109)은 상기 제어 모듈(114)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헤드 레일(102)을 따라 상기 구동 액슬(108)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분(124)은, 상기 구동 액슬(108) 주위에 공축을 이루며 배열되고 회전부분에 고정된 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상기 회전 부분(124) 주위에 접촉한 상태로 둘러싸서, 상기 회전 부분(124)의 회전운동은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118)의 수직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어(126)와 근접한 위치에서 기어(128)가 상기 구동 액슬(109) 주위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기어(126,128)들은 각각 중간 기어(130)과 연결될 수 있어서, 상기 구동 액슬(109)은 상기 회전 부분(124)을 구동시켜서 상기 와인딩 드럼(122)과 구동 액슬(10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용이한 조립을 위하여, 상기 기어(128)와 중간 기어(130)는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120)의 하우징(125)내에 피봇운동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128)는 비원형의 중심 구멍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구동 액슬(109)은 상기 기어(28)의 중심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 액슬(109)과 기어(128)를 서로 회전구속(rotationally locked)되게 만든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상기 제어 모듈(11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제어 모듈(114)은, 어레스터(arrester)(132), 릴리스 유닛(134), 코드 드럼(cord drum) 및 클러치(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14)은 또한, 상기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한 방향으로 상기 코드 드럼(136)의 회전을 형성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제어 모듈(114)의 (도면에 도시된) 내부 또는 외부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114)은 하우징(142) 및 커버(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2) 및 커버(144)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용기내에 상기 제어 모듈(114)의 구성부품들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38)는, 상기 구동 액슬(108)에 대한 상기 코드 드럼(136)의 운동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38)가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구동 액슬(108) 및 코드 드럼(136)은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드 드럼(136)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하측 부분(106) 및 하측 부분에 적재된 슬랫(104)들의 중량은 상기 코드 드럼(136)에 대해 상기 구동 액슬(108)을 회전구동시켜서, 상기 하측 부분(106)이 하강하고 상기 슬랫(104)들은 확대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액슬(108)은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있고 상기 코드 드럼(136)이 회전하여 상기 작동 코드(110)를 감아 잡아 올리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110)를 아래로 끌어당기면, 상기 클러치(138)는 연결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38)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 드럼(136) 및 구동 액슬(108)은 클러치(138)를 통한 운동 전달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여 하측 부분(106)을 들어올리고 상기 슬랫(104)들을 위를 향해 적재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138)는 상기 어레스터(132)와 상기 코드 드럼(136)사이에서 고정축(146) 주위에 조립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138)는 제 1 커플링(150), 제 2 커플링(152), 스프링(154), 연결 부재(156) 및 롤링 부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링 부분(160)은 예를 들어, 볼(ball)일 수 있다. 상기 클러치(138)는 추가로 슬리브(sleeve)(16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할 때, 상기 연결 부재(156)는 상기 고정 축(14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축(146)은 상기 구동 액슬(108)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 축(146)은 상기 구동 액슬(108)에 대해 공축을 이루는 커버(14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1 커플링(150)은 상기 고정 축(146)의 일부분과 피봇운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 2 커플링(152)은 상기 연결 부재(156)와 피봇운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150,152)은 상기 고정 축(146)에 대해 고정 축(146)과 상기 구동 액슬(108)을 따라 형성되는 공통 축 주위에서 회전하여 상기 클러치(138)를 연결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로 전환시킨다.
도 6을 참고할 때,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제 2 커플링(152)과 짝을 이룬다. 특히,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두 개의 단부 부분들사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외부 표면(16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 표면(162)은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주변부를 따라 연장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클러치(138)의 안내 트랙(guide track)(164)을 형성하는 요홈 구조의 영역 및 상기 안내 트랙(164)과 상호작용하는 한 개이상의 노치(notch)(16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노치(165)들은 서로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마주보는 두 개의 반경 방향 플랜지(150A)들을 가지고 상기 코드 드럼(136)과 근접한 제 1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드 드럼(136)은 상기 반경 방향 플랜지(150A)와 접촉하여, 상기 코드 드럼(136)의 회전은 상기 제 1 커플링(150)을 회전하게 만든다.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적어도 한 개의 반경 방향 지지부(168)를 가지고 제 2 커플링(152)과 근접한 제 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반경 방향 지지부는 상기 노치(165)와 근접하게 배열된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반경 방향 지지부(168)들이 상기 노치(165)와 각각 근접하게 배열된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외부 표면에서 마주보는 두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반경 방향 지지부(168)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슬롯(16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슬롯(169)들이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들에 제공되고 상기 위치들은 각각 상기 반경 방향 지지부(168)들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도 7을 참고할 때, 상기 제 2 커플링(152)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커플링(150)과 짝을 이룬다. 상기 제 2 커플링(152)은 직경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반경 방향 리브(172)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반경 방향 리브(172)는 외부 표면(174) 및 연장부(17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6)는 상기 반경 방향 리브(172)로부터 상기 제 2 커플링(152)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 1 커플링(150) 및 제 2 커플링(152)이 서로 조립된 후에,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외부 표면(162)과 상기 제 2 커플링(152)의 외부 표면(174)사이에 밀폐된 안내 트랙(guide track)(1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트랙(164)은 상기 제 1 커플링(150)과 제 2 커플링(152) 주위에서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반경 방향 리브(172)는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해당 노치(notch)(165)와 근접한 위치에서 운동할 수 있게 배열된다. 상기 연장부(176)는 상기 제 1 커플링(150)과 제 2 커플링(152)사이의 상대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한 개의 해당 슬롯(169)속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4 및 도 5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반경 방향 리브(172)들이 각각 상기 노치(165)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안내 트랙(164)의 경로에 복수 개의 정지 영역(stop regions)(177)을 형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는 슬리브(16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슬리브(161)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고 구동 액슬(108)에 고정되어, 상기 슬리브(161)는 상기 구동 액슬(108)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61)는 중심 공동(178) 및 반경 방향 슬롯(17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슬롯(179)은 상기 중심 공동(178)의 내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액슬(108)의 축과 평행하게 선형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클러치(138)가 조립될 때, 상기 제 1 커플링(150) 및 제 2 커플링(152)은 상기 중심 공동(178)내에 배열되어, 상기 안내 트랙(164)은 상기 반경 방향 슬롯(179)의 길이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롤링 부분(160)은 상기 안내 트랙(164) 및 반경 방향 슬롯(179)내에 배열될 수 있다.
