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501A -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501A
KR20150028501A KR20130107155A KR20130107155A KR20150028501A KR 20150028501 A KR20150028501 A KR 20150028501A KR 20130107155 A KR20130107155 A KR 20130107155A KR 20130107155 A KR20130107155 A KR 20130107155A KR 20150028501 A KR20150028501 A KR 20150028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bluetooth
bluetoo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호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501A/en
Publication of KR20150028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5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and to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C module which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 Bluetooth module which performs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a memory which store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processor which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0001] DESCRIPTION [0002]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본 발명은 다양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arious remote controllers and a technology applicable to a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ontroll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airing (Pairing) between a remot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바,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정 메뉴에 포함된 블루투스 장치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중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페어링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컴퓨터(Computer), 태블릿 PC, 노트북, 넷북, TV(Television), 기타 방송 수신 장치 등에 해당한다.In order to control a display device, a remot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are connected using Bluetooth technology. In this case, the Bluetooth device is se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Bluetooth device setting menu included in a setting menu of the display device A pairing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by searching for an existing Bluetooth device and selecting a specific one of the searched Bluetooth devices.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computer, a tablet PC, a notebook, a netbook, a television, and other broadcast receiving devices.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NFC 태깅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quick and simple pairing or cancellation using an NFC tagg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NFC 태깅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간단하게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a first display device to a second display device through NFC tagging.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라우드(Cloud)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서로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or solution for shar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ing a cloud server is def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과, 상기 NFC 모듈에서 송/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페어링을 수행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고,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설계한다.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C module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and a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NFC module A memory for stor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when the tagg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NFC modul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agg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with the NFC module, The Bluetooth device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o perform a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 remote controller is design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Bluetooth)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는 단계와,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agging a first display device having a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built therein, and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agg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with the NFC module,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releasing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 RTI ID = 0.0 > 2 < / RTI >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NFC 태깅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a pairing can be performed or released quickly and simply using the NFC tagg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NFC 태깅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간단하게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유저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onvenience of the user is increased by simply transmitting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through NFC tagging.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클라우드(Cloud)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서로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해결 방안 내지는 솔루션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or solution for shar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using a cloud server is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NFC 태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NFC 태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여 동일하게 세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특정 기능 키를 누르면서 태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태깅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mpon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modul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airing with a display device using NFC taggin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performing a pairing with a display device using NFC tagging by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final viewing information and sets the same.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loads final viewing information to a cloud server.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outputting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ler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agging while pressing a specific function key.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user interface using tagging.
15 and 16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module "and" part "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TV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added to or deleted from a general-purpose OS kernel, for example, so that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TV, or the like.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s used herein,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o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메모리(105), 제어부(106), 비디오 출력부(107), 오디오 출력부(108), 전원 공급부(109), 원격 제어 장치(110)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110)에 해당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이하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설명하며,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a demodulator 102, a network interface 103,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04, A memory 105, a control unit 106, a video output unit 107, an audio output unit 108, a power supply unit 109, a remote control unit 110 and a user interface unit 111 . The display device 100 is design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 remote controller will b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can be designed, for example, as an RF tuner or an interface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TB.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상기 복조부(102)는,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02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is of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02 performs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for example. Also, the demodulator 102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 장치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is an interface that enable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igital display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 unit 106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Further,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06 can be output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may include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03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3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 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03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via the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메모리(105)는, 제어부(1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The memory 105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06, and may store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 addition, the memory 105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3. The memory 105 also stores various OSs, middleware, and platforms, for exampl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1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11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06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6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ler 110).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nit 11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An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6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The remote controller 110 is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110 via a network.

상기 제어부(106)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거나, 역 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control unit 106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outputs the demultiplexed signal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o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01, the demodulator 102, the network interface unit 103, To generate and output signals for video or audio output. The control unit 106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비디오 출력부(1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하다.The video output unit 107 outputs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06,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04 as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The video output unit 107 may be a PDP, an LCD, an OLED,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the like.

