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861A - Circuit interrupter apparatus - Google Patents
Circuit interrupte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6861A KR20150026861A KR20140109573A KR20140109573A KR20150026861A KR 20150026861 A KR20150026861 A KR 20150026861A KR 20140109573 A KR20140109573 A KR 20140109573A KR 20140109573 A KR20140109573 A KR 20140109573A KR 20150026861 A KR20150026861 A KR 20150026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socket
- connector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reaking device for blocking an electric circuit.
종래, 소켓 커넥터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 차단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circuit breaking device for disconnecting an electric circuit by releasing a plug connector inserted into a socket connector from a socket connector has been used.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원 회로에 접속된 한 쌍의 버스 바 및 인터록 회로에 접속된 인터록 단자를 구비한 박스와, 쇼트 단자가 내장된 그립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서는, 박스에 형성된 접속공으로 그립을 삽입하여, 삽입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그립에 형성된 조작 돌기에 의해 박스 내의 버스 바가 탄성 변형하여 서로 도통 접속된다. 그 후, 접속공에 대하여 그립을 더욱 밀어넣음으로써, 인터록 단자가 쇼트 단자에 의해 도통 접속되어, 전원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반대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전원 회로가 차단된다. For example,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 적절한 전원 회로를 형성하려면, 그립을 박스에 밀어넣은 후에, 회전시키고, 더욱 밀어넣는 것과 같은 복잡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때문에, 전원 회로 등의 도통 접속 또는 차단에 따른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면,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전기 회로 등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reaker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n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an electric circuit or the lik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회로 차단 장치는, 소켓 커넥터에 상대적으로 삽입한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소켓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소켓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주(主)단자와, 상기 소켓 커넥터에 설치되어, 신호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신호 단자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플러그 주단자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신호 회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주단자가 상기 소켓 주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전기 회로를 도통 접속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기 회로를 도통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가 상기 소켓 신호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신호 회로를 도통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ircuit breaker for disconnecting an electric circuit by releasing a plug connector relatively inserted into a socket connector from the socket connector, the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socket main terminal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a socket signal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 connector and connected to a signal circuit; a plug main terminal provided in the plug connector; and a plug signal terminal provided in the plug connector, Wherein the plug main end contacts the socket mai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signal circuit is cut off by relatively inserting the plug connector into the socket connector so that the electric circu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he plug connector in the inserted state is relatively moved about the insertion axis By rotation, and in a conductive state connecting the electrical circui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g signal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receptacle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signal circuit.
본 발명의 제1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소켓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삽입하면, 플러그 주단자와 소켓 주단자가 접촉하여, 전기 회로가 도통 접속된다. 그 후, 소켓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하면, 플러그 신호 단자와 소켓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신호 회로가 도통 접속된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면, 플러그 신호 단자와 소켓 신호 단자가 이간하여, 신호 회로가 차단된다. 그 후, 소켓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빼내면, 플러그 주단자와 소켓 주단자가 이간하여, 전기 회로가 차단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circuit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connector is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socket connector, the main end of the plug contacts the main end of the socket and the electric circu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hereafte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is rotated relative to the insertion axis line, the plug signal terminal and the socket signal termin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ignal circu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From this state, when the plug connector is rotated in a relatively reverse direction, the plug signal terminal and the socket signal termi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ignal circuit is interrupted. Thereafter, when the plug connector is relatively removed from the socket connector, the plug main terminal and the socket main terminal are disconnected, and the electric circuit is interrupted.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삽입 및 발출 동작에 의해 전기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이 행해지고,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정역회전 동작에 의해 신호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이 행해진다. 즉, 1개의 동작으로 1개의 회로의 도통 접속 또는 차단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각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을 간이화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circuit is performed by the relative insertion and extraction opera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signal circuit are performed by the relativ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lug connector. That is, conduction connection or interruption of one circuit is performed by one opera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ope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each circuit, and to improve the operability.
본 발명의 제2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한 제1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주단자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소켓 주단자는,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분리 주단자를 갖고, 상기 각 분리 주단자는, 상기 플러그 주단자를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플러그 주단자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ircuit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described first circuit interrupter, the plug main terminal has a cylindrical shape, the socket main terminal has a pair of separation main terminal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main terminal preferably contacts the plug main terminal so as to sandwich the plug main termin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의 제2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소켓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삽입하면, 플러그 주단자가,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사이에 들어가, 서로 접속된다. 이때, 각 분리 주단자는, 플러그 주단자의 내외 양 둘레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어느 한쪽의 둘레면에만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주단자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루트(전기가 흐르는 길)를 2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전류를 흘릴 수 있고, 대전류를 이용하는 전기 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connector is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socket connector, the plug main end enters between the pair of separated main terminals arranged at a distance,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separate main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both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lug main terminal, the contact area can be made larger than, for example, the case where only one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ntacted. Further, since the plug main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it is possible to form two routes (paths through which electricity flows) for connecting the pair of separation main terminals. As a result, a large current can be passed and an electric circuit using a large current can be coped with.
본 발명의 제3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한 제2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분리 주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내주면에 압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측 단자편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외주면에 압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외측 단자편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circuit bre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circuit breaking device, each of the separating main terminals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plurality of inner terminal pieces And a plurality of outer terminal pieces which are elastically deformable and which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ress-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main terminal.
본 발명의 제3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각 내측 단자편은,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주단자의 내주면으로 밀어붙여지고, 각 외측 단자편은,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주단자의 외주면으로 밀어붙여진다. 이에 따라, 플러그 주단자와 각 분리 주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내측 단자편 및 각 외측 단자편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플러그 주단자의 삽입 및 발출, 그리고 플러그 주단자의 회전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즉, 소켓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삽입 및 발출, 그리고 정역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내측 단자편 및 각 외측 단자편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로 차단 장치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이 회로 차단 장치를 격렬하게 진동하는 자동차 등의 전기 계통에 사용했다고 해도, 플러그 주단자와 각 분리 주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circuit bre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ner terminal piece is pus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main terminal by its own elastic force, and each of the outer terminal pieces is pus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main terminal by its own elastic force . Thus,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ug main terminal and each of the separation main terminals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Further, since each of the inner terminal piece and each of the outer terminal pieces is elastically deformed,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plug main terminal and rotation of the plug main terminal are not hindered. That is, relativ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and normal and reverse rot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Further, since each of the inner terminal piece and each of the outer terminal pieces is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bsorb vibr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circuit break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perly maintain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plug main terminal and each of the separation main terminals, for example, even if this circuit breaker is used in an electric system such as a vehicle vibrating violently.
