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661A -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661A
KR20150027661A KR20130106364A KR20130106364A KR20150027661A KR 20150027661 A KR20150027661 A KR 20150027661A KR 20130106364 A KR20130106364 A KR 20130106364A KR 20130106364 A KR20130106364 A KR 20130106364A KR 20150027661 A KR20150027661 A KR 2015002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d
filter
audio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일
Original Assignee
현대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661A/ko
Publication of KR2015002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7/00Apparatus for performing colour-music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기술로서, 노래반주기의 셋톱박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루프 형태 엘이디를 개별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로 입력하는 오디오 출력신호와 동일한 패턴(리듬, 박자)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가지고 셋톱박스의 개별 콘센트로부터 개별 엘이디 루프의 플러그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래반주기에서 재생중인 곡과 느낌이 맞으면서도 다양한 결합 패턴으로 엘이디 루프를 점멸 제어함으로써 고객의 감성과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control apparatus controlling flickering of LED LOOP from audio of karaoke player}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의 셋톱박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루프 형태 엘이디를 개별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로 입력하는 오디오 출력신호와 동일한 패턴(리듬, 박자)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가지고 셋톱박스의 개별 콘센트로부터 개별 엘이디 루프의 플러그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 온오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통 노래반주기는 셋톱박스, 모니터, 마이크, 스피커로 구성된다. 셋톱박스는 노래반주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탑재되고, 셋톱박스의 제어로 노래반주기 동작하면 모니터에 영상과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된다. 스피커는 셋톱박스에 내장된 음원에 대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정보도 출력한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시에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점멸하는 LED를 구비함으로써, 노래반주기를 통해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흥을 돋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개시되었다.
그러나, 노래반주기의 동작과 연동하여 점멸하는 기존 LED는 단순히 오디오의 출력 크기에만 의존해서 점멸의 속도를 변화시키는 기술로서, 노래반주기의 셋톱박스에 내장된 음원 데이터 자체의 오디오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1. 노래방용 스테이지(특허출원 10-2005-0006270호)
2.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가라오케 칩 및 이를 채용한 가라오케 시스템(특허출원 10-2005-01313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한 후 특정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입력신호와 연동하여 엘이디 루프가 점멸하도록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 개 엘이디 루프의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오디오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입력하는 입력단자;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소정 대역대의 주파수로 필터링하는 RC 필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RC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POD IC; POD IC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제어로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 POD IC와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출력단자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옵토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POD IC는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POD IC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 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POD IC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디지털 신호의 제어로 제 2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단자; POD IC와 제 2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출력단자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제 2 옵토커플러;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소자는 커패시턴스 소자와 저항 소자의 결합 또는 커패시컨스 소자로 구성되어 제 2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고, POD IC는 디지털 신호와 제 2 디지털 신호를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RC 필터는 신호증폭기와 POD IC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증폭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패스 필터와, 로우패스 필터와 POD IC 사이에 연결되어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하는 하이패스 필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래반주기가 스테레오 오디오를 출력하는 경우 입력단자, 신호증폭기, RC 필터, POD IC와 각각 듀얼로 이루어진 제 2 입력단자, 제 2 신호증폭기, 제 2 RC 필터, 제 2 POD I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입력단자, 신호증폭기, RC 필터, POD IC와 동일한 동작 패턴을 가지고 제 2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2 신호증폭기, 제 2 RC 필터, 제 2 POD IC는 신호증폭기, RC 필터, POD IC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1) 노래반주기에서 재생중인 곡과 느낌이 맞는 패턴으로 엘이디 루프를 점멸 제어할 수 있어 고객의 감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2) 오디오 출력신호를 가지고 여러 가지 패턴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 루프에 대해 서로 다른 패턴의 점멸을 구현할 수 있다.
