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10A -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 Google Patents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710A
KR20150026710A KR20130150746A KR20130150746A KR20150026710A KR 20150026710 A KR20150026710 A KR 20150026710A KR 20130150746 A KR20130150746 A KR 20130150746A KR 20130150746 A KR20130150746 A KR 20130150746A KR 20150026710 A KR20150026710 A KR 20150026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dy
wire insertion
bracket
wir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0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1197B1 (en
Inventor
김피터에이치
Original Assignee
(주)스타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타덴텍코리아
Priority to PCT/KR2014/0119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84102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1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1Brackets with reinforcing structure, e.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hich comprises a bracket body including an attachment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eeth and including a wire insertion grooves where a wire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e teeth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e wire position change is rapidly perform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rocedure time,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a user, and an orthodontic rubber band helping smooth movement of the teeth can be hung on the wire insertion grooves to have an effect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by not needing such an additional hook for hanging the orthodontic rubber band.

Description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브라켓과 와이어의 결찰 시 고무링 혹은 클립을 사용치 않으며, 보다 손쉽게 와이어와 결찰이 쉬운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a bracket set which do not use a rubber ring or a clip when ligation of a bracket for an orthodontic braid and a wire, and are easy to wire and ligature more easily.

인체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치아들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기형 요인에 의해서 치아 배열(tooth arrangement, 치열)이 고르지 못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치열이 고르지 못한 상태를 부정교합(malocclusion)이라 하는데, 이러한 부정교합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외모에 악영향을 미치는 심미적인 문제와, 음식 섭취나 부정확한 발음의 언어 구사 등 기능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치열의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치과 치료 수단으로서 치열 교정기가 이용되고 있다.Teeth that are present in the human oral cavity may have an uneven tooth arrangement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deformities. Malocclusion refers to malocclusion, which causes functional problems such as an aesthetic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appearance in human life, and a linguistic use of food intake or inaccurate pronunciation . Accordingly, orthodontic appliances have been used as dental treatment means for correcting malocclusion of teeth.

종래 치열교정용 브라켓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70916호('자가 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093호('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70916 ('Self-ligating type orthodontic bracket') and Korean Patent No. 1024093 ('Orthodontic bracket').

치아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치아는 브라켓에 의하여 치열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브라켓을 한 번 치아에 장착한 후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치아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치열 내에서 치아의 위치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변경되어 가해질 필요가 있다.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teeth, the teeth are moved by the bracket within the dentition. After the bracket is once mounted on the tooth,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racket is the position of the tooth in the dentition It needs to be chang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그러나 종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에 장착 후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찰 시 고무링 혹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장착된 클립을 사용하여 와이어와 결찰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제작단가 및 치료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has a problem that it requires a manufacturing cost and a long treatment time because it is connected to a wire by using a clip attached to a rubber ring or an orthodontic bracket when ligation with a wire for orthodontic treatment after being attached to a tooth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라켓을 치아에 장착한 후 치열교정용 와이어와 결찰을 위한 고무링 혹은 클립 없이 브라켓 세트의 구조로 자가결찰을 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elf-ligating a bracket set to a tooth without using a rubber ring or a clip for wire bonding with the orthodontic wire after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tooth.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body having a mounting surface that can be attached to a tooth surface and having wir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in which a wire can be inserted into a tooth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further comprises a fastener mounted around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to preven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inclined to be inclined rea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ference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구가 안착되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there is formed a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astening hole is seated, and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intersects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상기 체결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hole separating groove into which a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fastening hole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formed with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asten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ixing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when the fastener is seated in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브라켓 본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fastener are provided with stoppers so that the stoppers can be engaged with the bracket body when the bracket body is mounted on the bracket body.

한편,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each having a mounting surfac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tooth surface and having a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tooth for insertion of a wir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a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lower teeth.

본 발명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mandi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intersects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formed with an elastic rubber insert groove for engaging a corrective rubber strip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n which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not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arking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so that a reference poin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oth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한편, 본 발명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each having a mounting surfac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tooth surface and having a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tooth for insertion of a wir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a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본 발명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lower teeth.