상기 오디오 출력부(108)는, 제어부(1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08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06,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he audio output unit 108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그리고, 전원 공급부(109)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비디오 출력부(1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9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throughout th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a control unit 106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on-chip (SOC), a video output unit 107 for video display, and an audio output unit 108 for audio output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206)는, 역다중화부(210), 영상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 그리고 포맷터(26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2, the control unit 206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210, an image processing unit 220, an OSD generating unit 240, a mixer 250, a frame rate converting unit 255, A formatter 260, and the like.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design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상기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 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 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The demultiplexer 2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영상 처리부(220)는, 역 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1) 및 스케일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디코더(221)는, 역 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상기 스케일러(222)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비디오 출력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250)로 입력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include a video decoder 221 and a scaler 222. The video decoder 221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222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video processing unit 220 is input to the mixer 250.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믹서(250)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The OSD generation unit 2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Accordingly, the mixer 250 can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240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220. [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2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The mixed signal is provided to formatter 260. Since the decoded broadcast video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the OSD can be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rter; FRC)(2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255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a frame rate of 60 Hz is converted to 120 Hz or 240 Hz.

그리고, 포맷터(2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5)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비디오 출력부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The formatter 260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255,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video output unit,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ignals or mini-LVDS signals.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301)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좌우(도 3의 (b)), 상하(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310)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301)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A pointer 301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ler 3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as shown in Fig.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ler 310 left and right (FIG. 3 (b)) or up and down (FIG. 3 (c)). In such a remote controller 310, since the pointer 301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it may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ler.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왼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왼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로 전송된다. 상기 디지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리모트 컨트롤러(3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301)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301)를 표시하도록 설계된다.3 (b),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310 to the left, the pointer 30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also moves to the left.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31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ler 31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300. The digital display device 3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301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310. [ The display device 300 is designed to display the pointer 301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한편,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아래쪽으로 이동 시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 포인터(301)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3 (c),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ler 310 downward, the pointer 301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also moves downwar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31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 내 특정 영역을 신속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select a specific area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using the remote controlle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omponents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무선통신부(414), 사용자 입력부(415), 센서부(417), 출력부(416), 전원공급부(411), 저장부(412), 그리고 제어부(413) 등을 포함한다.4, the remote controller 4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4, a user input unit 415, a sensor unit 417, an output unit 416, a power supply unit 411, a storage unit 412, And a control unit 413, and the like.

무선통신부(414)는 임의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RF 모듈(414a)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하고, IR 모듈(414b)은 외부 전자 장치(430, 예를 들어 STB)와 적외선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4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y external device. In particul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 module 414a is design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device 400, and the IR module 414b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430 (e.g., STB)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IR 적외선 코드값을, STB(430)로 포워딩 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remote controller 410 to perform the role of a repeater for forwarding the IR infrared code value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400 to the STB 430. [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전송한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ote controller 41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etc. to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RF module 414a.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14a)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41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14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remote controller 410 can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RF module 414a.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410 can transmit a command regarding power on / 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and the like to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IR module 414b as needed.

사용자 입력부(41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41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센서부(417)는 자이로 센서(417a) 또는 가속도 센서(417b)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417a)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17b)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17 may include a gyro sensor 417a or an acceleration sensor 417b. The gyro sensor 417a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 For example, the gyro sensor 417a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on the basis of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417b can sense information on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and the like. Meanwhil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device 400 can be sensed.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416)는 사용자 입력부(41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16a),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16b),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16c),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6d)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416 may output an image or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1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400.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416 includes an LED module 416a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41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4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4, a vibration module 416b An audio output module 416c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416d for outputting an image.

전원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11)는 리모트 컨트롤러(41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11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The power supply unit 411 can reduce the power waste by interrupt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ler 410 has not mov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저장부(412)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3)는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13)는, 사용자 입력부(41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17)에서 센싱한 리모트 컨트롤러(41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14)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0) 또는 STB(430)에 전송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12 may store various kind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The control unit 413 controls various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13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1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410 sensed by the sensor unit 417 to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414, To the display device 400 or to the STB 430 via the network.

