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150B1 - Imag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150B1
KR102444150B1 KR1020150094881A KR20150094881A KR102444150B1 KR 102444150 B1 KR102444150 B1 KR 102444150B1 KR 1020150094881 A KR1020150094881 A KR 1020150094881A KR 20150094881 A KR20150094881 A KR 20150094881A KR 102444150 B1 KR102444150 B1 KR 102444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ing
application
item
mobile term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4481A (en
Inventor
이은정
이재경
허승현
안오봉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150B1/en
Priority to US15/741,439 priority patent/US11134294B2/en
Priority to CN201580082861.1A priority patent/CN107925791B/en
Priority to PCT/KR2015/007547 priority patent/WO2017003007A1/en
Priority to EP15897229.9A priority patent/EP33193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mirroring-related menu including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receiving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controlling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Thereb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isplay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Image display apparatus}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installing and displaying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a mobile terminal.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An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roviding an image that a user can watch.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provide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and the broadcast video is displayed on a display. Currently, the trend of broadcasting worldwide is convert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that transmits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external noise, so data loss is small, it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and provides a high resolution and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can provide interactive ser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install and display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미러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mirror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a user input,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including,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he mirroring related menu.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관련 메뉴 내의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a user input,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is selected,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from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receiv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imag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미러링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미러링 항목 내의 제1 사용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ased on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user input, displays a mirroring related menu or mirroring item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when the first user item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or mirroring item is selected, an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1 receives from the mobile terminal of the user,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mirroring-related menu including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B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receiving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controlling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related menu,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is conveniently can be installed and displayed.

특히,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로서,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코드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서버로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displaying a code image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as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a simple connection to a server through a mobile terminal.

한편,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이후,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미러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after pair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and received By displaying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관련 메뉴 내의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미러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display, the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user input, control to display the mirroring related menu, the mirroring related menu When the 1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receive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By including a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미러링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미러링 항목 내의 제1 사용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와 영상표시장치 사이의 미러링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controls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or a mirroring item based on a user input, and a mirroring related menu Or, when the first user item in the mirroring item is selected,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and through the interface unit, receive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from the first user mobile terminal An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을 위한 영상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1c는 도 6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4c는 도 12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20f는 도 15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for mirr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
FIG.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
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
4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
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11C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6 .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4C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2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to 20F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5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simpl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링을 위한 영상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for mirr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미러링을 위한 영상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이동 단말기(600),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mage display system 10 for mirroring may include an image display device 100 , a mobile terminal 600 , and a server 500 .

이 중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는, 미러링(mirrorring)을 수행할 수 있다.Among the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may perform mirroring.

본 발명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미러링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로(600)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에,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mirroring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easily installed and displayed suggest ways to do it.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a mirroring-related menu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이때의,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는, 영상표시장치(100) 제조사가 제공하는 정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the serv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미러링 관련 메뉴에 표시되는,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irroring-related menu, and may access the server 500 based on this.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로부터,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600) 내에,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from the server 500 , a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and install and execute a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600 .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실행된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the select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an application item to be mirrored is selected through the executed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할 수 있다.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receive, and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can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isplay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이동 단말기로(600)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설치 및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가 간편하게 미러링되어 표시되는 방안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is installed and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is conveniently A method for mirroring and displaying is presented.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 페어링 정보 또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pairing information or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or 135,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on the display 180.

한편,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와의 미러링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갤러리 이미지(840a)에 대한 무선 신호(Saib)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어, 영상표시장치(100)에,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확대된 갤러리 이미지(840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by mirroring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a wireless signal Saib for the gallery image 840a for the gallery application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It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exemplifies that an enlarged gallery image 840b corresponding to the gallery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도 5의 680)의 크기 보다,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의 크기가 훨씬 크므로, 사용자는, 미러링을 통해, 확대된 이미지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much larger than the size of the display (680 in FIG. 5)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e user can view the enlarged image through mirroring. .

이러한 미러링 수행 방법의 일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미러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이동 단말기(600)에 무선으로 페어링 신호(pairing signal)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가 페어링 신호에 대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단말기(600)와 영상표시장치(100)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method of performing mirroring, when a mirroring mode is select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irelessly transmits a pairing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600 , and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600 transmitting a pairing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pairing signal.

이때의 페어링 신호(pairing signal)와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는, 블루투스 기반의 BLE(Blooth Low Energy) 신호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ing signal and the pairing response signal may be a Bluetooth-based BLE (Blooth Low Energy) signal.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페어링 신호 외에, 디바이스 아이디(device ID)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device inforamtion)를, 이동 단말기(600)로 더 전송할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further transmit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 device ID to the mobile terminal 6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signal.

이러한 미러링 수행 방법의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서 미러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무선으로 페어링 신호(pairing signal)를 전송하고, 영상표시장치(100)가 페어링 신호에 대응하여, 페어링 응답 신호(pairing response signal)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단말기(600)와 영상표시장치(100)가 서로 접속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such a method of performing mirroring, when the mirroring mode is select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mobile terminal 600 wirelessly transmits a pairing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connect to each other by transmitting a pairing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pairing signal 100 .