본 발명의 제4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한 제2 또는 제3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신호 단자는, 상기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중간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를 갖고,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는, U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회전에 수반하여, U자 형상의 개방된 한 쌍의 선단부 내면이 각각 상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urth circuit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described second or third circuit interrupter, wherein the socket signal terminal includes a pair of disconnecting signals Wherein the plug signal terminal has a U-shaped shape and is disposed inside the plug main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a pair of U-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distal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separated signal terminal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4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플러그 신호 단자의 한 쌍의 선단부가, 각 분리 신호 단자의 병설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플러그 신호 단자는 각 분리 신호 단자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플러그 신호 단자)를 회전시켜, 플러그 신호 단자의 한 쌍의 선단부가, 각 분리 신호 단자의 병설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경우, 플러그 신호 단자의 한 쌍의 선단부 내면이 각각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신호 단자를 U자 형상의 단순한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회전했을 때에만, 플러그 신호 단자를 각 분리 신호 단자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소켓 신호 단자는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플러그 신호 단자는, 플러그 주단자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각각 소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urth circuit br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pair of leading ends of the plug signal terminals are oriented in parallel with the respective separated signal terminals, the plug signal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separated signal terminals none. In this state, when the plug connector (plug signal terminal) is rotated so that the pair of leading ends of the plug signal terminals face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pective divided signal terminals are juxtaposed, Each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pair of separated signal terminals. In this manner, only when the plug connector terminal is made to have a simple U-shaped structure, the plug signal terminal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separation signal terminals only when the plug connector is relatively rotated. In addition, since the socket signal terminal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pair of separate main terminals and the plug signal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plug main terminal,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5 회로 차단 장치는, 상기한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소켓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삽입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 홈부와, 상기 삽입 홈부의 삽입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회전 홈부와, 상기 회전 홈부의 회전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걸도록 상기 회전 홈부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fth circuit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ircuit interrupt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circuit interrupters described above, wherein either one of the socket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socket connector and the plug housing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plug connector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so as to engage with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ocket housing, A rotary groove portion formed concavely along a relative rota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from an insertion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in a relative insertion directio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It is preferable to have a lock protrusion which is formed in the lock protrusion.
본 발명의 제5 회로 차단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홈에 걸어맞춤시켜 안내시킴으로써, 소켓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삽입 및 발출, 그리고 정역회전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기는, 회전 홈부를 지나 로크 돌기부에 맞닿는다. 여기에서 또한,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기는, 로크 돌기부를 더 지나 회전 홈부의 회전 방향 단부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 돌기는 로크 돌기부에 걸리고, 플러그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에 대하여 로크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역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전기 회로 및 신호 회로가 도통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이드 돌기가 로크 돌기부를 더 지났을 때에 발해지는 소리나 부하의 변화(진동)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회전이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circuit interru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and normal and reverse rotation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by engaging the guide protrusion with the guide groove and guiding the guide protrus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operability due to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each circuit. Further, when the worker relatively rotates the plug connector, the guide projection abuts against the lock projection portion beyond the rotation groove portion. Here, when the operator applies a force to relatively rotate the plug connector, the guide projection moves past the lock projection por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end portion of the rotation groove portion. In this state, the guide projection engages with the lock projection, and the plug connector is locked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Thus, the relative reverse rotation of the plug connector which is not intended can be suppress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 circuit and the signal circu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maintained. Further,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a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lug connector is completed due to a sound or a change in load (vibration) when the guide projection passes the lock projection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회로 등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duction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an electric circuit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에 삽입하여,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소켓 커넥터의 각 단자와 플러그 커넥터의 각 단자와의 접촉을 설명하는 정면도로서, 도 8(a)는 접촉 전을 나타내고, 도 8(b)는 접촉 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로서, 회전 홈부와 가이드 돌기와의 걸어맞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9(a)는 회전 전을 나타내고, 도 9(b)는 회전 도중을 나타내고, 도 9(c)는 회전 후(로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에 있어서, 소켓 신호 단자와 플러그 신호 단자와의 접촉을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도 10(a)는 접촉 전을 나타내고, 도 10(b)는 접촉 개시시를 나타내고, 도 10(c)는 접촉 후를 나타내고 있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ervice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rvice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g connector is detached from a socket connector as a service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ocke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detached from the socket connector.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socket connector and rotated.
