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229A -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229A
KR20150029229A KR20130108109A KR20130108109A KR20150029229A KR 20150029229 A KR20150029229 A KR 20150029229A KR 20130108109 A KR20130108109 A KR 20130108109A KR 20130108109 A KR20130108109 A KR 20130108109A KR 20150029229 A KR20150029229 A KR 2015002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matode
extract
nematodes
roo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907B1 (ko
Inventor
김진철
장자영
최용호
최경자
장경수
호앙 녹 루
쿠앙 리당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0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특히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NEMATODES COMPRISING AN EXTRACT OF TRIUMFETTA GRANDIDE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MATO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충은 먹이에 따라 식세균성 선충, 식균성 선충, 부식성 선충, 포식성 선충, 식물기생성 선충 등으로 나뉘는데, 식물기생성 선충은 연작의 주요 원인중의 하나이며 작물에 따라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식물기생성 선충에는 수천종이 있으며, 형태, 가해 양상 및 기주에 따라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씨스트선충(Globodera spp.), 씨알선충(Anguina spp.),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 아엽선충(Aphalenchoides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 왜화선충(Tylenchorhychus spp.), 감귤선충(Rotylenchulus spp.) 등이 있다.
뿌리혹선충은 노지 및 시설 재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로서, 약 700여종의 식물이 기주로 알려져 있다. 그 종류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및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등이 있으며, 주로 참외, 오이, 토마토, 딸기 고추 및 수박 등의 과채류와 인삼 등에 피해를 주는 가장 방제하기 어렵고 피해가 큰 해충이다. 뿌리혹선충의 방제는 메틸 브로마이드 등의 훈증제와 포스티아제이트(Fosthizate) 등의 살선충제가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방제는 인축에 대한 위험성과 잔류독성,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대안으로 사용되었던 메틸 브로마이드의 농약 폐지로 인해 보다 안전한 살선충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적으로 재배되는 농산물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축이나 환경에 안전하면서 뿌리혹선충류 방제에 효과적인 대체 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환경 친화적인 식물기생성 선충 방제방법의 하나는 식물체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식물은 2차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오랜 시간동안 다른 생물체에 공격에 저항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체를 이용하여 뿌리혹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축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선충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는 환경 친화적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선충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선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뿌리혹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 250 ㎍/ml 처리시 치사한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모습을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획득한 3개의 용매 분획층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prep-TLC를 통하여 분리한 11개 분획들의 T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prep-TLC로부터 획득한 F6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상기 분획으로부터 분리된 3가지 물질의 UV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다양한 선충에 대하여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선충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과 같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씨스트선충(Heterodera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 씨알선충(Anguina spp.),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 및 이의 조합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건조물을 세절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수득하거나, 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추출물은행 등을 통해 입수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의 수용액,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액상 메탄가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콜은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건조시료 0.1 kg에 50 내지 100배의 메탄올을 가한 후 상온에서 1 내지 7일간 추출하여 얻은 메탄올 추출물을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형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메탄올 추출물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은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추출함으로써 유기용매 추출물 형태로 수득할 수도 있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을 물로 재용해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등으로 분획하여 유기용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의 유기용매 추출물로부터 통상의 추출물 분리 및 정제 방법, 예를 들어, prep-TLC,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로 분리 및 정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용출액은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 헥산, 증류수 등과 같은 용매를 단독으로 또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방식에 따라 수득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prep-TLC 및 HPLC 분석함으로써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분리해 낼 수 있다(도 4 참고).