접속 이후, 이동 단말기(600)는, 실행 중인 미러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무선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라캐스트(miracast) 방식에 따라, Wi-F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무선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After the connec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wirelessly transmit an application image related to mirroring being execu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according to a Miracast method, an application image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Wi-Fi.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를 중심으로, 미러링 모드가 수행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mirroring mode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이동 단말기(600)의 다양한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도 6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Various operating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or less.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f FIG. 1 may be a monitor, TV, tablet PC, or the like.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a storage unit 140 ,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It may include a sensor unit (not shown), a control unit 170 , a display 180 ,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unit 110 , a demodulator unit 120 ,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 and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ceiver 105 may include only the tuner 110 , the demodulator 120 ,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 unlike the drawing.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not be included.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unit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channels previously stored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In addition,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unit 110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er unit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verts them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image or audio signal. can be converted to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in order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lternatively,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is also possibl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The demodulator 120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re performed.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obtained by multiplexing an image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 and outputs an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a connected external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the set-top box 5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laptop), set-top box, and the like by wire/wireless. ,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an external device.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V input/output unit may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rough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exchange data with the adjacent mobile terminal 600 . In particula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device information, executed application information, an application image, and the like,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in the mirroring mod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image,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lso,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Also,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of FIG. 2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is illustrate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ransmit/receive user input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local keys such as power key, channel key, volume key, and setting value (not shown)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transmits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for sensing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It can be transmitted to a sensor unit (not shown).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demultiplexes an input stream through the tuner unit 110 or the demodulator 120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 can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outputted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 Also,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channel (tuning).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r an internal program.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ause a predetermined 2D object to be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n access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pictures, and text.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determined. In addition, an x-axis coordinate and a y-axis coordinate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may be identified.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or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create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isplay 180 may be a PDP, LCD, OLED, flexible display, or the like, and may also be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The 3D display 180 may be divided into a non-glasses type and a glasses typ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the audio-processe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it as audio.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photographs the user.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embed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bove the display 180 or disposed separatel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the user's gesture based on each or a combination of an image captured by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a signal sensed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the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for outputting audio. have.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level of DC power.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Bluetooth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and display it or output the audio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FIG.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ler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er 310 , an image processor 320 , a processor 330 , an OSD generator 340 , and a mixer 345 . , a frame rate converter 350 , and a formatter 360 .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an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and separat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 the demodulator 120 ,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325 and a scaler 335 .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image decoder 325 decodes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and the scaler 335 performs scaling to outpu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signal on the display 180 .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video decoder 325 may include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MPEG-2, H,264 decoder, a 3D image decoder for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a decoder for a multi-view image, and the like.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controller 170 . 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pre-stored channel.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r an internal program.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control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33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demultiplexer 310 , the image processor 320 , the OSD generator 340 , and the like in the controller 170 .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or 340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s graphics or tex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80 may be generated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Also,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a 2D object or a 3D object.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OSD generator 340 may generate a pointer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based on a pointing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n particular, such a pointer may be generated by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OSD generation unit 240 may include such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course,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stead of being provided in the OSD generating unit 240 .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The mixer 345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340 and the decoded image signal image-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320 . The mixed video signal is provided to the frame rate converter 350 .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rame rate converter 350 may output as it is without a separate frame rate conversion.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The formatter 360 may arrange a left-eye image frame and a right-eye image frame of the frame rate-converted 3D image. In addition, a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for opening the left eye glass and the right eye glass of the 3D viewing apparatus (not shown) may be output.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matter 360 may change the format of the input image signal into an image signal for display on a display and output the changed format.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Also, the formatter 360 may change the format of the 3D image signal. For example, among various 3D formats such as Side by Side format, Top / Down format, Frame Sequential format, Interlaced format, Checker Box format, etc. You can change to either format.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ormatter 360 may convert a 2D video signal into a 3D video signal. For example, according to a 3D image generation algorithm, an edge or a selectable object is detected in a 2D image signal, and an object or a selectable object according to the detected edge is separated into a 3D image signal. ca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3D image signal may be separated into a left-eye image signal L and a right-eye image signal R and arranged.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lso possible that a 3D processor (not shown) for processing a 3D effect signal is further disposed after the formatter 360 . Such a 3D processor (not shown) may process brightness, tint, and color adjustment of an image signal to improve a 3D effect. For example, signal processing that makes a near field clear and a far distance blurry may be performed. Meanwhile, the functions of the 3D processor may be merged into the formatter 360 or integrated into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n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ler 170 may perform audio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To this end,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a base (Base), a treble (Treble),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start time and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aired on each channel.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170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controller 170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rame rate converter 350 and the formatter 360 are not provided in the controller 170 , but may be separately provided or provided separately as one module.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As illustrated in (a) of FIG. 4A , it is exemplified that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4A (b)), and back and forth (FIG. 4A (c)).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ler or a 3D pointing device because the corresponding pointer 205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movement in 3D space.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4A (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so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4A (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ccordingly,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180 , the selected area 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180 , the selection area is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pproaches the display 180 ,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may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close to the display 180 ,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but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may be recognized. In a state where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4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 a user input unit 435 , a sensor unit 440 , an output unit 450 , a power supply unit 460 , a storage unit 470 , A control unit 480 may be included.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transmits/receives a signal to and from any one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mo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RF module 4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4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421 .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421 .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commands related to power on/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423 as necessary.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4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435 .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4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40 may include a gyro sensor 441 or an acceleration sensor 443 . The gyro sensor 4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4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44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On the other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w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180 can be sensed.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450 may output an image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rough the output unit 450 ,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4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trolled.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put unit 450 includes an LED module 451 that is turned on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s manipul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 453), a sound output module 4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4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power supply unit 460 may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4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required for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4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the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end and receive The control unit 4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information about a frequency band in which a signal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the storage unit 470, and can refer to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control unit 4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4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nd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 coordinate value calculating unit 415 capable of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may be provided.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wirelessly transmit/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RF module 412 . In addition, a signal transmitt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received through the IR module 413 .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value calculator 415 corrects hand shake or an error from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and display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205 on the display 170 . (x,y) can be calculated.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15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nd key manipul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response thereto.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calculate a pointer coordinate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output i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In this case, the user input interface 15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pointer coordinate values to the controller 180 without a separate hand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as another example,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ng unit 415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rol unit 170 instead of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unlike the drawing.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25), 제어부(67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bile terminal 6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 an audio/video (A/V) input unit 620 , a user input unit 630 , a sensing unit 640 , an output unit 650 , and a memory. 660 , an interface unit 625 , a control unit 670 , and a power supply unit 690 may be included.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음향 통신부(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611 ,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3 , a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 a sound communication unit 617 , and a GPS module 619 .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611 may receiv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n this cas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6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660 .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3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Fi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600 . For examp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may perform WFii-based wireless communication or WiFi Direct-based wireless communication.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에,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부가하여,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통신부(617)는, 음향 통신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The acoustic communication unit 617 may perform acoustic communication. The sound communication unit 617 may output sound by add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data to audio data to be output in the sound communication mode. Also, the sound communication unit 617 may extract predetermined information data from a sound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the sound communication mode.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619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V (Audio/Video) input unit 6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621 , a microphone 623 , and the like.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8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6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o this end, the user input unit 6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capacitance),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680, it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nsing unit 64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by sens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such a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A sensing signal can be generated.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64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641 , a pressure sensor 643 , and a motion sensor 645 . The motion sensor 645 may detect the movement or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angular velocity, and may detect a direction (angle) that is turn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80), 오디오 출력부(653), 알림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display 680 , an audio output unit 653 , a notification unit 655 , and a haptic module 657 .