Fig.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contact between each terminal of the socket connector and each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in the service plu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b) indicates the post-contact state.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schematically show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rotation groove portion and the guide protrusion. Fig. 9 (a) (c) shows the state after the rotation (locked state).
FIG. 10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contact between a socket signal terminal and a plug signal terminal in a service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a) And Fig. 10 (c) shows the state after the contact.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각 도면에 있어서, Fr을 전방으로 하여 설정함과 함께, X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Z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정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drawings, Fr is set forward and the X direction is set to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the Y direction is se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is set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로 차단 장치로서의 서비스 플러그(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는 서비스 플러그(1)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서비스 플러그(1)로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소켓 커넥터(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로부터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에 삽입하여,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소켓 커넥터(2)의 각 단자와 플러그 커넥터(3)의 각 단자와의 접촉을 설명하는 정면도로서, 도 8(a)는 접촉 전을 나타내고, 도 8(b)는 접촉 후를 나타내고 있다. A configuration of a
이 서비스 플러그(1)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카 등의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회로(전기 회로)나 축전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플러그(1)는, 차량의 전기 계통의 메인터넌스 등에서의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와 부하와의 사이의 통전을 차단하는 것이다. Th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비스 플러그(1)는, 전원 회로측에 설치되는 소켓 커넥터(2)와, 소켓 커넥터(2)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 커넥터(3)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이 서비스 플러그(1)에서는, 소켓 커넥터(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3)가 끼워맞춤함으로써, 전원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도통 접속(단락)된다. 또한, 소켓 커넥터(2)에 끼워맞춤한 플러그 커넥터(3)가 삽입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신호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도통 접속(단락)된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신호 회로가 차단(개방)되고, 전원 회로가 차단(개방)된다. 또한, 신호 회로는, 전원 회로의 도통 접속이 정상인지 아닌지 등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통 접속」이란, 회로에 통전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며, 반드시 통전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In the
우선, 도 1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여, 소켓 커넥터(2)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켓 커넥터(2)는, 소켓 하우징(4)과, 전원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주단자(5)와, 신호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신호 단자(6)를 구비하고 있다. First, the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4)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소켓 커넥터(2)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소켓 하우징(4)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설치되는 하우징 본체(10)와, 하우징 본체(10)의 상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하우징 통부(11)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하우징 본체(10)는, 상하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얇은 판 형상의 상하 한 쌍의 플랜지부(12, 13)와, 상하 한 쌍의 플랜지부(12, 13)의 사이에 형성되는 본체 중간부(14)를 갖고 있다. The housing
본체 중간부(14)의 좌우 방향 중간부는, 하우징 통부(11)의 하방으로 이어지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대략 원통 형상의 중간부를 사이에 끼우고 본체 중간부(14)의 좌우 방향 양측은, 각 플랜지부(12, 13)의 전후 방향 양단면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중간부(14)의 하부는, 그 상부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1단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middle portion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body
본체 중간부(14)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육각 너트(N)를 보유지지 가능한 너트 보유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각 너트 보유지지부(15)는, 본체 중간부(14)의 하부의 정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플랜지부(12)의 상면에는, 각 너트 보유지지부(15)를 향하여 연장되는 너트 진입홈(1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육각 너트(N)는, 너트 진입홈(16)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하고, 너트 보유지지부(15)에 밀어넣어진다. 또한, 육각 너트(N)는, 너트 보유지지부(15)의 상부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클로우부(15a)에 의해 빠짐이 규제된다. A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플랜지부(12)의 하면에는, 소켓 주단자(5)의 일부가 끼워맞춤하는 좌우 한 쌍의 끼워맞춤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오목부(17)에는, 상기한 너트 보유지지부(15)에 연통하는 나사 관통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a pair of left and right fitting recesses 17, in which a part of the socket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플랜지부(13)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부착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복수의 맞닿음부(13a)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의 플랜지부(13)의 상면에는, 부착 플레이트를 관통한 수나사(도시하지 않음)의 선단이 나사맞춤하는 좌우 한 쌍의 나사공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나사공부(13b)는, 맞닿음부(13a)와 동일한 높이까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나사공부(13b)는, 본체 중간부(14)의 상측 절반 정도까지 뚫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As shown in Figs. 2 and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통부(11)는, 상측의 플랜지부(1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설(延設)되는 소켓 외통부(20)와, 소켓 외통부(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켓 내통부(21)를 갖고 있다. 3 and 4, the
소켓 외통부(20)는, 평면에서 볼 때 플랜지부(13)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소켓 외통부(2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上段) 테두리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켓 외통부(20)의 높이는, 하우징 본체(1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켓 외통부(20)의 상면에는, 원형 형상의 소켓 외통 개구(20a)가 형성되고, 그 내부가 개방되어 있다. The socket
소켓 외통부(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홈(2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홈(22)은, 소켓 커넥터(2)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3)의 삽입 방향인 대략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 홈부(22a)와, 삽입 홈부(22a)의 하단부로부터 소켓 커넥터(2)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방향(예를 들면 우회전)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회전 홈부(22b)와, 회전 홈부(22b)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22c)를 갖고 있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cket
각 가이드 홈(22)은, 삽입 홈부(22a)와 회전 홈부(22b)에 의해, 정면에서 볼 때(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삽입 홈부(22a)는, 소켓 외통부(20)의 대략 정면 및 대략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홈부(22a)는, 상단면으로부터 소켓 외통부(20)의 높이의 중앙보다도 상방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하방을 향하여 우회전이 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회전 홈부(22b)는, 플랜지부(13)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 돌기부(22c)는, 회전 홈부(22b)의 맨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 돌기부(22c)는, 회전 홈부(22b)를 구획하도록 상하 방향에 걸쳐 돌출 형성되어 있다. Each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외통부(20)의 내부에는, 소켓 외통 개구(20a)로부터 플랜지부(12)의 하면까지, 하우징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소켓 외통 공간(S1)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 외통 공간(S1)은, 상부에 형성되는 소경 공간(S11)과, 소켓 외통부(20)의 대략 중앙에서 1단 외측으로 확경하여, 소경 공간(S11)의 하측에 형성되는 대경 공간(S12)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경 공간(S12)은, 플랜지부(12)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끼워맞춤 오목부(17)를 연통시키고 있다. 대경 공간(S12)에 대한 각 끼워맞춤 오목부(17)의 연통 부분은 만곡 형성되어 있다. 6, the socket
