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059A -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 Google Patents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059A
KR20150029059A KR20130107669A KR20130107669A KR20150029059A KR 20150029059 A KR20150029059 A KR 20150029059A KR 20130107669 A KR20130107669 A KR 20130107669A KR 20130107669 A KR20130107669 A KR 20130107669A KR 20150029059 A KR20150029059 A KR 2015002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lifting
finger
glov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종
Original Assignee
김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종 filed Critical 김태종
Priority to KR2013010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059A/ko
Publication of KR2015002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54Bowling, i.e. ten-pin bow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끝에 세워둔 볼링핀들을 쓰러뜨리는 볼링 경기에서, 볼러(Bowler, 투구자)에 의한 투구동작시 볼링공의 회전력을 극대화하여 볼링공의 입사각(入射角, Incidence angle)과 핀액션(Pin action)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에 착용하되, 엄지의 외부노출이 가능케 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 바닥면에 횡렬로 다수 돌출배치되어, 볼링공의 파지력이 안정적이게 하면서도 리프팅 동작시 각 인서트홀로에서 빠져나오는 중지와 약지의 마찰력 증대에 따라 볼링공의 회전력이 향상되도록 한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BOWLING-GLOVES FOR LIFTING INTENSIFY}
본 발명은 볼링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끝에 세워둔 볼링핀들을 쓰러뜨리는 볼링 경기에서, 볼러(Bowler, 투구자)에 의한 투구동작시 볼링공의 회전력을 극대화하여 볼링공의 입사각(入射角, Incidence angle)과 핀액션(Pin action)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에 관한 것이다.
각종 레저 스포츠(Leisure sports) 중에서도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볼링은 연령이나 체력의 강약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신체리듬을 정상화하여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는 스포츠이다.
상기 볼링(Bowling)은, 규정된 길이와 너비를 가진 마루(Lane, 이하 "레일"이라 함) 끝에 세워진 술병 모양으로 된 10개의 핀을 비금속성 공을 굴려서 쓰러뜨리는 실내경기로, 10개의 핀을 사용하는 텐핀스(Ten pins) 볼링이 보통이나, 9개의 핀을 사용하는 나인핀스(Nine pins) 볼링, 옥외에서 하는 론(Lawn) 볼링, 핀이 양초 모양을 한 캔들핀(candle pin) 볼링 등이 있다.
한편, 현재의 볼링 형태와 가장 흡사한 자료는, 영국의 고고학자 사 프랑스 페트리가 기원전 5,200년이라고 감정한 이집트의 어린아이 묘 속에서 현재의 볼링과 아주 비슷한 일종의 경기용구가 발견되었으며, 스포츠 용구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로부터, 1890년 영국 체일즈와 빅토리아에 초대 볼링협회가 탄생하였고, 1895년에는 미국 아마추어 볼링연맹(ABC : America Bowling Congress)이 발족하였으며, 1916년 여성들이 모여 오늘날의 WIBC(Woman International Bowling Association)를 조직했다. 또한, 1952년에는 세계볼링연맹(FIQ : 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Quilles)이라는 국제조직의 창립과 더불어 아마추어 볼링선수들이 참가하는 경기 중 세계선수권대회인 FIQ토너먼트가 각 가맹국에서 해마다 열면서부터 경기규칙 및 시설용구들의 규격화가 이루어졌으며, 1986년 아시안게임에서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전시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국내에 볼링이 알려진 것은, 1960년대 초 미군기지에 20레인 볼링경기장이 생긴 것을 시초로, 1967년에 워커힐호텔 지하에 4레인 경기장이 생기면서 볼링을 즐기는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공식적으로 국제대회에 참가하게 된 것은 제8회 아시안게임(1978년 12월, 태국 방콕) 때로,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개인종합 종목에서 금메달, 개인전에서 은메달, 남자 5인조전과 여자 5인조전에서 각각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제24회 서울올림픽에서는 남자 개인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처럼, 새로운 기구(볼링 설비 및 장비 등)의 발명과 개량에 따른 볼링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보급과 함께 각종 국제대회에서 국내선수들이 입상하는 등의 선전으로, 볼링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면서부터 볼링은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가족적인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다.