디스플레이(680)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68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8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680 and the touchpad form a mutually layered structure and ar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680 may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오디오 출력부(653)는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6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or stored in the memory 660 . The audio output unit 6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림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unit 6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mobile terminal 600 .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The haptic module 6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657 is a vibration effect.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6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67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 or output data (eg, phone book, message, still image, video, etc.). can also be done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25)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25 function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 The interface unit 625 may receive data or receive power from such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600 , and may allow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6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

제어부(6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7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7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6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by gener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For example, it may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67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6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681 may be configured as hardware in the control unit 670 , or may be configured as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670 .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6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7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600 shown in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in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 performed in each block i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11c는 도 6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to 11C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6 .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10).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related menu including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based on a user input. (S610).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특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when there is a specific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isplays a mirroring related menu including mirroring 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to do so.

예를 들어,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는,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QR 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may include a code image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 QR code image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다른 예로,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는, 소정 사운드로서 출력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a predetermined sound.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620). 그리고,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S625).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acquire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620). Then,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ognize the mirroring related server information (S625).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카메라(621)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코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캡쳐된 코드 이미지로부터, 서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버 정보를 인식 수 있다.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apture a cod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camera 621 . Then,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extract server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code image, and recognize the extracted server information.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마이크(623)를 통해 수신되는 사운드로부터, 서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서버 정보를 인식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600 may extract server information from a sound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623 and recognize the extracted server information.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인식된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23). 이에 대응하여, 서버(500)는, 이동 단말기(600)와 접속할 수 있다(S624).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based on the recognized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can control to access the server (S623). Correspondingly, the server 500 may connect to the mobile terminal 600 (S624).

예를 들어, 서버(5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로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조시에, 설치된,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에 대응하는 서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500 is a server operated by the manufacturer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and may be a server corresponding to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install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통해, 간단하게,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simply access the server 500 through the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server information-related content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한편, 서버(500)는, 이동 단말기(600) 접속시, 이동 단말기(600)로,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S625). Meanwhile, the server 500 may transmit a mirroring related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connected (S625).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서버(500)로부터의,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신부(610) 등을 통해, 수신하고(S626),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628).Correspondingly,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from the server 500, the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10, etc., receive (S626), the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 Then, the installed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can be executed (S628).

이에 따라, 간편하게,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동 단말기(600)에 설치 및 실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execute a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600 .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632), 해당하는 경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5).Next,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pplication item to be mirrored is selected (S632), and if applicable, control to transmit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re is (S645).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영상표시장치(100)와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select an application item to be mirror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through a mirroring related application.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At least one application item may be selected, an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특히,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의 명칭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정보, 유저 정보, 애플리케이션 버젼 정보 등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name information, application image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pplication ver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45)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선택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수신할 수 있다(S650). Next,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e select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or 145 ( S650 ).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에 설치하며, 특히, 수신된 선택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660).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에, 간편하게 설치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install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control the received select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S66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display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이하에서는, 도 6의 동작 방법을 도 7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기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method of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11C .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05)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기초한 방송 영상(700)을, 도 7a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broadcast image 700 based 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broadcast receiver 105 on the display 180 as shown in FIG. 7A .

이때, 원격제어장치(200)의, 특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b와 같이,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701)과,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re is a specific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7b, includes a broadcast image 701 corresponding to a broadcast signal and an application list ( 710)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ogether.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b와 같이, 방송 영상(701) 상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control the application list 710 to be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on the broadcast image 701 as shown in FIG. 7B .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는, 미러링 항목(715a), 추가 보기 항목(719), 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 등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list 710 may include a mirroring item 715a, an additional view item 719, or an application item.

한편, 도 7c는, 도 7b와 다른, 미러링 항목(715b)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 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의 인식 편의를 위해, 미러링 항목(715b)은, 미러링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로서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FIG. 7C illustrates that a mirroring item 715b, different from FIG. 7B , is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list 710 . For the user's convenience of recognition, the mirroring item 715b may be displayed as an object representing mirroring.

한편, 미러링 항목(715a 또는 715b))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7d와 같이,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720)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717)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irroring item (715a or 715b))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7D, mirroring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related to mirroring or content 720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It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 related menu 717 .

미러링 관련 메뉴(717)는, 미러링 항목(715a 또는 715b)의 선택에 따라, 우측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may be displayed in a form that is expanded to the righ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irroring item 715a or 715b.

한편, 미러링 관련 메뉴(717)는, 미러링 항목(715a 또는 715b)으로의 복원을 위해, 복귀 항목(7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item 716 to restore the mirroring item 715a or 715b.

한편,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720)는,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720)는, 도 7d와 같이,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QR 코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720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may include a code image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ent 720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may include a QR code image including server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D .