소켓 내통부(21)는, 소켓 외통부(20)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갖고, 소켓 외통부(20)와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소켓 내통부(21)의 높이는, 대경 공간(S12)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켓 내통부(21)는, 상부에 형성되는 대경 내통부(23)와, 대경 내통부(23)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경 내통부(24)로 구성되어 있다. The socket
대경 내통부(23)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 내통부(23)의 상면에는, 원형 형상의 내통 개구(23a)가 형성되고, 대경 내통부(23)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켓 내통 공간(S2)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대경 내통부(23)의 둘레 측벽은, 대경 내통부(23)의 저부(底部)보다도 하방으로 연출(延出)되어 있다. 대경 내통부(23)의 상단부에는, 근소하게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출되는 좌우 한 쌍의 내통 플랜지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내통 플랜지부(23b)의 상단 테두리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내통 플랜지부(23b)의 하단면은, 상기한 소경 공간(S11)과 대경 공간(S12)과의 단차면과 대략 동일 위치(높이)에 형성되어 있다.The large diameter
소경 내통부(24)는, 대경 내통부(23)보다도 소경이 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경 내통부(23)와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소경 내통부(24)는, 대경 내통부(23)의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설되는 단자 접속부(25)와, 대경 내통부(23)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설되는 단자 보유지지부(26)로 구성되어 있다. The small-diameter
단자 접속부(25)는,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25)의 하면에는, 접속 개구(25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접속 개구(25a)에는, 신호 회로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부착된 커넥터가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터를 통하여 신호 회로와 소켓 신호 단자(6)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he
단자 보유지지부(26)는, 단자 접속부(25)보다도 소경의 대략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보유지지부(26)는, 대경 내통부(23)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갖고 있다. 단자 보유지지부(26)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직사각형 개구(26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보유지지부(26)의 좌우 방향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 방향 대략 전체에 걸쳐 단자 개구(26b)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25) 및 단자 보유지지부(26)의 내부에는, 단자 공간(S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접속부(25) 및 단자 보유지지부(26)의 내부에는, 단자 공간(S3)을 좌우 방향으로 2등분하도록 구획하는 단자 보유지지판(27)이 배치되어 있다. The
대경 내통부(23)의 저부보다도 하방으로 연출된 대경 내통부(23)의 둘레 측벽과, 단자 접속부(25)와의 사이에는, 환상(環狀)의 걸어맞춤홈(G)이 구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홈(G)에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자 고정 부재(28)의 상단부가 걸어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An annular engaging groove G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al side wall of the large diameter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주단자(5)는, 서로 이간하는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를 갖고 있다.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우측의 분리 주단자(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socket
분리 주단자(30)는, 내측 주단자(30a)와 외측 주단자(30b)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내측 주단자(30a) 및 외측 주단자(30b)는, 각각,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적절하게 절곡 가공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The separation
도 6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주단자(30a)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부(基部; 31)와, 기부(31)의 좌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만곡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2)와, 만곡부(32)의 상단부에 연설되는 띠 형상부(33)와, 띠 형상부(33)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설되는 복수의 내측 단자편(34)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6 and 8 (a), the inner
기부(31)는, 평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약간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기부(31)의 중앙보다도 근소하게 오른쪽 가까이에는, 끼워맞춤 오목부(17)에 형성된 나사 관통공(17a)에 연통하는 기부 관통공(3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The
만곡부(32)는, 대경 공간(S1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부(31)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만곡부(32)는, 평면에서 볼 때 기부(31)보다도 전후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만곡부(32)의 상부는, 평면에서 볼 때 소켓 외통부(20)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The
띠 형상부(33)는, 평면에서 볼 때 소켓 외통부(20)의 내주면과 대략 평행하게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만곡한 띠 형상부(33)는, 기부(31)의 전후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The belt-
복수의 내측 단자편(34)은, 띠 형상부(33)의 만곡을 따라(전후 방향으로) 등(等)간격으로 병설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내측 단자편(3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복수의 내측 단자편(34)은, 각각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 1개의 내측 단자편(34)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측」이란 지름 방향 내측을 가리키고, 「외측」이란 지름 방향 외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inner
내측 단자편(34)은, 띠 형상부(33)의 상단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출되는 연직부(35)와, 연직부(35)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근소하게 연출되는 굴곡부(36)와, 굴곡부(36)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연출되는 단자부(37)와, 단자부(37)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근소하게 연출되는 선단부(38)를 갖고 있다.The
내측 단자편(34)의 각 부(35∼38)는, 동일한 폭(병설 방향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단자편(34)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러그 주단자(8)의 내주면에 압접하게 되어 있다(도 7 및 도 8(b) 참조). 정확하게는, 단자부(37)와 선단부(38)와의 접속 부분, 즉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부분이, 플러그 주단자(8)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내측 접점부(39)가 되어 있다. The
외측 주단자(30b)는, 상기한 내측 주단자(30a)와 대략 동일하게, 기부(41)와, 만곡부(42)와, 띠 형상부(43)와, 복수의 외측 단자편(44)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내측 주단자(30a)와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outer
외측 주단자(30b)의 기부(41)는, 내측 주단자(30a)의 기부(31)의 상면에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즉, 내측 주단자(30a)와 외측 주단자(30b)는, 기부(31, 41)끼리가 접속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주단자(30b)의 기부(41)에는, 하측의 기부 관통공(31a)에 연통하도록 기부 관통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기부 관통공(41a)의 상면 테두리부에는, 플랜지부(12)의 끼워맞춤 오목부(17)에 형성된 나사 관통공(17a)에 끼워맞춤하는 환상 돌기부(4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만곡부(42) 및 띠 형상부(43)는, 각각, 내측 주단자(30a)에 있어서의 만곡부(32) 및 띠 형상부(33)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복수의 외측 단자편(44)은, 띠 형상부(43)의 만곡을 따라(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병설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외측 단자편(4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복수의 외측 단자편(44)은, 각각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이하, 1개의 외측 단자편(44)에 착안하여 설명한다. The plurality of outer
외측 단자편(44)은, 띠 형상부(43)의 상단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출되는 연직부(45)와, 연직부(45)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근소하게 연출되는 굴곡부(46)와, 굴곡부(46)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연출되는 단자부(47)와, 단자부(47)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근소하게 연출되는 선단부(48)를 갖고 있다. 즉, 외측 단자편(4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내측 단자편(34)과 대략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외측 단자편(44)의 각 부(45∼48)는, 동일한 폭(병설 방향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단자편(44)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러그 주단자(8)의 외주면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도 7 및 도 8(b) 참조). 정확하게는, 단자부(47)와 선단부(48)와의 접속 부분, 즉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부분이, 플러그 주단자(8)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외측 접점부(49)가 되어 있다. The