클러치(138)가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커플링(150) 및 제 2 커플링(152)의 상대 위치가 형성되어, 상기 코드 드럼(136)과 독립적으로 상기 구동 액슬(108)과 슬리브(161)가 회전운동하여 상기 롤링 부분(160)이 상기 제 1 커플링(150) 및 제 2 커플링(152)과 상기 슬리브(161)에 대해 반경 방향 슬롯(179)과 안내 트랙(16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클러치(138)가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 제 2 커플링(152)은 상기 제 1 커플링(150)에 대해 제 2 위치로 회전변위를 발생시켜서 요홈 형상을 가진 정지 영역(177)들이 안내 트랙(164)내에 형성된다. 상기 정지 영역(177)들은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 트랙(164)의 적어도 한 개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노치(165)들의 영역들에서 요홈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링 부분(160)은 상기 안내 트랙(164) 및 반경 방향 슬롯(179)을 따라 이동하고 다음에 정지 영역(177)에 들어가서 정지한다. 그 결과, 코드 드럼(136)의 회전운동이 제 1 및 제 2 커플링(150,152)들에 의해 전달되고 제한된 롤링 부분(160)을 통해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로 전달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클러치(138)는 회전운동을 상기 코드 드럼(136)으로부터 상기 구동 액슬(108)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도 10 및 도 11은 (코드 드럼(136)과 슬리브(161)를 포함한) 제어 모듈(114)의 일부분에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코드 드럼(136)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코드 드럼(136)은 고정 축(146)과 피봇운동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2 커플링(152)과 마주보는 제 1 커플링(150)의 측부와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드 드럼(136)은 상기 작동 코드(110)와 연결되어, 코드 드럼(136)의 회전에 의해 작동 코드(110)가 코드 드럼위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링(150)과 근접한 코드 드럼(136)의 단부 부분은 적어도 한 개의 반경 방향 플랜지(136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플랜지(136A)는, 상기 클러치(138)의 회전구동을 위해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플랜지(150A)와 접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할 때, 상기 코드 드럼(136)은 스프링(1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0)은, 코드 드럼(136) 주위에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해 상기 코드 드럼(136)을 회전상태로 편향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0)은 예를 들어, 코드 드럼(136)의 내부 공동에 조립되는 토션(torsion)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고정 축(146)에 고정된 제 1 단부 및 코드 드럼(136)에 고정된 제 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드 드럼(136)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편향 작용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해 고정 축(146)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도 12 및 도 13은 어레스터(132)와 릴리스 유닛(134)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어레스터(132)는 상기 구동 액슬(108) 주위에 조립되고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축(X)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어레스터(132)는 구속 상태 및 구속 해제 또는 구속 풀림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구속 상태에서, 상기 어레스터(132)는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을 제위치에 구속하기 위해 슬리브(161) 위에 조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의 회전운동이 차단되고, 슬랫(104)들과 하부 부분(106)은 목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구속해제 또는 구속 풀림 상태에서, 상기 어레스터(132)는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을 이완(relax)시키고 회전운동을 허용하여, 상기 슬랫(104)과 하측 부분(106)은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어레스터(132)는 스프링(180) 예를 들어, 랩핑(wrapping)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0)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슬리브(161)의 주변 표면을 둘러싼다. 상기 스프링(180)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prong(180,180A)을 포함한다. 제 1 돌출부(180A)는 하우징(142)에 고정되고 제 2 돌출부(180B)는 칼라(collar)(18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0)은 구속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61)에 조여지고 구속해제 상태에서 느슨해질 수 있다.