한편,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720)가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의 카메라(621)는, 도 7e와 같이,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720)를 캡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720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camera 621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to capture the content 720 related to the server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E. can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720b)를 수신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쳐된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 이미지(720b)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the captured content image 720b and recognize 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content image 720b related to the hit server information on the display 180 .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캡쳐된 컨텐츠 이미지(720b)로부터, 서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extract server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content image 720b.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추출된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서버(500)로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access to the server 500 based on the extracted serv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7f와 같이, 해당 서버(500)로 접속을 위해, 접속 요청 신호(Sreg1)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접속 응답 신호(Sres1)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signal Sreg1 to the server 500 to access the server 500, as shown in FIG. 7f, and the server 500 A connection response signal Sres1 may be received from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7g와 같이, 서버(500)로부터,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a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from the server 500 as shown in FIG. 7G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7g의 (a)와 같이, 미러링 앱 다운로드를 위한 화면(732)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a screen 732 for downloading a mirroring app, as shown in (a) of FIG. 7G .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다운로드 항목(732)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 앱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는 경우, 도 7g의 (b)와 같이, 다운로드 완료 화면(73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ownload item 732 is selected by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lik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downloads the mirroring app, and when the download is completed, (b) of FIG. 7G and Similarly, the download completion screen 734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다운로드된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7g의 (c)와 같이, 설치 화면(736)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install the downloaded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installation screen 736 to be displayed, as shown in (c) of FIG. 7G .

그리고, 설치가 완료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7g의 (d)와 같이, 설치 완료 화면(738)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nd,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installation completion screen 738 to be displayed as shown in (d) of FIG. 7G .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설치 완료된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execute the installed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이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i를 참조하여 기술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I.

먼저, 도 8a는, 이동 단말기(600)의 대기 화면(810) 또는 홈 화면(810)을 예시한다. 대기 화면(810) 또는 홈 화면(810)은,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화면 하단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들 중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812)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rst, FIG. 8A illustrates an idle screen 810 or a home screen 810 of a mobile terminal 600 . The standby screen 810 or the home screen 8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 Meanwhil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may be displayed. 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812 is displayed amo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도 8a에서의 이동 단말기(600)의 대기 화면(810) 또는 홈 화면(810)에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812)이 선택되거나, 도 7g에서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In the standby screen 810 or home screen 810 of the mobile terminal 600 in FIG. 8A, when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812 is selected or the mirroring application download in FIG. 7G is completed, the mirroring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can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을, 도 8b와 같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as shown in FIG. 8b, when the mirroring application is executed.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은, 설정 가능 항목(822), TV 선택 항목(824),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826), 사용자 정보 편집 항목(823), 가로 세로 보기 설정 항목(813), 비밀 번호 항목(8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is a settable item 822, a TV selection item 824, an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826, a user information edit item 823, a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setting item 813, a password item (814) and the like.

설정 가능 항목(822)이 선택되어 활성화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TV 선택 항목(824),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826), 사용자 정보 편집 항목(823), 가로 세로 보기 설정 항목(813), 비밀 번호 항목(814) 등이, 도 8c와 같이, 활성화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종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ettable item 822 is selected and activated,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includes a TV selection item 824 , an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826 , a user information editing item 823 , and a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The setting item 813 and the password item 814 may be controlled to be activated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8C . Accordingly, various setting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TV 선택 항목(82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주변의 TV를 탐색하고, 탐색 종료에 따라, 도 8d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TV 항목을 포함하는 TV 리스트 화면(8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개의 TV 항목이 예시된다.When the TV selection item 824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searches for nearby TVs, and upon completion of the search, as shown in FIG. 8D , a TV list including at least one TV item The screen 83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figure, two TV items are illustrated.

이 중 제1 TV 항목(832)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제1 TV 항목(832)과의 미러링을 위한 설정을 완료하고, 설정 완료 이후, 도 8e와 같이,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mong them, when the first TV item 832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ompletes the setting for mirroring with the selected first TV item 832 , and after the setting is completed, FIG. 8E . As suc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again.

다음,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8f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826)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8g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85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in the state where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8f , whe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826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8g, the mobile terminal (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application list 850 including the application items installed in 600).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850)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예를 들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852),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85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8h와 같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852),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854)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application list 850, for example, the Internet application item 852 and the camera application item 854 are selected,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shown in FIG. 8H and Likewi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rnet application item 852 and the camera application item 854 to be highlighted.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저장 항목 등이 선택되는 경우, 도 8i와 같이,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826b)은, 선택된 2개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82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orage item or the like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again, as shown in FIG. 8i .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826b may include the selected two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827 .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2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도 8j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2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정보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two selected application items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8J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two pieces of applic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680 .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2개의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wo application items to be mirror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설치하도록 제어하며, 특히, 도 8k와 같이, 미러링 관련 메뉴(717)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o install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8k, control to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can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관련 메뉴(717)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select a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키, 및 확인키를 이용하여,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by using the direction key and the confirma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의 RF 신호 내에 포함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가 표시되고, 포인터에 의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based on a pointing signal included in the RF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 pointer is displayed, and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can be selected by the pointer.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관련 메뉴(717)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 페어링 정보 또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to the mobile terminal 600, pairing information or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Control to transmit the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or 135, to receive, and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180) )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도 9a는, 미러링 관련 메뉴(717)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711,712) 중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선택되는 경우를 예시하며,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Ssta)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9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amera application item 712 is selected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711 and 712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and accordingly,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mobile terminal 600 , exemplifies that the camera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Ssta) is transmitted.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Ssta)를 수신하는 경우, 도 9a와 같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며, 표시되는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receives the camera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Ssta, as shown in FIG. 9A , the control unit 680 controls the camera application to be executed, and the displayed home screen or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 can be controlled to switch to the camera application screen.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미러링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화면(840a)에 대응하는 이미지(Saib)를, 도 9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enters the mirroring mode,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image Saib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pplication screen 840a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9B . can do.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화면(840a)에 대응하는 이미지(Saib)를, 수신하고, 스케일링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화면(840a)에 대응하는 이미지(840b)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the image Saib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pplication screen 840a,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scaling. By doing so, an image 840b corresponding to the camera application screen 840a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도 9b에서는, 미러링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이미지(840b)가,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과 함께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도 1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사라지고, 미러링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이미지(840b)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 9b, the mirrored camera application image 840b is exemplified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pplication list 710, but, unlike in FIG. 1, the application list 710 disappears, and the mirrored camera application image 840b )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한편,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시의 통신 방식과,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전송시의 통신 방식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mag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페어링 신호(pairing signal) 또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블루투스 기반의 BLE(Blooth Low Energy) 신호로서, 통신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전송시에는 대역폭이 보다 넓은, 미라캐스트(miracast) 방식에 의한, Wi-Fi 통신 방식이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pairing signal or the pairing request signal to communicate as a Bluetooth-based BLE (Blooth Low Energy) signal, and has a wider bandwidth when transmitting a mirroring applic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Wi-Fi communication method by the Miracast method is used.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8f 내지 도 8i와 다른,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장치(100)에 설치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Meanwhile, FIGS. 10A to 10D are another example for installing a mirroring application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using a mobile terminal 600 , which is different from FIGS. 8F to 8I .

