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34A -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734A
KR20150026734A KR20140010355A KR20140010355A KR20150026734A KR 20150026734 A KR20150026734 A KR 20150026734A KR 20140010355 A KR20140010355 A KR 20140010355A KR 20140010355 A KR20140010355 A KR 20140010355A KR 20150026734 A KR20150026734 A KR 20150026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cold
we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411B1 (ko
Inventor
강춘구
구남훈
김성주
박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EP14776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80227A4/en
Priority to CN201480018836.2A priority patent/CN105074018A/zh
Priority to US14/780,505 priority patent/US10538824B2/en
Priority to PCT/KR2014/000846 priority patent/WO2014157822A1/ko
Publication of KR2015002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내시효성 및 저항복비 특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은 (a)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하고,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판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b) 상기 재가열된 판재를 Ar3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c) 상기 열간압연된 판재를 680~750℃에서 권취하는 단계; (d) 상기 권취된 판재를 산세한 후,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e) 상기 냉간압연된 판재를 810~850℃에서 소둔 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판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질압연을 수행하지 않고도 내시효성 및 저항복비 특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외판재는 성형시 형상동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저항복비 특성이 요구된다. 반면, 성형 후 완성 제품인 자동차에서는 외부에서 가해진 응력에 대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내덴트성이 필요하다.
소부경화강은 이러한 양면성을 만족시킬수 있는 강종으로 강중에 고용탄소를 잔류시켜 도장소부 과정에서 전위로의 탄소확산을 이용하여 최종제품의 항복강도를 높여 내덴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통상 소부경화강은 도장소부 이후 3Kgf/mm2 이상의 항복강도 증가를 보증한다.
하지만 고용탄소는 도장 소부 조건 이외의 상온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활성도를 가지며, 상온에서 시효현상 및 항복점 연신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시효현상은 가동전위에 고용탄소가 고착되어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시효현상 역시 고용탄소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시효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강중의 고용탄소량을 0.001중량% 정도로 제어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강중의 고용탄소량은 성분 및 제조공정의 다양한 공정변수로 인해 변화하며, 보관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언제든 시효현상이 발생 할 수 있는 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통상 소부경화강의 내시효 보증은 상온에서 3개월로 인식되어 왔으나, 실제로 운송기간과 사용시점을 고려 할 때 6개월~12개월 정도의 보다 긴내시효 기간을 요구하게 된다.
한편, 소부경화강의 내시효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질압연을 통해 강내에 전위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고용탄소가 많을 경우 혹은 낮은 압하율이 적용될 경우나 작업상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조질압연이 실시되지 못할 경우, 항복점 연신이 미세하게 잔류하여 표면 결함을 유발하거나 짧은 기간 내에 시효가 급격히 진행되어 강재의 품질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6460호(2000.03.25.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 내시효성이 우수한 도장인화 경화형 냉간압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효성, 성형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은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하고,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판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b) 상기 재가열된 판재를 Ar3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c) 상기 열간압연된 판재를 680~750℃에서 권취하는 단계; (d) 상기 권취된 판재를 산세한 후,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e) 상기 냉간압연된 판재를 810~850℃에서 소둔 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Cr]+0.3[Mo]의 값이 0.5~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롬의 함량이 0.3~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의 함량이 0.02~0.0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냉각은 15℃/sec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은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하고,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열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고,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이상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상기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5.0~10.0% 포함되고, 나머지가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항복점 연신이 0.2% 미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기지 내 전위밀도가 1x1013 개/m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0.45 이하의 항복비(YP/TS)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은 38% 이상의 연신율(El) 및 1.2 이상의 r-value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에 의하면, 크롬, 알루미늄 등의 합금 성분 조절과 함께 열연공정 제어, 소둔 열처리 제어를 통하여, 열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단상조직,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이상조직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5% 이상 포함될 때, 항복점 연신이 0.2% 미만을 나타내었으며, 페라이트 기지 내 1x1013 개/m2 이상의 높은 전위밀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에 의하면, 조질압연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12개월 이상의 우수한 내시효 특성을 갖는 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에 의하면, 조질압연 공정을 생략한 결과, 0.45 이하의 저항복비 특성을 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탄소 함량을 0.025중량% 이하로 제어하고, 또한 권취 온도를 680℃ 이상으로 제어한 결과, 38% 이상의 연신율 및 1.2 이상의 r-value를 나타내는 강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강판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성분들 외 나머지는 철(Fe)과 제강 공정 등에서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불순물의 예로, 대략 0.1중량% 이하의 실리콘, 대략 0.008중량% 이하의 질소를 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판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조직에서 무확산 변태에 의한 과포화 탄소를 함유한 조직으로, 탄소는 이러한 마르텐사이트 조직 형성에 기여한다.