상기 릴리스 유닛(134)은 상기 어레스터(132)와 연결될 수 있고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상기 어레스터(132)를 구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릴리스 유닛(134)은 칼라(collar)(182), 변속기 부분(184), 기다란 당김 부재(186) 및 액추에이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라(182)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반원형상, 곡선 형상 등과 같은 다른 형상들이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칼라(182)는 상기 슬리브(161)와 상기 코드 드럼(136)사이에서 더욱 특별하게 상기 슬리브(161)와 제 1 커플링(150)사이에서 피봇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칼라(182)는 상기 구동액슬(108)의 회전축(X) 주위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칼라(182)는 또한 상기 회전축(X)으로부터 편심 상태로 배열된 구멍(182A) 및 상기 회전축(X) 주위에 장착될 수 있는 기어 부분(18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0)의 제 2 돌출부(180B)는 상기 칼라(182)를 고정하기 위해 구멍(182A)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84)은, 상기 액추에이터(112)와 칼라(182)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회전가능한 변속기 부분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변속기 부분(184)은 상기 하우징(142) 또는 커버(144)와 피봇운동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피봇축은 사실상 상기 구동 액슬(108)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제 1 측부 부분은, 상기 칼라(182)의 기어 부분(182B)과 연결될 수 있는 기어 부분(18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제 2 부분은 상기 기어 부분(188)에 고정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당김 부재(18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당김 부재(186)는 각각, 상기 변속기 부분(184) 및 액추에이터(1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당김 부재(186)는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가요성 재료에 의해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원통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고 풀릴 수 있는 스트립(strip) 또는 밴드(ban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 부재(186)는 상기 변속기 부분(184)에 고정된 제 1 단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112)와 연결된 제 2 단부를 가진 당김 코드(drawing cord)일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하향 운동이 상기 당김 부재(186)에 의해 전달되어 상기 변속기 부분(184)을 회전하며 끌어당기고 다음에 기어 부분(188,182B)들사이의 연결에 의해 칼라(182)가 회전운동하고 상기 어레스터(132)는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상태로 전환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12를 참고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헤드 레일(102)로부터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헤드 레일(102)의 한쪽 측부에 배열되고 칼라(182), 변속기 부분(184) 및 당김 부재(186)에 의해 상기 어레스터(132)와 작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단부 커넥터 조립체(122A) 및 기다란 스틱(stick) 부분(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틱 부분(112B)은 상기 단부 커넥터 조립체(112A)와 피봇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용이한 작동을 위해 수직방향에 대해 상기 스틱 부분(112B)을 쉽게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단부 커넥터 조립체(112A)는 상기 당김 부재(186)의 제 2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버(144)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112) 및 당김 부재(186)는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커넥터 조립체(122A)는 미끄럼 프레임(sliding frame)(190) 및 조인트 부분(1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조인트 부분(192)은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은 상기 커버(144)의 연장부(144A)에 조립되고, 상기 조인트 부분(192)은 각각 서로 다른 피봇축 주위에서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 및 스틱 부분(112B)에 피봇운동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 조인트 부분(192) 및 스틱 부분(112B)은 하우징(142)과 커버(144)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외부 케이싱에 대해 일체로 상하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부분(192) 및 스틱 부분(112B)은, 상기 스틱 부분(112B)을 따라 형성된 종 방향 축(Y) 주위에서 미끄럼 프레임(190), 하우징(142) 및 커버(144)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을 조인트 부분(192)에 피봇운동하며 조립하기 위하여, 실시예는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의 한쪽 단부에서 곡선 부분(190A)을 제공하고, 상기 조인트 부분(192)은 상기 조인트 부분(192)과 상기 미끄럼 프레임(190)을 피봇운동하며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곡선 부분(190A)의 형상과 짝을 이루는 슬롯(19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틱 부분(112B)은 단부 커넥터 조립체(112A)를 통해 종 방향 축(Y)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42)과 커버(144)에 의해 형성된 외부 케이싱에 대해 종 방향 축(Y)을 따라 상하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하우징(142)과 커버(144)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케이싱에 대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구동 액슬(109)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종 방향 축(Y) 주위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 액슬(109)은 회전된다.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기 당김 부재(186)를 아래로 끌어당겨서, 상기 변속기 부분(184)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기어부분(188)과 상기 칼라(182)의 기어 부분(182B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변속기 부분(184)의 회전은 상기 어레스터(132)를 구속해제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을 허용한다.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한 개이상의 전달부분들에 의해 상기 구동 액슬(109)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두 개의 변속기 부분(194,195)들은 상기 액추에이터(112)를 상기 구동 액슬(109)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42)내에서 피봇운동하며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94)은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피봇축을 가지며, 상기 피봇 축은 상기 하우징(142)에 대해 단부 커넥터 조립체(122A)의 미끄럼 축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피봇축은 수직축에 대해 각을 이루며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변속기 부분(194)은, 상기 조인트 부분(192)과 결합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는 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변속기 부분(194) 및 조인트 부분(192)은 서로 트랜지션 핏(transition fit) 상태로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상호 짝을 이루는(complementarily mating) 원추형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변속기 부분(194) 및 조인트 부분(192)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슬롯(slotted) 및 돌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상기 조인트 부분(192)은 반경 방향의 리브를 가진 연장부(192B)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 부분(194)은 상기 연장부(192B)의 반경 방향 리브와 짝을 이루는 반경 방향 슬롯을 가진 내부의 측벽을 가진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94)은 조인트 부분(192)과 연결될 때, 상기 연장부(192B)상의 리브가 상기 변속기 부분(194)의 반경 방향 슬롯과 연결되어, 상기 변속기 부분(194)을 상기 조인트 부분(192)과 회전구속하고 동시에 상기 변속기 부분(194)에 대해 상기 조인트 부분(192)이 상하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각각 상하로 운동할 때 상기 조인트 부분(192)은 상기 변속기 부분(194)을 향해 이동하고 변속기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할 수 있다.
