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689A -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689A
KR20150028689A KR20140001856A KR20140001856A KR20150028689A KR 20150028689 A KR20150028689 A KR 20150028689A KR 20140001856 A KR20140001856 A KR 20140001856A KR 20140001856 A KR20140001856 A KR 20140001856A KR 20150028689 A KR20150028689 A KR 20150028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electrode
ground
plate
coaxi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일
송화윤
정희석
구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ublication of KR2015002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복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케이블과,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수용부에는 USB 방식의 전극 구조를 가지는 전극부가 형성되고, 제2 수용부에는 동축케이블이 안착되고, 동축케이블의 신호라인의 끝단이 제2 수용부에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가압부에 의하여 직각으로 꺽여져 제1 수용부에 구비된 신호라인 전극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Multi Block Plug Connector and Multi Block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에서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을 위한 복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제작시 전기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커넥터의 표준규격으로 파크라(FAKRA)가 존재한다. 기존의 파크라 타입의 커넥터의 경우 동축 삽입형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에는 DMB 신호, 라디오 신호, GPS 신호, HSDPA 신호 등 다양한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전송선로가 필요함에 따라 기존의 파크라 규격의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한 신호 개수만큼의 동축케이블을 구성하여야 하고, 이러한 동축케이블을 서로 정렬하여 체결하여야만 하였다.
하지만, 대다수의 현재 파크라 규격의 케이블의 경우 동축케이블이 2개 또는 3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위와 같이 5개 이상의 신호 전송을 위한 5개 이상의 동축케이블을 구비한 케이블을 제작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재 5개 이상의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기존의 파크라 규격의 케이블을 2개 이상 복수개로 이용하여야 하며, 이 경우 조립시 서로 다른 종류의 신호선들을 연결하는 조립 불량의 가능성이 커지고, 부피가 커서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설사, 기존의 파크라 타입의 케이블을 5개 이상의 동축선로를 포함하도록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신호핀이 존재하는 숫커넥터가 존재하고 숫커넥터의 신호핀이 암커넥터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립시 신호핀의 결합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여야 하므로 여전이 조립 불량의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KR 10-1207691 B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복수개의 전송선호를 가지는 복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프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축케이블과;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에는 일면에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되고 타면에 신호라인 전극이 형성된 전극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안착될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상기 동축케이블이 안착될 영역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후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층 및 신호라인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 전극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이 안착되는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제1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상기 제1 안착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신호라인을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신호라인의 끝단이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신호라인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결합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돌출된 신호라인의 끝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신호라인의 끝단이 꺽여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 중 상기 신호라인이 꺽여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접촉되는 지점에 제2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제2 안착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신호라인을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축케이블은 상기 신호라인, 상기 신호라인을 에워싸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에워싸는 그라운드층, 상기 그라운드층을 에워싸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신호라인, 상기 유전체, 상기 그라운드층이 차례대로 노출되도록 컷팅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된 그라운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노출된 그라운드층 외부에 클램핑(clamping)되어 고정되는 도전성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가 상기 그라운드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일정구간 타 부분보다 직경이 작은 직경감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직경감소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직경감소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타 부분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직경감소부가 상기 걸림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동축케이블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상기 그라운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도전성 연결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면서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꺽여져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시 상기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구조에 따른 복합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복합 잭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수용부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는 일부가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 플레이크가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의 수용부 내부 일면 및 상기 일련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그라운드 전극 및 신호라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은 금속 도전판이 구부러진 구조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의 그라운드 전극 및 신호라인 전극에 각각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는 USB 타입의 결합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복합 잭 커넥터와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잭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잭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동축케이블이 복합 플러그 커넥터에 안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복합 플러그 커넥터에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전극 플레이트, 동축케이블 및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일측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일 수도 있고, 연성 인쇄회로기판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커넥터 조립체는 복합 잭 커넥터(100)와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합 잭 커넥터(100)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연결을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수용부의 내부의 일면 및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그라운드 전극(107) 및 신호라인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그라운드 전극(107)만이 보여지고 있다.
수용부는 후술할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1 수용부 내부에 일정부분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복합 잭 커넥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1)와 베이스 플레이트(101) 상부에 연결되는 하우징(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3)의 측면에는 걸림돌기(105)가 형성되어 후술할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의 걸림홈(205)에 체결된다.