상기 탄소는 강판 전체 중량의 0.005~0.025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0.02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함량 범위에서 연신율이 크게 열화되지 않는 상태로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르텐사이트에 의한 내시효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탄소의 함량이 0.005중량% 미만일 경우,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형성하기 어렵다. 반대로, 탄소 함량이 0.0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38% 이상의 연신율을 확보하기 어렵다.
망간(Mn)
망간은 효과적인 소입성 원소로서, 소둔 처리 후 냉각시 마르텐사이트 형성에 기여한다.
상기 망간은 강판 전체 중량의 1.0~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간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상변태 시작 온도가 낮아지고, 재결정에 의해 {111}//ND 집합조직이 발달하기 전에 상변화가 발생하여 성형성이 열화 되고, 망간의 표면산화에 의해 표면품질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인(P)
인이 강판 전체 중량의 0.08중량%를 초과하여 과다 함유될 경우 편석에 의한 표면결함과 가공취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인은 강판 전체 중량의 0.08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인이 의도적으로 첨가될 경우, 인은 강도 향상에 기여하며, 특히 집합조직 개선에 따른 성형성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인의 함량이 0.02중량% 이상 함유될 때 보다 현저하다. 이에 인이 의도적으로 첨가될 경우, 인의 함량은 0.02~0.08중량%가 바람직하다.
황(S)
황(S)은 MnS를 형성하여 유효 망간 함량을 감소시키고, MnS에 이한 표면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의 함량을 강판 전체 중량의 0.01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알루미늄(Al)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Al)은 탈산제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특히 Ac3 변태를 지연시켜 오스테나이트내 탄소 농화도를 높일 수 있는 원소로서, 0.025중량% 이하의 낮은 탄소함량으로도 소둔 처리 후 냉각 과정에서 경질상의 마르텐사이트를 만드는데 효과적인 원소이다.
상기 알루미늄은 강판 전체 중량의 0.2~0.8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일 경우, 소둔 중 이상역 온도 구간에서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재질편차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 내 탄소 농화도가 감소하여 냉각시 베이나이트나, 퍼얼라이트와 같은 탄화물 조직이 형성되어 항복강도를 높이고, 내시효성도 열화 시키게 된다. 반대로, 알루미늄의 함량이 0.8중량%를 초과하면 Ac3 온도가 증가하여 소둔 중 이상역 분율이 감소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생성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개재물 증가의 위험과 소둔 과정에서 표면산화 현상을 야기 할 수 있고, 도금 품질을 열화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크롬(Cr), 몰리브덴(Mo)
크롬(Cr)과 몰리브덴(Mo)은 강판의 소입성을 강화하여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소들이다. 그러나, 크롬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할 경우, 소둔 중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탄소농화도가 감소한다. 또한, 몰리브덴의 함량이 0.3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할 경우, Ac3 온도가 증가하여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을 감소시키며, Ac3 온도 증가는 통상적인 연속소둔라인에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크롬의 마르텐사이트 확보 측면 및 성형성 측면에서 몰리브덴보다 현저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합금조성에 있어서, 크롬과 몰리브덴이 아래 식을 만족할 때, 크롬과 오스테나이트 함량 과다로 인한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마르텐사이트 조직 확보에 기여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식 :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