본 발명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mandib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본 발명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er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intersects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 And a fastener for fastening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body is formed with an elastic rubber insert groove for engaging a corrective rubber strip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n which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not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arking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so that a reference point can be displayed when the tooth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의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치아에 장착한 후에 치아 교정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치아의 위치에 따라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를 삽입한 후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교정고무줄 등을 브라켓 본체에 걸어 와이어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치아 교정 과정에서 최적의 힘을 치아에 가함으로써 전체 치아 교정 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교정환자의 만족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First, the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y, respectively, to selective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oth, The wire can be easily fixed to the bracket body by simply attaching the calibration rubber strip to the bracket body without using a fastener. Therefore, by applying the optimal force to the teeth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entire orthodontic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the satisfaction of the orthodontic patient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greatly increased.

둘째,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체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브라켓 본체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브라켓 본체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를 브라켓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를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빼낸 다음, 다른 위치의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술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시술자와 교정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Second, a fastener may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fix the wire firmly. Particularly, when the position of the wire is to be changed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body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the bracket body is separated from the tooth surface and separated from the bracket body simply by removing the fastener from the bracket body, Then, it is only necessary to insert it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at another position.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wire can be quickly changed, the period of the procedure can be greatly shorten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practitioner and the calibrating patient can be greatly increased.

셋째, 브라켓 본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와이어 삽입홈에 치아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으므로 교정고무줄을 걸기 위한 별도의 후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Third, since the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body is open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 corrective rubber strip that smoothly moves the teeth can be stuck to the wire insertion groove, so a separate hook for hanging the correction rubber strip is unnecessary, .

넷째,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됨으로써,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된 체결구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체결구 분리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Fourth, since the fastening hole separ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formed with the fastening hole receiving groove, a mechanism for easily separating the fastening hole seated in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separating groove.

다섯째, 체결구의 양단에 스토퍼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의 브라켓 본체 장착 시 체결구가 쉽게 브라켓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Fifth, since the stopp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hole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bracket body when the bracket body of the fastening hole is mounted,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hole.

여섯째, 체결구의 내측면에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의 안착 시 체결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Sixthly, since the elastic fixing part that can enter the inside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astener, the flow of the fastener can be prevented when the fastener is seated.

일곱째,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와이어를 브라켓 본체에 지그재그로 장착할 수 있어 빠르게 쉽게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치열 교정을 위한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치아 배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Seventh, since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in the bracket set are arranged so as to alternat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the wires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bracket body,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rrange the teeth by minimizing the friction with the wire for orthodontic correction, thereby enabling rapid tooth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결합도.
도 4는 도 1의 체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ligating typ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views of the coupling of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self-ligating type orthodontic bracket s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브라켓 본체(100)와 체결구(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body 100 and a fastener 200.

브라켓 본체(100)는 치열을 교정하기 위한 와이어(300)의 견인력이 치아에 작용할 수 있게 치아에 부착되어 와이어(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 본체(100)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101)을 가진다.The bracket body 100 is for supporting the wire 300 by being attached to the teeth so that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300 for calibrating the teeth can act on the teeth. The bracket body 100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nd has an attaching surface (101).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은 치아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거나 치아 표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은 레진 등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도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ttachment surface 101 of the bracket body 100 may have flexibility to be adhered to the tooth surface or may be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ooth surface. The attachment surface 101 of the bracket body 100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by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resin and may b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 본체(100)는 상,하면, 전, 후면, 양측면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이고, 브라켓 본체(100)가 구강 내 접촉 시 모서리 부분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전면의 경계면과, 하면과 전면의 경계면은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각각 경사면(102)을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bracket body 100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upper, lower, front, rear, and both side surfaces. In order to prevent the corner portions of the bracket body 100 from being stuck when the bracket body 100 contacts the mouth, The interf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re formed so as to be tapered and have inclined surfaces 102, respectively.

이러한 브라켓 본체(100)에는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300)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하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서로 이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e bracket body 100, a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o insert the wire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eth. In this embodiment,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100, respectively.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ire insertion holes The grooves 110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preferab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 In particular,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 Is more preferable. That is,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rranged so as to have the same angle.