(3) 특히, 오디오 출력신호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디지털 신호의 생성이 가능함으로써 특히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보컬의 오디오 출력신호에 대해 보다 디테일하게 점멸되는 엘이디 루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동작하는 노래반주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의해 점멸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 루프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입력단자를 통한 증폭 신호와 필터링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POD IC를 통한 디지털 신호와 제 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제 2 입력단자를 통한 증폭 신호와 필터링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POD IC를 통한 제 3 디지털 신호와 제 4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디지털 신호에 의해 옵토커플러가 쇼트되면서 출력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로도.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동작하는 노래반주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가 동작하는 노래반주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 의해 점멸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 루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노래반주기는 모니터(10), 마이크(20), 레프트 스피커(30), 라이트 스피커(40), 셋톱박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10)는 노래반주기가 동작하는 경우 동영상과 노래 가사를 디스플레이하고, 마이크(20)는 외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레프트 스피커(30)와 라이트 스피커(40)는 셋톱박스(50)에 내장된 음원에 대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2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정보도 함께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셋톱박스(50)는 노래반주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탑재된다. 그리고 셋톱박스(50)의 제어로 노래반주기가 동작하면 모니터(10)에 영상과 가사를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레프트 스피커(30)와 라이트 스피커(40)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된다.
한편, 셋톱박스(50)에는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탑재하는 회로기판(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셋톱박스(50)의 측부에는 복수 개의 콘센트(51,52,53,54)가 구비되는데, 복수 개의 엘이디 루프(71,72,73,74)에 전원을 인가받는 플러그(71a,72a,73a,74a)가 끼워진다.
즉, 회로기판(60)에 탑재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제어로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콘센트(51,52,53,54)에 인가되는 전원이 각각 독립적으로 온오프되면서 콘센트(51,52,53,54)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엘이디 루프(71,72,73,74)가 각각 독립적으로 점멸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콘센트(51,52,53,54)에 인가되는 전원을 각각 독립적으로 온오프시키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입력단자를 통한 증폭 신호와 필터링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POD IC를 통한 디지털 신호와 제 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디지털 신호에 의해 옵토커플러가 쇼트되면서 출력단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회로도이다.
[도 3]과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 개 엘이디 루프의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력단자(110), 신호증폭기(120), RC 필터(130), POC IC(140), 출력단자(150), 옵토커플러(160), 제 2 출력단자(150'), 제 2 옵토커플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단자(110)는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 셋톱박스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출력신호와 동일한 패턴(리듬, 박자)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오디오와 연동하여 엘이디 루프를 점멸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신호증폭기(120)는 입력단자(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고 일부 증폭 신호(121)는 POD IC(140)로 흐르고, 나머지 일부 증폭 신호(121)는 RC 필터(130)를 거치게 되는데 RC 필터(130)를 거친 필터링 신호(122)도 POC IC(140)로 흐른다.
RC 필터(130)는 신호증폭기(120)를 거치면서 증폭된 증폭 신호(121)의 일부를 소정 대역대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필터링한다. 이렇게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122)는 POD IC(140)로 흐른다.
RC 필터(130)는 로우패스 필터(131)와 하이패스 필터(132)로 구성되는데, 로우패스 필터(131)는 신호증폭기(120)와 POD IC(140) 사이에 연결되어 신호증폭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한다. 하이패스 필터(132)는 로우패스 필터(131)와 POD IC(140) 사이에 연결되어 로우패스 필터(13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한다.
한편, RC 필터(130)는 소망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곡 재생 출력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1.1KHz ~ 10KHz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하는 필터링을 거친다. 1.1KHz ~ 10KHz 대역은 노래반주기에서 마이크(20)를 통해 입력되는 보컬 데이터에 대응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복수 개 엘이디 루프의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인데, 특히 마이크(20)를 통한 보컬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노래를 부를 때 노래에 맞추어 엘이디 루프가 섬세하게 점멸하도록 하여 노래 부르는 사람이 자신의 박자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POD IC(Power On Demand IC;140)는 신호증폭기(1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121)와 RC 필터(130)를 통해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122)를 기반으로 제 1 디지털 신호(S1)를 생성한다.