이렇게 얻어진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90% 이상의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천연물 살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도 5에 기재된 것과 같은 UV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220.6, 245.3, 297.2, 및 326.8 nm에서 UV maxima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219.5, 246.4 및 326.8 nm에서 UV maxima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은 214.8, 245.3 및 332.8 nm에서 UV maxima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제,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을 통한 접촉제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화제, 분제, 유제, 바람직하게는 수화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고구마뿌리혹선충, 당근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같은 뿌리혹선충, 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충, 씨알선충, 줄기구근선충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선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으로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을 5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500 ㎍/㎖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작물의 종류,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선충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여 선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방제가 필요한 식물체 또는 지역에 처리함으로써 고구마뿌리혹선충, 당근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과 같은 뿌리혹선충, 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충, 씨알선충, 줄기구근선충,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선충을 방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 병원균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방제하는 것으로, 토양에 혼화 처리하거나 작물에 직접 분무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약 600여종의 베트남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 스크리닝을 수행한 결과,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 grandidens) 메탄올 추출물이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활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고구마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토마토 식물의 뿌리를 수돗물로 씻어내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잘 씻은 뿌리를 2 cm 크기로 자른 후 믹서기에 넣고 뿌리가 잠길 정도로 0.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을 넣은 후 1분 동안 분쇄하였다. 분쇄 후 0.02㎛ 체를 사용하여 알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알은 깔대기법(Baermann funnel)을 이용하여 유충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2령 유충의 살선충 활성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1차 스크리닝은 96-웰 플레이트에 고구마뿌리혹선충 2령 유충을 50 ㎕ 당 20~30마리 밀도로 계수하여 각각 49.5 ㎕씩 접종하였다. 이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건조시료 0.1 Kg에 70% 메탄올을 10L 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여 얻거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준비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한 후, 다시 메탄올을 이용하여 100배 농축 시료로 조제한 후, 각각의 시료를 최종농도 1,000 ㎍/ml, 500 ㎍/ml, 250 ㎍/ml, 125 ㎍/ml, 63 ㎍/ml, 32 ㎍/ml, 16 ㎍/ml 및 8 ㎍/ml이 되도록 선충 유충 현탁액에 처리하였다. 무처리 웰에는 0.5 ㎕의 메탄올을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후 시료가 잘 섞이도록 96-웰 플레이트를 30초간 교반한 후 상대습도 100% 플라스틱 통에 넣은 후 랩을 씌워 밀봉한 후 배양기(25±2℃)에 보관하였다.
시료 처리 72시간 후 40배율 실체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으며, 유충의 치사 유무는 웰 플레이트를 흔들어 몸 전체가 일자로 뻗은 상태로 운동성이 없는 유충을 죽은 유충으로 그렇지 않은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으로 판단하여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무처리 대조구로는 메탄올 1%를 사용하였고, 대조약제로는 아바멕틴(abamectin)을 치사 농도인 1 ㎍/㎖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은 125 ㎍/ml 수준에서도 95%의 살선충 활성을 보일 정도로 매우 강력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 250 ㎍/ml 처리시에는 뿌리혹선충이 치사하여 몸 전체가 일자로 뻗은 상태로 운동성이 없는 반면, 무처리구에서는 유충이 살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고). 한편, 대조약제는 1 ㎍/ml 수준에서 95%의 강한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2: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 용매 분획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
살선충활성 물질의 기초적인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 2 g을 물 100 ml와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로 용해한 후 분획을 실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분획을 실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확보하고, 물층은 다시 동량의 부탄올을 이용하여 2회 분획을 실시하여 부탄올층을 확보하였다.
이렇게 확보한 2개의 유기용매 분획층과 물층은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완전히 건조된 시료를 수득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0.25 g)은 메탄올과 아세톤(1:1)의 혼합용매로 완전히 용해하였고, 부탄올층(0.61 g)은 메탄올과 멸균수(1:1)의 혼합용매로 용해하였으며, 물층(1.1 g)은 멸균수로 용해하였다. 이어, 상기 분획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시험관내(in vitro) 살선충활성을 조사하였다. 2반복으로 진행하였고, 대조약제는 아바멕틴(1 ㎍/ml)을, 무처리 대조군은 1% 메탄올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층(EA)이 16 ㎍/ml에서 82%, 32 ㎍/ml에서 98%,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100%의 살선충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강력한 살선충활성을 보였다. 부탄올층(Bu)은 에틸아세테이트층보다는 낮은 활성을 보였고, 물층은 전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에는 하나 이상의 살선충활성 물질이 있으며, 강력한 살선충활성을 보이는 물질은 비교적 비극성물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시예 3: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메탄올 추출물 용매 분획으로부터 살선충 활성물질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살선충 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0.25 g)을 클로로포름 400 ㎕와 메탄올 400 ㎕로 완전히 용해시킨 후, 0.5 mm 두께의 prep-TLC(PLC 실리카겔 60 F254, 0.5 mm, Merck, 독일)를 길이 20 cm와 높이 10 cm로 잘라 만든 2개의 prep-TLC 판에 점적하였다. 점적 후 클로로포름-메탄올(9:1) 용매 조건에 전개한 후 254 nm의 자외선 하에서 관찰하여, 총 11개의 분획을 나누었다.