변속기 부분(195)은 종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구동 액슬(109)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95)은 상기 구동액슬(109)에 고정되고, 상기 변속기 부분(195)과 구동 액슬(109)은 동일 축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 부분(194,195)들은 기어 변속기(19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변속기(196)는 워엄(worm) 기어, 헬리코이드(helicoid) 기어, 원추형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변속기 부분(194)과 조인트 부분(192)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 방향 축(Y)을 중심으로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 액슬(109)은 상기 변속기 부분(195,194)들과 기어 변속기(19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액슬(109)의 회전은 기어(126,128)들과 중간 기어(130)에 의해 회전 부분(124)으로 전달되고 결과적으로 회전 부분이 회전운동하여 상기 슬랫(104)들의 기울기를 조정하도록 해당 래더 코드 조립체(118)의 수직변위를 형성한다.
상기 작동 코드(110)는, 상기 변속기 부분(194)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내부를 따라(즉, 조인트 부분(192) 및 스틱 부분(112B)을 통해) 이동(routed)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110)의 하측 단부가 플러그(plug)(19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110)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러그(197)는 액추에이터(112)의 하측 단부에 대해 지지되어, 상기 작동 코드(110)가 상기 액추에이터(112)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작동 코드(11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을 때, 스프링(180)은 슬리브(161) 주위를 조여서 상기 구동 액슬(108)의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상기 슬랫(104)들과 하측 부분(106)은 어레스터(132)의 구속작용에 의해 정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61)는 상기 구동 액슬(108)과 조립되는 다양한 형상의 모든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클러치와 작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며 상기 구동 액슬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리브(161)는 또한 상기 구동 액슬(108)과 일체로 구성되고 스프링(180)은 상기 구동 액슬(108)상에 조여져서 구동 액슬의 회전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하향으로 끌어 당겨지지 않을 때, 사용자는 종 방향 축(Y)을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상기 회전운동은 변속기 부분(194,195)들, 구동 액슬(109), 기어(126, 128)들과 중간 기어(130)에 의해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분(124)을 회전변위를 형성한다. 그 결과, 관련된 래더 코드 조립체(118)는 상기 슬랫(104)들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할 때, 릴리스 유닛(134)의 작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사용자가 상기 하측 부분(106)을 하강시키려고 할 때, 액추에이터(112)는 부드럽게 아래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그 결과, 당김 부재(186)는 액추에이터(112)에 의해 끌어 당겨져서, 상기 변속기 부분(184)을 회전시키며 다음에 기어 부분(188,182B)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 액슬(108)의 회전축(X) 주위에서 상기 칼라(182)의 회전변위를 발생시킨다. 상기 칼라(182)의 상기 회전운동은, 상기 스프링(180)을 느슨하게 만들기 위한 제 2 돌출부(180B)의 변위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어레스터(132)는 구속 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가 하향으로 이동할 때, 조인트 부분(192)은 또한 상기 변속기 부분(194)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와 관련하여, 도 16은 상기 창문 차양(100)을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7은 상기 창문 차양(100)이 하강될 때 클러치(138)내부의 안내트랙(164)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어레스터(132)가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하측 부분(106) 및 하측 부분에 쌓인 슬랫(104)들의 총 중량은 상기 서스펜션 코드(116)를 끌어당겨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120)의 와인딩 드럼(122)으로부터 풀어지게 만들고 다음에 구동 액슬(108)이 상기 코드 드럼(136)에 대해 회전하게 만든다. 하측 부분(106)을 하강시키기 위해 구동 액슬(108) 및 슬리브(161)가 회전할 때, 상기 코드 드럼(136)은 정지 상태로 유지되고,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롤링 부분(160)은 상기 제 1 커플링(150), 제 2 커플링(152) 및 슬리브(161)에 대해 반경 방향 슬롯(179)과 안내 트랙(164)를 따라 구름운동하고 이동한다. 특히 상기 하측 부분(106)이 하강할 때, 상기 스프링(154)은 마찰 저항을 형성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150,152)을 정지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커플링(138)는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즉 상기 안내 트랙(164)내에 정지 영역(177)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클러치(138)가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커플링(152)의 반경 방향 리브(172)는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노치(165)내에 위치한 반경 방향 지지부(168)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아래로 이동하는 상기 하측 부분(10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액추에이터(112)는 구속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슬리브(161) 주위에서 조여진 상태를 탄성회복할 수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132)는 상기 구동 액슬(108)과 슬리브(161)의 회전운동을 차단하기 위해 구속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부분(106)은 원하는 높이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0)이 조여진 상태를 회복할 때, 상기 칼라(18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기어 부분(182B,188)들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변속기 부분(184)은 상기 당김 부재(186)를 회전시키고 부분적으로 감는다. 결과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당김 부재(186)를 통해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조인트 부분(192)이 제 1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변속기 부분(194)을 지지하고 결합할 때까지 상기 액추에이터(112)는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상기 슬랫(104)들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하측 부분(106)이 원하는 높이에 유지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스틱 부분(112B)은 종 방향 축(Y)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스틱 부분(112B)의 회전운동은 서로 연결된 상기 조인트 부분(192)과 변속기 부분(194), 변속기 부분(195), 구동 액슬(109), 기어(126,128)들 및 중간 기어(130)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회전 부분(124)의 회전 변위를 발생시키고 다음에 래더 코드 조립체(118)가 수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슬랫(104)들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도 21 내지 도 25는 상기 창문 