또한,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10도 내지 20도 이내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preferably has an inclination angle of 10 to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a fastener receiving groove 130 is formed so that a fastener 20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seated.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130.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 130 is formed across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100, As shown in Fig.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n the fastener 2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sea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300. [ And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secure a space in which the wire 300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의 하면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Since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er fitting grooves 130 are formed in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00, And ar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00, respectively.

나아가,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되어 있다.Further, a fastener removal groove 15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00 in which the fastener insertion groove 13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 분리홈(150)은 브라켓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각각 두 개의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er separating grooves 150 are formed to be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 and are formed in front of the bracket body 100 having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s 130 formed therein, Needless to say, the two fastener separating grooves 150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체결구 안착홈(130)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체결구 분리홈(150)이 형성됨으로써,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된 체결구(200)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체결구 분리홈(15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Since the fastener separating groove 15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00 having the fastener receiving recess 130 formed therein, the fastener 200 seated in the fastener receiving recess 130 can be easily separate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mechanism and the like into the fastener separating groove 150.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astener 200 for preventing the wire 300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mounted around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면서 장착되고, 필요에 따라 도 2와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에 위치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거나, 도 3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상, 하측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와이어(3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er 200 is mount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s 130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100, and if necessary, fasten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body 100, Or may be seated in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13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100 as shown in FIG. This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wire 300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이러한 체결구(200)의 상세 구조를 도 4에 도시하였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is fastener 200 is shown in Fig.

도 4에 따르면, 체결구(200)의 양단에는, 체결구(200)가 브라켓 본체(100)에 장착 시 브라켓 본체(10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2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230)는 브라켓 본체(100)에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4, stoppers 23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20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caught and fixed to the bracket body 100 when the fastener 200 is mounted on the bracket body 100. As shown in FIG. Preferably, the stopper 230 is inclined inward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200 in order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bracket body 100. The stopper 230 is preferably a plate having elasticity.

이와 같이, 체결구(200)의 양단에 스토퍼(230)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200)의 브라켓 본체(100) 장착 시 체결구(200)가 쉽게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2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Since the stopper 23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200 in this manner, the fastener 200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racket body 100 when the fastener 200 is attached to the bracket body 100 The fixing force of the fastener 200 can be increased.

체결구(200)의 내측면에는, 체결구(200)가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 시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21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구(200)의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양측면의 내측에 안쪽으로 볼록하게 마련되어 있다.An elastic fixing part 21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20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when the fastener 200 is seated in the fastener restricting groove 1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stening openings 200 are formed inwardly and convexly inwardly on both side surfaces formed to face each other.

즉, 체결구 안착홈(130)에 체결구(200) 안착 시 탄성고정부(210)가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210)의 폭은 체결구 안착홈(130)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width of the elastic fixing part 210 is set such that the elastic fixing part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when the fastener 200 is mounted on the fastener mounting groove 130, 13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210)가 마련됨으로써, 체결구(200)의 안착 시 체결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elastic fixing part 21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astening tool 200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the flow of the fastening tool 200 can be prevented can do.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mounting th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라켓 본체(100)의 부착면(101)을 레진 등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치아 표면에 부착한다.1 and 2, the attachment surface 101 of the bracket body 100 is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resin and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그런 다음, 와이어(300)를 브라켓 본체(100)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의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까지 완전히 삽입한다. 그러면 와이어(3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으로 통과한다.Then, the wire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upper wire insertion groove 110 formed in the bracket body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The wire 300 then passes to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그런 다음,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한다. The fastening holes 200 are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s 1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so that the wires 300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It seats.

이때, 체결구(200)의 내측면에 마련된 탄성고정부(210)는 와이어 삽입홈(110)의 내측으로 들어가므로 체결구(200)의 안착 시 체결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체결구(200)의 양단에 마련된 스토퍼(230)는 브라켓 본체(100)에 걸려 고정되므로 체결구(200)가 쉽게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구(20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fixing part 210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astener 200 enters the inside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er 200 from flowing when the fastener 200 is seated The stopper 23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200 is fastened to the bracket body 10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bracket body 100, .