[Cr]+0.3[Mo]이 0.3 미만일 경우, 크롬과 몰리브덴 첨가에 따른 소입성 강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Cr]+0.3[Mo]이 2.0을 초과하는 경우, 크롬 과다 첨가의 문제점 혹은 몰리브덴 과다 첨가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Cr]+0.3[Mo]의 경우, 안정적인 마르텐사이트 확보 측면에서, 0.5 ≤ [Cr]+0.3[Mo] ≤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르텐사이트 확보 측면에서 크롬이 보다 용이한 바, 크롬만 첨가되거나, 크롬과 함께 몰리브덴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0.3 ≤ [Cr]+0.3[Mo] ≤ 2.0를 만족하면서, 크롬과 몰리브덴이 과다 함유될 경우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롬은 강판 전체 중량의 0.3~1.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몰리브덴은 강판 전체 중량의 0.1~0.3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경우, 탄질화물 형성원소로서 과다 첨가시 항복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고용탄소함량을 감소시켜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방해하는 니오븀과 티타늄이 첨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함되더라도 각각 0.01중량% 이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상기 합금성분들 및 후술하는 공정 제어에 의하여, 열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고,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이상조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상기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5.0~10.0% 포함되고, 나머지가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항복점 연신이 0.2% 미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12개월 이상의 내시효 보증이 가능하다. 항복점 연신이 0.2% 이상인 경우, 가공중 스트레처 스트레인(stretcher strain)에 의한 표면결함이 발생하며, 시효가 급격히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페라이트 기지 내부 전위밀도가 1x1013 개/m2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전위밀도를 통하여 가동전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온에서의 시효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우수한 내시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상기의 합금 성분 제어 및 후술하는 조질압연 공정 생략을 통하여 0.45 이하의 항복비(YP/TS)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탄소 함량을 0.025중량% 이하로 조절한 결과, 38% 이상의 연신율(El)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는 제조 과정에서 권취 온도를 680℃ 이상으로 제어한 결과, 1.2 이상의 r-value을 나타낼 수 있다.
강판 제조 방법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 방법은 슬라브 재가열 단계(S110), 열간압연 단계(S120), 권취 단계(S130), 냉간압연 단계(S140) 및 소둔 열처리 단계(S150)를 포함한다.
우선, 슬라브 재가열 단계(S110)에서는 전술한 합금 조성을 갖는 슬라브 판재를 대략 1100~1250℃ 정도의 온도로 재가열한다.
다음으로, 열간압연 단계(S120)에서는 재가열된 판재를 Ar3점 이상의 마무리압연온도(대략 870℃ 정도) 조건으로 열간압연한다. 다음으로, 권취 단계(S130)에서는 열간압연된 판재를 냉각한 후, 권취한다.
이때, 권취 온도는 6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80~7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680℃ 미만의 온도에서 권취시 퍼얼라이트(Pearlite), 세멘타이트(Cementite)와 같은 제 2상 탄화물들이 잔류하여 냉간압연 시 집합조직의 열화를 야기하는 전단띠(Shear Band)가 발생하고, 탄화물 조직에서 탄소 농도가높은 오스테나이트가 생성되어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연신율의 저하가 발생하므로, 680℃ 이상의 고온에서 권취를 실시하여 열연조직을 페라이트 단상 조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단상 조직'이라 함은 하나의 조직의 비율이 면적률로 100%인 경우를 포함하여, 하나의 조직의 비율이 면적률로 99%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경우, 열연강판 상태에서는 페라이트 단상 조직을 갖는다. 이는 합금조성과 함께 680℃ 이상의 권취온도 제어를 통하여 가능하다.
다음으로, 냉간압연 단계(S140)에서는 권취된 판재를 산세한 후, 대략 50~8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한다.