TLC 패턴에 따라 F1 내지 F11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실리카겔을 긁어서 5 ㎖ 파이펫 팁에 넣은 다음 아세톤으로 용출하였다. 용출 후(바이알에 모아진 용매 부피: 약 3 ml), prep-TLC 전개 용매와 동일한 용매조건으로 TLC 분석을 실시하였고, F1 내지 F11개의 분획의 토마토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살선충 활성은 시료 용출액을 최종농도가 1%가 되도록 처리한 후 분석에 이용하였다.
도 4에 prep-TLC를 통하여 획득한 11개 분획의 TLC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F6, 즉 Rf 값이 약 0.5정도에 위치한 물질만이 살선충 활성(90%)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분획은 살선충 활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에, 살선충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F6 분획에서 대하여 하기 조건에 따라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워터스(Waters) HPLC를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워터스사의 Sphaerisorb 5 ㎛ ODS2(4.6 ×250 mm)을 사용하였으며, PDA 검출기를 이용하여 254 nm에서 측정하였다. Pump A의 용매는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증류수였으며, Pump B의 용매는 100% 메탄올이었다. 용매조건은 Pump B를 40%에서 시작하여 30분 동안 100%로 올리면서 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속은 1 ㎖/분이었다.
그 결과, prep-TLC로부터 획득한 F6 분획으로부터 3개의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F6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이로부터 검출된 3가지 물질의 UV 스펙트럼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들의 UV 스펙트럼을 살펴본 결과, 약 245 nm, 246 nm 및 327 nm에서 UV maxima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하여 3개의 물질들은 서로 구조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다양한 트리움페타( Triumfetta ) 속 식물들의 살선충활성
트리움페타 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의 식물 추출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추출물은행을 통해 17개의 트리움페타 식물추출물을 분양받았다.
이어, 상기 식물추출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50 mg/㎖ 수준으로 용해한 후, 고구마뿌리혹선충 현탁액에 1% 처리하고(최종농도 500 ㎍/㎖), 72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7개 시료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만이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강한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 이것은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속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만이 특이적으로 선충에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낸다.
트리움페타 속 식물 추출물들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국가 학명 추출 용매 살선충 활성(%)
페루 트리움페타 알타에오이데스 (T. althaeoides) Lam. 메탄올 0
페루 트리움페타 세미트리로바 (T. semitriloba) Jacq. 메탄올 0
베트남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Hance 메탄올 94.2±0.4
USA-카메룬 트리움페타 펜탄드라 (T. pentandra) A. Rich. 메탄올 0
중국 트리움페타 안누아(T. annua) L. 에탄올 95% 0
중국 트리움페타 필로사 (T. pilosa) Roth 에탄올 95% 0
중국 트리움페타 토멘토사(T. tomentosa) Bojer 에탄올 95% 0
중국 트리움페타 롬보이데아 (T. rhomboidea) Jacq. 에탄올 95% 0
코스타리카 트리움페타 라풀라 (T. lappula) L. 에탄올 95% 0
나이지리아 트리움페타 롬보이데아 Jacq. 메탄올 0
코스타리카 트리움페타 보고텐시스(T. bogotensis) DC. 에탄올 95% 0
베트남 트리움페타 바르트라미아(T. bartramia) L. 메탄올 0
인도 트리움페타 로툰디폴리아(T. rotundifolia) Lam. 메탄올 0
라오스 트리움페타 필로사 Roth 메탄올 0
베트남 트리움페타 슈도카나 (T. pseudocana) Sprague & Craib 메탄올 0
USA-케냐 트리움페타 롬보이데아 Jacq. 메탄올 0
중국 (광둥) 트리움페타 롬보이데아 Jacq. 에탄올 95% 0

Claims (8)

  1.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Triumfetta grandiden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충이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씨스트선충(Heterodera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 씨알선충(Anguina spp.),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 및 이의 조합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건조물을 C1-C4 저급 알콜 또는 이의 수용액,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액상 메탄가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후, 그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건조물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그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한 추출액을 물로 재용해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을 5 내지 1,000 ㎍/㎖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이 도 5에 개시된 UV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작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선충의 방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충이 고구마뿌리혹선충, 당근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땅콩뿌리혹선충, 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충, 씨알선충, 줄기구근선충 및 이의 조합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충의 방제방법.