볼링의 경기방식은, 개인전으로 치를 수도 있고, 2~5명 정도가 한 팀을 이뤄 경기하는 방식으로 나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구동작의 단계를 기초로 하여, 레일 끝에 삼각형 배치 형태로 세워진 10개의 핀(볼링핀)을 쓰러뜨리기 위해 60피트(18.28미터)의 긴 레인으로 공(볼링공)을 굴려 더 많은 핀을 넘어뜨린 선수가 승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게임은 10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은 세트(Set ; 10개의 핀을 정해진 정삼각형 위치에 세우는 것)된 10개의 핀을 넘어뜨리기 위해 2회까지 투구할 수 있다. 다만, 10프레임에서 스페어(Spare)를 성공시켰을 경우에는 다시 1회, 스트라이크(Strike)가 된 경우에는 다시 2회 투구할 수 있다.
상기 스페어는 첫 투구로 다 못 쓰러뜨리고 남긴 핀을 말하며 2번째 투구로 그것을 다 쓰러뜨리면 스페어 처리를 했다고 표현한다. 상기 스트라이크는 첫 투구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뜨리는 것을 말하고, 10프레임까지 마치고 얻을 수 있는 최고 점수는 300점으로 퍼펙트(Perfect)라 표현한다.
여기서, 볼링핀을 쓰러뜨리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볼링공의 전진력과 회전력을 바탕으로 최상의 입사각을 얻으면서 헤드핀(1번 핀)의 측면으로 파고들어야만 최대의 파괴력으로 다수의 핀을 한꺼번에 쓰러뜨릴 수 있게 되는바, 스텝(Step)과 스윙(Swing)이 균형을 이루어 정확히 투구할 수 있는 볼링공의 방향조절 능력과 파워 및 속도 등이 경기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즉, 세밀하고 정확한 동작과 더불어 일관성 있는 동작이 매 투구시마다 반복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투구자(볼러)의 스텝과 스윙이 균형을 이루어서 최종적으로 볼링공을 투구하는 순간에 최상의 타이밍이 필요하지만, 리프팅과 볼링공의 정확한 입사각, 볼링장 환경이나 빠른 레인상태, 심리적 상태 등의 요인으로 많은 선수들은 다양한 변화에 따라 스탠스(Stance) 위치를 바꾸거나 볼링공의 선택과 구질에 변화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Lifting)이라 함은, 볼링 경기에서 동작의 단위가 되는 발과 몸의 움직임인 스텝을 밟아 나아감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포워드스윙(Forward swing) 직후로 이어지는 릴리즈(Release) 동작을 통해서 레일에 굴려놓는 볼링공의 각 인서트홀로부터 손가락들이 빠져나오는 순간 중지와 약지를 들어올려 볼링공에 회전을 주는 팔로스로우(Follow Through) 이전의 동작을 말한다.
이는, 볼링공에 회전력을 주어, 앞서 설명한 입사각과 핀액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 몇몇의 볼러들은 자신의 손가락 힘으로 리프팅을 극대화함에 한계가 있어, 이를 강화해 줄 수 있는 용품을 활용해 왔다. 예를 들어, 스윙 동작시 손목이 뒤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중지, 약지에 의한 리프팅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게 한 손목보호대(Wrist guard, 아대)를 착용한다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손가락 사이즈에 맞춰 적당한 길이로 잘라낸 다음 중지와 약지에 붙여서 리프팅 동작시 인서트홀과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리프팅테이프(900)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모든 운동이 그렇듯이 에너지(체력)를 소비하는 만큼 체내에서는 땀이 흘러나오기 마련이며 손가락 역시 예외일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상기 리프팅테이프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 상태로 반복 투구시 상기한 리프팅테이프(900)가 손가락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는 등 장시간 사용이 불가하며, 이 경우, 롤 형태의 리프팅테이프를 적당한 길이로 다시 잘라서 손가락에 붙여줄 수밖에 없는 번거로움은 차치하더라도 이로 인해 볼링 경기에 온전히 집중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리프팅테이프(9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제작 판매되는 특성상, 적당한 길이로 잘라내는데 필요한 가위 등의 절단도구를 별도로 지참하고 다녀야만 함은 물론이거니와 이러한 사전작업을 볼링 경기 시작 전과 도중 매번 실시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아울러, 접착력이 저하된 리프팅테이프는 재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재구매에 따른 금전적 지출의 부담도 무시할 수 없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러가 자신의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되, 