한편,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multimedia device)로 명명할 수도 있고, 도 4의 리모트 컨트롤러(410)내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또한, 본원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10)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410)을 이용하지 않고 터치 방식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4 may be referred to as a multimedia devic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ncluding all of the components in the remote controller 410 of FIG. In addition, the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using the remote controller 410, and can be selected using a touch method or the like without using the remote controller 41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 모듈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모듈을 일부 추가하거나 변경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 1 내지 도 5 등에 기재된 요소들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5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module of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some of the modules of the remote controller of FIG. 5 may be added or changed, and the scope of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termined by the elements described in FIGS. 1 to 5, Bu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what is stated in the claim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500)는 프로세서(510), NFC 모듈(520), 블루투스 모듈(530), 메모리(5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다만,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5, the remote controller 500 includes a processor 510, an NFC module 520, a Bluetooth module 530, a memory 540, and the lik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dd or delete some modul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 principle,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상기 NFC 모듈(520)은, 근거리에서 이루어지는 태깅(Tagging) 방식을 이용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NFC는 무선태그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 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고,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The NFC module 520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using a tagging method in a short distance, and the NFC is a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s one of radio tag technologies . It is a next-generation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relatively low security and relatively low price because of its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It can use both data reading and writing functions. It is similar to conven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There is an advantage to not have.

상기 블루투스 모듈(530)은,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의 하나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100m 범위 안에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제어하는 기술규격을 말한다.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luetooth module 530 plays a role of performing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he Bluetooth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and refers to a technical standard for wirelessly connecting / controlling various electronic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within a radius of 10 to 100 m using 2.45 GHz frequency. There is an advantage that data can be exchanged at a high speed by using a radio frequency without physical ca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igital appliances as well a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a printer, a cellular phone, and a PDA in a home or an office.

