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501A - 터치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6501A KR20150026501A KR20130105447A KR20130105447A KR20150026501A KR 20150026501 A KR20150026501 A KR 20150026501A KR 20130105447 A KR20130105447 A KR 20130105447A KR 20130105447 A KR20130105447 A KR 20130105447A KR 20150026501 A KR20150026501 A KR 201500265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substrate
- elastic member
- electrode pattern
- touch sensor
- haptic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595 Dielectr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831 ionic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2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8 orient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20 photoresista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7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35 surface treatment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햅틱모듈; 상기 햅틱모듈의 구동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면서, 상기 햅틱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는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의 일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여 씰링을 하고, 상기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ensor)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센서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또한, 터치센서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센서 모듈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센서 모듈과 정전용량방식 터치센서 모듈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터치 지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실제 키(Key)를 누르는 것과 같은 촉감을 인지하도록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번호"10-2012-0074831"과 같이 햅틱 장치가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햅틱장치는 사용자가 촉각을 인지하도록 터치 센서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진동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상하 진동에 의해 터치센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햅틱 장치의 상하 진동에 의한 터치센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햅틱모듈; 상기 햅틱모듈의 구동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면서, 상기 햅틱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는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기판의 일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여 씰링을 하고, 상기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윈도우기판은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제1 전극 패턴과 제2 전극 패턴이 동일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햅틱의 상하 진동을 상기 케이스로 전달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방향에 대해 진동을 증폭시키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기판의 테두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 에폭시 또는 아크릴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햅틱모듈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상기 윈도우기판에 압전 엑츄에이터 또는 폴리머 엑츄에이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햅틱모듈은, 전압을 인가하는 상부전극; 상기 상부전극의 전압을 구동하는 하부전극;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전극의 전압에 의해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기계적인 수직 변형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층은 전왜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유전성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이온폴리머(ionic polymer)및 압전폴리머(piezoelectric poly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 층은 인가 전압을 고려하여, 50㎛ ~ 500㎛의 범위에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터치센서 모듈의 상하 진동에 의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운동에 대한 윈도우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부터 탄성부재가 완충작용을 해서 내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지점에 대한 진동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반복 터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따른 터치센서를 포함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결합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윈도우기판의 부분 저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결합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윈도우기판의 부분 저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 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따른 터치센서를 포함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결합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윈도우기판과 탄성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윈도우기판의 부분 저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터치’라는 용어는 접촉 수용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접촉 수용 면으로부터 입력수단이 상당한 거리만큼 근접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모듈은, 햅틱모듈(300)과 햅틱모듈(300)의 구동에 따라 상하 진동하는 윈도우기판(200)과 윈도우기판(200)의 일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210) 및 상기 탄성부재(210)에 결합하여 씰링을 하고, 윈도우기판(2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햅틱모듈(300)은 수축 및 팽창을 하여 윈도우기판(200)에 진동을 전달한다. 또한, 햅틱모듈(300)의 하단부에는 터치센서의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37)가 형성될수도 있다. 햅틱모듈(300)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햅틱모듈(300)은 전압을 인가하는 상부전극(335)과 상부전극(335)의 신호로 구동하는 하부전극(331)이 형성되고, 상부전극(335)과 하부전극(331)에 수직변형을 일으키는 액츄에이터층(333)를 포함한다.
상부/하부전극(335,331)은 외부 또는 내부에서 일정한 주파수 또는 일정한 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된다. 상부/하부전극(335,331)은 ITO(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상부/하부전극(335,331)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상부/하부전극(335,331)의 사이에 액츄에이터층(333)이 형성된다(도 1을 참조).