소켓 주단자(5)(각 분리 주단자(30))를 소켓 하우징(4)에 보유지지시키는 경우, 작업자는, 내측 주단자(30a)의 기부(31) 상에, 외측 주단자(30b)의 기부(41)를 적층한 상태에서, 기부(31)와 기부(41)를, 하우징 본체(10)의 플랜지부(12)에 형성된 끼워맞춤 오목부(17)에 끼워맞춤시킨다. When the socket main terminal 5 (each separate main terminal 30) is held in the
이어서, 작업자는, 단자 고정 부재(28)를 하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걸어맞춤홈(G)에 걸어맞춤시킨다(도 6 참조). 도시는 생략하지만, 단자 고정 부재(28)는, 좌우 한 쌍의 내측 주단자(30a)의 띠 형상부(33)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소켓 주단자(5)가, 하우징 통부(11)의 내부에 보유지지된다. Subsequently, the operator inserts the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기부(31, 41)를, 전원 회로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부착된 단자(C)와 함께, 소켓 하우징(4)에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기부(31, 41)의 기부 관통공(31a, 41a)에, 단자(C)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위치맞춤하고, 수나사 부재(B)를 삽입한다. 수나사 부재(B)는, 하측으로부터, 단자(C)의 구멍, 기부 관통공(31a, 41a) 및 나사 관통공(17a)을 삽입 통과하여, 너트 보유지지부(15)에 보유지지된 육각 너트(N)에 나사맞춤한다. Next, as shown in Fig. 1, the operator fixes the
이에 따라, 분리 주단자(30)(내측 주단자(30a) 및 외측 주단자(30b))가, 소켓 하우징(4)에 고정된다. 동시에, 소켓 커넥터(2)가, 케이블이 부착된 단자(C)를 개재하여 전원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hus, the separation main terminals 30 (the inner
도 6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주단자(5)(각 분리 주단자(30))를 소켓 하우징(4)에 보유지지시킨 상태에서, 만곡부(42)는, 근소한 간극을 갖고 만곡부(3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띠 형상부(43)는, 근소한 간극을 갖고 띠 형상부(33)의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띠 형상부(33)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이 상태에서, 각 외측 단자편(44)은, 근소한 간극을 갖고 각 내측 단자편(34)의 외측에 위치함과 함께 각 내측 단자편(34)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내측 접점부(39)와 각 외측 접점부(49)는, 근소하게 이간한 상태로 되어 있다. 6 and 8 (a), in a state in which the socket main terminal 5 (each main main terminal 30) is held in the
그리고, 만곡부(32, 42), 띠 형상부(33, 43), 각 내측 단자편(34) 및 각 외측 단자편(44)은, 각각, 소켓 외통부(20)와 소켓 내통부(21)와의 사이에 있어서, 비접촉 상태로 대경 공간(S12)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내측 단자편(34)과 각 외측 단자편(44)은, 각각, 대경 공간(S12) 내에서 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The
또한, 소켓 주단자(5)(각 분리 주단자(30))를 소켓 하우징(4)에 보유지지시킨 상태에서, 소켓 외통부(20)와 각 내통 플랜지부(23b)(소켓 내통부(21))와의 사이의 치수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가락이, 의도하지 않게, 소켓 주단자(5)(각 분리 주단자(30))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소위 핑거 프로텍트).The socket
도 6 및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신호 단자(6)는,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의 중간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좌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를 갖고 있다. 좌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는, 각각,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적절하게 절곡 가공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는, 소경 내통부(24)의 단자 공간(S3)에 있어서 단자 보유지지판(27)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우측의 분리 신호 단자(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6 and 8 (a), the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 신호 단자(50)는, 단자 접속부(25)측에 있어서 단자 보유지지판(27)에 밀착하여 연직 상방으로 연출되는 신호 연직부(51)와, 신호 연직부(51)의 상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연출되는 제1 단자부(52)와, 제1 단자부(52)의 상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연출되는 제2 단자부(53)와, 제2 단자부(53)의 상단부로부터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근소하게 연출되는 신호 선단부(54)를 갖고 있다. 8 (a), the
분리 신호 단자(50)의 각 부(52∼54)는, 동일한 폭(병설 방향의 폭)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신호 연직부(51)는, 단자 접속부(25)에 개구한 접속 개구(25a)의 근방까지 연출되고(도 6 참조), 접속 개구(25a)에 끼워맞춤한 신호 회로용 커넥터의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신호 연직부(51)의 상부는, 단자 접속부(25)의 내부로 압입되기 때문에, 각 부(52∼54)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Each of the
제1 단자부(52)와 제2 단자부(53)와의 접속 부분, 즉 우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부분이, 플러그 신호 단자(9)에 접촉하는 신호 접점부(55)가 되어 있다. 신호 접점부(55)는, 단자 보유지지부(26)의 단자 개구(26b)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고, 소켓 내통 공간(S2)에 노출되어 있다. 신호 선단부(54)는, 단자 보유지지부(26)의 직사각형 개구(26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도 6 참조).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다음으로,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플러그 커넥터(3)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3)는, 플러그 하우징(7)과, 플러그 하우징(7)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주단자(8)와, 플러그 주단자(8)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9)를 구비하고 있다. Next, the
플러그 하우징(7)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3)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7)은, 플러그 외통부(60)와, 플러그 외통부(6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내통부(61)를 갖고 있다. The
플러그 외통부(60)는,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외통부(60)의 상부에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62)는,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요철을 갖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립부(62)에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대략 원주 형상의 무게경감용공(lightening hole; 62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외통부(60)의 하면에는, 원형 형상의 플러그 외통 개구(60a)가 형성되고, 그 내부가 개방되어 있다. 플러그 외통부(60)의 내부에는, 플러그 외통 개구(60a)로부터 그립부(62)의 하측까지, 플러그 외통 공간(S4)이 형성되어 있다. The plug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외통부(60)의 내주면에는, 상기한 한 쌍의 가이드 홈(22)에 걸어맞춤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돌기(63)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돌기(63)는, 지름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러그 외통부(6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돌기(63)의 돌출량은, 각 가이드 홈(22)의 깊이와 대략 동일하다. 각 가이드 돌기(63)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64)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 한 쌍의 슬릿(64)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63)는, 탄성력을 갖고 지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5, a pair of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내통부(61)는, 플러그 외통부(60)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갖고, 플러그 외통부(60)와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 내통부(61)는, 플러그 외통부(60)의 윗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내통 기부(65)와, 내통 기부(65)로부터 하방으로 연출되는 내통 본체(66)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plug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 기부(65)는, 그립부(62)에 형성된 무게경감용공(62a)의 저부를 구성하도록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 기부(65)의 외주면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환상으로 형성되는 O링(67)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 기부(65)의 하면에는, 플러그 주단자(8)의 일부가 압입되는 단자 압입홈(68)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6, the inner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통 본체(66)는, 내통 기부(65)보다도 소경이 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통 기부(65)와 동일 축심 상에 배치되어 있다. 내통 본체(66)는, 플러그 외통부(60)의 플러그 외통 개구(60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통 본체(66)의 하면에는, 단자 내설 개구(66a)가 형성되고, 내통 본체(66)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내통 공간(S5)이 개방되어 있다. 단자 내설 개구(66a)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의 외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내통 공간(S5)의 하측은, 단자 내설 개구(66a)와 동일 단면(斷面)을 갖고, 플러그 내통 공간(S5)의 상측은, 원주 단면을 갖고 있다. 5 and 6, the inner cylinder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주단자(8)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원통 형상으로 굽힘 가공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주단자(8)는, 내통 기부(65)보다도 근소하게 대경이 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주단자(8)의 상부에는, 커트부가 있는 단자 압입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압입부(8a)는, 플러그 주단자(8)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lug