이동 단말기(600)에,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10a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826)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0b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95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826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0A in a state where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shown in FIG. 10B and Similar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display the application list 950 including the application ite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950)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예를 들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952),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항목(954),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 항목(956)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0c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952),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항목(954),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 항목(956)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application list 950, for example, a messenger application item 952, a message application item 954, and a player item 956 for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are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600 ), the controller 670 may control the messenger application item 952 , the message application item 954 , and the player item 956 for multimedia data playback to be highlighted as shown in FIG. 10C .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저장 항목 등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d와 같이,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등록 항목(926b)은, 선택된 3개의 애플리케이션 관련 정보(92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orage item or the like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again, as shown in FIG. 10D .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registration item 926b may include selected three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927 .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3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정보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three selected application items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three applic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680 .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3개의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 information related to three application items to be mirrored.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설치하도록 제어하며, 특히, 도 11a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10) 내의,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be install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1a, in the application list 1110, with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도 11a에서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전송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1111),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항목(1112),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 항목(1113)을 예시한다. In FIG. 11A , as a mirroring app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 a messenger application item 1111 , a message application item 1112 , and a player item 1113 for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are exemplified.

한편, 미러링 관련 메뉴는, 도 7b 또는 도 7c의 미러링 항목(715a 또는 715b)으로의 복원을 위해, 복귀 항목(1116), 애플리케이션 추가 항목(1119)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rroring related menu may further include a return item 1116 , an application addition item 1119 , and the like for restoration to the mirroring item 715a or 715b of FIG. 7B or 7C .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소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렁 모드로서,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select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tem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mobile terminal 600 . control, and accordingly, an application image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received. And, as the pre-run mode, the received applicatio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

한편, 도 11b 내지 도 11c는, 도 11a에서 도시된 3개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을 더 추가하는 방안을 예시한다.Meanwhile, FIGS. 11B to 11C illustrate a method of further adding a mirroring application while the thre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shown in FIG. 11A are displayed.

예를 들어, 도 11a의 애플리케이션 추가 항목(1119)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접속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addition item 1119 of FIG. 11A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access the mobile terminal 600 .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애플리케이션 추가 정보를 수신하고, 도 11b와 같이,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the application additional information, control the mirroring application to be executed, and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1B .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위해, 사용자가,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 도 11b와 같이,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for adding the mirroring applica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user, when running the mirroring application, as shown in Figure 11b, controls the mirroring application to be executed and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도 11b와 같이,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Saib)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851)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image data Saib corresponding to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1B . 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an image 851 corresponding to the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850)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예를 들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852),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85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1b와 같이,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항목(852),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854)이 하이라이트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in the application list 850, for example, the Internet application item 852, the camera application item 854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670 of the 600 may control the Internet application item 852 and the camera application item 854 to be highlighted as shown in FIG. 11B .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2개의 애플리케이션 항목 에 대한 추가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1c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2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정보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when there is an additional input for the two selected application items,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1C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display two pieces of application transmiss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680 .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2개의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wo application items to be mirror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영상표시장치(100) 내에 설치하도록 제어하며, 특히, 도 11c와 같이,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이미 추가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1111),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항목(1112),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 항목(1113)과 함께, 인터넷애플리케이션 항목(711),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항목(712)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미리렁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장치(100)의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내, 특히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추가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to be install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1c,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already added, messenger application The item 1111, the message application item 1112, and the player item 1113 for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the Internet application item 711, and the camera application item 712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add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mirrung, in the application lis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in the menu related to mirroring.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4c는 도 12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A to 14C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2 .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210).First, referring to FIG. 12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s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based on a user input ( S1210 ).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방송 영상(7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키 등이 동작하는 경우, 도 7b와 같이, 화면 하단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은,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715a 또는 715b)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 when a home key or an application execution key is operated while the broadcast image 700 is displayed, an application list 710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7B . .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in particular, may include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715a or 715b, such as FIG. 7B or 7C.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한 포인터(205)에 의해,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715a 또는 715b)이 선택되는 경우, 풀 다운 메뉴와 유사하게, 우측으로 펼쳐지면서, 미러링 관련 메뉴(717)가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715a or 715b is selected by the pointer 205 based on the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imilarly to the pull-down menu, it expands to the right, and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미러링 관련 메뉴(717)는, 미러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7d와 같이, 미러링 관련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코드 이미지(7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8a 내지 도 8k와 같이, 미러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추가된 경우, 코드 이미지(720) 표시는 사라지고, 설치된 미러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Mirroring-related menu 717, if mirroring-related applications are not added, as shown in FIG. 7d, for mirroring-related application installation, may include a code image 720, as shown in FIGS. 8a to 8k, When an application related to mirroring is added, the code image 720 display may disappear, and application items related to installed mirroring may be displayed.

이하에서는,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미러링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이 설치된 것을 전제로 기술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pplication items related to mirroring are install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한 포인터(205) 등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S1220), 이동 단말기(600)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225). Next,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when any one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by the pointer 205 or the like based on the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1220) ),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600 (S1225).