차양(100)을 상승시키는 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할 때, 사용자가 하측 부분(106)을 상승시키려고 할 때, 상기 작동 코드(110)가 아래로 끌어 당겨질 수 있어서 작동 코드(110)는 코드 드럼(136)으로부터 풀리고 일반적으로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액추에이터(112)의 내부를 통해 이동한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코드 드럼(136)이 상기 작동 코드(110)의 풀림을 위해 회전운동할 때, 상기 코드 드럼(136)의 반경 방향 플랜지(136A)는 제 1 커플링(150)의 반경 방향 플랜지(150A)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23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제 1 커플링(150)의 반경 방향 지지부(168)가 상기 제 2 커플링(152)의 반경 방향 리브(rib)(172)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상기 제 2 커플링(152)에 대해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도 24 및 도 25에 더욱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 1 커플링(150)에 대한 제 2 위치에 상기 제 2 커플링(152)이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상기 안내 트랙(164)내에 정지 영역(177)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 코드(110)가 연속적으로 아래로 끌어 당겨질 때, 상기 롤링 부분(160이 하나의 정지 영역(177)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코드 드럼(136)과 클러치(138)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는 다음 정지 영역(177)까지 롤링 부분(160)의 경로(course)를 감소시키기 위해 안내 트랙(164)내에 두 개의 정지 영역(177)들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선택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 정지 영역(177)을 가진 안내 트랙(164)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롤링 부분(160)이 하나의 정지 영역(177)에 도달할 때, 상기 클러치(138)는 연결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롤링 부분(160)가 동시에 상기 슬리브(161)의 반경 방향 슬롯(179) 및 정지 영역(177)과 연결되기 때문에, 작동 코드(110)에 대해 추가로 아래로 끌어당기는 작용은 코드 드럼(136)을 회전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플랜지(136A, 150A)들이 접촉하기 때문에, 코드 드럼(136)의 회전운동은 클러치(138)로 전달되고 다음에 상기 롤링 부분(160)이 상기 슬리브(161)의 반경 방향 슬롯(179) 및 클러치(138)의 정지 영역(177)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회전운동은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로 절달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6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180)의 제 1 돌출부(180A)는 하우징(142)의 내부 표면에 지지될 수 있어서,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슬리브(161)에 대해 조여진 상태로부터 느슨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어레스터(132)는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코드(110)가 아래로 끌어 당겨지면, 회전변위가 상기 클러치(138)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코드 드럼(136), 슬리브(161) 및 구동 액슬(108)을 동시에 회전시키고 상기 하측 부분(106)을 상승시키는 연결상태로 상기 클러치(138)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부분(106)이 위로 이동할 때, 사용자는 언제든지 예를 들어, 상기 하측 부분(10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또는 작동 코드(110)가 상기 코드 드럼(136)으로부터 완전히 풀어진 후에, 상기 작동 코드(110)를 구속해제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코드(110)가 구속해제될 때, 상기 스프링(180)은 상기 슬리브(161)주위에 조여진 상태를 회복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0)의 조이는 작용(tightening action)은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의 운동을 구속하고 차단할 수 있고, 슬랫(104)들과 하측 부분(106)은 원하는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스프링(180)은 코드 드럼에 상기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해 상기 코드 드럼(136)을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할 때, 상기 코드 드럼(136)이 반대로 회전할 때 상기 코드 드럼(136)의 반경 방향 플랜지(136A)는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반대쪽 반경 방향 플랜지(150A)와 접촉하고 가압하며, 상기 제 1 커플링(150)은 상기 제 2 커플링(152)에 대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고할 때, 상기 제 1 커플링(150)과 코드 드럼(136)이 회전하면,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내 트랙(164)내에 정지 영역(177)들이 형성되지 못하는 또 다른 지지 위치에 상기 제 1 커플링(150)이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 1 커플링(150)의 각 반경 방향 지지부(168)를 지지부와 근접한 반경 방향 리브(172)로부터 떨어져 이동하게 만든다.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연장부(176)가 상기 슬롯(169)의 측부 변부(169A)에 지지되면, 상기 안내 트랙(164)은 정지 영역(177)을 가지지 않는 구조로 회복될 수 있고, 상기 클러치(138)는 분리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180)은 상기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해 상기 코드 드럼(136)을 계속해서 반대로 회전하게 만들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150, 152)은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안내 트랙(164)내에 정지 영역(177)이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커플링(150, 152)의 회전운동은 상기 롤링 부분(160)을 상기 슬리브(161)의 반경 방향 슬롯(179) 및 안내 트랙(164)을 따라 이동하게 만든다. 사기 작동 코드(110)를 감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150, 152)과 코드 드럼(136)이 회전할 때, 상기 스프링(180)에 의해 형성되는 구속작용에 의해 상기 슬리브(161)와 구동 액슬(108)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코드 드럼(136)이 상기 작동 코드(110)를 감는 동안 상기 하측 부분(106)과 슬랫(104)들은 각각 현재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코드 드럼(136)이 상기 작동 코드(110)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감은 후에(상기 코드 드럼(136)이 상기 작동 코드(110)를 완전히 감을 때 플러그(192)가 상기 액추에이터(112)의 하측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하측 부분(106)을 상승시키고 상기 슬랫(104)들을 쌓기 위해 상기 작동 코드(110)를 다시 아래로 끌어당길 수 있다. 상기 작동 단계는 상기 하측 부분(106)과 슬랫(104)들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2)와 릴리스 유닛(134)의 기능과 작동은 제어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2)와 릴리스 유닛(134)은 클러치의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진 제어 모듈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러치는 한 개의 커플링을 가지고 상기 슬리브는 기어 부분을 가지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슬리브와 연결되고 분리되기 위해 상기 구동 액슬(108)의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커플링을 구성하여 연결상태와 분리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조와 작동에 의해 기다란 액추에이터가 창문 차양의 용이한 작동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아래로 끌어 당겨져서 제어 모듈의 어레스터를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창문 차양은 중력작용에 의해 자체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창문 차양의 슬랫들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종 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어 모듈은, 다수의 조정기능을 제공하고 편리하게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가진다.