플러그 주단자(8)를 플러그 하우징(7)에 보유지지시키는 경우, 단자 압입부(8a)를 내통 기부(65)에 오목하게 형성된 단자 압입홈(68)에 압입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플러그 주단자(8)의 상단부(단자 압입부(8a)를 제외함)는, 내통 기부(65)의 외주부에 끼워맞춤하고 있다. When the plug
이에 따라, 플러그 주단자(8)는, 플러그 외통부(60)와의 사이에 간극을 가짐과 함께, 내통 본체(66)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7)에 보유지지된다. 또한, 플러그 주단자(8)의 하단부는, 플러그 외통부(60)의 하단면보다도 하방에, 또한 플러그 내통부(61)의 하단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The plug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신호 단자(9)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평면에서 볼 때 U자형 형상을 이루도록 굽힘 가공 등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9)는, U자 형상의 개방된 한 쌍의 단자 선단부(9a)가 확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신호 단자(9)의 U자 형상의 저부에는, 한 쌍의 커트부(9b)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절입(9b)의 사이에는, 압입편(9c)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플러그 신호 단자(9)는, 내통 본체(66)에 개구한 단자 내설 개구(66a)로부터 플러그 내통 공간(S5)에 삽입되고, 플러그 내통 공간(S5)을 구성하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66b)에 압입편(9c)이 압입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7)에 보유지지된다. 또한, 압입된 플러그 신호 단자(9)의 하단면은, 내통 본체(66)의 하단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The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서비스 플러그(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9는, 도 1에 있어서의 B-B 단면도로서, 회전 홈부(22b)와 가이드 돌기(63)와의 걸어맞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9(a)는 회전 전을 나타내고, 도 9(b)는 회전 도중을 나타내고, 도 9(c)는 회전 후(로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소켓 신호 단자(6)와 플러그 신호 단자(9)와의 접촉을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도 10(a)는 접촉 전을 나타내고, 도 10(b)는 접촉 개시시를 나타내고, 도 10(c)는 접촉 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회전 홈부(22b)와 가이드 돌기(63)와의 걸어맞춤의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우선,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한 전원 회로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3)는, 소켓 커넥터(2)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도 6 참조). First, the formation of the power supply circuit by the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3)의 그립부(62)를 파지하고, 플러그 커넥터(3)를, 소켓 커넥터(2)의 하우징 통부(11)의 상방에 접하게 한다(도 6 및 도 8(a) 참조).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3)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63)를, 하우징 통부(11)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 홈부(22a)(가이드 홈(22))에 걸어맞춤시키고, 각 삽입 홈부(22a)를 따라 플러그 커넥터(3)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밀어넣는다. 이때, 소켓 외통부(20)는, 플러그 외통부(60)와 플러그 주단자(8)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소켓 내통부(21)는, 플러그 주단자(8)와 플러그 내통부(61)(내통 본체(66))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소켓 내통부(21)의 단자 보유지지부(26)는, 내통 본체(66)의 단자 내설 개구(66a)로부터 플러그 내통 공간(S5)에 삽입된다. The operator grasps the
밀어넣기가 진행되면, 플러그 커넥터(3)에 내설된 플러그 주단자(8)의 하단부가,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내측 단자편(34)의 선단부(38) 및 복수의 외측 단자편(44)의 선단부(48)에 맞닿는다. 또한 밀어넣기가 진행되면, 플러그 주단자(8)는, 각 내측 단자편(34)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킴과 함께 각 외측 단자편(44)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 각 내측 단자편(34)과 각 외측 단자편(44)과의 사이에 진입한다(도 8(b) 참조). 그리고, 각 가이드 돌기(63)가 각 삽입 홈부(22a)의 하단면에 맞닿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의 하방으로의 밀어넣기가 규제된다(도 9(a) 참조). 이때, 플러그 커넥터(3)의 플러그 외통부(60)는, 하우징 통부(11)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7 참조).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lug
이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는, 각각, 플러그 주단자(8)를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플러그 주단자(8)에 접촉하고 있다(도 8(b) 참조). 상세하게는, 각 내측 단자편(34)의 내측 접점부(39)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주단자(8)의 내주면에 압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각 외측 단자편(44)의 외측 접점부(49)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주단자(8)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주단자(8)와 각 분리 주단자(30)와의 접촉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내측 단자편(34) 및 각 외측 단자편(44)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플러그 주단자(8)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pair of left and right separate
또한, 이 상태에서, 소켓 신호 단자(6)는, 플러그 신호 단자(9)의 내부에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도 10(a) 참조). 즉, 플러그 신호 단자(9)의 한 쌍의 단자 선단부(9a)가, 각 분리 신호 단자(50)의 병설 방향(좌우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정확하게는, 한 쌍의 단자 선단부(9a)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각 분리 신호 단자(50)의 병설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30° 정도 기울어져 있다. In this state, the
이상과 같이, 소켓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3)을 삽입함으로써, 전원 회로 및 신호 회로가 각각 차단된 상태로부터, 신호 회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플러그 주단자(8)가 소켓 주단자(5)에 접촉하여 전기 회로를 도통 접속한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이때, O링(67)은, 소켓 외통부(2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하고 있다(도 7 참조).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이어서, 작업자는, 그립부(62)에 표시된 화살표에 따라,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3)를 우회전시킨다. 각 회전 홈부(22b)에는 각 가이드 돌기(63)가 걸어맞춤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3)는, 각 회전 홈부(22b)를 따라 회전한다. 또한, 각 내측 접점부(39)는 플러그 주단자(8)의 내주면 상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고, 각 외측 접점부(49)는 플러그 주단자(8)의 외주면 상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각 내측 단자편(34) 및 각 외측 단자편(44)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플러그 주단자(8)의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개시 전의 상태를 기준(0°)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Then, the operator, for example, turns the
작업자가 플러그 커넥터(3)를, 예를 들면, 기준으로부터 약 30° 회전시키면, 각 가이드 돌기(63)가, 각 회전 홈부(22b)에 형성된 로크 돌기부(22c)에 맞닿는다(도 9(b) 참조). 여기에서 또한, 작업자가 힘을 가하여 플러그 커넥터(3)를 회전시키면, 각 가이드 돌기(63)는, 근소하게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면서, 로크 돌기부(22c)를 더 지나기 시작한다. 이때, 플러그 신호 단자(9)(각 단자 선단부(9a)측)가, 좌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의 신호 접점부(55)에 접촉하기 시작한다(도 10(b) 참조).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또한, 플러그 커넥터(3)를, 예를 들면, 기준으로부터 약 60° 회전시키면, 회전 홈부(22b)의 맨끝의 단면(端面)과 로크 돌기부(22c)와의 사이에 가이드 돌기(63)가 끼워맞춤하고,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이 규제된다(도 9(c) 참조). 이 상태에서, 각 가이드 돌기(63)는, 용이하게 역회전(좌회전)하지 않을 정도로 로크 돌기부(22c)에 걸리고, 플러그 커넥터(3)는 소켓 커넥터(2)에 대하여 로크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플러그 커넥터(3)의 역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전기 회로 및 신호 회로가 도통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각 가이드 돌기(63)가 로크 돌기부(22c)를 더 지났을 때에 발해지는 소리나 부하의 변화(진동)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이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이 상태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9)의 한 쌍의 단자 선단부(9a)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이, 좌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의 병설 방향(좌우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된다(도 10(c) 참조). 즉, 한 쌍의 단자 선단부(9a)가, 각 분리 신호 단자(50)의 병설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U자 형상의 플러그 신호 단자(9)가, 좌우 방향 양측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신호 접점부(55)를 사이에 끼우도록 접촉한다. 