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377A -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377A
KR20150028377A KR20130106011A KR20130106011A KR20150028377A KR 20150028377 A KR20150028377 A KR 20150028377A KR 20130106011 A KR20130106011 A KR 20130106011A KR 20130106011 A KR20130106011 A KR 20130106011A KR 20150028377 A KR20150028377 A KR 20150028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ization
content
text information
candidat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김현빈
류성원
박수란
김기홍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0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377A/ko
Priority to US14/268,631 priority patent/US20150067537A1/en
Publication of KR2015002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텍스트 처리부와,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시각화 처리부 및 컨텐츠를 타 단말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처리부를 포함하고, SNS를 통하여 타 단말과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말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고,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 및 SNS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생성 또는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NS BASED CONTENTS}
본 발명은 SNS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하여 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획자, 작가, 디자이너 및 개발자 등 각각의 주체들마다 상이한 도구를 사용하여 개별 작업을 수행하고, 제작 주체 상호간에는 문서 또는 개략적인 드로잉을 통하여 상호간의 의견을 교환함으로써 컨텐츠 제작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문서 또는 개략적인 드로잉을 통하여 제작 주체 상호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종래의 컨텐츠 제작 협업 방식은 제작 주체 상호간에 명확하게 의견을 전달하기가 어렵고, 협업 시 제작 주체 상호간에 개별 작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으므로, 제작된 컨텐츠 결과물에 대하여 만족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작된 컨텐츠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 재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에 따라서 제작 주체의 작업은 소모적이고 비생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인 컨텐츠 제작 협업을 위한 해결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기술적 제약 또는 시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그 개선의 정도는 미미하여, 컨텐츠 제작 작업의 진행 경과에 따라 좀 더 빈번하게 컨텐츠 중간 결과물을 확인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근래 국제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기획을 담당하고, 개도국에서는 디자인 제작 등을 담당하여, 컨텐츠 제작에 있어서의 분업은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서 복수의 제작 주체 간에 보다 명확하고 직관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사용자가 협업하여 컨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기반으로 텍스트 자료 입력 또는 사용자가 직접 획득한 자료의 입력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즉시성이 높고 사용자 상호간에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텍스트 처리부와,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시각화 처리부 및 컨텐츠를 타 단말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처리부를 포함하고, SNS를 통하여 타 단말과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말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고,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 및 SNS를 통하여 컨텐츠에 대한 생성 또는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의 협업으로 제작되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객관화된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획득한 자료를 기초로 컨텐츠 생성 및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생성 및 수정의 기초가 되는 소재를 확장함과 동시에 현장감과 즉시성이 높은 컨텐츠 소재의 수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신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검색, 추천함으로써 컨텐츠 생성 또는 수정을 위한 정보 입력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텍스트 정보 수신, 시각화 후보 자료 검색 및 추천, 시각화 자료 선택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와의 적합성이 높은 시각화 후보 자료를 검색하고 추천할 수 있으므로, 시각화 후보 자료의 검색 및 추천의 적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 입력에 대하여 시각화된 컨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종래 컨텐츠 제작 협업에 있어서 동일한 자료가 제시되더라도 사용자 별로 상이한 주관적 판단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연상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시공간적인 제약 없이 컨텐츠 제작 영감이 떠오르는 경우 그 즉시 컨텐츠 제작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복수의 사용자가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컨텐츠 제작 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노드화 구조 및 동일 노드에 대하여 상이한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 입력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00),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텍스트 처리부(200),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시각화 처리부(300) 및 상기 컨텐츠를 타 단말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처리부(400)를 포함하고, SNS를 통하여 상기 타 단말과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말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 위치에서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 또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상기 텍스트 정보,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의 주변 환경에 대하여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정보로 수신함으로써, 컨텐츠 생성 및 수정의 소재를 확장할 수 있으며, 현장감과 즉시성이 높은 컨텐츠 소재의 수집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단말이 포함하는 카메라가 획득한 이미지 또는 깊이 영상(depth image)정보이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상기 GUI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가 추천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상기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받는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는 상기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400)를 통하여 상기 타 단말로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고, 상기 타 단말이 수신한 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 사용자 간의 음성을 통한 상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하고,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한다.
즉,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자연어 처리를 통하여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등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며,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운드 자료를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검색 및 추천하거나,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검색 및 추천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대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고려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한다.
이 때,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및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기검색된 텍스트 정보의 상관도에 기초한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산출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A: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B: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T1: 제1가중치
R: 텍스트 정보 및 기 검색된 텍스트와의 상관도
T2: 제2가중치
이 때,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가 추천된 횟수를 의미하고,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를 뜻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산출된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고려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한다.