상기 구조와 방법의 구성은 단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상기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변형예들, 수정예들, 추가 구성과 개선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부품들을 위해 복수의 예들이 단일 예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조에서 개별적인 구성 부품들로서 도시된 구조들과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부품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변형예들, 수정예들, 추가 및 개선이 하기 청구범위에 속한다.
100.....창문 차양,
112.....액추에이터,
114.....제어 모듈,
116.....서스펜션 코드,
118.....래더 코드 조립체,
120.....코드 와인딩 유닛,
108,109.....구동 액슬

Claims (20)

  1.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로서,
    제 1 구동액슬과 제 2 구동액슬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하측 부분의 수직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액슬은 상기 창문 차양의 복수의 슬랫들의 경사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구동액슬에 고정된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연결된 변속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액슬 주위에 조립된 어레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변위를 차단하여 상기 하측 부분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구속 상태 및,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운동이 허용되어 상기 하측 부분이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구속해제 상태를 가지고,
    액추에이터를 포함한 릴리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어레스터와 작동하게 연결되고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사실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어레스터를 구속상태로부터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변속기 부분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액슬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변속기 부분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작동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 축 주위에서 액추에이터의 회전 변위가 상기 제 2 구동액슬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변속기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며, 액추에이터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변속기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부분은 기어 변속기에 의해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변속기는 워엄(worm) 기어, 헬리코이드(helicoid) 기어 또는 원추형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6. 제 1 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단부 커넥터 및 스틱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단부 커넥터가 상기 외부 케이싱에 조립되어 상기 스틱 부분은 종방향 축 주위를 회전하고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넥터는 미끄럼 프레임 및 조인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부분은 상기 미끄럼 프레임괴 피봇운동하게 조립되고 상기 변속기 부분과 연결되도록 이동하며, 상기 미끄럼 프레임은 상기 외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여 상기 조인트 부분이 상기 변속기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변속기 부분을 향해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코드 드럼 및, 상기 코드 드럼과 연결되는 작동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 코드는 상기 조인트 부분과 스틱 부분을 통과하며,
    상기 어레스터 및 상기 코드 드럼과 연결되는 클러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작동 코드에 대해 끌어당기는 작용은 상기 코드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클러치를 연결상태로 전환시켜서 코드 드럼의 회전운동은 연결상태의 클러치를 통해 전달되어 슬리브와 제 1 구동액슬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 주위에 조립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구속상태에서 슬리브에 조여지고 구속해제 상태에서 느슨해지며, 상기 작동 코드에 대해 끌어당기는 작용은 상기 스프링을 구속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 주위에 조립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구속상태에서 슬리브에 조여지고 구속해제 상태에서 느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유닛은
    상기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칼라,
    상기 칼라와 연결된 제 2 변속기 부분, 및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 및 액추에이터와 각각 연결된 당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제 2 위치까지 하향변위를 형성하여 상기 당김 부재에 대해 끌어 당겨서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을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들고,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축 주위에서 상기 칼라의 회전변위를 형성하고 스프링은 느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부재는 당김 코드이고, 제 2 변속기부분이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당김 코드는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기며,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당김 코드는 상기 제 2 변속기 부분으로부터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를 가지고 랩핑(wrapping) 스프링이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어 모듈의 하우징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칼라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코드 드럼,
    상기 코드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내부를 통과하는 작동 코드 및,
    상기 어레스터와 상기 코드 드럼사이에 배열된 클러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 코드에 대한 끌어당기는 작용은 상기 코드 드럼을 회전하게 만들며 클러치를 연결위치로 전환시켜서, 상기 코드 드럼의 회전운동은 연결상태의 클러치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슬리브와 제 1 구동 액슬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스터는 상기 슬리브 주위에 조립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구속상태에서 슬리브상에 조여지며 상기 스프링은 구속해제 상태에서 느슨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액슬은 상기 제 2 구동액슬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모듈.