이렇게,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되는 체결구(200)는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된다.In this way, the fastener 200 seated in the fastener restricting groove 130 is mounted around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필요에 따라 와이어(3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브라켓 본체(100)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300)를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빼낸 다음, 도 3과 같이 브라켓 본체(100)의 하측에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를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체결구(200)를 체결구 안착홈(130)에 안착하여 고정시키면 된다.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fastener 200 from the bracket body 100 without separating the bracket body 100 from the tooth surface and reattaching the wire 300 300 is pulled out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n 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located under the bracket body 100 as shown in FIG. Then, the fastener 200 may be seated in the fastener rest groove 130 and fixed.

이와 같이, 치아에 장착한 후에 치아 교정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브라켓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를 삽입하여 치아의 위치에 따라 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300)를 삽입한 후 별도의 체결구(200)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교정고무줄 등을 브라켓 본체(100)에 걸어 와이어(3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치아 교정 과정에서 최적의 힘을 치아에 가함으로써 전체 치아 교정 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교정환자의 만족도를 매우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After 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y 100 according to need, 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The wire 300 can be fixed by simply fastening the orthodontic brace to the bracket body 100 without using a separate fastener 200 after the wire 300 is inserted. Therefore, by applying the optimal force to the teeth during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entire orthodontic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the satisfaction of the orthodontic patient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greatly increased.

둘째, 와이어(300)를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체결구(2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브라켓 본체(100)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와이어(3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브라켓 본체(100)를 치아 표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부착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체결구(200)를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300)를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빼낸 다음, 다른 위치의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와이어(300)의 위치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술기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어, 시술자와 교정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된다.Second, if it is necessary to securely fix the wire 300, the fastener 200 may be used. Particularly, when the position of the wire 300 is changed in a state where the bracket body 10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the bracket body 1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tooth surface and attached again, It is only necessary to remove the wire 300 from the bracket main body 100 and to insert the wire 300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at another position.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wire 300 can be rapidly changed, and the procedure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practitioner and the calibrating patient.

나아가, 브라켓 본체(100)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홈(110)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와이어 삽입홈(110)에 치아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으므로 교정고무줄을 걸기 위한 별도의 후크 등이 불필요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Further, since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formed in the bracket body 100 is open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apply a correcting rubber 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teeth, Since a separate hook or the like is unnecessary,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한편, 체결구(200)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eparation of the fastener 200 can be accomplished as follows.

브라켓 본체(100)의 전면으로 형성된 체결구 분리홈(150)에 체결구(200)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을 삽입하여 체결구(200)를 앞으로 당겨 주기만 하면, 체결구(200)가 브라켓 본체(100)로부터 분리된다.If the fastener 200 is pulled forward by inserting a mechanism or the like for separating the fastener 200 into the fastener separating groove 150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100, (10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은 목적에 따라 구강 내의 여러 지점에 설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Th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ints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purpose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의 배열을 도 5에 도시하였다.FIG. 5 shows an arrangement of a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따르면,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는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a ~ 100j)를 포함하는데, 각 브라켓 본체(100a ~ 100j)는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101)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300)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5, th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et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100a to 100j, and each of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has an attachment surface 101 that can be attached to a tooth surface And a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wire 300 to allow insertion of the wire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eth.

또한,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브라켓 본체(100a, 100c, 100e, 100g, 100i)의 상측에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면 하측에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본체(100b, 100d, 100f, 100h, 100j)의 하측에 와이어 삽입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면 상측에 고무줄 삽입홈(17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와이어 삽입홈(110)의 깊이가 고무줄 삽입홈(170)의 깊이보다 더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ubber band inserting grooves 170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on which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not formed, so that the calibration rubber strips can be attached. That is, when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ies 100a, 100c, 100e, 100g, and 100i, the rubber string insertion grooves 17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ies 100b, 100d, 100f, 100h and 100j, when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the rubber string insertion grooves 17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th of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rubber-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1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킹홈(190)은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marking grooves 19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so that a reference point can be displayed when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ar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marking grooves 190 are form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 본체(100a ~ 100j)는 와이어 삽입홈(110)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100a ~ 100j)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ies 100a to 100j.