복합 잭 커넥터(100)는 사각형 모양 수용부 내부의 일면 및 타면에 신호라인 전극 및 그라운드 전극(107)이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져 후술할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와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이 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복합 잭 커넥터(100)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잭 커넥터(1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30)의 수용부 내부에는 그라운드 전극(107)과 신호라인전극(109)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그라운드 전극(107)는 금속 도전판이 구부러진 구조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신호라인 전극(109)은 금속 도전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그라운드 전극(107)이 금속 도전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신호라인 전극(109)은 금속 도전판이 구부러진 구조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그라운드 전극(107)이 각각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로 결합된 형태 또는 일부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5개로 분리된 그라운드 전극(107) 대신 1개의 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그라운드 전극(107) 또는 1개의 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그라운드 전극(107) 및 1개의 분리된 그라운드 전극(107)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잭 커넥터(120)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베이스 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연결되는 하우징(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의 복합 잭 커넥터(120)는 신호라인 전극(127) 및 그라운드 전극(129) 모두는 금속 도전판이 구부러진 구조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점이 도 2의 복합 잭 커넥터(100)와 차이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는 하우징(210)을 구비하고, 하우징(210)은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 측면에는 걸림홈(2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수용부 상부에는 커버 플레이트(220)가 결합되어 있고, 커버 플레이트(220) 내부에는 복수개의 동축케이블(230)이 안착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용부의 내부에는 전극 플레이트(250)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면에는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신호라인 전극(252)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전극 플레이트(250)는 제1 수용부 내부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된 형태를 가진다. 하지만, 전극 플레이트(250)는 하우징(210)과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플레이트(250)는 전극을 제외하고는 절연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동축케이블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동축케이블(230)은 내부에 신호라인(234)이 구비되고, 신호라인(234)를 에워싸는 유전체(233)와, 유전체(233)를 감싸는 그라운드층(232)과, 그라운드층(232)을 감싸는 절연층(2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축케이블(230)의 일단은 신호라인(234), 유전체(233), 그라운드층(232)이 차례대로 노출되도록 컷팅 작업되어 있으며, 노출된 그라운드층(232)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노출된 그라운드층(232) 외부에 클램핑(claimping)되어 고정되는 도전성 연결부(235)가 구비된다.
도 5(a)에서 보이는 형상으로 도전성 연결부(235)가 형성되어 있는데 클램핑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동축케이블(230)의 일단에 끼운 후 고정할 수 있다. 도전성 연결부(235)가 클램핑되어 고정된 후의 모습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전성 연결부(235)는 전기적으로 도통이 가능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클램핑되기 쉬운 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연결부(235)는 노출된 그라운드층(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유전체(233) 및 절연층(231)의 적어도 일부를 함께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동축케이블이 복합 플러그 커넥터에 안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클램핑된 동축케이블(230)은 복합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수용부에 안착되게 된다. 도 6에서는 동축케이블(230)이 결합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 수용부 내부에는 복수개의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15)가 형성되고, 안착부(215)에 복수개의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된다. 안착부(215)는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되기 쉽도록 반원 모양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5)에는 일정구간 타 부분보다 직경이 감소하는 걸림부(215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부분은 도전성 연결부(235)에서 일정구간 타 부분보다 직경이 감소하는 직경감소부(235a)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부(215)에 안착되는 경우 동축케이블(23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제한된다.
이와 반대로, 안착부(215) 및 도전성 연결부(235)에 일정구간 타 부분보다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하여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을 것이다.
안착부(215) 안쪽으로 동축케이블(230)의 신호라인(234) 및 도전성 연결부(235)가 맞닿은 부분에는 각각 전극 플레이트(250)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240)가 구비된다.
도 6(b)와 같이 제2 수용부의 안착부(215)에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되면 신호라인(234)은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측단에 형성된 제1 안착홈(252a)에 안착되고, 도전성 연결부(235)는 그라운드 플레이트(240)에 연결된다.
도 7은 도 6의 복합 플러그 커넥터에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동축케이블(230)이 안착부(215)에 안착되면, 도 7(a)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20)가 상부에서 하우징(210)에 결합된다. 하우징(210)의 제2 수용부에는 커버 플레이트(220)의 결합을 위하여 미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 플레이트(220)가 압박 끼움 방식 등으로 하우징(21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2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23)가 하우징(210)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후의 모습이 도 7(b)에 나타나 있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20)는 하부면이 안착부(215)와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결합 고정 시 동축케이블(23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신호라인(234)의 끝단을 가압하여 직각으로 꺽이게 하여 전극 플레이트(250)에 형성된 신호라인 전극(25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220)의 내부면 중 제1 안착홈(252a)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커버 플레이트(220)가 개구부에 결합되면 커버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돌기가 제1 안착홈(252a)에 안착된 신호라인(234)을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신호라인(234)이 전극 플레이트(25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전극 플레이트, 동축케이블 및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 플레이트(250)와 동축케이블(230)은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신호라인(234) 끝단이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252a)에 안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신호라인(234)의 끝단이 일부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측면 외부로 돌출되면서 안착되는데 이 부분이 전극 플레이트(250)에 형성된 신호라인 전극(252)에 접촉될 부분이다.