상기 메모리(540)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NFC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 및 최종 시청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540 stores Bluetooth information and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by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프로세서(510)는, 상기 프로세서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도 6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When the tagg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NFC module, the processor 510 receive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tagged with the NFC modul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received, an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received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paired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is controlled to perform the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NFC 태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airing with a display device using NFC tagg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600)는 NFC 태깅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 및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와 페어링을 수행 및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제어 방법은, NFC 모듈(612)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NFC 모듈(622)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에 태깅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610)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제1 단계의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NFC(602)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NFC(612)에 태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SOC(611)(System On Chip)는 상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는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메모리(604)에 저장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 단계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는 스캔 모드(Scan Mode)로 전환되고, 동시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블루투스(603)는 스캔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와 동일한 블루투스 정보로 판단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제3 단계의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 페어링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NFC(602)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NFC(622)에 태깅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SOC(621)는 상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프로세서(601)는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가 기 페어링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프로세서(601)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가 기 페어링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의 블루투스(613)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와의 페어링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601)는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메모리(604)에 저장한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제4 단계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는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 동시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600)의 블루투스(603)는 스캔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0)의 블루투스(623) 정보와 동일한 블루투스 정보로 판단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한다.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한다.6, the remote controller 6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using NFC tagging .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agging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with the NFC module 612 and the Bluetooth 613), performing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based on the Bluetooth information (613) of the received first display device (610) Tagg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with the Bluetooth 6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and transmitting the Bluetooth 6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and performing the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6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 system.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step shown in FIG. 6, the NFC 602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is tagged on the NFC 612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The SOC 611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receives the NFC tagging signal and transmits the Bluetooth 6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to the remote controller 600. [ . The remote controller 600 stores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6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n the memory 604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6, the Bluetooth 6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on the basis of the NFC tagging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Bluetooth 603 selects a device determined to be the same Bluetooth information as the Bluetooth 6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received in the first step among the scanned Bluetooth devices, Perform pairing. 6, the NFC 602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paired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s tagged on the NFC 622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In this case, The SOC 621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receives the NFC tagging signal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Bluetooth 6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to the remote controller 600 . The processor 601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determines whether the Bluetooth 623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isplay device 620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information 6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do. The processor 601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6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is bluetooth information 6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Th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6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s deleted and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610 is canceled. The processor 601 stores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6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in the memory 604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6, the Bluetooth 6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based on the NFC tagging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Bluetooth of the remote controller 600 603 selects a device determined to be the same Bluetooth information as the Bluetooth 6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620 received in the third step among the scanned Bluetooth devices and automatically pairs with the selected device .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NFC 태깅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performing a pairing with a display device using NFC tagging by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프로세서(701)는, NFC(722)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에 제1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에 제2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NFC(722)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에 제1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태깅은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초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태깅을 의미하고, 제2 태깅은 리모트 컨트롤러가 기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태깅을 의미한다. 상기 제1 태깅 및 제2 태깅은 태깅 단계에서의 페어링 상태로 구분 가능하고, 태깅 방식을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구분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제1 단계의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NFC(702)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NFC(712)에 태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SOC(711)는 상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는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메모리(704)에 저장한다. 도 7에 도시된 제2 단계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는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 동시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블루투스(703)는 스캔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와 동일한 블루투스 정보로 판단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제3 단계의 경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NFC(702)를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NFC(712)에 다시 태깅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SOC(711)는 상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프로세서(701)는, 상기 수신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가 기 페어링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프로세서(701)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가 기 페어링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와 같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블루투스(703)를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에게 최종 시청 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SOC(711)는 메모리(714)에 저장된 최종 시청 정보를 블루투스(713)에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최종 시청 정보는 시청 모드 정보, 채널 정보, 영상모드 정보, 음성모드 정보 및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제4 단계의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SOC(711)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블루투스(713)를 통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에 전달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프로세서(701)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블루투스(713)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메모리(704)에 저장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블루투스(713)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도 7에 도시된 제5 단계의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NFC(702)를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NFC(722)에 태깅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SOC(721)는 상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는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메모리(704)에 저장한다. 도 7에 도시된 제6 단계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는 스캔 모드로 전환되고, 동시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의 블루투스(703)는 스캔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블루투스(723) 정보와 동일한 블루투스 정보로 판단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페어링을 수행한 후,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700)는 메모리(704)에 저장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로 송신한다. 나아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의 SOC(721)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20)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와 동일한 환경으로 세팅(Setting)한다.