이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1230),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232).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S1230) and controls to transmit a pairing response signal (S1232).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1234). 이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접속하며, 이동 단말기(600)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 pairing response signal (S1234).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nects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controls to maintain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 외에, 추가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control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mobile terminal 6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동 단말기(600)에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35).According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and control the mobile terminal 600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item. There is (S1235).

다음,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45).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o transmit an image for the executed applica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1245).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S1250), 수신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60).Corresponding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receives an image of the executed application (S1250), and displays the received image of the executed application. It can be controlled to do so (S1260).

도 13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10) 내에 복수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항목(1113)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13A illustrates that the player application item 1113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irroring application items in the application list 1110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이동 단말기(600)에, 페어링 요청 신호(Spai)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Spar)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Spai to the mobile terminal 600 on which the home screen or the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 A pairing response signal Spar may be received.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Spai) 외에, 추가로, 도 13b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SMX)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Spai),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3b, information (SMX)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mobile terminal 600, to transmit can be controlled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SMX)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 내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도 13b와 같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600 on which the home screen or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MX) on the application item,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13b . , an image of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

특히, 도 13b는,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컨텐츠 리스트 화면을 예시한다. 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도 13c와 같이, 재생되는 화면(1320)이, 이동 단말기(600)의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FIG. 13B illustrates a content list screen among the player application screens. When any one of these contents is selected, a screen 1320 to be reproduc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13C .

그리고, 미러링 모드에 따라, 재생되는 화면(132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재생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1320a)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d, according to the mirroring mod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1320 to be reproduced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to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1320a) can be display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a 내지 도 13c와 달리,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미러링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FIGS. 14A to 14C illustrate that a messenger application is selected and mirrored, unlike FIGS. 13A to 13C .

도 14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110) 내에 복수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1111)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14A illustrates that the messenger application item 1111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irroring application items in the application list 1110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이동 단말기(600)에, 페어링 요청 신호(Spai)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Spar)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a pairing request signal Spai to the mobile terminal 600 on which the home screen or the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an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 A pairing response signal Spar may be received.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Spai) 외에, 추가로, 도 14b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Spai),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4b,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mobile terminal 600, it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have.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 14b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대기 화면을 홈 화면(1410)으로 전환하거나, 제1 홈 화면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위치하는 제2 홈 화면(1410)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600 on which the home screen or the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converts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home screen 1410 as shown in FIG. 14B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item. Alternatively, th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switch from the first home screen to the second home screen 1410 in which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is located.

다음, 도 14b의 홈 화면(1410)에서,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항목(1412)가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도 14c와 같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1420)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할 수 있다.Next, when the messenger application item 1412 is selected on the home screen 1410 of FIG. 14B ,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execute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as shown in FIG. 14C , the image of the executed application 14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미러링 모드에 따라,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142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ontrols so tha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lication image 142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mirroring mode.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에 대응하는 이미지(1420a)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mage 1420a corresponding to the executed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일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6a 내지 도 20f는 도 15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method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A to 20F are diagrams referenced to explain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5 .

먼저,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510).First, referring to FIG. 15 ,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based on a user input ( S1510 ).

예를 들어, 도 7a와 같이, 방송 영상(7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키 등이 동작하는 경우, 도 7b와 같이, 화면 하단에, 애플리케이션 리스트(710)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도 7b 또는 도 7c와 같은,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715a 또는 715b)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 when a home key or an application execution key is operated while the broadcast image 700 is displayed, an application list 710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7B . .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in particular, may include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715a or 715b, such as FIG. 7B or 7C.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한 포인터(205)에 의해,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715a 또는 715b)이 선택되는 경우, 풀 다운 메뉴와 유사하게, 우측으로 펼쳐지면서, 미러링 관련 메뉴(717)가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715a or 715b is selected by the pointer 205 based on the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imilarly to the pull-down menu, it expands to the right, and the mirroring related menu 717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다음,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제1 사용자 항목이,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한 포인터(205) 등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S1520),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600a)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525). Next,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when the first user item is selected by the pointer 205 or the like based on the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1520) ,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6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S1525).

이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600a)의 제어부(670)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1530), 페어링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1532).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receives a pairing request signal (S1530) and controls to transmit a pairing response signal (S1532).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1534). 이에 기초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에 접속하며,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한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a pairing response signal (S1534).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ontrols to access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and maintain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 외에, 추가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can additionally control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o the mobile terminal 600a of the first user.

이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의 제어부(67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에서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35).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70 of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an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item, transmit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 600a) can be controlled to be executed (S1535).

다음,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의 제어부(670)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45).Next,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a of the first user may control to transmit an image for the executed applica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1545).

이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수신하고(S1550), 수신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60).Corresponding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receives an image for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S1550), and displays the image for the received application to be executed It can be controlled to do so (S1560).

도 16a는, 이동 단말기(600)에,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정보 편집 항목(823)이 선택되는 경우를 예시한다.16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information edit item 823 is selected while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6b와 같이,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60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user information setting screen 160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6B .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600)은, 프로파일 이미지 항목(1602), 이름 항목(1604), 장르 항목(16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setting screen 1600 may include a profile image item 1602 , a name item 1604 , a genre item 1606 , and the like.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프로파일 이미지 항목(1602)이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621)을 활성화시켜, 유저의 얼굴 이미지를 캡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c와 같이, 캡쳐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16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profile image item 1602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activate the camera 621 to capture a face image of the user. And, as shown in FIG. 16C , a screen 1610 for editing the captured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편집 완료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6d와 같이, 편집된 유저 이미지(1615)를, 프로파일 이미지 항목(1602) 내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Upon completion of editing,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edited user image 1615 to be located in the profile image item 1602 as shown in FIG. 16D .

다음,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600) 내의 이름 항목(1604)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6e와 같이, 이름 입력창(16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Next, when the name item 1604 in the user information setting screen 1600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name input window 162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6E . .