바닥면에 다수로 배열 돌출되는 간섭돌기를 형성하여, 인서트홀과 상호 간에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볼링공 투구시 레일에 굴려놓는 볼링공의 회전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지부와 약지부의 형상 유지 및 인서트홀과의 간섭을 위한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여, 볼링공 투구시 상기 중,약지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가락이 상기 인서트홀을 빠져나가는 찰나의 간섭에 따라 볼링공의 회전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에 착용하되, 엄지의 외부노출이 가능케 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 바닥면에 횡렬로 다수 돌출배치되어, 볼링공의 파지력이 안정적이게 하면서도 리프팅 동작시 각 인서트홀에서 빠져나오는 중지와 약지의 마찰력 증대에 따라 볼링공의 회전력이 향상되도록 한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용부의 중지부와 약지부에 각각 구비되어, 리프팅 동작시 장갑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볼링공의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에서 빠져나오는 순간의 손가락 간섭으로 인한 리프팅의 추가 강화가 가능케 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착용부의 바닥면에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반구형 마찰돌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골무의 형태를 이루되,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반구형의 간섭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은, 볼러가 자신의 손에 단순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리프팅 강화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사용상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른 지출의 부담을 더불어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볼링공 투구시 인서트홀로부터 빠져나오는 손가락과 상기 인서트홀 상호 간 마찰력 발생에 의한 리프팅 강화를 통해, 여러 볼링핀을 한꺼번에 쓰러뜨리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볼링공의 입사각 형성은 물론 이로 인한 볼링핀 스트라이킹(충돌)시의 핀액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상술한 효과의 달성을 통해, 볼링 경기에서 보다 많은 볼링핀을 쓰러뜨리는 목적을 이루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볼링의 재미를 더할 수 있으면서도 이를 통한 볼링 동호인들의 증가 및 활성화와 더불어 관련 스포츠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볼링의 투구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리프팅테이프의 사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의 전체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을 착용한 상태로의 볼링공 파지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착용시의 손가락부위 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가락부위 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의 전체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을 착용한 상태로의 볼링공 파지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착용시의 손가락부위 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손가락부위 형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A)은, 볼러가 자신의 손에 착용하되, 엄지의 외부노출이 가능케 된 착용부(1)와, 상기 착용부(1) 바닥면에 횡렬로 다수 배치되어 볼링공의 파지력이 안정적이게 하면서도 리프팅 동작시 각 인서트홀로에서 빠져나오는 중지와 약지의 마찰력 증대에 따라 볼링공의 회전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마찰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동작을 위한 중지부(1-1)와 약지부(1-2)마다 각각 구비됨으로써, 리프팅 동작시 장갑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볼링공(b)의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h)에서 빠져나오는 순간의 손가락 간섭으로 인한 리프팅의 추가 강화가 가능케 된 골무(Thimble) 형상의 보강부재(3)를 더 포함한다.