액츄에이터층(333)은 상부/하부전극(335,331)의 구동신호에 따라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액츄에이터층(333)은 내부의 전기장에 의해 물리적으로 수직 변형을 일으켜서 변위를 발생하게 된다. 액츄에이터층(333)의 수직 변형의 변위는 재질에 따른 물성 값, 전기장을 발생하는 전압 및 주파수 등에 의해 변위를 조절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층(333)은 전왜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유전성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 이온 폴리머(ionic polymer), 압전 폴리머(piezoelectric polymer)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는, 액츄에이터층(333)의 재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액츄에이터층(333)의 두께는 50㎛ ~ 500㎛를 벗어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액츄에이터층(333)의 움직이는 변위량과 사용자가 터치시 촉감을 인지하는 정도 및 터치센서 모듈(1)의 변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부(337)는 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출력값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337)는 햅틱모듈(300)의 일면에 결합 된다. 디스플레이부(337)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로서, 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 종류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0) 및 상기 베이스기판(100)상에 형성되는 전극패턴(1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패턴(12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0) 일면상에 전극패턴(120)이 형성되는 것으로, 단층의 전극패턴(120)으로 터치센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0)상에 X축방향의 제1 전극패턴(122)과 제1 전극패턴(122)에 교차되는 Y축방향의 제2 전극패턴(124)이 형성될 수 있다. 단일면에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 교차되어 형성되기 위해,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 교차되는 부분에는 어느 하나의 전극패턴(120)상에 절연패턴(I)이 형성되고, 절연패턴(I)상에 다른 전극패턴(120)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의 교차각은 수직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교차각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원 평면에서의 좌표를 추출하기 위해 X축과 Y축의 좌표가 나올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교차되는 것이 적절하다(도 4 및 5를 참조). 베이스 기판의 재질은 투명한 재질을 사용한다. 베이스 기판은 후술할 윈도우 기판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한다.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에는 전극패턴(120)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기판(100)과 전극패턴(1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 등을 수행하 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120)은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0) 일면상에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122)과 제2 전극패턴(124)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패턴(120)은 금속세선으로 형성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그 메쉬패턴을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등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특별한 형상에 한정을 두는 것은 아니다. 전극패턴(120)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메시패턴(Mesh Pattern)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120)의 형성방법은 건식 공정, 습식 공정 또는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을 포함하고, 습식 공정은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포함하며, 다이렉트 패터닝 공정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전극패턴(120)상에 감광물질을 도포하고,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다. 이때 빛을 받은 감광물질부분을 현상액으로 제거하거나, 빛을 받지 않은 부분을 현상액으로 제거하는 등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공정을 진행한다 이후에, 감광물질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고, 감광물질을 레지스트로 하여 에칭액으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후, 감광물질을 제거하면, 원하는 패턴의 전극패턴(120)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센서 모듈(1)에 햅틱 모듈(300)의 상하 진동으로 터치센서 및 윈도우기판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하 진동에 의한 터치센서 모듈의 작동신뢰성을 개선함으로써, 다양한 터치센서 모듈의 적용제품에서 보다 다양화할 수 있다.
윈도우기판(200)은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극패턴(120)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도 2 및 3을 참조). 윈도우기판(200)은 전극패턴(12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에서 제공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윈도우기판(200)은 터치센서의 최 외곽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방향에 형성되며, 소정 강도 이상의 강화유리등을 사용함으로써 터치센서를 보호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윈도우기판(200)은 투명도를 고려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윈도우기판(200)은 활성 영역(220)과 활성 영역(2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비활성 영역(230)으로 구획될 수 있다(도 2를 참조). 활성 영역(220)은 사용자에 의한 터치작용이 이루어지는 영역이며, 사용자가 기기의 동작 장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화면 영역이다. 그리고 비활성 영역(230)은 윈도우기판(200)에 형성되는 베젤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이다.
탄성부재(210)는 햅틱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상하 진동을 케이스(400)로 전달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한다. 탄성부재(210)는 고무 , 에폭시 또는 아크릴 등의 재질을 사용한다. 이는, 탄성부재(210)의 재질을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탄성부재(210)는 윈도우기판(20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도 3을 참조). 탄성부재(210)는 비활성 영역(230)의 경계면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탄성부재(210)가 활성영역(22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부재(210)가 터치의 인식을 방해하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탄성부재(210)와 케이스(400)는 터치 시점에서는 거리가 멀어지고, 터치를 계속 진행하면 탄성부재(210)와 케이스(400)의 거리는 변동한다. 이때, 터치 상태를 유지하면 수축과 팽창으로 탄성부재(210)와 케이스(400)의 거리가 계속하여 변동한다. 탄성부재(210)는 케이스(400)의 저면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탄성부재(210)가 상하 진동이 발생할 때 진동을 증폭시키는 공간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부재(210)가 케이스(400)와 밀착하여 결합되지 않음으로써, 탄성부재(210)와 케이스(400)가 별도로 움직일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한다.