다음으로, 소둔 열처리 단계(S150)에서는 최종 제조되는 강판의 미세 조직 제어를 위하여 냉간압연된 판재를 소둔 처리하여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대략 15~20vol%로 제어한 후, 냉각한다. 냉각은 Ms점 이하의 온도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소둔 처리는 810~850℃에서 대략 50~150초 정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둔 처리 온도가 810℃ 미만일 경우, 충분한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그 결과 면적률로 5% 이상의 마르텐사이트 상을 얻기 어렵다. 반대로, 소둔 처리 온도가 850℃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오스테나이트 분율로 인하여 최종 제조되는 강판의 미세 조직에 면적률로 10%를 초과하는 마르텐사이트 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은 15℃/sec 이상의 평균냉각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sec를 제시할 수 있다. 평균냉각속도가 15℃/sec 이상에서 냉각시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상변화 과정 중 전위밀도가 증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둔 열처리를 통하여,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5.0~10.0% 포함되고, 나머지가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미세조직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강판 시편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을 포함하고 나머지 철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판재를 1200℃에서 2시간동안 재가열하고, 이어 열간압연을 수행하였다. 열간압연은 Ar3점 이상의 온도에 해당하는 870℃에서 마무리압연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열간압연된 판재를 냉각하여 700℃에서 권취를 수행하였다. 이후, 산세 및 6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830℃에서 100초동안 소둔 처리한 후 20℃/sec로 300℃까지 냉각하여, 강판 시편 1~5, 8을 제조하였다.
강판 시편 6의 경우에는 다른 조건은 시편 1 제조 과정과 동일하나, 소둔 처리를 790℃에서 수행하고, 20℃/sec로 300℃까지 냉각한 후, 0.5%의 압하율로 조질압연을 실시하였다.
또한, 강판 시편 7의 경우에는 다른 조건은 시편 1 제조 과정과 동일하나, 권취 온도가 600℃이었다.
[표 1] (단위 : 중량%)
Figure pat00001

2. 기계적 특성 평가
표 2는 시편 1~7의 미세조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미세조직 및 전위밀도는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전위밀도는 EBSD(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을 사용한 결정학적 misorientation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전위밀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KAM[θ] = 1/6n × Σ ( θ12 + …………… + θn )
L = a(2n+1)
ρ(θ) = 2*θ / L *ㅣbㅣ
(상기 식에서, KAM[θ] : Kernel Average misorientation, θ : misorientation angle), L : 단위길이(Unit Length), a : step length, n : Number of Kernel, ρ(θ) : 전위 밀도, b : burgers vector)
[표 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시된 조건을 만족하는 강판 시편 1~3, 8의 경우, 열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단상조직(페라이트 99% 이상),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마르텐사이트 이상조직을 나타내었으며, 인의 함량이 0.05중량%인 시편 8의 경우 r-bar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판 시편 1~3의 경우, 마르텐사이트 조직의 면적률이 5% 이상이었으며, 내시효 보증기간이 12개월 이상, 항복비가 0.45이하를 나타내어, 내시효성 및 저항복비 특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크롬, 몰리브덴, 알루미늄이 충분히 첨가되지 않은 대신 니오븀이 첨가된 강판 시편 4의 경우, 냉연강판 상태에서도 마르텐사이트 상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내시효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였다.
또한, 크롬, 몰리브덴이 충분히 첨가되지 않은 강판 시편 5의 경우,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1% 미만 미량 형성됨으로써 내시효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였다.
또한, 소둔 처리 온도가 790℃로 상대적으로 낮은 강판 시편 6의 경우, 마르텐사이트가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었다. 다만, 강판 시편 6의 경우, 조질압연을 수행함으로써 12개월 이상까지 내시효 특성을 발휘할 수 있었으나, 저항복비 특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였다. 이에 반하여, 시편 1~3, 8의 경우, 조질압연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저항복비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면서도 내시효 특성까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권취온도가 680℃ 미만인 강판 시편 7의 경우, 강판 시편 1~3에 비하여 가공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a)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하고,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판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b) 상기 재가열된 판재를 Ar3점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c) 상기 열간압연된 판재를 680~750℃에서 권취하는 단계;
    (d) 상기 권취된 판재를 산세한 후, 냉간압연하는 단계; 및
    (e) 상기 냉간압연된 판재를 810~850℃에서 소둔 처리한 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r]+0.3[Mo]의 값이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의 함량이 0.3~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의 함량이 0.02~0.0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냉각은 15℃/sec 이상의 평균 냉각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 방법.