  17. 창문 차양으로서,
    헤드 레일,
    복수 개의 슬랫들,
    상기 슬랫들아래에 배열된 하측 부분,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피봇운동하게 각각 조립된 와인딩 드럼 및 회전 부분을 포함한 적어도 한 개의 코드 와인딩 유닛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 개의 서스펜션 코드 및 래더 코드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 코드는 상기 와인딩 드럼과 하측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래더 코드 조립체는 회전 부분, 슬랫들 및 하측 부분과 연결되며,
    제 1 항을 따르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코드 와인딩 유닛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헤드 레일내에 조립되며, 상기 제어 모듈의 제 1 구동액슬이 상기 와인딩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의 제 2 구동액슬은 상기 회전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드럼 및 회전 부분은 상기 제 1 구동 액슬 주위에서 공축구조로 배열되고, 상기 회전부분은 상기 와인딩 드럼에 대해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액슬은 복수 개의 기어들에 의해 상기 회전 액슬과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
  20. 헤드 레일, 하측 부분, 상기 헤드 레일과 하측 부분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슬랫들, 상기 하측 부분 및 와인딩 드럼과 연결된 서스펜션 코드, 상기 슬랫들 및 회전 부분과 연결된 래더 코드 조립체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제 1 및 제 2 구동액슬, 어레스터, 작동 코드 및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창문 차양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액슬의 회전운동을 차단하는 구속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구동액슬의 회전운동을 허용하는 구속해제 상태로 상기 어레스터를 전환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하향으로 끌어 당겨서 하측 부분이 중력작용에 의해 하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부분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속해제하여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위치로 회복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랫들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종방향 축주위에서 액추에이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코드를 끌어당겨 하측 부분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차양을 작동시키는 방법.
KR1020157001927A 2012-06-25 2013-01-04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KR101763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122682A TWI531717B (zh) 2012-06-25 2012-06-25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TW101122682 2012-06-25
PCT/US2013/020205 WO2014003824A1 (en) 2012-06-25 2013-01-04 Window shade, its control modu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720A true KR20150029720A (ko) 2015-03-18
KR101763046B1 KR101763046B1 (ko) 2017-07-28

Family

ID=4977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927A KR101763046B1 (ko) 2012-06-25 2013-01-04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062492B2 (ko)
EP (1) EP2877666B1 (ko)
JP (1) JP6002317B2 (ko)
KR (1) KR101763046B1 (ko)
AU (1) AU2013281192B2 (ko)
BR (1) BR112014032342A2 (ko)
CA (1) CA2875301C (ko)
MX (1) MX350674B (ko)
MY (1) MY177330A (ko)
PH (1) PH12014502888B1 (ko)
PL (1) PL2877666T3 (ko)
RU (1) RU2585554C1 (ko)
TW (1) TWI531717B (ko)
WO (1) WO2014003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6514B1 (en) * 2009-04-30 2013-01-16 Frener & Reifer GmbH/Srl Coaxial double drive assembly applicable with shielding elements of a secondary skin façade of a building
US9765864B2 (en) * 2012-02-23 2017-09-19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TWI604124B (zh) * 2012-02-23 2017-11-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模組
TWI531717B (zh) * 2012-06-25 2016-05-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AU2012101508A4 (en) * 2012-10-04 2012-11-08 Acmeda Pty Ltd Spindle cover
US8851148B2 (en) * 2013-02-22 2014-10-07 Shih-Ming Lin Window blind
CN104274053B (zh) * 2013-07-05 2016-12-07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其操控系统及操作方法
KR101359513B1 (ko) * 2013-08-27 2014-02-07 곽재석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KR101916646B1 (ko) * 2014-06-09 2018-11-07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이의 구동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WO2015191118A1 (en) * 2014-06-09 2015-12-17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TWI570318B (zh) * 2014-06-09 2017-02-1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致動系統
CN204126527U (zh) * 2014-08-19 2015-01-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及其遮蔽结构的升降控制模块
TWI583858B (zh) 2015-01-20 2017-05-2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及其控制系統
TWI588347B (zh) * 2015-03-19 2017-06-21 Ya-Ying Lin Curtain roll closing reducer