출력단자(150)는 POD IC(14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디지털 신호(S1)의 제어로 엘이디 루프(71)의 점멸을 위한 전원을 출력한다. 출력단자(150)는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51,52,53,54) 중 하나의 콘센트(51)와 연결되고, 이 콘센트(51)를 통해 플러그 연결된 하나의 엘이디 루프(71)에 점멸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출력단자(150)에는 대용량 전원공급부(P)가 결선되며 대용량 전원공급부(P)는 제 1 디지털 신호(S1)의 제어로 옵토커플러(160)가 쇼트될 때 출력단자(1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POD IC(14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디지털 신호(S1)는 스몰 시그널이기 때문에 제 1 디지털 신호(S1)는 옵토커플러(160)의 오픈/쇼트만을 제어하고 옵토커플러(160)가 쇼트될 때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출력단자(150)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엘이디 루프(71)를 점멸시킨다.
옵토커플러(Opto-coupler;160)는 POD IC(140)와 출력단자(150)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출력단자(150)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옵토커플러(160)가 오픈과 쇼트를 반복하면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출력단자(150)에 전원신호가 단속적으로 인가되고, 그에 따라 엘이디 루프(71)가 점멸하게 된다.
한편, POD IC(Power On Demand IC;140)는 신호증폭기(1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121)와 RC 필터(130)를 통해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122)를 기반으로 제 1 디지털 신호(S1)를 생성하고, 동시에 신호증폭기(1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121)와 POD IC(140)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 2 디지털 신호(S2)를 생성한다.
여기서, 접지 소자는 커패시턴스 소자와 저항 소자의 결합 또는 커패시컨스 소자로 구성되어 제 2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접지 소자는 저항 소자 없이 접지된 커패시턴스 소자("C5 10N")만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POD IC(140)는 RC 필터(130)를 거친 필터링 신호(122)를 수신하는 제 1 전압 레퍼런스 단자(141)와 접지 소자 연결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전압 레퍼런스 단자(142)를 구비한다.
제 2 출력단자(150')는 POD IC(14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디지털 신호(S2)의 제어로 제 2 엘이디 루프(72)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출력단자(150')는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51,52,53,54) 중 하나의 콘센트(52)와 연결되고, 이 콘센트(52)를 통해 플러그 연결된 하나의 엘이디 루프(72)에 점멸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제 2 출력단자(150')에는 출력단자(15)와 마찬가지로 대용량 전원공급부(P)가 결선되며 대용량 전원공급부(P)는 디지털 신호(S2)의 제어로 제 2 옵토커플러(160')가 쇼트될 때 제 2 출력단자(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POD IC(140)로부터 전송되는 제 2 디지털 신호(S2)는 스몰 시그널이기 때문에 제 2 디지털 신호(S2)는 제 2 옵토커플러(160')의 오픈/쇼트만을 제어하고 제 2 옵토커플러(160')가 쇼트될 때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2 출력단자(150')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엘이디 루프(72)를 점멸시킨다.
제 2 옵토커플러(160')는 POD IC(140)와 제 2 출력단자(150')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제 2 출력단자(150')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제 2 옵토커플러(160')가 오픈/쇼트를 반복하면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2 출력단자(150')에 전원이 단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하나의 엘이디 루프(72)가 점멸하게 된다.