한편,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600) 내의 장르 항목(1606)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6f와 같이, 장르 설정창(1625)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genre item 1606 in the user information setting screen 1600 is selected,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genre setting window 1625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6F .

이러한,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600)에서의 사용자 정보 설정 완료시,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설정된 사용자 정보는 물론,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formation setting on the user information setting screen 160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t user information as well as application information to be mirror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135)를 통해, 설정된 사용자 정보는 물론, 미러링할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사용자 항목이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or 135, the set user informa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information to be mirrored, and adds a user item to the application list. can be controlled

도 17a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710) 내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미러링을 위한 제1 사용자 항목(1705)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7A illustrates that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 first user item 1705 for mirroring ar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list 1710 .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1 사용자 항목(1705)의 다른 항목과의 구별을 위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 내에 포함되는 사용자 이미지(1707)가 제1 사용자 항목에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항목(1705)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order to distinguish the first user item 1705 from other items, the user image 1707 included i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user item.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first user item 1705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한편, 애플리케이션 리스트(1710) 내의 제1 사용자 항목(1705)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17b와 같이, 제1 사용자 항목(1705)이 펼쳐지면서, 제1 사용자 관련 메뉴(172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user item 1705 in the application list 1710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7B, expands the first user item 1705, 1 A user-related menu 172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제1 사용자 관련 메뉴(1720)는,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600a)에서 설정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1711,1712,1713), 복귀 항목(1716), 및 추가 항목(1719)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ser-related menu 17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1711 , 1712 , and 1713 , a return item 1716 , and an additional item 1719 set in the first user mobile terminal 600a . .

이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플레이어 항목(1713)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에, 페어링 요청 신호(Spai)를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페어링 응답 신호(Spar)를 수신할 수 있다.Among them, when the player item 1713 for playing multimedia data is selected,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home screen or the standby screen 810 of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 a pairing request signal Spai may be transmitted, and a pairing response signal Spar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페어링 요청 신호(Spai) 외에, 추가로, 도 17c와 같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S)를,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Spai),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7c, information (S) on the selected application item,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 which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810)이 표시되는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한 정보(S)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 내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도 17c와 같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미지(1740a)를 디스플레이(680)에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on which the home screen or standby screen 810 is displaye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 on the application item, within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 and as shown in FIG. 17C , an image of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1740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

특히, 도 17c는,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컨텐츠 리스트 화면(1740a)을 예시한다. 이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1742a)가 선택되는 경우, 도 17d와 같이, 재생되는 화면(1750)이, 제1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a)의 디스플레이(680)에 표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FIG. 17C illustrates a content list screen 1740a among the player application screens. When any one of the contents 1742a is selected, a reproduced screen 175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680 of the first user's mobile terminal 600a as shown in FIG. 17D .

그리고, 미러링 모드에 따라, 재생되는 화면(1750)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재생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1750a)가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편하게, 영상표시장치(1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의 미러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d, according to the mirroring mod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1750 to be reproduced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to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1750a) can be display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mirroring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도 18a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에서, 추가 설정 항목(818)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FIG. 18A exemplifies that an additional setting item 818 is selected in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8b와 같이, TV 알림 항목(819)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TV notification item 819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8B .

TV 알림 항목(819)이 선택되는 경우, 도 18c와 같이, 알림 설정 항목(817)을 포함하는 화면(181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알림 설정 항목(817)이 선택되는 경우, 도 18d와 같이, 알림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When the TV notification item 819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8c , a screen 1810 including a notification setting item 817 may be displayed, and when the notification setting item 817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8d , the notification setting may be completed.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알림 메시지가 외부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or the like in the mirror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it to be deliver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즉, 도 18e와 같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 알림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60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수신되며,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1111(에, 알림 메시지(1111a)가 추가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서도, 알림 메시지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8E , a notification message of the messenger applic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isplayed mirror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pplication item 1111 (in, the notification message 1111a) to be additionally displayed.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also check the notification message at any time.

한편, 도 19a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에서, 가로 세로 보기 설정 항목(813)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FIG. 19A exemplifies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setting items 813 are selected on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19b와 같이, 가로 세로 보기 설정창(18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setting window 1820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9B .

가로 세로 보기 설정창(1820)은, 자동 회전 항목(1822), 세로 보기 항목(1824), 가로 보기 항목(18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정된 방식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ew setting window 1820 may include an auto-rotation item 1822 , a vertical view item 1824 , and a horizontal view item 1826 . Accordingl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t method.

예를 들어, 가로 보기 항목(1826)이 선택되어 설정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가로 보기 항목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도 19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세로 화면(1900)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는, 가로 화면(1900a)으로 설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view item 1826 is selected and set,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the horizontal view item setting information,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9C , the mobile terminal ( The vertical screen 1900 of 600 may be set and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s the horizontal screen 1900a.

한편, 도 20a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에서, 비밀 번호 항목(814)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 20A illustrates that the password item 814 is selected in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20b와 같이, 비밀 번호 설정창(1830), 및 숫자 입력창(1836)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password setting window 1830 and the number input window 1836 to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20B .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도 20c와 같이, 소정 번호가 입력되어 완료되는 경우, 도 20d와 같이,미러링 설정 애플리케이션 화면(820)이 다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control the mirroring setting application screen 820 to be displayed again as shown in FIG. 20D when a predetermined number is input and completed as shown in FIG. 20C .

이때, 비밀 번호 항목(814)은, 비밀 번호 설정 완료 정보(814a)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ssword item 814 may include password setting completion information 814a.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설정된 비밀 번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영상표시장치(100)는, 설정된 비밀 번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ontrols to transmit the set password informa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receive the set password information.

한편, 이러한 비밀 번호 정보는, 미러링 관련 메뉴 하의, 제1 사용자 항목 선택시, 또는 특정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선택시에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is password information, under the mirroring related menu, when selecting the first user item, or can be utilized when selecting a specific mirroring application item.