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NFC 모듈을 내장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설계함으로써, 유저는 NFC 태깅 기능을 이용하여 빠르고 손쉽게 리모트 컨트롤러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7, when the first tagg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having the NFC 722 module, the processor 701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and performs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when the second tagg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and receives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received via the first tagging, The first di When the first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including the NFC 722 module, the Bluetooth 7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is received Performs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7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and transmits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first display device 71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The first tagging means tagging for performing the first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tagging means tagging for receiving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previously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ler. The first tagging and the second tagging may be classified into a pairing state in the tagging step, and the tagging method may be divided and set.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step shown in FIG. 7, the NFC 702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tagged on the NFC 712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he SOC 711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receives the NFC tagging signal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o the remote controller 700 . The remote controller 700 stores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in the memory 704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7, the Bluetooth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based on the NFC tagging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Bluetooth 703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Selects a device determined to be the same Bluetooth information as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received in the first step among the scanned Bluetooth devices, and performs a pairing with the selected device automatically . In the case of the third step shown in FIG. 7, the NFC 702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re-tagged to the NFC 712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he SOC 711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receives the NFC tagging signal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o the remote controller 700 . The processor 701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receives the Bluetooth information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hat has been pair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Bluetooth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 The processor 701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is bluetooth 713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And requests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for final viewing information through the Bluetooth 703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 The SOC 711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controls to transmit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714 to the Bluetooth 713.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includes viewing mode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video mode information, voice mode information, and volume information. 7, the SOC 711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ransmit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o the remote controller 700 through the Bluetooth 713, And the processor 701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receive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via the Bluetooth 713 and transmit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o the memory 704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 (713)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stored in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and releases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In the fifth step shown in FIG. 7, the NFC 702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tagged to the NFC 722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The SOC 721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receives the NFC tagging signal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Bluetooth 7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to the remote controller 700 . The remote controller 700 stores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7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in the memory 704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7, the Bluetooth 723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based on the NFC tagging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Bluetooth 703 of the remote controller 700 is switched to the scan mode, Selects a device determined to be the same Bluetooth information as the Bluetooth 723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received in the fifth step among the scanned Bluetooth devices, and performs a pairing with the selected device automatically . After performing the pairing, the remote controller 700 transmits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stored in the memory 704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Further, when the SOC 721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receive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the SOC 721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transmits the second display device 720 to the first display device 710 Setting to the same environment a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In the same manner,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NFC tagging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incorporating an NFC module, transmits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pair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 remote controller can cancel the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perform the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paired with the external device, the step of canceling the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the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includes the steps of: when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receiv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6 and 7,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connect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NFC tagging fun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여 동일하게 세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final viewing information and sets the sam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800)는 제1 태깅 및 제2 태깅을 수행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1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20)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20)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00)로부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82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10)의 최종 시청 정보와 동일한 환경으로 시청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하는 경우, 유저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NFC 태깅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최종 시청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8, the remote controller 8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irst tagging and second tagging to receive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810, 1 pair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820 and transmit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810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820 . 8C, the second display device 820, which has received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810 from the remote controller 800, The viewing environment can be set to the same environment as that of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user 710. In the case of such a design, the user has an advantage that the ultimate view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y using the NFC tagging of the remote controller.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loads final viewing information to a cloud serv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900)의 프로세서는,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000)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0)에 제3 태깅이 수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0)에 제3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20)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사이의 제4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100)의 프로세서는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을 수신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10)는 상기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을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최종 시청 정보 기록(1120)에 포함된 특정 최종 시청 정보를 선택하면, 동일한 시청 환경으로 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최종 시청 정보 기록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9, the processor of the remote controll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910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agging to the receiving To receive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910 and to upload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910 to the cloud server if the same is identical to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a first display device 910. [ do. 10, when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s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the processor of the remote controller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020, and if the third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10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ceiv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1020). 