한편, 제 1 디지털 신호(S1)는 신호증폭기(120)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121)와 RC 필터(130)를 거친 필터링 신호(122)로부터 생성된다. 그리고, 제 2 디지털 신호(S2)는 신호증폭기(120)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121)와 POD IC(140)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그에 따라, 도면에서 POD IC(140)는 서로 상이한 패턴의 제 1 디지털 신호(S1)와 제 2 디지털 신호(S2)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제 2 입력단자를 통한 증폭 신호와 필터링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POD IC를 통한 제 3 디지털 신호와 제 4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는 노래반주기가 스테레오 오디오를 출력하는 경우 입력단자(110), 신호증폭기(120), RC 필터(130), POD IC(140)와 각각 듀얼로 이루어진 제 2 입력단자(210), 제 2 신호증폭기(220), 제 2 RC 필터(230), 제 2 POD IC(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에 따라, 입력단자(110), 신호증폭기(120), RC 필터(130), POD IC(140)와 동일한 동작 패턴을 가지고 제 2 입력단자(2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2 신호증폭기(220), 제 2 RC 필터(230), 제 2 POD IC(240)는 신호증폭기(120), RC 필터(130), POD IC(14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입력단자(210)는 스피커로 출력시키기 위해 셋톱박스에서 전송하는 오디오 출력신호와 동일한 패턴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오디오와 연동하여 엘이디 루프를 점멸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제 2 신호증폭기(220)는 제 2 입력단자(2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고 일부 증폭 신호(221)는 제 2 POD IC(240)로 흐르고, 나머지 일부 증폭 신호(221)는 제 2 RC 필터(230)를 거치게 되는데 제 2 RC 필터(230)를 거친 필터링 신호(222)도 제 2 POC IC(240)로 흐른다.
제 2 RC 필터(230)는 제 2 신호증폭기(220)를 거치면서 증폭된 증폭 신호(221)의 일부를 소정 대역대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필터링한다. 이렇게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222)는 제 2 POD IC(240)로 흐른다.
제 2 RC 필터(230)는 로우패스 필터(231)와 하이패스 필터(232)로 구성되는데, 로우패스 필터(231)는 제 2 신호증폭기(220)와 제 2 POD IC(240) 사이에 연결되어 제 2 신호증폭기(2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한다. 하이패스 필터(232)는 로우패스 필터(231)와 제 2 POD IC(240) 사이에 연결되어 로우패스 필터(23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한다.
제 2 POD IC(240)는 제 2 신호증폭기(2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221)와 제 2 RC 필터(230)를 통해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222)를 기반으로 제 3 디지털 신호(S3)를 생성한다.
제 3 출력단자(250)는 제 2 POD IC(240)로부터 전송되는 제 3 디지털 신호(S3)의 제어로 엘이디 루프(73)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제 3 출력단자(250)는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51,52,53,54) 중 하나의 콘센트(53)와 연결되고, 이 콘센트(53)를 통해 플러그 연결된 하나의 엘이디 루프(73)에 점멸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제 3 출력단자(250)에는 대용량 전원공급부(P)가 결선되며 대용량 전원공급부(P)는 제 3 디지털 신호(S3)의 제어로 제 3 옵토커플러(260)가 쇼트될 때 제 3 출력단자(2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 2 POD IC(240)로부터 전송되는 제 3 디지털 신호(S3)는 스몰 시그널이기 때문에 제 3 디지털 신호(S3)는 제 3 옵토커플러(260)의 오픈/쇼트만을 제어하고 제 3 옵토커플러(260)가 쇼트될 때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3 출력단자(250)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엘이디 루프(73)를 점멸시킨다.
제 3 옵토커플러(260)는 제 2 POD IC(240)와 제 2 출력단자(250)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제 3 출력단자(250)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제 3 옵토커플러(260)가 오픈/쇼트를 반복하면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3 출력단자(250)에 전원이 단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엘이디 루프(73)는 점멸하게 된다.
한편, 제 2 POD IC(240)는 제 2 신호증폭기(2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221)와 제 2 RC 필터(230)를 통해 필터링된 필터링 신호(222)를 기반으로 제 3 디지털 신호(S3)를 생성하고, 동시에 제 2 신호증폭기(220)를 통해 증폭된 증폭 신호(221)와 제 2 POD IC(240)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 4 디지털 신호(S4)를 생성한다.
여기서, 접지 소자는 커패시턴스 소자와 저항 소자의 결합 또는 커패시턴스 소자로 구성되어 제 4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접지 소자는 저항 소자 없이 접지된 커패시턴스 소자("C7 10N")만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2 POD IC(240)는 제 2 RC 필터(230)를 거친 필터링 신호(222)를 수신하는 제 3 전압 레퍼런스 단자(241)와 접지 소자 연결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 4 전압 레퍼런스 단자(242)를 구비한다.