플러그 신호 단자(9)에 끼워진 좌우 한 쌍의 신호 접점부(55)는, 각각, 근소하게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신호 단자(9)를 U자 형상의 단순한 구조로 하는 것만으로, 플러그 커넥터(3)를 회전했을 때에만, 플러그 신호 단자(9)를 각 분리 신호 단자(50)에 접촉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a line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이상과 같이, 소켓 커넥터(2)에 삽입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3)를, 삽입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전원 회로를 도통 접속한 상태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9)가 소켓 신호 단자(6)에 접촉하여 신호 회로를 도통 접속한 상태로 이행한다(도 7 참조). 신호 회로가 도통 접속되면, 신호 회로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원 회로의 도통 접속이 정상인지 아닌지 등의 접속 상태가 판단되고, 정상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즉, 전원 회로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다음으로,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한 전원 회로의 차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전원 회로의 차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원 회로의 형성과는 반대의 순서에 의해 행해진다. Next, the 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circuit by the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작업자는, 그립부(62)를 파지하여,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3)를 좌회전시킨다. 이때, 가이드 돌기(63)가 로크 돌기부(22c)를 더 지나도록, 작업자는 비교적 큰 힘으로 플러그 커넥터(3)를 회전시킨다. 왼쪽 둘레로 약 60° 회전시키면, 가이드 돌기(63)가 삽입 홈부(22a)에 맞닿고,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신호 단자(9)와 소켓 신호 단자(6)(좌우 한 쌍의 신호 접점부(55))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신호 회로 및 전원 회로가 각각 도통 접속된 상태로부터, 신호 회로가 차단되고, 전원 회로가 도통 접속된 상태로 이행한다. 또한, 신호 회로가 차단됨으로써, 제어 장치에 의해 전원 회로로의 통전이 정지(차단)된다. From the state shown in Fig. 7, the operator grasps the
이어서, 작업자는, 하우징 통부(11)를 덮도록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3)를 상방을 향하여 뽑아낸다(도 6 참조). 각 내측 단자편(34) 및 각 외측 단자편(44)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플러그 주단자(8)를 뽑는 것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주단자(8)와 소켓 주단자(5)(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신호 회로 및 전원 회로가 각각 차단된 상태로 이행한다. Then, the operator pulls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3)의 삽입 및 발출 동작에 의해 전기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이 행해지고, 플러그 커넥터(3)의 정역회전 동작에 의해 신호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이 행해진다. 즉, 1개의 동작으로 1개의 회로의 도통 접속 또는 차단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각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을 간이화할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하면, 소켓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3)를 삽입하면, 플러그 주단자(8)가, 이간하여 배치된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의 사이에 들어가, 서로 접속된다. 이때, 각 분리 주단자(30)는, 플러그 주단자(8)의 내외주 양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주면(또는 내주면)에만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주단자(8)는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사이를 연결하는 루트(전기가 흐르는 길)를 2개(플러그 주단자(8)의 전측면 및 후측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전류를 흘릴 수 있고, 대전류를 이용하는 전원 회로(전기 회로)에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하면, 각 내측 단자편(34) 및 각 외측 단자편(44)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서비스 플러그(1)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이 서비스 플러그(1)를 격렬하게 진동하는 자동차 등의 전기 계통에 사용했다고 해도, 플러그 주단자(8)와 각 분리 주단자(30)와의 접촉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의하면, 소켓 신호 단자(6)는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플러그 신호 단자(9)는, 플러그 주단자(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를 각각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돌기(63)를 가이드 홈(22)에 걸어맞춤시켜 안내시킴으로써, 소켓 커넥터(2)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3)의 삽입 및 발출, 그리고 정역회전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회로의 도통 접속 및 차단에 따른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3)를, 약 30° 회전시켰을 때에 각 가이드 돌기(63)가 로크 돌기부(22c)에 맞닿고, 약 60° 회전시켰을 때에 각 가이드 돌기(63)가 로크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플러그 커넥터(3)의 회전 각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3)를 회전시키는 방향도 임의이다. I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3)에 각 가이드 돌기(63)가 형성되고, 소켓 커넥터(2)에 각 가이드 홈(22)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각 가이드 돌기(63)를 소켓 커넥터(2)에 형성하고, 각 가이드 홈(22)을 플러그 커넥터(3)에 형성해도 좋다. I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서는, 소켓 주단자(5)는 한 쌍의 분리 주단자(30)에 의해 구성되고, 소켓 신호 단자(6)는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50)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분리 주단자(30)의 배치수 및 분리 신호 단자(50)의 배치수는, 각각 임의이다. 또한, 내측 단자편(34) 및 외측 단자편(44)도, 형성수나 형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서는, 소켓 커넥터(2)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3)를 삽입 및 발출·회전시키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3)에 대하여 소켓 커넥터(2)를 삽입 및 발출·회전시켜도 좋다. 즉, 소켓 커넥터(2)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3)가 상대적으로 삽입 및 발출·회전되어 있으면 좋다. In the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러그(1)에 있어서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는 적절하게, 기존의 구성 요소 등과의 치환이 가능하고, 또한, 다른 기존의 구성 요소와의 조합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배리에이션이 가능하고,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기재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1 : 서비스 플러그(회로 차단 장치)
2 : 소켓 커넥터
3 : 플러그 커넥터
4 : 소켓 하우징
5 : 소켓 주단자
6 : 소켓 신호 단자
7 : 플러그 하우징
8 : 플러그 주단자
9 : 플러그 신호 단자
9a : 단자 선단부(선단부)
22 : 가이드 홈
22a : 삽입 홈부
22b : 회전 홈부
22c : 로크 돌기부
30 : 분리 주단자
34 : 내측 단자편
44 : 외측 단자편
50 : 분리 신호 단자
63 : 가이드 돌기1: Service plug (circuit breaker)
2: Socket connector
3: Plug connector
4: Socket housing
5: Socket main terminal
6: Socket signal terminal
7: Plug housing
8: Plug main terminal
9: Plug signal terminal
9a: Terminal tip (tip end)
22: Guide groove
22a:
22b:
22c: Lock protrusion
30: Separate main terminal
34: Inner terminal piece
44: outer terminal piece
50: Separation signal terminal
63: Guide projection
Claims (5)
상기 소켓 커넥터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주(主)단자와,
상기 소켓 커넥터에 설치되어, 신호 회로에 접속되는 소켓 신호 단자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플러그 주단자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대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신호 회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주단자가 상기 소켓 주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전기 회로를 도통 접속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기 회로를 도통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가 상기 소켓 신호 단자에 접촉하여 상기 신호 회로를 도통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 장치.A circuit breaker device for disconnecting an electric circuit by releasing a plug connector inserted into a socket connector from the socket connector,
A socket main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A socket signal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signal circuit,
A plug main terminal provided in the plug connector,
A plug signal terminal
And,
The plug main end contacts the socket mai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signal circuit is cut off by relatively inserting the plug connector into the socket connector so that the electric circu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he plug signal termin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ocket signal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nserted into the socket connector is relatively rotated about the insertion axis so that the plu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circuit And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is established.