먼저, 상악치에 부착되는 브라켓 배열을 살펴보면,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a ~ 100e)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a)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a)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브라켓 본체(100a)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First,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100a to 100e are arranged so that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bracket body 100a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a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a And is inclined to be inclined rearward from the top to bottom with reference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a.

이렇게,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a)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a)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다음에 배치되는 바깥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b)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b)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b)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Since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a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a in this way, the bracket main body 100b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b so that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b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 .

그 다음에 배치되는 송곳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c)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00)은 브라켓 본체(100c)의 연직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c attached to the fingers disposed next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c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10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c Respectively.

그 다음에 배치되는 첫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d)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d)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d)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d attached to the first small molar disposed next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d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d And is inclin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그 다음에 배치되는 둘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e)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e)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e)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e attached to the second small molar disposed next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e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e And is inclined to be inclined fo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상기와 같이 배열된 브라켓 본체 중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main body 100c, 100d and 100e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of the bracket bodie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main body seating grooves 130, 100d, and 100e, and are formed to intersect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s shown in FIG. 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n the fastener 2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sea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300. [ And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secure a space in which the wire 300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이렇게,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c, 100d, 100e)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체결구(200)가 장착되면,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참조)
When the fastener 200 is mounted in a substantially 'diagonal' shape surroun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ies 100c, 100d and 100e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the wire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300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See Fig. 2)

다음으로, 하악치에 부착되는 브라켓 배열을 살펴보면, 다수의 브라켓 본체(100f ~ 100j)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는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f)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f)의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the bracket arrangement to be attached to the lower teeth, the plurality of bracket bodies 100f to 100j are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100f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lower teeth of the lower teeth, The bracket body 100f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tooth is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groove 110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100f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f .

이렇게,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f)의 와이어 삽입홈(110)이 브라켓 본체(100f)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다음에 배치되는 바깥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g)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g)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g)의 연직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Since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of the bracket body 100f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100f in this way, the bracket body 100g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body 100g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100g.

그 다음에 배치되는 송곳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h)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00)은 브라켓 본체(100h)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h attached to the canine disposed nex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h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10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h As a reference, it is inclined to be inclined rea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그 다음에 배치되는 첫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i)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i)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i)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i attached to the first small molar disposed nex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i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i And is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그 다음에 배치되는 둘째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j)의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j)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삽입홈(110)은 브라켓 본체(100j)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of the bracket main body 100j attached to the second small molar disposed next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main body 100j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main body 100j And is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상기와 같이 배열된 브라켓 본체 중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130)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 안착홈(130)은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되, 와이어 삽입홈(1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와이어 삽입홈(110)에 와이어(300)가 삽입된 다음, 와이어(300)의 외측으로 체결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체결구 안착홈(130)은 와이어 삽입홈(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와이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acket main body 100h, 100i, and 100j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of the bracket bodies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with symmetrical fastener fitting grooves 130 on both sides thereof. 100j, 100j, 100j, and intersect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s 110. As shown in Fig. The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n the fastener 2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so that the fastener 200 can be seated to the outside of the wire 300. [ And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secure a space in which the wire 300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이렇게,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100h, 100i, 100j)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체결구(200)가 장착되면, 와이어 삽입홈(110)에 삽입된 와이어(300)가 와이어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참조)
When the fastener 200 is mounted in a substantially 'diagonal' shape surrounding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main body 100h, 100i and 100j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300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110. (See Fig. 2)

상기와 같이, 브라켓 세트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와이어를 브라켓 본체에 지그재그로 장착할 수 있어 빠르게 쉽게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고, 와이어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in the bracket set are arranged so as to alternat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the wires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bracket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rbitrary departure.