착용부(1)는, 손바닥과 손등 및 모든 손가락 모두를 집어넣을 수 있는 통상의 장갑 형태이되, 상기와 같이 엄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는, 볼링공(b)의 엄지 인서트홀(h)로부터 엄지손가락이 빠져나가는 타이밍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하여, 중지와 약지를 이용한 리프팅 동작이 보다 수월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착용부(1)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A)의 착용부(1)는 엄지뿐만 아니라 검지와 소지도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착용부(1)의 투입구 측에는, 착용자의 손목을 잡아주어 볼링공(b) 투구시 장갑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밴드부(10)가 더 형성되는바, 상기 착용부(1) 안으로 손을 간편히 집어넣을 수 있으면서도 착용시에는 손목에 밀착 가능한 신축성을 가진 고무를 주요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의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마찰부재(2)는, 볼링공의 안정적 파지와 더불어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h)에서 빠져나오는 손가락(중지, 약지)의 마찰력 향상을 통한 리프팅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공정(Embossing technique)을 통해 상기 착용부(1)의 바닥면에 일정패턴을 갖도록 돌출형성된 다수의 반구형 마찰돌기일 수 있다. 이는, 볼링공(b) 파지시 손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마찰돌기들이 상기 볼링공(b)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중지와 약지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마찰돌기들은 중지와 약지의 인서트홀(h) 내벽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볼링공(b)의 안정적인 파지와 더불어 포워드스윙 직후의 리프팅 동작시 상기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h)로부터 각각 빠져나오는 순간에 손가락의 바닥면 부위가 강한 마찰을 일으키도록 함에 따라 리프팅 강화가 가능케 된다. 이와 같은 마찰부재(2)의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강부재(3)는, 리프팅 동작시의 손가락 마찰력으로 인한 중지부(1-1)와 약지부(1-2)의 형태변형 방지를 위한 보강의 목적과 더불어 각각의 인서트홀(h) 안에서 빠져나오는 손가락 간섭에 따른 리프팅의 추가 강화를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에 씌워서 사용하는 통상의 골무와 유사한 형태를 이루되,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손가락이 빠져나오는 순간에 인서트홀(h)의 개구단에 걸림되어 볼링공(b)을 채는 동작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반구형의 간섭돌기(3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볼링 경기를 위한 볼러가 본 발명의 볼링장갑(A)을 자신의 손에 착용하는바, 엄지와 중지 및 약지를 각각의 인서트홀(h)에 끼워넣고 볼링공(b)을 부여잡는다. 이때, 전술한 과정에 의한 볼링공(b) 파지시 상기 착용부(1)의 손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들인 마찰부재(2)는, 상기 볼링공(b)의 그 표면에 밀착되는 것에 따라 파지력이 안정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착용부(1)의 중지부(1-1)와 약지부(1-2)의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마찰돌기들인 마찰부재(2)는, 볼링공(b)의 각 인서트홀(h) 안으로 끼워넣는 중지와 약지에 의해 상기한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h)의 내벽면에 밀착됨으로써, 차후 포워드스윙 직후의 리프팅 동작시 중지와 약지가 각각의 인서트홀(h)로부터 빠져나오는 도중 마찰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리프팅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엄지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볼링공(b) 리프팅 동작시 엄지가 중지와 약지보다 인서트홀(h)로부터 먼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프팅 동작의 수행을 수월히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착용부(1)의 중지부(1-1)와 약지부(1-2)에 더 구비되는 보강부재(3)에 의해, 볼링공(b) 투구시 장갑이 벗겨지지 않으며, 중지와 약지가 각각의 인서트홀(h)로부터 빠져나오는 순간에 개구단에 간섭되는 작용이 발휘됨으로써, 볼링공(b)을 채는 리프팅 동작을 더욱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그러한 일련의 작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볼링장갑(A)을 손에 착용한 볼러는, 볼링공의 엄지, 중지, 약지를 끼워넣을 수 있는 각각의 인서트홀(h)에 자신의 엄지와 중지 및 약지를 각각 끼워넣는 반면 검지와 소지를 이용하여는 볼링공(b)의 표면을 감싸주는 주어 균형을 맞춰 잡고 볼링공(b)을 투구하기 위한 레일의 어프로치 구간에 올라선다.
다음으로, 투구위치를 선정하는 스탠스(준비) 자세에서, 정해진 스텝을 밟아나가는 동작과 함께 볼링공(b) 투구를 위한 일련의 스윙동작을 연이어 실시하여 상기 볼링공(b)을 레인상에 굴려놓게 되는 것이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스텝을 밟아나가는 과정에서 단계적인 스윙 동작이 이루어지는바, 볼링공(b)의 전진력과 스피드 향상을 좌우하는 백스윙 동작 이후로 최종적으로 이어지는 릴리즈 동작 중 볼링공(b)으로부터 손가락이 빠져나가는 순간 리프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때 볼러에 의한 투구동작으로 레인 상에 둘려놓는 볼링공(b)은 상기 레인의 헤드구간과 파인츠구간을 지나 오일이 없는 백엔드 구간에서 마찰을 일으켜 꺾여 들어가는 입사각이 형성되고, 볼링공 회전에 의한 핀액션의 영향으로 다수의 볼링핀들이 연쇄 충돌을 일으켜 단번에 쓰러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볼링공의 투구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리프팅 동작에서 볼링공(b)의 중지와 약지의 인서트홀(h)로부터 손가락(중지와 약지)이 빠져나오는 도중 상기 마찰부재(2)가 각각의 인서트홀(h) 내벽면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 것에 따라, 리프팅이 강화되고 그로써 투구된 볼링공(h)의 회전력이 극대화된다.