CN205605050U (zh) 2016-01-22 2016-09-28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的阻尼装置
US10612299B2 (en) 2016-01-22 2020-04-07 Nien Made Enterprise Co., Ltd. Control device of window covering system
CN205532187U (zh) 2016-01-29 2016-08-31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升降控制结构
US10655385B2 (en) 2016-02-19 2020-05-19 Hunter Douglas Inc. Dual cord operating system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CN205400553U (zh) * 2016-03-04 2016-07-27 关健民 一种窗帘
CN107269203B (zh) 2016-04-06 2019-05-17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窗帘控制机构及其窗帘系统
TWM552535U (zh) * 2017-06-21 2017-12-01 Fresh Spring International Inc 百葉窗及其百葉窗角度調節器
US10900280B2 (en) 2017-09-20 2021-01-26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having a speed regulating assembly
US11713620B2 (en) * 2017-10-24 2023-08-01 Maxxmar Inc. Blind control having a narrow profile drive
DE102017221343A1 (de) * 2017-11-28 2019-05-29 Sirona Dental Systems Gmbh Zahnersatzformblo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ahnersatzteils aus dem Zahnersatzformblock
JP7284004B2 (ja) * 2019-06-28 2023-05-30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JP7311364B2 (ja) * 2019-06-28 2023-07-19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JP7281982B2 (ja) * 2019-06-28 2023-05-26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TWI708887B (zh) * 2019-09-20 2020-11-01 程田有限公司 窗簾控制器
EP4118288A1 (en) * 2020-03-09 2023-01-18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TWM612136U (zh) * 2020-12-14 2021-05-21 慶豐富實業股份有限公司 捲簾傳動機構
US20230086941A1 (en) * 2021-09-22 2023-03-23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649A (en) * 1993-07-05 1996-09-10 Kabushiki Kaisha Nichibei Blind apparatus
US5904198A (en) * 1997-04-18 1999-05-18 Huang; Tai-Long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850863A (en) * 1997-04-18 1998-12-22 Huang; Tai-Long Operating device for a venetian blind to control raising and lowering of the slats and to adjust tilting angle of the slats
US5973437A (en) 1997-05-19 1999-10-26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cheme for sensing ballast lamp current
US6142211A (en) * 1999-08-10 2000-11-07 Judkins; Ren Shade operator with release brake
TW549349U (en) * 2002-12-30 2003-08-21 Ind Tech Res Inst Positioning and locking device for roll-up window curtains
TW575071U (en) * 2003-01-14 2004-02-01 Beautiful Window Entpr Co Ltd Venetian blind with cord winding device
US7624785B2 (en) 2007-07-19 2009-12-01 Teh Yor Co., Ltd. Self-raising window covering
JP5325529B2 (ja) * 2008-10-28 2013-10-23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CN102369334B (zh) * 2009-04-28 2014-07-23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横式百叶窗的叶片驱动装置
US8356653B2 (en) * 2010-08-25 2013-01-22 Teh Yor Co., Ltd.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TWI531717B (zh) * 2012-06-25 2016-05-0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4014997A (es) 2015-03-05
EP2877666B1 (en) 2018-03-07
BR112014032342A2 (pt) 2017-06-27
KR101763046B1 (ko) 2017-07-28
MX350674B (es) 2017-09-05
EP2877666A1 (en) 2015-06-03
MY177330A (en) 2020-09-12
CA2875301A1 (en) 2014-01-03
RU2585554C1 (ru) 2016-05-27
AU2013281192A1 (en) 2015-01-29
PH12014502888A1 (en) 2015-02-23
US9062492B2 (en) 2015-06-23
JP2015520818A (ja) 2015-07-23
PL2877666T3 (pl) 2018-08-31
PH12014502888B1 (en) 2015-02-23
EP2877666A4 (en) 2016-04-20
TW201400689A (zh) 2014-01-01
WO2014003824A1 (en) 2014-01-03
US20130340951A1 (en) 2013-12-26
TWI531717B (zh) 2016-05-01
CA2875301C (en) 2016-12-20
JP6002317B2 (ja) 2016-10-05
AU2013281192B2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046B1 (ko) 창문 차양, 창문 차양의 제어 모듈 및 작동 방법
EP3017135B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817468B1 (en)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JP4440802B2 (ja) ブラインド
US20160017964A1 (en)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KR101938904B1 (ko) 이동가능한 레일의 제어
US9657517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US20130032300A1 (en) Window Shade Having a Resistance Balancing Mechanism
KR101935124B1 (ko)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AU2008243142A1 (en) Control unit for lift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2002238735A (ja) ローマンシェ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