나아가, 치열 교정을 위한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치아 배열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한 치아 교정이 가능하다.
Furthermore, since the friction with the wir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minimized, the tooth arrangement can be made quickly, and quick tooth correction is possibl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브라켓 본체
101 : 부착면
110 : 와이어 삽입홈
130 : 체결구 안착홈
150 : 체결구 분리홈
200 : 체결구
210 : 탄성고정부
230 : 스토퍼
300 : 와이어
100: Bracket body
101: Mounting surface
110: wire insertion groove
130: fastener seat groove
150: fastener separating groove
200: fastener
210: elastic fixing part
230: Stopper
300: wire

Claims (16)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포함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And a bracket body having a mounting surfac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nd having a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for inserting the wi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o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mounted around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to preven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bracket bod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 insertion groove
Wherein the bracket body is inclined so as to be inclined rearward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racket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체결구가 안착되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acket body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hole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intersects with the wire insert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으로,
상기 체결구를 분리하기 위한 기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 분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racket body having the fastener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fastener separating groove into which a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fastener can be inse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 안착홈에 안착 시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탄성고정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er,
And an elastic fixing part capable of entering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at the time of seating in the fastener restricting groove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양단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장착 시 상기 브라켓 본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3. The method of claim 2,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And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bracket body so that the stopper can be engaged with the bracket body when the bracket body is mounted on the bracket body.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을 가지고, 치아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는 와이어 삽입홈이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본체를 다수개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의 위치가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과 하측에 번갈아 가며 배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A plurality of bracket bodies each having a mounting surfac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surface of a tooth and having a wir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tooth so that a wire can be inserted into the tooth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racket body includes: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arrang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wire insertion grooves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racket body includes:
Wherei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bracket body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제10항에 있어서,
상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upper teeth,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브라켓 본체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racket body includes:
Wherein the bracket body is arranged so that both sid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lower teeth.
제12항에 있어서,
하악치의 가운데 앞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상기 브라켓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front teeth of the lower teeth of the lower teeth,
And the wir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body.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양측면에는 체결구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 안착홈은 상기 와이어 삽입홈과 교차하며,
송곳니, 작은 어금니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과 양측면을 감싸며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bracket body is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and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the fastening hole seating grooves crossing the wire insertion grooves,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mounted around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racket body attached to the canines and the small molar teeth to preven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ire insertion groove. Bracket set for orthodontic orthodontic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에는,
상기 와이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측 또는 하측에 교정고무줄을 걸 수 있도록 고무줄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bracket body,
Wherein a rubber-thread insert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n which the wire-inserting groove is not formed, so that an orthodontic brace can be inserted therebetwee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의 전면에는,
치아 표면에 부착시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마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세트.
10. The method of claim 9,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racket body,
Wherein a marking groov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for indicating a reference point when the tooth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KR1020130150746A 2013-08-30 2013-12-05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KR1015011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925 WO2015084102A1 (en) 2013-12-05 2014-12-05 Self-binding tooth arrangement correcting bracket and bracket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983 2013-08-30
KR1020130103983 2013-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10A true KR20150026710A (en) 2015-03-11
KR101501197B1 KR101501197B1 (en) 2015-03-12

Family

ID=5302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746A KR101501197B1 (en) 2013-08-30 2013-12-05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1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19B1 (en) * 2014-12-05 2016-08-16 (주)스타덴텍코리아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73B1 (en) * 2005-10-12 2007-0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racket for correction of irregular teeth
JP3779984B1 (en) * 2005-12-05 2006-05-31 典文 木村 Orthodontic bracket
JP5530792B2 (en) * 2009-04-27 2014-06-25 剛 亀田 Orthodontic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197B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166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sliding cover
US9901422B2 (en) Dental wire supporter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dontic device having the same
JP7153571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7134873B2 (en) Orthodontic wire ligating member
KR101301886B1 (en) Clip device for set of teeth care
KR101565802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US11419704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KR101667753B1 (en) Orthodontic brace
JP6441304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40144044A (en) Clip and hook functions with orthodontic devices
KR101479004B1 (en) Orthodontic mini bracket and orthodontic set
KR101501197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bracket set
KR101894039B1 (en) wire coupling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
KR200437642Y1 (en) Orthodontic screw
KR101648419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set
KR101249175B1 (en) Orthodontic apparatus
KR101379618B1 (en) R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299811B1 (en) Non-wing orthodontic bracket
KR20110009777U (en) The Fixation
KR101768565B1 (en) Orthodontic bracket
KR101366038B1 (en) Self ligating bracket
KR102301150B1 (en) Teeth orthodontic kit using resin cover and Teeth orthodontic kit using mold
KR101919411B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0373807Y1 (en) Orthodontic appliance
JP2005185428A (en) Bracke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