  6. 중량%로, 탄소(C) : 0.005~0.025%, 망간(Mn) : 1.0~2.0%, 인(P) : 0.08% 이하, 황(S) : 0.01% 이하, 알루미늄(Al) : 0.2~0.8%를 포함하고, 0.3 ≤ [Cr]+0.3[Mo] ≤ 2.0([ ]는 성분의 중량%)이 되도록 크롬(Cr) 및 몰리브덴(Mo)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열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단상조직을 갖고,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이상조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r]+0.3[Mo]의 값이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의 함량이 0.3~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의 함량이 0.02~0.0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상기 마르텐사이트가 면적률로 5.0~10.0% 포함되고, 나머지가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페라이트 기지 내 전위밀도가 1x1013 개/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 상태에서, 항복점 연신이 0.2% 미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0.45 이하의 항복비(YP/TS)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38% 이상의 연신율(El) 및 1.2 이상의 r-value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KR1020140010355A 2013-03-28 2014-01-28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776129.0A EP2980227A4 (en) 2013-03-28 2014-01-29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201480018836.2A CN105074018A (zh) 2013-03-28 2014-01-29 钢板及其制备方法
US14/780,505 US10538824B2 (en) 2013-03-28 2014-01-29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CT/KR2014/000846 WO2014157822A1 (ko) 2013-03-28 2014-01-29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077 2013-08-30
KR20130104077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34A true KR20150026734A (ko) 2015-03-11
KR101597411B1 KR101597411B1 (ko) 2016-02-25

Family

ID=5302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355A KR101597411B1 (ko) 2013-03-28 2014-01-28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30A (ko) * 2020-12-29 2022-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우수한 내텐트 특성을 가지는 내텐트성 냉연강판, 내텐트성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RU2810993C1 (ru) * 2020-12-29 2024-01-09 Хендай Стил Компани Устойчивый к вмятинам холодноката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меющий отлич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устойчивости к вмятинам, устойчивый к вмятинам плакирован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033A (ko) * 2009-04-13 2012-01-2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시효성 및 베이킹 경화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3008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 복합조직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18741A1 (ja) * 2011-07-29 2013-02-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033A (ko) * 2009-04-13 2012-01-2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시효성 및 베이킹 경화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3008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 복합조직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18741A1 (ja) * 2011-07-29 2013-02-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高強度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30A (ko) * 2020-12-29 2022-07-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우수한 내텐트 특성을 가지는 내텐트성 냉연강판, 내텐트성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2145857A1 (ko) * 2020-12-29 2022-07-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우수한 내텐트 특성을 가지는 내텐트성 냉연강판, 내텐트성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605627A (zh) * 2020-12-29 2023-01-13 现代制铁株式会社(Kr) 具有优异的抗凹痕性的抗凹痕冷轧钢板、抗凹痕镀覆钢板及其制造方法
RU2810993C1 (ru) * 2020-12-29 2024-01-09 Хендай Стил Компани Устойчивый к вмятинам холодноката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меющий отличные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устойчивости к вмятинам, устойчивый к вмятинам плакирован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11B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2703A1 (en) Ultra-high strength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hole-expand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236078B2 (ja) 冷間圧延鋼板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556894B1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026407A (ko) 향상된 강도, 연성 및 성형성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EP3556896A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yield strength, ductility, and hole expandability, hot dip galvanized steel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450586B1 (en) Ultra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yield rati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714930B1 (ko)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5237A (ko) 열간 압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0538B1 (ko)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20220325369A1 (en) Cold 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597411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10106865B2 (en)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03849B1 (ko) 생산성 및 원가 절감 효과가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1469A (ko)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7011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259689A1 (en) Cold rolled and co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523966B1 (ko) 강판 제조 방법
KR101586893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5293B1 (ko) 강판
KR101758563B1 (ko) 연신율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38824B2 (en)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0526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9299A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7646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38960A (ko) 내시효성 및 내덴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복합조직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합금화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