커버 플레이트(220) 중 신호라인(234) 상부에 위치하는 전방 부분에는 신호라인 전극(25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꺽여져 돌출되는 가압부(225)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결합시 고정을 위한 고정 돌기(223)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극 플레이트(250)의 면 중 신호라인 전극(252)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라운드 전극에 그라운드 플레이트(240)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240)는 도전성 연결부(235)와 접촉함으로써 그라운드층(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버 플레이트(220)가 동축케이블(230) 상부로 안착되게 되면, 돌출된 가압부(225)가 돌출된 신호라인(234)의 끝단을 가압하여 직각으로 꺽여지게 하고, 꺽여진 신호라인(234)의 끝단은 신호라인 전극(252)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접촉을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전극 플레이트(252)에 제2 안착홈(252b)가 형성되어 신호라인 전극(252)이 움푹 파이게 형성되게 한 다음, 그 제2 안착홈(252b) 내부로 꺽여진 신호라인(234)의 끝단이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도 9의 부분 확대도를 보면 더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225) 중 신호라인(234)과 접촉하는 내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신호라인(234)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돌기는 제2 안착홈(252b)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신호라인(234)이 제2 안착홈(252b)에 효과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는 신호라인 전극(252)이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면에만 형성되고, 신호라인(234)이 안착되는 일측면의 홈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신호라인 전극(252)이 전극 플레이트(250)의 일면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닌 일측면의 원형의 홈 내부에도 형성되게 함으로써 가압부(225)가 신호라인(234)의 끝단을 꺽지 않더라도 신호라인 전극(2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라인(234)은 위와 같이 안착된 후 꺽여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나, 솔더링 등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도 8의 다른 일시시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에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되, 커버 플레이트(220')의 형상이 미세하게 변화된 차이를 갖는다. 즉, 도 10의 커버 플레이트(220')는 가압부(225')를 구비하는데, 가압부(225')가 돌출된 신호라인(234)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부(225') 안쪽으로 신호라인(234)의 끝단이 꺽여져 신호라인 전극(252)과 접촉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압부(225') 중 신호라인(234)과 접촉하는 내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신호라인(234)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돌기는 제2 안착홈(252b)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신호라인(234)이 제2 안착홈(252b)에 효과적으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일측면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 플레이트(250)의 안쪽 면 전체를 덮도록 그라운드 전극(254)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라운드 전극(254)은 그라운드 플레이트(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라운드 플레이트(240)는 도전성 연결부(2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그라운드 플레이트(240)는 동축케이블(230)의 일단에 결합된 도전성 연결부(235)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면서 접촉하는 제1 접촉부(243)와, 제1 접촉부(243)와 직각을 이루면서 꺽여져 그라운드 전극(254)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 접촉부(245)에는 엠보싱 모양의 돌기(245a)가 형성된다.
그라운드 전극(254)에는 돌기(245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제2 접촉부가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시 돌기(245a)가 고정홈에 안착되도록 하여 결합을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에서는 그라운드 전극(254)과 그라운드 플레이트(240)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라운드 전극(254)과 그라운드 플레이트(2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술된 것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기술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항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복합 잭 커넥터
200: 복합 플러그 커넥터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축케이블; 및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부에는 일면에 그라운드 전극이 형성되고 타면에 신호라인 전극이 형성된 전극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동축케이블이 안착될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 중 상기 동축케이블이 안착될 영역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후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결합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층 및 신호라인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 전극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이 안착되는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제1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중 상기 제1 안착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신호라인을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라인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신호라인의 끝단이 일부 돌출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신호라인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부와 결합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돌출된 신호라인의 끝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신호라인의 끝단이 꺽여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플레이트 중 상기 신호라인이 꺽여 상기 신호라인 전극에 접촉되는 지점에 제2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중 상기 제2 안착홈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신호라인을 가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은 상기 신호라인, 상기 신호라인을 에워싸는 유전체, 상기 유전체를 에워싸는 그라운드층, 상기 그라운드층을 에워싸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신호라인, 상기 유전체, 상기 그라운드층이 차례대로 노출되도록 컷팅되어 있으며,
    상기 노출된 그라운드층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노출된 그라운드층 외부에 클램핑(clamping)되어 고정되는 도전성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연결부가 상기 그라운드 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는 일정구간 타 부분보다 직경이 작은 직경감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착부 중 상기 직경감소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직경감소부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타 부분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직경감소부가 상기 걸림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동축케이블의 유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와 상기 그라운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축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도전성 연결부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면서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꺽여져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는 제2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시 상기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플레이트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플러그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복합 잭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수용부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는 일부가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극 플레이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의 수용부 내부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그라운드 전극 및 신호라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은 금속 도전판이 구부러진 구조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합 잭 커넥터의 그라운드 전극 및 상기 신호라인 전극은 상기 복합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전극 및 신호라인 전극에 각각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커넥터 조립체.
KR20140001856A 2013-09-06 2014-01-07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KR20150028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549 2013-09-06
KR20130107549 2013-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689A true KR20150028689A (ko) 2015-03-16

Family

ID=5302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1856A KR20150028689A (ko) 2013-09-06 2014-01-07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6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6B1 (ko) * 2018-12-28 2020-03-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크라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6B1 (ko) * 2018-12-28 2020-03-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크라 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2073B2 (en) Coaxial electric connector
US957736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lding pieces with a notch for holding a circuit board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US7833054B2 (en) Connector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JP5001740B2 (ja) 電気コネクタ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809682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US8475206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161463B2 (en) Electronic component
EP266513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US20060292898A1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8944829B2 (en) Connector
US20090149046A1 (en) Connector
JP4851355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8272894B2 (en) Coaxial connector
CN106816786B (zh) 射频连接器组件
US20110263158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3579820A (zh)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CN210576571U (zh) 板对板型射频插座及连接器组件
JP5473758B2 (ja) コネクタ
KR20150028690A (ko)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