11, when a fourth tagging is performed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1100 and the display device 1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of the remote controller 1100 may receive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1120) to the cloud server storing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record (1120), receiving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record (1120)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from the cloud server, As shown in FIG. The display device 1110 having received the final audience information record 1120 may output the final audience information record 1120 to the screen and may display the final final audience information 1120 included in the final audience information record 1120, When information is selected, the same viewing environment can be set. When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is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in this manner, the memory efficiency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increased, and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outputting information on a remote controller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가정에서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 및 제2 리모트 컨트롤러(1201) 등의 복수 개의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특정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페어링이 수행되면,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리모트 컨트롤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가 NFC 태깅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와 페어링을 수행하면, 상기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이름, 제조사, 제품번호 등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정보를 상기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 정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에 제2 리모트 컨트롤러(1201)를 태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는 상기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리모트 컨트롤러(1201)와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는 상기 제2 리모트 컨트롤러(1201)의 리모트 컨트롤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리모트 컨트롤러(1200)와의 페어링이 해제되고, 상기 제2 리모트 컨트롤러(1201)의 페어링이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리모트 컨트롤러 중 페어링된 리모트 컨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함으로써,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선택을 함에 있어서 오인 혼동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12A, the user can use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such as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and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1201 in the home.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information to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to the paired display device when the pairing is performed between the specific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12 (b), when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performs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1210 using the NFC tagging method,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transmits a command to the remote controller 1200, The display device 1210 receiving the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transmits the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manufacturer, product number, etc. of the remote controller 1200 to the paired display device 1210, Controller information can be output to the screen. When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1201 is tagged to the display device 1210 paired with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as shown in FIG. 12C, the display device 1210 displays, 1 pair with the remote controller 1200, and perform the pairing with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1201. Further, the display device 1210 receives the remote controller information of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1201, and the pairing with the first remote controller 1200 is released, and the pairing of the second remote controller 1201 You can print a message to the screen informing you that it has been performed. In this way, information on the paired remote controllers among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s output to the scree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misleading confusion when the user selects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특정 기능 키를 누르면서 태깅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agging while pressing a specific function key.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300)는 기능 키(Key)(1301, 1302, 130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 키(1301, 1302, 1303)를 누르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태깅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즉시 구현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가 제1 기능 키(1301)를 누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태깅 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 사이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가 제2 기능 키(1302)를 누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태깅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로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의 최종 시청 정보를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가 제3 기능 키(1303)를 누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와 태깅 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300)의 메모리에 저장된 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로 송신하거나,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 키와 NFC 태깅을 동시에 이용하면, 페어링 이외에 데이터 송/수신 등에 있어서,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제거하고 빠르고 쉽게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13, the remote controller 1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unction keys 1301, 1302, and 1303, and the function keys 1301, 1302, The desired function can be immediately implemented by tagging with the display device 1310 while pressing. 13 (a), when the remote controller 1300 is tagged with the display device 1310 while pressing the first function key 1301, the remote controller 1300 and the display device 1310 May be performed. 13 (b), when the remote controller 1300 is tagged with the display device 1310 while pressing the second function key 1302,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310 To the remote controller (1300). Further, an operation of upload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1310 to a predetermined cloud server may be performed. When the remote controller 1300 is tagged with the display device 1310 while pressing the third function key 1303,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other display devic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remote controller 13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310 1310, or may receive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predetermined cloud server and transmit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310.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unction key and the NFC tagging are used at the same time, an unnecessary process is removed i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ther than pairing, and the specif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가 태깅을 이용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user interface using tagging.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1400)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0)에 태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410)는 기 설정된 유저 인터페이스(1420)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된 유저 인터페이스(1420)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페어링 설정 메뉴, 최종 시청 정보의 송/수신 메뉴, 클라우드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 메뉴 등을 포함한다. 유저는 일일이 메뉴를 찾아 특정 기능을 수행할 필요 없이, 리모트 컨트롤러(1400)를 태깅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420)를 출력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4, when the remote controller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agged on the display device 1410, the display device 1410 outputs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1420 to the screen . The output user interface 1420 includes a pairing setup menu of the remote controller, a transmission / reception menu of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nu with the cloud server, and the like. The user can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by outputting the user interface 1420 through a simple process of tagging the remote controller 1400 without having to search the menu and perform specific functions.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당업자라면, 이전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도 15 및 도 16을 보충 해석 가능하다.15 and 16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rther analyze Figs. 15 and 16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ab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고(S1510),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S1520),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고(S1530),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고(S1540),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S1550),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한다.(S1560)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gs the first display device having the embedded NFC module (S1510), receive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S1520) (S1530), and tagging the second display device with the NFC module (S1540).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received (S1550). If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paired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paired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S1560)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을 수행하고(S1601),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S1602),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고(S1603),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2 태깅을 수행하고(S1604),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S1605),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S1606),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S1607),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을 수행하고(S1608),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S1609),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고(S1610),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한다(S1611).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first tagging on a first display device having an embedded NFC module (S1601), receives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S1602) Performs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step S1603, performs second tagging on the first display device in step S1604, (S1605). If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agging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first tagging, the first display device (S1606),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is released (S1607), and the NFC module (S1608),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received (S1609), and based o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S1610), and transmit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S1611).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lthough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a new embodiment to be implemented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both the article invention and the method invention are explained, and the description of both inventions can be supplementarily applied as necessary.