예를 들어, 도 17c의 제1 사용자 항목(1705) 선택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바로 제1 사용자 항목에 대응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표시되지 않고, 도 20e와 같은 비밀 번호 입력창(20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item 1705 of FIG. 17c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immediately display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item, as shown in FIG. 20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assword input window 2010 to be displayed.

한편, 비밀 번호 입력창(2010)은, 표시창(2013), 및 숫자 입력창(2016)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ssword input window 2010 may include a display window 2013 and a number input window 2016 .

한편, 입력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도 20f와 같은, 미러링 관련 메뉴 하의, 복수의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1111,1112,1113) 등과, 추가 항목(1119) 등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사용자만을 위한 미러링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20f, under the mirroring related menu, a plurality of mirroring application items (1111, 1112, 1113), etc., additional items (1119)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rroring mode only for a specific user.

한편, 특정 애플리케이션 항목에만 비밀 번호 설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결국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미러링 모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password setting can be applied only to a specific application item, and eve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irroring mode for a specific appl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r the mobile terminal.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s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6)

디스플레이;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미러링을 위한 제1 사용자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의 상기 제1 사용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상기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사용자 항목은, 제1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제1 사용자 관련 메뉴는,
미러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항목,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위한 추가 항목, 이전 화면 표시를 위한 복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a user input,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related menu including mirroring-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server information-related content, and receive a mirroring application item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tems to be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The control unit is
Display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 first user item for mirroring, and when the first user item in the application is selected, in the application list, a first including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Controls the display of user-related menus,
The first user item is displayed together with an image related to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related menu is,
An application item for mirroring, an additional item for adding a mirroring application, and a return item for displaying the previous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는,
상기 서버 정보가 포함되는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ntent related to the server information,
Video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de image including the serv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 내에 표시되는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 중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정보 또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되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s selected among the mirroring application items displayed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control to transmit pairing information or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receiving,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image on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s
In a state in which the broadca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signal and the application list are displayed, based on the user input, the mirroring related menu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list.
제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미러링 관련 서버 정보 또는 서버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is
Control to display a pointer based on a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including the mirroring related server information or content related to server information when a mirroring item is selected based on the pointer An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do so.
디스플레이;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 내의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미러링을 위한 제1 사용자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의 상기 제1 사용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상기 수신된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사용자 항목은, 제1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제1 사용자 관련 메뉴는,
미러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항목,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위한 추가 항목, 이전 화면 표시를 위한 복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a user input,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 related menu, control to transmit a pairing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in the mirroring related menu is sel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A mirroring application image, from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includes,
Display an application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tems and a first user item for mirroring, and when the first user item in the application is selected, in the application list, a first including the received mirroring application item Controls the display of user-related menus,
The first user item is displayed together with an image related to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related menu is,
An application item for mirroring, an additional item for adding a mirroring application, and a return item for displaying the previous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a pair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video display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o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transmi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 전송시의 통신 방식과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수신시의 통신 방식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transmitting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receiving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s
In a state in which the broadcast image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signal and the application list are displayed, based on the user input, the mirroring related menu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list.
제6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The control unit is
Control to display a pointer based on a pointing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ontrol to display the mirroring related menu including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tem when a mirroring item is selected based on the pointer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디스플레이;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미러링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상기 미러링 항목 내의 제1 사용자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되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용자 항목은, 제1 사용자와 관련한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며,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는,
미러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항목,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위한 추가 항목, 이전 화면 표시를 위한 복귀 항목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display;
an interface unit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Based on a user input, control to display a mirroring-related menu or mirroring item, and when the first user item in the mirroring-related menu or the mirroring item is selected, a pairing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user Control to control, an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from the first user mobile terminal, receiving,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received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The first user item is displayed together with an image related to the first user,
The mirroring related menu is,
An application item for mirroring, an additional item for adding a mirroring application, and a return item for displaying the previous scree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페어링 응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s
When a pairing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airing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maintained to maintain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user mobil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s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transmit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execution request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mobil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요청 신호시의 통신 방식과 상기 제1 미러링 애플리케이션 이미지의 통신 방식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s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pairing request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first mirroring application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과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미러링 관련 메뉴 또는 상기 미러링 항목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리스트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is
In a state in which a broadcast image and an application list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signal are displayed, based on the user input, the mirroring related menu or the mirroring item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list.
KR1020150094881A 2015-07-02 2015-07-02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44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81A KR102444150B1 (en) 2015-07-02 2015-07-02 Image display apparatus
US15/741,439 US11134294B2 (en) 2015-07-02 2015-07-2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201580082861.1A CN107925791B (en) 2015-07-02 2015-07-21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PCT/KR2015/007547 WO2017003007A1 (en) 2015-07-02 2015-07-21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15897229.9A EP3319326B1 (en) 2015-07-02 2015-07-21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81A KR102444150B1 (en) 2015-07-02 2015-07-02 Imag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81A KR20170004481A (en) 2017-01-11
KR102444150B1 true KR102444150B1 (en) 2022-09-15

Family

ID=5783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881A KR102444150B1 (en) 2015-07-02 2015-07-02 Imag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97B1 (en) * 2017-11-0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providinging security notif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23292B1 (en) * 2019-11-15 2024-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676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Application mirroring using multiple graphics contexts
WO2012150744A1 (en)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Application clone executing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lone terminal for suppor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51B1 (en) * 2011-03-23 2013-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4676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Application mirroring using multiple graphics contexts
WO2012150744A1 (en) * 2011-05-04 2012-11-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Application clone executing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lone terminal for supporting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호섭, ‘삼성, 스마트TV용 새 리모컨 공개’, 블로터 (2014.0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81A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338B1 (en) Mobile terminal
CN107925791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36462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8254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54212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1034207B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5959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3002036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97513B2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f content
KR20130026234A (en) An image display device, a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1330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al
KR102444150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60039478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70112099A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96257B1 (en) Remote controlle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145243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