제 4 출력단자(250')는 제 2 POD IC(240)로부터 전송되는 제 4 디지털 신호(S4)의 제어로 제 4 엘이디 루프(74)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한다. 제 4 출력단자(250')는 셋톱박스(50)의 측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콘센트(51,52,53,54) 중 하나의 콘센트(54)와 연결되고, 이 콘센트(54)를 통해 플러그 연결된 하나의 엘이디 루프(74)에 점멸을 위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제 4 출력단자(250')에는 제 4 출력단자(250')와 마찬가지로 대용량 전원공급부(P)가 결선되며 대용량 전원공급부(P)는 제 4 디지털 신호(S4)의 제어로 제 4 옵토커플러(260')가 쇼트되는 경우 제 4 출력단자(2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제 2 POD IC(240)로부터 전송되는 제 4 디지털 신호(S4)는 스몰 시그널이기 때문에 제 4 디지털 신호(S4)는 제 4 옵토커플러(260')의 오픈/쇼트만을 제어하고 제 4 옵토커플러(260')가 쇼트될 때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4 출력단자(250')에 단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엘이디 루프(74)를 점멸시킨다.
제 4 옵토커플러(260')는 제 2 POD IC(240)와 제 4 출력단자(250')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제 4 출력단자(250')의 동작을 온오프시킨다. 여기서 제 4 옵토커플러(260')가 오픈/쇼트를 반복하면 대용량 전원공급부(P)로부터 제 4 출력단자(250')에 전원이 단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하나의 엘이디 루프(74)가 점멸하게 된다.
한편, 제 3 디지털 신호(S3)는 제 2 신호증폭기(220)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221)와 제 2 RC 필터(230)를 거친 필터링 신호(222)로부터 생성되고, 제 4 디지털 신호(S4)는 제 2 신호증폭기(220)로부터 증폭된 증폭 신호(221)와 제 2 POD IC(240)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제 2 POD IC(240)는 서로 상이한 패턴의 제 3 디지털 신호(S3)와 제 4 디지털 신호(S4)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10 : 모니터 20 : 마이크
30 : 레프트 스피커 40 : 라이트 스피커
50 : 셋톱박스 51, 52, 53, 54 : 콘센트
60 : 회로기판 71, 72, 73, 74 : 엘이디 루프
71a, 72a, 73a, 74a : 플러그
110 : 입력단자 120 : 신호증폭기
121 : 증폭 신호 122 : 필터링 신호
130 : RC 필터 131 : 로우패스 필터
132 : 하이패스 필터 140 : POD IC
141 : 제 1 전압 레퍼런스 단자 142 : 제 2 전압 레퍼런스 단자
150 : 출력단자 150' : 제 2 출력단자
160 : 옵토커플러 160' : 제 2 옵토커플러
210 : 제 2 입력단자 220 : 제 2 신호증폭기
221 : 증폭 신호 222 : 필터링 신호
230 : 제 2 RC 필터 231 : 로우패스 필터
232 : 하이패스 필터 240 : 제 2 POD IC
241 : 제 3 전압 레퍼런스 단자 242 : 제 4 전압 레퍼런스 단자
250 : 제 3 출력단자 250' : 제 4 출력단자
260 : 제 3 옵토커플러 260' : 제 4 옵토커플러
S1 : 디지털 신호 S2 : 제 2 디지털 신호
S3 : 제 3 디지털 신호 S4 : 제 4 디지털 신호
P : 대용량 전원공급부

Claims (6)

  1. 노래반주기에 연결되는 복수 개 엘이디 루프에 대해 노래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에 연동하여 상기 복수 개 엘이디 루프의 개별적인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오디오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입력하는 입력단자(110);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증폭기(120);
    상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의 일부를 소정 대역대의 주파수로 필터링하는 RC 필터(130);
    상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RC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기반으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POD IC(140);
    상기 POD IC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 신호의 제어로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50);
    상기 POD IC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상기 출력단자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옵토커플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OD IC는 상기 신호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와 상기 POD IC에 접지 소자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제 2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POD IC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 2 디지털 신호의 제어로 제 2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위한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단자(150');
    상기 POD IC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에 직렬연결되고, 스위칭 온오프하면서 상기 출력단자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제 2 옵토커플러(160');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소자는 커패시턴스 소자와 저항 소자의 결합 또는 상기 커패시턴스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제 2 디지털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OD IC는 상기 디지털 신호와 상기 제 2 디지털 신호를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RC 필터는,