500 : 리모트 컨트롤러
510 : 프로세서
520 : NFC 모듈
530 : 블루투스 모듈
540 : 메모리
500: Remote controller
510: Processor
520: NFC module
530: Bluetooth module
540: Memory

Claims (20)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Bluetooth)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는 단계;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r,
Tagging a first display device includin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agging to a second display device having an embedded NFC modul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And canceling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performing the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isplay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a memory of the remot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에서 송/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페어링을 수행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고,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다른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In the remote controller,
An NFC module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a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NFC module;
A memory for stor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agging is performed on a first display device having an embedded NFC module and to receiv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NFC module,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o perform the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differs from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ocessor store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the memory when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Bluetooth)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2 태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는 단계;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controller,
Performing a first tagging on a first display device includin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a second tagging on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ing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agging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first tagging, ;
Releasing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Performing a first tagging on a second display device having an embedded NFC modul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Performing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And transmitting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first display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a memory of the remote control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Cloud)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Receiving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agging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first tagging, And upload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a cloud serv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3 태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third tagging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3 태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performing the third tagging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may include receiv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final view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Of the remote controller.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상기 NFC 모듈에서 송/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이에서 페어링을 수행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NFC 모듈을 내장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2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NFC 모듈을 내장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1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In the remote controller,
An NFC module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A Bluetooth module for performing a pairing between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display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by the NFC module;
A memory for stor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tagg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having the NFC module built therein and to receive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based o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first display devi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performing a second tagging on the first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s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cancels the pairing with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s the first display device's Bluetooth information, When the first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Receiv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from the second display device, performing pairing with the second display device based on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received second device, and transmitt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received first device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ocessor store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in the memory when receiving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정보는 디바이스 아이디(ID), BD_ADDRESS, 핀(PIN) 코드, NAME, 제품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Bluetooth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ID, a BD_ADDRESS, a PIN code, a NAME, and a product numb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가 상기 제1 태깅을 통해 수신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Cloud) 서버에 업로드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the la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when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tagging is the same as the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received through the first tagging And controls to upload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a cloud serv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3 태깅이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ird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upload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device to the cloud serv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제3 태깅이 수행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최종 시청 정보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cond display device to receive the final viewing information uploaded to the cloud server and to transmit the received final view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display device when the third tag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remote controller.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내장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NFC 태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정보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Receiving an NFC tagging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having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Bluetoot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And releasing the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paired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a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외부 디바이스와 페어링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메모리에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최종 시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ep of releasing the pairing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performing the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when the remote controller is paired with the external device comprises:
And receiving final view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latest viewing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remote controller.
KR20130107155A 2013-09-06 2013-09-06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85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155A KR20150028501A (en) 2013-09-06 2013-09-06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155A KR20150028501A (en) 2013-09-06 2013-09-06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01A true KR20150028501A (en) 2015-03-16

Family

ID=5302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155A KR20150028501A (en) 2013-09-06 2013-09-06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501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100A (en)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igital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96466A (en) * 2017-02-21 2018-08-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US11533766B2 (en) 2018-06-28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32113A (en)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WO2024071634A1 (en) * 2022-09-28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100A (en)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igital device,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96466A (en) * 2017-02-21 2018-08-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US11533766B2 (en) 2018-06-28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97731B2 (en) 2018-06-28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30132113A (en)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WO2024071634A1 (en) * 2022-09-28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ontrolled by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338B1 (en) Mobile terminal
CN107925791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738374B (en) Image display device
EP2750353B1 (en)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86822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39834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KR20150028501A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305565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5177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display apparatus
KR102269277B1 (en) Server, home appliance access server, and home appliance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40134915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518295B1 (en) Mobile terminal
EP3121733A1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4415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951674B1 (en) Digital receiver for processing at least one image c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1461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and multimedia device
KR20130062477A (en)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display apparatus using it
KR20130084350A (en) Multimedia device for uploading contents to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40610B1 (en)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52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anorama video data
KR10228183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KR20150093490A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70142469A1 (en) Image prov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