케이스(400)는 외부의 이물질 및 충격으로부터 터치센서를 보호한다. 케이스는 탄성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면서 윈도우 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케이스(40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터치센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일구성요소 및 재질의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전극패턴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 기판(100)은 윈도우 기판(200)과 햅틱모듈(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터치 좌표를 인식한다. 베이스 기판(100)은 전극패턴(120) 및 전극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베이스기판(100)은 활성 영역(220)과 비활성 영역(230)으로 구획되는데, 활성 영역(220)은 입력수단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전극패턴(12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기판(100)의 중심에 구비되고, 비활성 영역(230)은 전극패턴(120)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극배선(미도시)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활성 영역(220)의 테두리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기판(100)은 전극패턴(120)과 전극배선(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디스플레이부(337)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윈도우 기판(200)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극패턴(120)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베이스기판(10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베이스기판(100)의 일면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패턴(120)이 형성된다. 베이스기판(100)의 타면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제2 전극패턴(130)이 형성된다. 이는, X축과 X축의 좌표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터치센서 모듈 100: 베이스 기판
120: 전극패턴 122: 제1 전극패턴
124: 제2 전극패턴 200: 윈도우 기판
210: 탄성부재 220: 활성영역
230: 비활성영역 300: 햅틱모듈
335: 상부전극 331: 하부전극
333: 액츄에이터층 400: 케이스
120: 전극패턴 122: 제1 전극패턴
124: 제2 전극패턴 200: 윈도우 기판
210: 탄성부재 220: 활성영역
230: 비활성영역 300: 햅틱모듈
335: 상부전극 331: 하부전극
333: 액츄에이터층 400: 케이스
Claims (9)
- 햅틱모듈;
상기 햅틱모듈의 구동에 따라 상하 진동을 하면서, 상기 햅틱모듈의 상부에 형성되는 윈도우기판;
상기 윈도우 기판의 진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윈도우기판의 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하여 씰링을 하고, 상기 윈도우기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기판은 전극패턴이 형성되고, 제1 전극 패턴과 제2 전극 패턴이 동일면에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햅틱의 상하 진동을 상기 케이스로 전달하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방향에 대해 진동을 증폭시키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기판의 테두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 에폭시 또는 아크릴을 사용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햅틱모듈은 외부 전원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상기 윈도우기판에 압전 엑츄에이터 또는 폴리머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햅틱모듈은,
전압을 인가하는 상부전극;
상기 상부전극의 전압을 구동하는 하부전극;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전극의 전압에 의해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기계적인 수직 변형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층이 형성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층은 전왜 폴리머(electrostrictive polymer), 유전성 탄성체(dielectric elastomer),이온폴리머(ionic polymer)및 압전폴리머(piezoelectric poly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터치센서 모듈.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 층은 인가 전압을 고려하여, 50㎛ ~ 500㎛의 범위에서 구현되는 터치센서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5447A KR20150026501A (ko) | 2013-09-03 | 2013-09-03 | 터치센서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5447A KR20150026501A (ko) | 2013-09-03 | 2013-09-03 | 터치센서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6501A true KR20150026501A (ko) | 2015-03-11 |
Family
ID=5302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5447A KR20150026501A (ko) | 2013-09-03 | 2013-09-03 | 터치센서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650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511A1 (ko) * | 2016-09-23 | 2018-03-29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정전기력을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 패널 |
KR102129215B1 (ko) * | 2019-12-17 | 2020-07-0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
WO2020171449A1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
2013
- 2013-09-03 KR KR20130105447A patent/KR201500265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6511A1 (ko) * | 2016-09-23 | 2018-03-29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정전기력을 이용한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 패널 |
WO2020171449A1 (ko) *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KR20230091845A (ko) * | 2019-02-19 | 2023-06-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
EP4250694A3 (en) * | 2019-02-19 | 2023-10-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otection member |
KR102129215B1 (ko) * | 2019-12-17 | 2020-07-01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층구조 스마트 물질 모듈 기반 3d 형상 변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87970B1 (en) | Contact sensitive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 |
KR101156782B1 (ko) | 터치패널 | |
US20150116231A1 (en) | Haptic touch module | |
KR101119355B1 (ko) | 터치패널 | |
KR20140047936A (ko) |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075292A (ko) | 터치스크린 | |
TW201633070A (zh) | 輸入裝置、感測器、鍵盤及電子機器 | |
KR20130119763A (ko) | 터치패널 | |
KR20130051803A (ko) | 터치패널 | |
KR20150095449A (ko) |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 |
KR20130074489A (ko) | 터치패널의 센싱 전극패턴 | |
US20150015802A1 (en) | Touch sensor | |
KR20140057047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 |
KR20160061170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 |
KR101077424B1 (ko) |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US20130269991A1 (en) | Touch panel | |
KR20140030772A (ko) | 터치패널 | |
KR20160124541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 |
KR20150026501A (ko) | 터치센서 모듈 | |
KR20140076174A (ko) | 터치패널 | |
KR20110100564A (ko) |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12000A (ko) |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 |
US20140184953A1 (en) | Touch panel | |
KR101095125B1 (ko) | 저항막방식 터치스크린 | |
JP2015170353A (ja) | タッチ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