    상기 신호증폭기와 상기 POD IC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증폭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로우패스 필터와 상기 POD IC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로우패스 필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하이패스 필터링하는 하이패스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가 스테레오 오디오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입력단자, 상기 신호증폭기, 상기 RC 필터, 상기 POD IC와 각각 듀얼로 이루어진 제 2 입력단자, 제 2 신호증폭기, 제 2 RC 필터, 제 2 POD I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단자, 상기 신호증폭기, 상기 RC 필터, 상기 POD IC와 동일한 동작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제 2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신호증폭기, 상기 제 2 RC 필터, 상기 제 2 POD IC는 상기 신호증폭기, 상기 RC 필터, 상기 POD IC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KR20130106364A 2013-09-04 2013-09-04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KR20150027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364A KR20150027661A (ko) 2013-09-04 2013-09-04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364A KR20150027661A (ko) 2013-09-04 2013-09-04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61A true KR20150027661A (ko) 2015-03-12

Family

ID=53022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364A KR20150027661A (ko) 2013-09-04 2013-09-04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6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4315A1 (en) * 2014-08-21 2016-08-04 Zhejiang Shenghui Lighting Co., Ltd. Lighting device and voic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83246Y1 (ko) * 2016-02-02 2017-04-19 한태석 노래반주기의 반주신호에 따른 조명등 절환용 표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4315A1 (en) * 2014-08-21 2016-08-04 Zhejiang Shenghui Lighting Co., Ltd. Lighting device and voic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990175B2 (en) * 2014-08-21 2018-06-05 Zhejiang Shenghui Lighting Co., Ltd Lighting device and voice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0483246Y1 (ko) * 2016-02-02 2017-04-19 한태석 노래반주기의 반주신호에 따른 조명등 절환용 표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3513B (zh) 音频信号处理装置、音频信号处理系统以及音频信号处理方法
US9245507B2 (en) Systems for combining inputs fro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nd devices
US3927402A (en) Audio responsive light display system
US8697977B1 (en) Dynamic lighting for musical instrument
US20100307325A1 (en) Guitar, tuner, amplifier and effects circuit, cables and case
CN107172784B (zh) 一种基于舞台场景声音的自适应灯光控制方法和系统
EA002858B1 (ru) Бесконденсаторный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фильтр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KR20100069296A (ko) 음악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로봇완구
KR20150027661A (ko) 노래반주기의 오디오에 따라 엘이디 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US20110091052A1 (en) Sound and light control apparatus
US5501131A (en) Decorative light blinking device using PLL circuitry for blinking to music
CN209448930U (zh) 声光驱动器及声光装置
CN207011060U (zh) 一种基于舞台场景声音的自适应灯光控制系统
US64487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lsating lights in response to an audio signal
US9830809B2 (en) Electrical device controller
CN206977676U (zh) 电脑音频高保真录制系统
CN205320231U (zh) 多媒体系统
KR101023889B1 (ko) 에코기능을 갖는 마이크 음향 효과장치
JP2007086365A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並びにイルミネーション方法及び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駆動方法
KR20100104254A (ko) 음원 특성을 이용한 엘이디 어레이 제어 회로
JP2001314652A (ja) ゲーム機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及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CN202652499U (zh) 双模式共振便携式音响
KR100633393B1 (ko) 엠알재생용 노래반주장치
JP6607952B2 (ja) 体感制御装置、体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79487A (ko) 휴대용 영상가요반주기의 보조마이크신호 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