상기 플러그 주단자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소켓 주단자는,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분리 주단자를 갖고,
상기 각 분리 주단자는, 상기 플러그 주단자를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플러그 주단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g main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herein the socket main terminal has a pair of separate main terminal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separating main terminals contacts the plug main terminal so as to sandwich the plug main termina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각 분리 주단자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내주면에 압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내측 단자편과,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외주면에 압접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외측 단자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separating main ends,
A plurality of inner terminal pieces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pressed o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main terminal,
And a plurality of external terminal pieces formed elastically deformable so as to be capable of coming into pressur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g main terminal.
상기 소켓 신호 단자는, 상기 한 쌍의 분리 주단자의 중간부에 있어서, 서로 이간하는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를 갖고,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는, U자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플러그 주단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회전에 수반하여, U자 형상의 개방된 한 쌍의 선단부 내면이 각각 상기 한 쌍의 분리 신호 단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ocket signal terminal has a pair of separation signal terminals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pair of separation main terminals,
The plug signal terminal has a U-shaped shape and is disposed inside the plug main terminal. As the plug connector relative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a pair of U-shaped open front end inner surfaces are And the contact portion contacts the pair of separated signal terminals.
상기 소켓 커넥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에 걸어맞춤하도록, 상기 소켓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어느 다른 한쪽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
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삽입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 홈부와,
상기 삽입 홈부의 삽입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소켓 커넥터에 대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적인 회전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회전 홈부와,
상기 회전 홈부의 회전 방향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를 걸도록 상기 회전 홈부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로크 돌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guide groove formed in either one of a socket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shape of the socket connector and a plug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shape of the plug connector,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of the socket housing and the plug housing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Further comprising:
The guide groove
An insertion groove portion formed concavely along the relativ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A rotation groove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along the relative rotation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socket connector from an insertion direction end of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And a lock protrusion which is convexly formed in the rotation groove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guide protrusion located at the end por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groove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76338A JP5886253B2 (en) | 2013-08-28 | 2013-08-28 | Circuit breaker |
JPJP-P-2013-176338 | 2013-08-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6861A true KR20150026861A (en) | 2015-03-11 |
KR102114743B1 KR102114743B1 (en) | 2020-05-25 |
Family
ID=5267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9573A KR102114743B1 (en) | 2013-08-28 | 2014-08-22 | Circuit interrupter apparatu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886253B2 (en) |
KR (1) | KR102114743B1 (en) |
CN (1) | CN104426004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53413A (en) * | 2015-10-22 | 2017-05-10 | 顺科新能源技术股份有限公司 | Maintenance switch |
JP6349345B2 (en) * | 2016-05-20 | 2018-06-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Plug connector and power circuit breaker |
CN107618458B (en) * | 2016-07-14 | 2021-10-22 |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 Connector and internal signal circuit terminal |
CN108511255B (en) * | 2018-05-23 | 2024-02-27 | 西安赛诺克新能源科技有限公司 | Small-sized high-voltage isolating switch |
CN110492320A (en) * | 2019-08-15 | 2019-11-22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intelligence changes electrical interface connector |
US12100918B2 (en) | 2021-08-03 | 2024-09-24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Rotary plug connector |
US11999594B2 (en) | 2021-08-24 | 2024-06-04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Elevator belt monitoring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1121A (en) * | 2001-02-05 | 2002-08-16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Breaker device |
JP2012094318A (en) * | 2010-10-26 | 2012-05-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Voltage monitoring structure |
JP2012186074A (en) | 2011-03-07 | 2012-09-27 | Yazaki Corp | Power source circuit breaker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85828B1 (en) * | 1984-12-27 | 1988-05-18 | Société d'Exploitation des Procédés Maréchal S.E.P.M. (Société Anonyme) | Receptacle, especially for power currents |
DE202004010818U1 (en) * | 2004-07-10 | 2005-11-24 | Wiska Hoppmann & Mulsow Gmbh | Device for actuating a circuit breaker arranged in a housing |
CN201528071U (en) * | 2009-09-25 | 2010-07-14 | 林景在 | Jacking-pressing-rotating type triple safety socket |
-
2013
- 2013-08-28 JP JP2013176338A patent/JP5886253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08-22 KR KR1020140109573A patent/KR10211474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08-27 CN CN201410427847.8A patent/CN104426004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1121A (en) * | 2001-02-05 | 2002-08-16 |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 Breaker device |
JP2012094318A (en) * | 2010-10-26 | 2012-05-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Voltage monitoring structure |
JP2012186074A (en) | 2011-03-07 | 2012-09-27 | Yazaki Corp | Power source circuit breake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886253B2 (en) | 2016-03-16 |
JP2015046277A (en) | 2015-03-12 |
CN104426004B (en) | 2017-11-10 |
KR102114743B1 (en) | 2020-05-25 |
CN104426004A (en) | 2015-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26861A (en) | Circuit interrupter apparatus | |
EP2520457B1 (en) |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 |
KR102115040B1 (en) | High voltage male type connector | |
US8905770B2 (en) | Connector device with electrical connection detection function | |
JP3820355B2 (en) | Power circuit breaker | |
EP2462663A1 (en) | Plug receptacle | |
US9871331B2 (en) | Modular switchgear connection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modular compartment to a switchgear assembly | |
US8939797B2 (en) | Connection system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electrical device for automotive industry and at least one pair of cables | |
JP5723181B2 (en) | Power circuit breaker | |
US10063016B2 (en) | Fuse protected socket having additional attachment points | |
JP5319473B2 (en) | Plug connector | |
JP2012169176A (en) | Charge plug for electric vehicle | |
KR20190119280A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CN105281093B (en) | Plug with a locking mechanism | |
JP6331888B2 (en) | Power shut-off plug assembly structure | |
JP2019515455A (en) | HVIL system | |
KR101585861B1 (en) | Connecter assembly | |
KR101143590B1 (en) | Female connector of one touch attaching or one touch detaching type | |
JP5319470B2 (en) | DC outlet | |
JP6374233B2 (en) | connector | |
EP2645394B1 (en) | Powe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 |
WO2017002629A1 (en) | Service plug | |
US20220359129A1 (en) | Manual service disconnect for in-vehicle electric current | |
KR101509962B1 (en) | Locking device of high voltage connector for vehicles | |
JP6498562B2 (en) | Power supply device and current interruption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