KR1020130108109A 2013-09-09 2013-09-09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KR101555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09A KR101555907B1 (ko) 2013-09-09 2013-09-09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09A KR101555907B1 (ko) 2013-09-09 2013-09-09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29A true KR20150029229A (ko) 2015-03-18
KR101555907B1 KR101555907B1 (ko) 2015-09-30

Family

ID=5302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109A KR101555907B1 (ko) 2013-09-09 2013-09-09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91A (ko) * 2015-03-30 2016-10-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살선충활성물질 4-퀴놀론 알카로이드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 방법
KR20200118277A (ko) * 2019-04-03 2020-10-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노미안써스 둘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18275A (ko) * 2019-04-03 2020-10-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씨스티그마 라티폴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91A (ko) * 2015-03-30 2016-10-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살선충활성물질 4-퀴놀론 알카로이드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 방법
KR20200118277A (ko) * 2019-04-03 2020-10-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노미안써스 둘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18275A (ko) * 2019-04-03 2020-10-1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씨스티그마 라티폴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07B1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izi et al. Isolation of nematicidal compounds from Tagetes patula L. yellow flowers: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ies against cyst nematode Heterodera zeae infective stage larvae
Raveen et al. Larvicidal activity of Nerium oleander L.(Apocynaceae) flower extracts against Culex quinquefasciatus Say (Diptera: Culicidae)
Ntalli et al. Aliphatic ketones from Ruta chalepensis (Rutaceae) induce paralysis on root knot nematodes
Cavalcante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ctivity of Calotropis procera (Ait.) latex on Haemonchus contortus
Rawani et al. Aliphatic amide from seeds of Carica papaya as mosquito larvicide, pupicide, adulticide, repellent and smoke toxicant
Tomass et al. Larvicidal effects of Jatropha curcas L. against Anopheles arabiensis (Diptera: Culicidea)
Li et al. Isolation of nematicidal constituents from essential oil of Kaempferia galanga L rhizome and their activity against Heterodera avenae Wollenweber
KR101555907B1 (ko) 트리움페타 그란디덴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Noorshilawati et al. Molluscicidal activity of Ipomoea batatas leaf extracts against Pomacea canaliculata (Golden apple snail)
KR101802911B1 (ko) 코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920486B1 (ko) 네오리그난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마그놀리아 속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Tarraf et al. The potential of Citrullus colocynthis oil as a biocide against phytoparasitic nematodes
Rashid et al. Nematicidal Effects of Various Fractions of Curcuma longa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root knot nematodes)
Emam et al. Isolation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compounds with antioxidant, nemat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from Punica granatum L. var. nana
KR101836138B1 (ko) 클레인호비아 호스피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hetty et al. Evaluation of phytochem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alotropis procera (Ait) R. Br. Leaves
KR20090057503A (ko) 봄베이 육두구 과육 유래 살선충물질과 추출물을 이용한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의 방제방법
Abdel Bar et al. Nematicida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Schinus terebinthifoliu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fecting tomato
Alaklabi et al. Larvicidal, nematicidal, antifeedant and antifungal, antioxidant activities of Mentha spicata (Lamiaceae) root extracts
Kuang et al. Constituents leached by tomato seeds regulate the behavior of root-knot nematodes and their antifungal effects against seed-borne fungi
KR100634402B1 (ko) 울금 추출물 또는 데메톡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고추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Bahraminejad et al. The effect of some medicinal and ornamental plant extracts against Fusarium oxysporum
KR101622123B1 (ko) 월쎄리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Farah et al. Benefic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insecticidal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Solenostemma argel leaves
Santhanam et al. Pentacyclic triterpenoids and a linear alkane from the milky mangrove tree (Excoecaria agallocha L.) are toxic to the larva of Helicoverpa armigera Hubner.(Lepidoptera: Noctu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