또한,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함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를 구성하는 단어의 연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의 추천 시 유사 활용도가 높은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포함하되,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는 계층적으로 분석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객체 시각화 적합성이 높은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와 연계성이 높은 객체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하여 검색 범위를 제한하고, 계층적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선택된 객체를 랜더링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한다.
즉,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를 통하여 선택된 시각화 후보 자료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랜더링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한다.
이 때,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00)가 수신한 상기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텍스트 처리부(200)가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하여 제시한 자료 중 사운드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운드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객체 별로 노드화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객체에 대한 노드화 구조 및 동일 노드에 대한 상이한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 입력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장면 기술(Scene Discription)의 가시화를 위하여 상기 가시화되는 모든 객체들을 노드 형태로 관리하며, 이러한 노드 형태의 관리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에 대한 추가, 수정 및 삭제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면 SCENE 1에 대하여 장면 기술하는 텍스트는 객체 별로 분리되어 노드화 되고, 상기 객체는 OBJECT 1 및 OBJECT 2로 도시된다.
이 때, 상기 시각화 처리부(300)는 사용자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를 생성한다.
즉, 상기 OBJECT 1에 대하여 두 명의 사용자가 각기 다른 의견에 기초한 상이한 내용의 텍스트를 입력한 경우, 상기 OBJECT 1에 대하여 상이한 사용자 정보(USER 1, USER2 2)가 포함된 복제 노드(copy node)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두 명의 사용자 외 나머지 사용자는 상기 두 명의 사용자의 상이한 의견에 기초한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수정 사항을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수정의 기초가 되는 객체 시각화 후보 자료는 아이콘으로 가시화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GUI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된다.
또한, 상기 두 명의 사용자 외 나머지 사용자의 OBJECT 1 또는 OBJECT 1-1에 대한 선택 정보는 상기 OBJECT 1 또는 상기 OBJECT 1-1 에 대한 텍스트 정보와 함께 상기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500)에 기록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4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SNS를 통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타 단말의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공유한다.
이 때,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40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상기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선택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즉, 상기 노드 중 생성 또는 수정 작업에 의하여 변경이 발생한 노드에 대하여만 별도의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활용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상기 랜더링의 속도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500)는 상기 텍스트 정보,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및 선택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즉, 상기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500)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연계된 데이터를 관리하되, 상기 텍스트 정보와 연계된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등록함으로써 상기 입력 정보에 따른 컨텐츠 생성 또는 수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와, 상기 획득한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게(S200)와, 상기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S300)와, 상기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여 컨텐츠를 가시화하는 단계(S400) 및 SNS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또는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GUI,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 위치에서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 또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정보이거나,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이며, 상기 영상 정보는 상기 단말에 배치된 카메라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 또는 깊이 영상 정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은 상기 텍스트 정보,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및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텍스트 정보,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및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와 연계된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S400)는 상기 획득한 사용자 입력 데이터가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소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에 대한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현장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함으로써,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장할 수 있으며, 즉시성이 높고 현장감이 있는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로 변환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받는다.
또한, 추가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상기 소리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타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타 단말이 획득한 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 사용자 간의 음성 통화를 통한 의견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자연어 처리하고,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며,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및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기검색된 텍스트 정보의 상관도에 기초하여 산출한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고려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S300)는 [수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산출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2
A: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B: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T1: 제1가중치
R: 텍스트 정보 및 기 검색된 텍스트와의 상관도
T2: 제2가중치
즉, 상기 객체 시각화 적합성은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에 대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가 선택된 횟수가 클 수록, 상기 텍스트 정보 및 기 검색된 텍스트와의 상관도가 높을 수록 증가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S400)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또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선택된 객체를 랜더링한다.
즉,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는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객체 시각화 적합성이 높은 시각화 후보 자료 또는 상기 사용자가 기획득한 영상 정보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객체를 랜더링 함으로써 시각화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S400)는 상기 컨텐츠를 객체 별로 노드화하되, 상기 노드는 사용자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의 생성 또는 수정 작업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의 노드 별로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노드가 상이한 복수의 수정 사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수정 사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의 상이한 의견을 공유하고,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협업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S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S500)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가 포함되는 노드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SNS 를 통하여 공유한다.