또한, 상기 중지부(1-1)와 약지부(1-2)에 각각 더 구성된 보강부재(3)의 간섭돌기(31)가 손가락이 빠져나오는 순간 상기 인서트홀(h)의 개구단에 걸림되는 간섭작용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볼링공(b)을 더욱 강력하게 채는 리프팅 동작의 강화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볼링장갑(A)을 볼러가 간단히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리프팅 강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상기한 마찰부재(2) 및 보강부재(3)가 리프팅 동작시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h)의 내벽면에 강하게 마찰됨으로써, 적은 손가락 힘으로도 보다 향상된 리프팅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게 됨에 따라, 볼링공(b)의 입사각 및 볼링핀의 핀액션을 높이기 위한 볼링공의 회전력 향상을 통한 고득점의 획득은 물론 이에 따른 볼링의 재미를 더하여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볼링장갑, 1 : 착용부, 1-1 : 중지부
1-2 : 약지부, 10 : 밴드부, 2 : 마찰부재
3 : 보강부재, 31 : 간섭돌기

Claims (4)

  1. 손에 착용하되, 엄지의 외부노출이 가능케 된 착용부; 및,
    상기 착용부 바닥면에 횡렬로 다수 돌출배치되어, 볼링공의 파지력이 안정적이게 하면서도 리프팅 동작시 각 인서트홀에서 빠져나오는 중지와 약지의 마찰력 증대에 따라 볼링공의 회전력이 향상되도록 한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중지부와 약지부에 각각 구비되어, 리프팅 동작시 장갑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볼링공의 중지와 약지 인서트홀에서 빠져나오는 순간의 손가락 간섭으로 인한 리프팅의 추가 강화가 가능케 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착용부의 바닥면에 횡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반구형 마찰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골무의 형태를 이루되, 손가락의 첫 번째 마디 바닥면이 위치하는 부위에는 반구형의 간섭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KR20130107669A 2013-09-09 2013-09-09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KR2015002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669A KR20150029059A (ko) 2013-09-09 2013-09-09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669A KR20150029059A (ko) 2013-09-09 2013-09-09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059A true KR20150029059A (ko) 2015-03-18

Family

ID=5302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669A KR20150029059A (ko) 2013-09-09 2013-09-09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0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z Dave Pelz's putting bible: the complete guide to mastering the green
US20100225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aming with an engagable projectile
US20120225739A1 (en) Flying disc toy, accessories and games
Folgar et al. The Everything Kids' Soccer Book: Rules, techniques, and more about your favorite sport!
US8067095B1 (en) Award or trophy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offering an award or trophy for sale wherein dynamic movement of a game piece and or body part is indicated
US20130065702A1 (en) Sport swinging, hitting and throwing assistance device
US3179413A (en) Toy golf game
US4757996A (en) Paddle ball game
US20080167145A1 (en) Paddleball game
KR20150029059A (ko) 리프팅 강화용 볼링장갑
US11400358B1 (en) Pickleball scorekeeping device and method
US20210077883A1 (en) Golf Ball Putting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014700A1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volleyball training
Matsuzaki Tennis fundamentals
US7104902B2 (en) Throw and catch game and method of playing same
Shelton et al. Tennis essentials
KR102586975B1 (ko) 골프 그립 가이드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장갑
JP3171359U (ja) 改良型テニス用具
Paglia A guide to volleyball basics
JP3176497U (ja) ゲームカウントスコアー手動回転表示装置
CN201701699U (zh) 一种菠萝小足球
US20220362647A1 (en) Field game
WO2019161476A1 (ru) Игровая система, ворота и мяч для игровой системы
Kindall Baseball: Play the winning way
Dunphy et al. Volleyball Essentials: The $6 Sports S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