즉,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가 특정 노드에 대하여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객체별 노드에 대한 업데이트를 모두 수행하면,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컨텐츠를 랜더링 할 시 랜더링 속도가 저하되므로, 상기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에 대하여만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정 정보에 따른 랜더링 속도 저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입력부 200: 텍스트 처리부
300: 시각화 처리부 400: 네트워크 처리부
500: 시각화 객체관리 서버

Claims (20)

  1.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텍스트 처리부와,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시각화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를 타 단말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처리부를 포함하고,
    SNS를 통하여 상기 타 단말과 상기 컨텐츠 생성 또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말;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객체 관리 서버는
    상기 텍스트 정보,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및 선택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 위치에서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 또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받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하고,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처리부는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및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기검색된 텍스트 정보의 상관도에 기초하여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고려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처리부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선택된 객체를 랜더링하고, 상기 랜더링한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처리부는
    상기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컨텐츠를 상기 객체 별로 노드화 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처리부는
    사용자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포함하는 노드를 생성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처리부는
    상기 수정 정보가 포함되는 노드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 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11.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게;
    상기 입력 데이터가 텍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추천하고,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에 대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 및
    SNS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또는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 소리 입력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 위치에서 기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소리 정보 또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 산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및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입력 데이터가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소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소리 정보에 대한 객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로 변환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 받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정보를 자연어 처리하고, 상기 자연어 처리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 대한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단계는
    시각화 후보 자료 선택 횟수, 시각화 후보 자료 추천 횟수 및 입력된 텍스트 정보와 기검색된 텍스트 정보의 상관도에 기초하여 산출한 객체 시각화 적합성을 고려하여 상기 시각화 후보 자료를 산출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된 시각화 후보 자료, 상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선택된 객체를 랜더링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 또는 수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컨텐츠를 객체 별로 노드화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SNS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생성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정 정보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수정 정보가 포함되는 노드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SNS를 통하여 공유하는 것
    인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방법.
KR20130106011A 2013-09-04 2013-09-04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8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011A KR20150028377A (ko) 2013-09-04 2013-09-04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US14/268,631 US20150067537A1 (en) 2013-09-04 2014-05-02 Social network service-based content creat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011A KR20150028377A (ko) 2013-09-04 2013-09-04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377A true KR20150028377A (ko) 2015-03-16

Family

ID=5258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011A KR20150028377A (ko) 2013-09-04 2013-09-04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67537A1 (ko)
KR (1) KR20150028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82A1 (ko) * 2017-07-18 2019-01-2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소싱 기반의 ar 컨텐츠 템플릿을 수집하여 ar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6158B1 (ko) * 2021-02-04 2021-06-16 한철희 사용자의 sns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튜디오 촬영 사진을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CN112989187A (zh) * 2021-02-25 2021-06-18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创作素材的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582A1 (ko) * 2017-07-18 2019-01-24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소싱 기반의 ar 컨텐츠 템플릿을 수집하여 ar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6158B1 (ko) * 2021-02-04 2021-06-16 한철희 사용자의 sns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튜디오 촬영 사진을 보정하기 위한 시스템
CN112989187A (zh) * 2021-02-25 2021-06-18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创作素材的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7537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201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949407B2 (ja) 最適化ベースのビジュアル・コンテキスト管理
CN106354697A (zh) 将数据变换成可消费的内容
US202002342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odifying electronic organizational charts
US10878138B2 (en) Method of managing proxy objects
AU2020202901B2 (en) Enriching collaboration using visual comments in a shared review
CN109739869B (zh) 模型运行报告生成方法及系统
KR20200114171A (ko) 문서서식 기반 정보화 플랫폼 제공 장치
KR20150028377A (ko) Sns 기반의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21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comparing geo-spatially aligned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ime
Foerster et al. On-demand base maps on the web generalized according to user profiles
CN110689614B (zh) 基于电子地图的设备信息收集方法、介质、设备及系统
JP6372165B2 (ja) デザイン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68275B2 (ja) 地図データ編集装置及び地図データ編集装置用サーバ
KR102455636B1 (ko)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3d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519481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計画システム
US20100254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mapping and integration
JP2009237863A (ja) 電子ファイル管理装置および仮想店舗管理装置
TW201440012A (zh) 建築模型影像顯示系統及其方法
Barik et al. Investigations into the Efficacy of Open Source GIS Software
JP4652357B2 (ja) メディア編集サーバ装置、メディア編集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編集プログラム
JP5447307B2 (ja) 利用者情報処理装置、利用者情報処理方法、及び利用者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565632B2 (ja) 地図情報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17576A (ja) 情報処理装置、紹介情報作成方法
US10621248B2 (en) Collaborative real-time data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